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894Y1 -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894Y1
KR200360894Y1 KR20-2004-0016952U KR20040016952U KR200360894Y1 KR 200360894 Y1 KR200360894 Y1 KR 200360894Y1 KR 20040016952 U KR20040016952 U KR 20040016952U KR 200360894 Y1 KR200360894 Y1 KR 200360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kickboard
shoes
shoe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기
Original Assignee
장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기 filed Critical 장정기
Priority to KR20-2004-0016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8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8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부착이 가능한 인라인을 한쪽 신발에 장착하여 킥보드처럼 사용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은 신발 밑창의 전·후방에 일체로 구비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조립 홈부를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삽입 부착되도록 상면에 조립 홈부와 상응하는 착탈부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에 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전·후방 롤러판과, 상기 전·후방 롤러판을 연결하며 신발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전·후방 롤러판의 각도가 상호 변경되게 하는 연결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Shoes equiped with detachable kick board implement}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하나의 보드 저면에 앞 바퀴와 뒷 바퀴가 설치되고, 보드의 선단에 핸들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킥보드는 한 쪽 발을 보드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한 발로 지면을 차면서 발의 추진력으로 전진시켜 이동한다. 그리고 방향 전환 시에는 핸들을 이용하여 방향을 전환시킨다.
이러한 간편한 조작을 통해 킥보드를 운전할 수 있으므로, 주로 어린이나 청소년들 사이에서 운동이나 놀이 수단 또는 단거리 이송수단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 중인 킥보드는 보드의 크기로 인하여 비록 핸들이 보드측으로 접철이 된다고 하더라도 그 부피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사용 용도에 따라 신발 또는 킥보드로 사용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킥보드의 진행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 확대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부 확대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신발 밑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발 밑창
11 : 함몰부
12 : 돌기
2 : 고정 브라켓
21 : 원형 링
22 : 조립 홈부
23 : 상부 수평판
231 : 돌출부, 232 : 관통 홀
3 : 착탈부
31 : 원형 링
32 : 착탈 자석
33 : 중간 돌출단부
4 : 롤러
5 : 전방 롤러판
6 : 후방 롤러판
7 : 연결 수단
71 : 전방 연결부
711 : 연결축, 712 : 멈춤 링
72 : 후방 연결부
721 : 관통 홀, 722 : 부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은 신발 밑창의 전·후방에 일체로 구비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조립 홈부를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삽입 부착되도록 상면에 조립 홈부와 상응하는 착탈부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에 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전·후방 롤러판과, 상기 전·후방 롤러판을 연결하며 신발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전·후방 롤러판의 각도가 상호 변경되게 하는 연결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 확대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부 확대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은 신발 밑창(1)의 전·후방에 일체로 구비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조립 홈부(22)를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2)과, 상기 고정 브라켓(2)에 삽입 부착되도록 상면에 조립 홈부(22)와 상응하는 착탈부(3)가 구비되고 하부에 롤러(4)가 장착되어 있는 전·후방 롤러판(5,6)과, 상기 전·후방 롤러판(5,6)을 연결하며 신발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전·후방 롤러판(5,6)의 각도가 상호 변경되게 하는 연결 수단(7)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이하, 편의상 "킥보드 신발"이라 한다)은 착탈부 및 고정 브라켓을 통해 전후방 롤러판을 신발 밑창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신발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후방 롤러판을 신발 밑창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게 된다.
