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351Y1 - 자동 안전 텐셔너 - Google Patents

자동 안전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351Y1
KR200360351Y1 KR20-2004-0007565U KR20040007565U KR200360351Y1 KR 200360351 Y1 KR200360351 Y1 KR 200360351Y1 KR 20040007565 U KR20040007565 U KR 20040007565U KR 200360351 Y1 KR200360351 Y1 KR 200360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ousing
tension
tensio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재경
Original Assignee
진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재경 filed Critical 진재경
Priority to KR20-2004-0007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3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3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Spr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의 반발탄성을 이용하여 능동적인 장력유지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임의로 탄성의 세기를 조정하고 로킹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 자동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고안 자동 텐셔너는 베어링이 내장되어 벨트 또는 체인접촉시 회전하는 회전체를 포함한 헤드부와, 헤드부의 회전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지지암과, 설비에 고정되며 스프링이 내장된 모듈 타입 하우징과, 지지암과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며 헤드부가 받는 하중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하운동되는 실린더 및, 하우징의 일측단부에 장착되며 스프링의 탄성 정도를 일정범위 조절해주는 텐션조정캡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텐셔너는 스프링의 반발탄성을 이용하여 체인 등의 능동적인 장력을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한번 장착을 한 후에 정기적으로 다시 장력을 조절할 필요가 없어 지속적으로 동력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 동시에 현장 작업자의 정기적인 장력 조정 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스프링 탄성체의 진동 흡수 기능으로 체인과 베어링 등의 수명을 대폭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특히 조립 구성을 다양화할 수 있도록 모듈화 디자인을 택하였으며, 또한, 설치 작업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고안으로 텐셔너를 임의의 고부하 상태로 쉽게 조정하거나 로킹시킬 수 있도록 기능을 추가하였다.

Description

자동 안전 텐셔너{Automatic safety tension unit}
본 고안은 자동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Spring)의 반발탄성을 이용하여 능동적인 장력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기본 기능 외에 임의로 텐션(Tension)세기를 조정하고 로킹(Locking)할 수 있는 자동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셔너는 동력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체인(Chain)이나 벨트(Belt) 등에 일정한 장력이 제공되도록 밀어주거나 당겨주는 일종의 장력 제공 장치로, 통상 체인이나 벨트 등이 회전할 때 스프로킷 휠(Sprocket wheel)이나 롤러(Roller) 등을 이용하여 체인이나 벨트의 일측 부분을 밀어주거나 당겨줌으로써 구현된다.
이때, 이와 같은 텐셔너를 이용하여 체인이나 벨트의 장력을 일정크기로 유지시켜줄 경우 체인이나 벨트에 의한 동력 전달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 부품의 수명이 연장되기 때문에 체인이나 벨트에 의한 이송 장치 및 동력 전달 장치의 구성시 자주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텐셔너(50)의 일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텐셔너(50)는 스프로킷 휠(70)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체인(60)의 일측 부분에 설치되어 단순히 체인(60)을 잡아당기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에, 종래 텐셔너(50)를 이용할 경우 다수개의 스프로킷 휠(70)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체인(60)은 그 종래 텐셔너(50)가 설치될 당시의 최초 설치 장력으로만 얼마 동안 유지되어지다가 일정 시간 회전시키게 되면 체인(60)은 그 최초 상태에서 소정 길이로 늘어지게 되는데, 그 설치될 당시의 최초 설치 장력으로만 항상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종래 텐셔너(50) 같은 경우 이와 같은 체인(60)의 늘어짐에 대해서 전혀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 텐셔너(50)를 이용하여 최초 설치 당시와 같은 일정 크기의 장력을 유지시켜주기 위해서는 늘어진 체인(60)의 길이만큼 줄이거나 체인(60)을 추가적으로 다시 잡아당겨주어야 하는 바, 작업자는 체인(50)의 늘어난만큼 절단하거나 한번 고정된 텐셔너(50)를 분해한 뒤 그 체인(60)의 잡아 당겨주는 위치를 재조정하여 주기적으로 텐셔너(50)의 고정위치를 재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종래 텐셔너(50)에 스프링을 연결하여 체인(60)이나 벨트에 장력을 주기도 하지만 단순한 잡아당김 기능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스프링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갑작스런 충격 부하나 진동이 발생될 경우 안전 보호 기능을 하는 하우징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충격 부하에 스프링이 텐셔너로부터 분리되어 안전사고의 위협 요소가 되기도 하고, 순간적으로 장력 조정 기능을 잃기 때문에 회전되는 체인(60) 및 연관 설비가 일부 파손되거나 체인을 회전되게 하는 스프로킷 휠의 축 베어링(Bearing)이 손상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텐셔너(50)를 기계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텐셔너(50)에 최초의 설치 장력을 높게 준 상태로 조립하고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많은 힘이요구되거나 과도한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인해 