KR200361052Y1 -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 - Google Patents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052Y1
KR200361052Y1 KR20-2004-0001361U KR20040001361U KR200361052Y1 KR 200361052 Y1 KR200361052 Y1 KR 200361052Y1 KR 20040001361 U KR20040001361 U KR 20040001361U KR 200361052 Y1 KR200361052 Y1 KR 200361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valve
operating
passages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석
Original Assignee
김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석 filed Critical 김문석
Priority to KR20-2004-0001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0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0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4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7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1Removal or measurement of solid or liquid contamination, e.g.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05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2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압 발생장치에서 고압으로 상승된 유체가 설정되는 압력으로 항상 일정하게 공급됨에 따라 기계적인 동작변환이 원활하고 정밀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를 제공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각의 블록 전면 양측으로 상부와 중앙 그리고 하부에 각각 릴리프 밸브와 체크 밸브 그리고 파일럿 밸브가 설치되면서 양측으로 제1 작동부와 제2 작동부를 구성하며, 상기 릴리프 밸브와 체크밸브 후방으로 수직 이송통로가, 그리고 체크밸브와 파일럿 밸브 사이에 연결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파일럿 밸브 후방의 공간부에 작동구(48)가 끼워져 파일럿 밸브를 개폐시키며, 제1 작동부(10)의 수직 이송통로(12)와 제2 작동부(47')의 공간부를 연결하거나, 제2 작동부(10')의 수직 이송통로(12')와 제1 작동부(10)의 공간부(47)를 연결하는 제1,2 작동부 연결통로(50,52)가 구비되며, 중앙의 드레인 통로(58)는 릴리프 밸브(통로 26,26') 및 파일럿 밸브(통로 46,46')와 연결되는 배출통로가 구성되는 드레인 통로(58)가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an oil pressure power apparatus}
본 고안은 유압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히는, 유체에너지를 이용해서 기계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유압구동장치에 장착되어 필요한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시킬 수 있는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압을 이용한 액츄에이터 등 유압 구동장치는 유압의 힘으로 실린더를 동작시키게 되고, 상기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밸브를 개폐하거나 각종 기계의 반복적인 동작을 수행하면서 기계적인 동력원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구동장치에는 유압펌프 및 유체탱크로 구성되는 유압발생장치 및 방향 유량제어 밸브로 구성되는 유압 제어장치, 그리고 유압 실린더 혹은 유압모터로 구성되는 기계적 변환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 유압 제어장치에서 발생되는 압력의 불균일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종래 유압 발생장치를 구성할 때, 유압펌프에서도 미세하게 압력의 변동이 있지만, 그 이외의 핸들과 같은 수동에 의한 유압 발생장치에서는 일정한 압력을 발생시키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최종적 기계적인 작업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정밀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압 발생장치에서 고압으로 상승된 유체가 설정되는 압력으로 항상 일정하게 공급됨에 따라 기계적인 동작변환이 원활하고 정밀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각의 블록(110) 전면에 상부와 중앙 그리고 하부에 각각 릴리프 밸브(20)와 체크 밸브(30) 그리고 파일럿 밸브(40)가 양측으로 동일하게 설치되면서 제1 작동부(10)와 제2 작동부(10')가 구성되고, 상기 릴리프 밸브(20)와 체크밸브(30)를 연결하는 수직 이송통로(12,12' )와, 체크밸브(30)와 파일럿 밸브(4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15,15' )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 하부로 각각 제1, 제2 출력포트(18,18' )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파일럿 밸브 후방으로는 내부에 작동구(48)가 끼워져 있는 공간부(47,47' )가 형성되고, 제1 작동부(10)의 수직 이송통로(12)와 제2 작동부(10' )의 공간부(47' )를 연결하는 제1 작동부 연결통로(50), 그리고 제2 작동부(10' )의 수직 이송통로(12' )와 제1 작동부(10)의 공간부(47)를 연결하는 제2 작동부 연결통로(52)가 구비되며, 양측 작동부(10,10' )의 중앙에는 양측으로 릴리프 밸브와 파일럿 밸브의 내부로 연결되는 배출통로를 가진 드레인 통로(58)가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 조절구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릴리프 밸브와 체크 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5a 도 5b는 본 고안에서 파일럿 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 조절구의 평면도.