그리고 킥보드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발 밑창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에 착탈부를 삽입 장착함으로써, 한 발로 땅을 차면서 이동하게 되는 킥보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킥보드로 사용하는 경우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 신발은 신발 밑창에 부착되어 있는 전후방 롤러판이 신발 밑창의 신축성 및 연결 수단에 의해 상대적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함으로써, 방향 전환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 브라켓(2)은 하부가 개방되는 조립 홈부(22)가 구비되어 있는 원형 링(21)과, 이 원형 링(21)의 상부를 커버하며 양측에는 돌출부(231)가 구비되어 있고 이 돌출부(231)에는 밑창의 제조 시 합성수지가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 홀(232)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수평판(23)이 일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 수평판(23)에 다수의 관통 홀(232)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밑창(1)의 성형 제조 시 관통 홀(232)을 통해 합성수지가 통과되어 성형됨으로써, 고정 브라켓(2)을 신발 밑창(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부 수평판(23)은 자석에 붙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착탈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전·후방 롤러판(5,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2)에 삽입되도록 상면 각각에는 조립 홈부(22)와 상응하는 착탈부(3)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에는 롤러(4)가 장착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착탈부는 조립 홈부의 구조와 상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홈부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 신발은 전후방 롤러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착탈부가 신발 밑창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의 조립 홈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며,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신발 밑창과 전후방 롤러판이 상호 밀착되어 킥보드 를 타는 경우 전후방 롤러판이 신발 밑창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신발 밑창에 전후방 롤러판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신발 밑창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은 자석에 붙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은 전후방 롤러판과 고정 브라켓과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확대 도면으로, 본 고안에서는 전방 롤러판의 연결 상태를 사용하여 착탈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부(3)는 내부에 상면이 노출된 착탈 자석(32)이 고정되어 있는 원형 링(31)과, 이 원형 링(31)의 하단 둘레에는 고정 브라켓의 원형 링(21)의 하단이 밀착되는 중간 돌출단부(33)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 신발은 신발 밑창(1)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의 조립 홈부(3)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 수평판(23)의 하면과 전방 롤러판(5)에 형성되어 있는 착탈부(3)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착탈 자석(32)의 상면이 서로 부착됨으로써, 전방 롤러판(5)을 고정 브라켓(2)의 조립 홈부(22)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킥보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계단 등을 올라가거나 도로에서 인도로 올라가는 경우, 전·후방 롤러판이 고정 브라켓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특징적인 양상인 전·후방 롤러판(5,6)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연결부(71)와 후방 연결부(72)로 구성된다.
전방 연결부(71)는 전방 롤러판(5)의 후방 하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후단부에는 일체로 형성된 연결축(711)이 후방, 즉 후방 롤러판(6)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연결부(72)는 전방 연결부의 연결축(711)이 삽입되도록 후방 롤러판(6)의 전방 하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전방 연결부의 연결축(711)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 홀(7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신발 밑창(1)에 장착되는 전·후방 롤러판(5,6)은 후방 연결부의 관통 홀(721)에 전방 연결부의 연결축(711)이 관통 삽입됨으로써,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 전·후방 롤러판(5,6)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멈춤 링과 같은 분리 방지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연결부의 관통 홀(721)에 관통되어 후방으로 돌출된 연결축(711)의 단부 둘레에 멈춤 링(712)을 장착함으로써, 전·후방 롤러판(5,6)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관통 홀에 삽입되는 연결축(711)이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관통 홀(721)의 내측에는 연결축(711)이 미끄럼 회전되게 하는 부시(722)가 더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관통 홀에 삽입되는 연결축이 부시에 의해 관통 홀 내측에서 미끄럼 회전되므로, 연결축과 관통 홀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전·후방 롤러판 간의 회전이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 신발은 연결 수단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전후방 롤러판을 착탈부를 통해 신발 밑창의 내부 전후방에 구비된 고정 브라켓에 용이하게 부착하거나 이탈시킬 수 있어, 사용 용도에 따라 신발 또는 킥보드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착탈부가 자석으로 구성됨에 따라 신발 밑창에 보다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킥보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전후방 롤러판이 신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 신발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수단(7)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전·후방 롤러판(5,6)을 신발 밑창(1)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2, 도1 참조)에 전·후방 롤러판의 착탈부(3 도 1참조)를 삽입하여 부착한다.