고정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종래 텐셔너(50)를 고부하용 체인에 설치할 경우 텐셔너(50)에는 체인 자체의 과중한 무게를 견딜 뿐 아니라 설치 장력을 지탱할 수있는 높은 설치 장력값이 요구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텐셔너(50)의 높은 반발력은 실제 설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많은 힘을 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요소로서 특별한 주의를 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가 텐셔너를 설치한 후에 발생되는 체인이나 벨트 등의 늘어짐에 추가적인 작업없이도 자동으로 장력을 조절하여 주는 자동 텐셔너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전 중에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갑작스런 과부하 충격이나 진동 충격을 흡수하고 완화시킬 수 있는 자동 텐셔너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순간적인 과부하 충격에 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자동 텐셔너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그 헤드부만 교체하면 벨트 텐셔너에서 체인 텐셔너로 또는 체인 텐셔너에서 벨트 텐셔너로 용도변경이 가능한 다목적용 자동 텐셔너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설치전에 미리 텐셔너를 고장력 상태로 조정 및 로킹함으로써 쉽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자동 텐셔너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저부하용으로부터 고부하용에 이르는 다양한 용도에 따라 별개 규격의 텐셔너를 각각 제작하지 않고 부품을 모듈화하여 장력과 관계된 일부 부품만 바꾸어서 적층 조립식 또는 조립 분해식으로 토오크 용량을 가감할 수 있는 조립식 자동 텐셔너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체인 기어에 종래 텐셔너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구성도.
도 2a와 2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텐셔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자동 텐셔너의 일부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텐셔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텐셔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텐셔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7a와 도7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텐셔너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8a와 8b 및 8c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자동 텐셔너가 실제 장착되어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동 텐셔너 110 : 하우징
130 : 텐션 조정캡 150 : 실린더
135 : 텐션 조정 볼트 155 : 실린더 로킹 볼트
170 : 지지암 172 : 스프로킷 휠
180 : 이중 모듈 조립 하판 190 : 이중 모듈 조립 상판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 자동 텐셔너는 베어링이 내장되어 벨트 또는 체인접촉시 회전하는 헤드부(Head part)와, 헤드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지지암(Arm)과, 설비에 고정되며 스프링이 내장된 모듈 타입의 하우징(Housing)과, 지지암과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며 헤드부가 받는 하중과 스프링의 반발 탄성에 의해 상하운동되는 실린더(Cylinder) 및, 하우징의 일측단부에 장착되며 스프링의 탄성 정도를 일정범위 조절해주는 텐션 조정캡(Cap)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린더는 하우징에 끼워지며, 실린더와 하우징이 마찰하는 부위에는 실린더가 적은 저항으로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부싱(Bushing)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텐션조정캡은 스프링의 탄성 세기를 일정 부분 조절해줄 수 있도록 하우징에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고하중 상태에서 스프링의 반발 탄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실린더를 임의로 로킹시켜주는 실린더 로킹볼트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션 조정캡에는 고토크 설비에서 스프링의 반발 탄성을 다욱 강력하게 제어할 수 있는 또 다른 고안으로서 실린더 하단측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연결된 텐션 조정볼트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텐셔너(100,100a,100b,100c,100d)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텐셔너(100)의 제1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자동 텐셔너(100)는 설비(미도시)에 고정되며 강재의 스프링(117)이 내장된 하우징(110)과, 베어링(178)이 내장되어 벨트(미도시)나 체인(미도시)접촉시 원활하게 회전되는 회전체를 포함한 헤드부와, 헤드부의 회전체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지지암(170)과, 하우징(110)과 지지암(170) 사이에 설치되며 헤드부가 받는 하중과 하우징(110) 내 스프링(117)의 반발력 사이에서 유연하게 상하운동하는 실린더(150) 및,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스프링(117)의 탄성 정도를 일정범위 조절해주는 텐션조정캡(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부품은 일체로 조립되어 체인이나 벨트 등에 일정한 장력이 제공되도록 밀어주거나 당겨주는 자동 텐셔너(100)로서의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자동 텐셔너(100)의 헤드부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가능한 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헤드부에 하나의 스프로킷 휠(172)이 장착되어 체인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 텐셔너(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110)은 직사각형 박스(Box)형상으로, 중앙부분에 실린더(150)와 텐션조정캡(130)과 스프링(117) 등이 끼워지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장착홀이 형성되며, 양측 부분에는 하우징(110)을 설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장공의 체결홈(112)이 형성된다.