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 조절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 조절구가 유압구동장치에 장착된 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압 구동장치 10:제1 작동부
10' : 제2 작동부 12,12' : 수직 이송통로
14,14' : 수평 이송통로 20: 릴리프 밸브
30: 체크 밸브 40:파일럿 밸브
46,46' : 배출통로 48: 작동구
50: 제1 작동부 연결통로 52: 제2 작동부 연결통로
58: 드레인 통로 100: 본체
56: 필터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7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완성된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따르면, 사각의 블록(110) 내부에 유압 발생장치에서 승압된 유체가 주입되는 양측의 수직 이송통로, 그리고 상기 유체를 필요한 압력으로 일정하게 공급시키는 릴리프 밸브(20)와 체크밸브(30) 그리고 드레인 되는 유체를 유도하는 파일럿 밸브(40)로 구성되고 있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압조절구 본체(100)를 구성하는 사각의 블록(110) 양측에는 동일한 구성의 제1 작동부(10)와 제2 작동부(10')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양측의 작동부(10,10' )는 블록(110) 전면에서 내측으로 상부 와 중앙 그리고 하부에 각각 밸브조립구멍(22, 22' ,32, 32' ,42, 42' )을 형성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위에서부터 릴리프 밸브(20)와 체크 밸브(30) 그리고 파일럿 밸브(40)가 양측으로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릴리프 밸브(20)와 체크 밸브(30)의 후방으로는 수직으로 유체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에 각각 제1 입력포트(13)와 제2 입력포트(13')를 가진 수직 이송통로(12,12' )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30)와 파일럿 밸브(40) 사이에는 각각 연결통로(15,15' )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파일럿 밸브(40)에는 블록(110) 저면에 형성된 제1 출력포트(18) 혹은 제2 출력포트(18' )와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의 유압 발생장치에서 승압된 유체가 제1 입력포트(13) 혹은 제2 입력포트(13' )를 통해 수직 이송통로(12,12' )로 주입되면 릴리프 밸브에서 일정압력이 조정된 유체가 체크 밸브를 통하면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한 채 파이롯밸브 통로(41a)를 거쳐서 제1 출력포트(18) 혹은 제2 출력포트(18' )를 통해 실린더 등의 기계적 변환장치 즉 외부기기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릴리프 밸브(20)는 필요한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압력 이상의 과압의 유체가 수직 이송통로(12,12' ) 내부를 이동할 때 릴리프 밸브의 차단볼(24)이 후퇴되면서 릴리프 밸브 내부의 배출통로(26,26' )를 통해 드레인 통로(58)로 배출된다. 따라서 수직 이송통로(12,12' )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체크 밸브(30)를 통해 파일럿 밸브(40)의 이송통로(41a)로 이동된다. 위에서 상기 릴리프 밸브(20)는 도 4에서와 같이 밸브 조립구멍(22) 내부를 수평이동하는 작동체(21)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체 앞에는 스프링이 압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체 후방으로 차단볼(24)이 조립되어 수직 이송통로(12)와 연결되는 구멍(12a)을 막고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체의 외측 둘레는 소정의 틈새(25)를 두게 되면서 수직 이송통로(12)에서 이동된 과압의 유체는 차단볼(24)을 밀게 되고 그에 따라 작동체가 후퇴되면서 구멍(12a)이 열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과압의 유체는 작동체의 외측 틈새(25)를 따라 배출통로(26,26' )로 이동되며 유체의 압력이 정압일 때는 전술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작동체가 복귀되면서 차단볼(24)이 구멍(12a)을 차단시킨다.
다음, 양측의 파일럿 밸브 후방으로는 각각 공간부(47,47' )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피스톤과 같이 왕복 운동하는 작동구(48)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구(48)의 전방에는 뾰족한 핀(4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구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핀(49)이 파일럿 밸브의 차단볼(44)을 일어 파일럿 밸브를 개방시킨다.