이와 같이 부착된 상태에서 한 발로 땅을 밀게 되면, 그 추진력에 의해 전·후방 롤러판(5,6)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4)가 회전되어 앞으로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방향 전환을 하기 위해 킥보드가 착용된 발로 몸의 무게 중심을 이동하게 되면, 연결 수단(7)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전·후방 롤러판(5,6)은 각기 서로 다른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신축성을 가지는 신발 밑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후방 롤러판은 힘을 받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져 전후방 롤러판의 상호 각도가 변경되어 방향 전환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신발 밑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착탈부가 삽입되는 조립 홈부(22)의 주위에는 신발 밑창(1)의 바닥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함몰부(11)가 더 형성되어 있고, 함몰부(11)의 상면 둘레에는 다수의 반원형의 돌기(12)들이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지면에 접촉되는 고정 브라켓 주위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됨으로써, 흙이나 껌 등과 같은 이물질 등이 고정 브라켓의 조립 홈부(22)나 그 주위에 붙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특히 함몰부(11) 주위에 돌기(12)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신발 밑창(1)의 바닥면에 대하여 함몰부의 깊이만큼 함몰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의 내부로 흙이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후방 롤러판을 보다 용이하게 신발 밑창에 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은 전·후방 롤러판의 상면에 구비된 착탈부를 통해 신발 밑창의 전후방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에 용이하게 부착하거나 이탈시킴으로써, 사용 용도에 따라 신발 또는 한발로 땅을 차면서 타는 킥보드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 신발의 전·후방 롤러판은 연결수단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전·후방 롤러판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킥보드로 사용하는 경우 무게 중심의 이동만으로도 신발의 진행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6)

  1. 신발 밑창(1)의 전·후방에 일체로 구비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조립 홈부(22)를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2)과;
    상기 고정 브라켓(2)에 삽입 부착되도록 상면에 조립 홈부(22)와 상응하는 착탈부(3)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에 롤러(4)가 장착되어 있는 전·후방 롤러판(5,6)과;
    상기 전·후방 롤러판(5,6)을 연결하며 신발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전·후방 롤러판(5,6)의 각도가 상호 변경되게 하는 연결 수단(7);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7)은 :
    상기 전방 롤러판(5)의 후방 하부에 돌출되며 후방으로 연결축(711)이 돌출되어 있는 전방 연결부(71)와,
    상기 후방 롤러판(6)의 전방 하부에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연결축(711)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는 관통 홀(721)이 형성되어 있는 후방 연결부(7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721)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축(711)이 미끄럼 회전되게 하는 부시(72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2)은 :
    하부가 개방되는 조립 홈부(22)가 구비되어 있는 원형 링(21)과,
    이 원형 링(21)의 상부를 커버하며 양측에는 돌출부(231)가 구비되어 있고 이 돌출부(231)에는 밑창의 제조 시 합성수지가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 홀(232)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수평판(23)이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3)는 :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조립 홈부(22)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상면이 노출된 착탈자석(32)이 고정되어 있는 원형 링(31)과, 이 원형 링(31)의 하단 둘레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원형 링(21)의 하단이 밀착되는 중간 돌출단부(3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홈부(22)의 주위에는 신발 밑창(1)의 바닥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함몰부(11)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함몰부(11)의 상면 둘레에는 다수의 반원형의 돌기(12)들이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
KR20-2004-0016952U 2004-06-16 2004-06-16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 KR200360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952U KR200360894Y1 (ko) 2004-06-16 2004-06-16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952U KR200360894Y1 (ko) 2004-06-16 2004-06-16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894Y1 true KR200360894Y1 (ko) 2004-09-07

Family

ID=4934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952U KR200360894Y1 (ko) 2004-06-16 2004-06-16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8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317B1 (ko) 2006-02-11 2008-02-18 김설민 로울러슈즈 어셈블리
KR101486145B1 (ko) 2013-07-01 2015-01-26 김영천 빠르게 걷는 신발
KR101537470B1 (ko) * 2014-02-06 2015-07-22 최진영 신발 고정용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317B1 (ko) 2006-02-11 2008-02-18 김설민 로울러슈즈 어셈블리
KR101486145B1 (ko) 2013-07-01 2015-01-26 김영천 빠르게 걷는 신발
KR101537470B1 (ko) * 2014-02-06 2015-07-22 최진영 신발 고정용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6873B2 (ja) 配列された牽引摩擦部材を備えたゴルフシューズ
JP5309130B2 (ja) 靴の滑り留め具、これを有する靴底および靴
USD616188S1 (en) Shoe sole
US8523205B2 (en) Swing skateboard
US7343702B2 (en) Bicycle shoe having protective device
US7195251B2 (en) Item of footwear
KR200360894Y1 (ko)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
US7735840B2 (en) Roller shoe
KR100813306B1 (ko)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보드
US20050151347A1 (en) Bicycle or skateboard peg with independently rotatable surface
US8684243B1 (en) Chalk holding devices for bicycles, scooters and skateboards
KR100693282B1 (ko) 탈착 가능한 뒷굽이 구비된 신발
KR200219036Y1 (ko) 스케이트 보드
KR200340595Y1 (ko) 롤러기구의 착탈 구조
KR200274658Y1 (ko) 눈썰매
KR200495451Y1 (ko)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
USD487486S1 (en) Toy road racing skateboard
CN203425531U (zh) 一种趣味性强的手指滑板玩具
KR102496067B1 (ko) 슬라이딩 및 논슬라이딩이 가능한 슈즈
CN2819855Y (zh) 自行车专用鞋的鞋底扣片块结构
KR200364893Y1 (ko) 변신 인라인스케이트
KR200412979Y1 (ko)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
KR100583443B1 (ko) 바퀴조립체
JP2006122154A (ja) スケートボード
KR200425579Y1 (ko) 골프화용 스파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