이에, 스프링(117)은 하우징(110)의 장착홀에 개재되고, 실린더(150)는 이러한 스프링(117)을 상측에서 누를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장착홀에 상측방향으로 끼워지며, 텐션조정캡(130)은 이러한 스프링(117)을 하측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장착홀에 하측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실린더(150)가 끼워지는 장착홀의 내부 상측 부분에는 부싱(115)이 개재되는 바, 이러한 부싱(115)은 헤드부인 스프라킷 휠(172) 등이 하중을 받아 실린더(15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알루미늄 하우징의 마모를 막으면서 실린더(150)가 하우징(110) 내에서 내구성을 갖고 원활한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실린더(150)가 끼워지는 장착홀의 외부 상측 부분에는 하우징(110)에 끼워지는 실린더(150)를 임의로 로킹할 수 있는 실린더 로킹볼트(155)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실린더 로킹볼트(155)는 헤드부에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스프링(117)의 압력을 고하중 상태에 이르기까지 상향조정한 위치에서 실린더(150)를 로킹(Locking)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또, 실린더(150)의 내부에는 실린더(150)의 하측으로 끼워지되, 실린더(150)를 관통하여 실린더(150)의 상측에 장착되는 지지암(170)까지 연장돌출되는 육각렌치볼트(Sexangle wrench bolt,116)가 개재되는데, 이러한 육각렌치볼트(116)는 실린더(150)와 지지암(170)을 연결 고정(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과, 지지암(170)을 포함한 헤드부가 일체가 되어 360도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서 체인이나 벨트의 진행 방향과 자동 텐셔너(100)의 설치 방향을 쉽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 등을 수행한다.
한편, 하우징(110)의 장착홀에 하측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스프링(117)의 탄성 정도를 일정범위 조절해주는 탄성조정캡(130)은 스프링(117)의 탄성 정도를 일정범위 조절해줄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하측방향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하우징(110)의 장착홀 내주면과 이에 결합되는 텐션조정캡(130)의 외주면에는 상호간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되게 되며, 작업자는 텐션조정캡(130)을 더욱 조이거나 일정부분 풀어줌으로써 스프링(117)의 탄성정도를 일정범위 조절해주게 된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조정캡(130) 부분에 별도의 텐션조정볼트(135)가 구비된 제2실시예의 자동 텐셔너(100a)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텐션조정캡(130) 부분에 별도의 텐션조정볼트(135)가 구비될 경우 작업자는 실린더(150)에 연결되어 있는 텐션조정볼트(135)를 풀거나 조임으로써 스프링(117)의 반발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가 텐션조정볼트(135)를 조이게 될 경우 이에 연결된 지지암(170)은 하측으로 내려오면서 스프링(117)을 압축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탄성의 강도를 자유롭게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최초 기계설비에 장착할 때 필요 조건인 텐셔너의 고탄성 상태로 로킹이 가능하게 된다.
자동 텐셔너(100)를 설치함에 있어서 하우징(110)의 설치각도와 헤드부의 배치각도가 일정부분 맞지 않을 경우 작업자는 헤드부를 일정각도 회전시킨 다음 자동 텐셔너(100)를 설치하게되므로 자동텐셔너(100)의 설치 위치 선정이 유리하게 된다.