한편, 블록(110) 내부로는 제1 작동부(10)의 수직 이송통로(12)와 연결되는 통로와 제2 작동부(10' )의 공간부(47' )를 연결하는 제1 작동부 연결통로(50)가 구비되며, 또한 제2 작동부(10' )의 수직 이송통로(12' )와 연결되는 통로 제1 작동부(10)의 공간부(47)를 연결하는 제2 작동부 연결통로(52)가 구성된다. 즉, 제1 작동부(10)에서 제1 입력포트(13)와 체크밸브(30)를 연결하고 있는 수평 이송통로(14)의 후방에 연결된 제1 작동부 연결통로(50)는 제2 작동부(10' )의 파일럿 밸브 후방 공간부(47' )에 연결되어 있고, 그 반면의 제2 작동부(10' )에서 제2 입력포트(13' )와 체크밸브(30)를 연결하고 있는 수평 이송통로(14' )의 후방에 연결된 제2 작동부 연결통로(52)는 제1 작동부(10)의 파일럿 밸브 후방 공간부(4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입력포트(13)로 주입된 유체는 수직상 아래의 각 밸브를 통해 제1 출력포트(18)로 배출됨과 동시에 "도 1" 의 예와 같이 실린더 "N" 부분에 압력이 발생함에 따라 좌로 이동하고 , 그 일부의 유체는 제1 작동부 연결통로(50)를 통해 제2 작동부의 공간부(47' )로 투입되어 작동구(48)를 전진시키게 되면서 기계적 변환장치(예-복동실린더) "M" 부분의 유체가 역류하여 출력 포트(18' )을 통해 유체통로(41a)를 거쳐 공간부" a"에 있는 배출 통로(46' )로 이송하여 필터조립구멍(54),필터(56), 드레인 이송통로(58)순으로 거쳐 탱크로 드레인 된다.(참고도 5b)
이때, 출력포트(18' )를 통해 드레인 되는 유체는 통로(15' )로 역류하더라도 캡(17)과 체크밸브 볼(34)에 의해 차단되어진다.(도 2,3 참조)
이와 반대로 제2입력포트(13' )에 주입된 유체의 출력과 배출(드레인)의 원리는 제1입력포트(13)의 작동 원리와 동일하다.
상기 파일럿 밸브(40)는 도 5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조립구멍(42)에 관체로 된 작동체(41)가 고정되어 있으며, 내부를 따라 수평 이동하는 차단볼(44)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볼 앞에는 스프링이 끼워져 있으며 작동체의 후방에 수직으로 관통된 상하의 통공(41a)와 좌우 통공(41b)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통공(41a)은 수직의 통로(15)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며 내부의 차단볼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때 좌우 통공(41b)은 차단볼에 의해 밀폐된다.
그리고 각 릴리프 밸브(20)와 파일럿 밸브(40)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유압탱크로 복귀시키기 위해 제1 작동부(10)와 제2 작동부(10' ) 중앙으로 드레인 통로(5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드레인 통로(58)의 양측에는 상부에서 릴리프 밸브(20)와 연결되는 배출통로(26,26' ), 그리고 하부에서 파일럿 밸브(40)와 연결되는 배출통로(46,46' )와 이와 연결된 필터조립구멍(54)이 각각 구성된다.