한편, 헤드부의 구성을 보면, 베어링(178)이 내장되어 벨트나 체인접촉시 원활하게 회전되는 구동부인 스프라킷 휠(172) 및 롤러(173)가 U 형상의 지지암(170)에 의해 지지되며, 이 외에 구동부의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지지핀(Pin,174) 및 지지핀(174)이 이와 같은 결합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지지핀(174)의 양측단부를 각각 고정시켜주는 서클립(175)으로 구현된다.
여기에서,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가능한 바, 체인 규격 변경에 따라 다른 스프로킷 휠(172)로 대체되거나 또는 평 벨트 방식에 적용하기 위해 롤러(173) 등으로 교체를 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이상과 같은 서클립(175)을 지지핀(174)에서 분리한 다음 헤드부의 회전체를 교체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회전체를 포함한 헤드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에 두개의 스프로킷 휠을 장착하여 이열 체인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제3실시예의 자동 텐셔너(100b)로 구현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에 롤러(173)를 장착하여 벨트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제4실시예의 자동 텐셔너(100c)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두개의 스프로킷 휠을 장착할 경우 두개의 스프로킷 휠 사이에는 피치부싱(Pitch bushing,176)이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텐셔너(100,100a,100b,100c,100d)는 도 7a와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실린더(150)와 2개의 하우징(110)을 구비하는 제5실시예의 자동 텐셔너(100d)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텐셔너(100d)에 2개의 실린더(150)와 2개의 하우징(110)이 한조로 구비될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텐셔너(100d)는 2배의 지지력을 갖으므로 고하중의 체인이나 고하중의 벨트 구동방식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모듈화된 디자인의 하우징을 채택하였는데, 각각의 장력 조정 볼트(135)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밀어주거나 당겨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텐셔너(100d)에 2개의 실린더(150)와 2개의 하우징(110) 등이 구비될 경우 작업자는 별도의 이중 모듈 조립 상판(190)과 별도의 이중 모듈 조립 하판(180) 및 이들을 결합시켜주는 고정볼트(185) 등을 사용하여 이들을 결합한 다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자동 텐셔너(100,100a,100b,100c,100d)의 설치방법 및 이에 따른 자동 텐셔너(100,100a,100b,100c,100d)의 작용과 효과를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텐셔너(100)의 설치방법 및 이에 따른 자동 텐셔너(100)의 작용과 효과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제1실시예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2개 이상 다수의 스프로킷 휠 등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체인 등에 장력의 조절이 필요할 경우 작업자는 체인의 일측부분을 밀어주거나 당겨줌으로써 체인의 장력을 제어해주는 본 고안 자동 텐셔너(100)를 설치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자동 텐셔너(100)가 체인의 일측부분을 밀어주거나 당겨줄 수 있도록 위치를 선정하여 별도의 조립볼트(미도시)를 자동 텐셔너(100)의하우징(110)에 형성된 체결홀(112)에 끼운 다음 이 조립볼트를 기계설비에 고정시킴으로써 자동 텐셔너가 체인의 장력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체인 등이 늘어날 것을 미리 예측하여 자동 텐셔너(100)를 충분히 긴장상태로 둔 다음 자동 텐셔너(100)를 설비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자동 텐셔너(100)를 충분히 긴장상태로 둔 다음 설비에 장착할 경우 스프링(117)의 강한 반발력으로 인해 하우징(110)의 체결홈(112)에 조립볼트를 연결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본 고안 자동 텐셔너(100)를 설치 작업전 헤드부에 압력을 가하여 스프링을 긴장시킨 후 이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해 실린더 로킹볼트(155)를 이용하여 실린더(150)를 로킹하거나 텐션 조정 볼트(135)를 조임으로 헤드부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긴장상태로 설치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로킹 상태를 풀어서 스프링(117)의 탄성력을 원상 회복시켜야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자동 텐셔너(100)를 적용함에 있어서, 설비용도에 따라 스프링(117)의 탄성 강도 조절이 필요할 경우 작업자는 하우징(110)과 나사결합된 텐션조정캡(130) 또는 텐션 조정볼트(135)를 일정부분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하우징(110) 내 스프링(117)의 반발력을 긴장 또는 이완함으로써 스프링(117)의 탄성을 조절해주게 된다.
또 다른 장력 조정의 방안으로서, 모듈화된 하우징(110)내에 삽입된 스프링(117)을 고장력용 또는 저장력용으로 바꾸는 단순한 교체 작업만으로도 가능하여 별도의 자동 텐셔너를 구입하여 새로 설치 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텐셔너는 스프링의 반발탄성을 이용하여 체인 등에 능동적인 장력을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한번 장착을 하면 후에 정기적으로 다시 장력을 조절할 필요가 없어 동력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현장 작업자의 불필요한 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체인 등의 수명을 대폭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텐셔너는 실린더 방식을 채용하여 스프링의 반발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구동시 소음을 감소시키고 지속적인 진동이나 순간적이고 갑작스런 충격 등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 내에 스프링을 내장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대책을 가질 수 잇도록 하며, 모듈화된 디자인으로 병렬로 연결하여 다양한 부하 상태에 따라 변환이 용이한 것이다.
또한, 텐션 조정캡 또는 텐션 조정 볼트를 구비함으로써, 일정 범위내에서 텐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높은 긴장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는 실린더 로킹 볼트와 텐션 조정 볼트를 구비함으로써, 설비에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6)

  1. 베어링이 내장되어 벨트 또는 체인접촉시 회전하는 회전체를 포함한 헤드부;
    상기 헤드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U자형 지지암;
    설비에 고정되며, 스프링이 내장된 모듈 타입 하우징;
    상기 지지암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가 받는 하중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하운동되는 실린더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 정도를 일정범위 조절해주는 텐션조정캡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텐셔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헤드부의 지지암에 고정이 되고 상기 하우징에 끼워지며, 상기 헤드부와 실린더가 일체가 되어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부싱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텐셔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정캡은 상기 스프링의 탄성 정도를 조절해 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텐셔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고하중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의 반발 탄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를 임의로 로킹시켜주는 실린더 로킹볼트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텐셔너.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정캡에는 고하중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의 반발 탄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를 임의로 조정 및 로킹시켜주는 텐션조정볼트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텐셔너.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회전체는 평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텐셔너
KR20-2004-0007565U 2004-03-18 2004-03-18 자동 안전 텐셔너 KR200360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565U KR200360351Y1 (ko) 2004-03-18 2004-03-18 자동 안전 텐셔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565U KR200360351Y1 (ko) 2004-03-18 2004-03-18 자동 안전 텐셔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351Y1 true KR200360351Y1 (ko) 2004-08-30

Family

ID=4943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565U KR200360351Y1 (ko) 2004-03-18 2004-03-18 자동 안전 텐셔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3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453B1 (ko) * 2007-01-05 2007-11-26 강계석 헤어라인 연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453B1 (ko) * 2007-01-05 2007-11-26 강계석 헤어라인 연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92776A1 (en) Belt tensioning assembly
CA1158072A (en) Belt tensioner
CA1231259A (en) Belt tensioner
US7901309B2 (en) Tensioner for a timing chain
CA2490445C (en) Bar knob with cam-operated locking mechanism
US5111912A (en) Spring-loaded drive assembly for a wheelchair lift
CN101517267B (zh) 带有摩擦阻尼的旋转式单向离合器链条张紧器
US4416648A (en) Belt tensioner
US6176071B1 (en) Tensioning idler assembly for mower deck belt drive
KR20110079635A (ko) 지속 가능한 댐핑 기능을 갖는 콤팩트 텐셔너
US20060086685A1 (en) Arrangement related to a swing damper
US6743131B1 (en) Single strap floating belt tensioner
KR200360351Y1 (ko) 자동 안전 텐셔너
US6312352B1 (en) Synchronous belt drive tensioning assembly
US2690678A (en) Wedge drive chain
CN111734811B (zh) 一种传动稳定的链轮
JP3919216B2 (ja) 駆動アセンブリ
CN111120600A (zh) 一种可调节的链传动自动张紧装置
US4790049A (en) Rope locking device
KR20090119327A (ko) 체인 및 벨트의 자동 장력 조절장치
CN211599431U (zh) 一种双向可调式皮带张紧装置
CN109911774B (zh) 一种用于不同直径滑轮的钢绳防跳装置及其使用方法
CN201145011Y (zh) 多楔带传动张紧装置
KR200245469Y1 (ko) 벨트 교환 및 장력조정 장치
CN216642995U (zh) 涨紧结构及工程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