한편, 체크밸브(30)와 파일럿 밸브(40) 사이의 연결통로(15,15' )에는 후방으로 보조통로(16,16' )가 설치되어 있으며, 캡(17)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상기 보조통로(16,16' )는 외부에 설치된 유압 발생장치가 중지 되거나 필요에 의해서 수동적인 유체 주입이 필요할 때 캡(17)을 열고 여기에 유체를 주입시켜 외부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앙의 드레인 통로(58) 하단부에는 전방으로 필터 조립구멍(54)을형성시키고 여기에 오일필터(56)가 끼워져 있다. 따라서 외부기기에서 작업을 완료하고 유압탱크로 복귀하는 유체가 필터링 되면서 유체의 수명과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는 "도 8" 에서와 같이, 하우징(2) 내부의 승압기(3) 그리고, 핸들(4) 혹은 유압펌프 등의 유압발생장치를 가진 유압 구동장치(1)와 함께 설치되고, 상기 승압기 혹은 유압 발생장치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제1 작동부(10)와 제2 작동부(10' )에 교호적으로 주입될 때 릴리프 밸브에 의해 그 압력이 조정된 상태로 외부기기에 투입되어 기계적인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는 유체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항상 필요한 압력의 유체를 일정하게 외부기기에 주입시키게 되면서 작업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각의 블록(110) 전방에 상부 와 중앙 그리고 하부에 각각 릴리프 밸브(20)와 체크 밸브(30) 그리고 파일럿 밸브(40)가 양측으로 동일하게 설치되면서 제1 작동부(10)와 제2 작동부(10' )를 구성할 때, 상기 릴리프 밸브(20)와 체크밸브(30)의 후방으로는 상부에 제1, 제2 입력포트(13,13' )를 가진 수직 이송통로(12,12' )가 연결되며, 체크밸브(30)와 파일럿 밸브(40) 사이에는 각각 연결통로(15,15' )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의 체크밸브 하부로 각각 제1, 제2 출력포트(18,18' )가 구비되고, 상기 파일럿 밸브 후방에는 내부에 작동구(48)가 삽입된 공간부(47,47' )가 형성되고, 제1 작동부(10)의 수직 이송통로(12) 하부와 제2 작동부(10' )의 공간부(47' )를 연결하는 제1 작동부 연결통로(50), 그리고 제2 작동부(10' )의 수직 이송통로(12' )와 제1 작동부(10)의 공간부(47)를 연결하는 제2 작동부 연결통로(52)가 구비되며, 양측 작동부(10,10' )의 중앙에는 드레인 통로(58)가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 통로(58)의 상부에는 양측의 릴리프 밸브와 연결되는 배출통로(26,26' )가 있고 하부에는 양측 파일럿 밸브(40)와 연결되는 배출통로(46,46' )와 드레인통로(54),필터(56)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작동부(10)와 제2 작동부(10' )의 각 연결통로에는 외부로 통하는 보조통로(16,16' )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통로(58,54)에는 오일필터(56)가 장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
KR20-2004-0001361U 2004-01-14 2004-01-14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 KR200361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361U KR200361052Y1 (ko) 2004-01-14 2004-01-14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361U KR200361052Y1 (ko) 2004-01-14 2004-01-14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052Y1 true KR200361052Y1 (ko) 2004-09-06

Family

ID=4934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361U KR200361052Y1 (ko) 2004-01-14 2004-01-14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0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5155B2 (en) Control valve apparatus and pressure circuit
EP1353076B1 (en) Control system for a chair
KR101943762B1 (ko) 전동유압펌프가 적용된 다관절 로봇
CN113266610B (zh) 采用液控单向阀配流的径向柱塞液压装置及工作方法
KR102591031B1 (ko) 액체공급장치 및 액체공급방법
CN115898748B (zh) 用单组油路控制双阀配流的径向柱塞液压装置、工作方法
JPS6221994B2 (ko)
JPH08210308A (ja) 2位置を取り得る4つの接続ポートを有する弁
EP3677793B1 (en) Pressure booster
WO2012104485A1 (en) Directional valve equipped with pressure control
KR200361052Y1 (ko) 유압 구동장치용 유압 조절구.
KR20240036597A (ko) 고압 플런저 펌프 및 고압 플런저 펌프의 용도
CN107690509A (zh) 用于发动机阀的气动促动器
KR19980703415A (ko) 압력 변환기
CN107387473A (zh) 串列借道式多路液压控制装置
JP6681043B2 (ja) 油圧装置及び該油圧装置の油圧シリンダ内の異物を除去する方法
CN212273132U (zh) 一种先导阀结构及具有其的滑阀
KR101943761B1 (ko) 모터 일체형 전동유압펌프
JP2006153113A (ja) 弁内蔵型油圧シリンダ
KR100621977B1 (ko) 플로트 기능을 갖는 붐합류용 유압회로
US11933328B2 (en) Cylinder drive device and flow channel unit
KR200266015Y1 (ko) 유압시스템용증압기
CN220286511U (zh) 双泵合流阀和液压控制系统
CN210769173U (zh) 增压泵
JP3342929B2 (ja) 高圧流体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