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119Y1 -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 - Google Patents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119Y1
KR200360119Y1 KR20-2004-0014161U KR20040014161U KR200360119Y1 KR 200360119 Y1 KR200360119 Y1 KR 200360119Y1 KR 20040014161 U KR20040014161 U KR 20040014161U KR 200360119 Y1 KR200360119 Y1 KR 200360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ble
power
connection terminal
conne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철
Original Assignee
김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철 filed Critical 김재철
Priority to KR20-2004-0014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1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및 이와 관련된 부가장치나, TV를 포함한 AV시스템 등 집적화된 전자전기장치의 전원연결을 개별적으로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장치의 후측 배선환경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플러그 소켓이 연설된 멀티 탭을 배제함에 따른 전기사용상의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전기기기 자체에 연결되거나 인위적으로 연결 접속되는 전원케이블(10)의 전선(12) 상에 상기 전기기기에 근접하는 편향위치에 별도의 전원케이블(10)을 연결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20)를 구성하여, 이러한 접속단자(20)를 갖는 전원케이블(10)을 각 접속단자(20)에 개별방식으로 연결 접속하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Power cable with electric connector}
본 고안은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및 이와 관련된 부가장치나, TV를 포함한 AV시스템 등 집적화된 전자전기장치의 전원연결을 개별적으로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장치의 후측 배선환경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플러그 소켓이 연설된 멀티 탭을 배제함에 따른 전기사용상의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전원을 필요로 하는 컴퓨터장치 즉, 컴퓨터 본체(1), 모니터(2), 스피커(3) 및 이와 관련된 부가장치인 프린터(4), 스캐너(5) 등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하나의 군으로 묶어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의 각 기기들은 전원연결을 위해 각 기기 자체에서 파생되거나 또는 접속단자에 의해 연결되어지는 전원케이블(10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전원케이블(100)을 전원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플러그 소켓(210)이 형성된 멀티 탭(200)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전원연결방식은 하나의 멀티 탭에 다수의 전원케이블을 연결하는 집적 연결방식이기 때문에 연결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통상 전원케이블의 길이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멀티 탭에 접속되지 못할 정도로 길이가 짧을 경우 별도의 연결 케이블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이러한 사항들로 인해 상기 기기들의 배치를 전원케이블의 길이에 맞춰서 해야 하기 때문에 원하는 배치가 이루어질 수 없었고, 무엇보다 무분별한 전원케이블의 연결에 의해 미관적으로 보기 좋지 않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컴퓨터 및 이와 관련된 부가장치나, TV를 포함한 AV시스템 등 집적화된 전자전기장치의 전원연결을 개별적으로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장치의 후측 배선환경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플러그 소켓이 연설된 멀티 탭을 배제함에 따른 전기사용상의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의 멀티탭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배선상태를 도시한 평면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케이블을 이용한 전원배선상태를 도시한 평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원케이블, 12: 전선,
14: 플러그 소켓, 16: 플러그,
20: 접속단자, 30: 콘센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전기기기 자체에 연결되거나 인위적으로 연결 접속되는 전원케이블의 전선 상에 상기 전기기기에 근접하는 편향위치에 별도의 전원케이블을 연결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이러한 접속단자를 갖는 전원케이블을 각 접속단자에 개별방식으로 연결 접속하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케이블을 이용한 전원배선상태를 도시한 평면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전기기기에 연결 접속할 수 있도록 플러그 소켓(14)이, 타단에 전원을 공급을 위한 콘센트에 연결 접속할 수 있도록 플러그(16)를 갖는 전원케이블(10)의 전선(12) 상에 상기 컴퓨터 본체(1)나 모니터(2), 스피커(3), 프린터(4), 스캐너(5) 등 전기기기에 근접하는 편향위치에 별도의 전원케이블(10)을 연결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20)를 구성한다.
상기 접속단자(20)는 전원케이블(10)의 플러그(16)가 연결 접속되는 플러그 소켓을 의미하며,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30)에 연결 접속되는 최초의 전원케이블(10)의 접속단자(20)로부터 다수의 전기기기로부터 연결되는 상기 전원케이블(10)의 각 접속단자(20)에 개별적으로 연결 접속되는 연결 배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도 3 및 도 4 에서는 전선의 양측에 플러그와 플러그 소켓이 구비된 전원케이블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 전기기기 자체에 연결되어 일측만 플러그를 갖는 전원케이블에도 물론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실시되는 전기기기는 컴퓨터 및 이의 부가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 하나의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TV를 포함한 AV시스템장치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케이블(10)의 설치는 종래의 그것에 비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다.
컴퓨터 및 이에 부가되는 장치의 설치를 예로 들면, 종래에는 별도의 멀티 탭을 콘센트에 연결한 상태에서, 컴퓨터 본체(1), 모니터(2), 스피커(3), 프린터(4), 스캐너(5) 등에 전원케이블(100)을 연결한 다음 각 전원케이블(100)의 플러그를 하나씩 상기 멀티 탭(200)의 플러그 소켓(210)에 꽂아야 하기 때문에 설치하기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원케이블 선길이의 한계에 의해 열거한 전기기기의 자유로운 배치가 어려운 반면, 본 고안의 전원케이블(10)의 설치는 콘센트(30)와 최초 전기기기 간을 연결 접속하는 최초의 전원케이블(10)을 설치하고, 이 후 다음 전기기기의 전원케이블(10)의 플러그(16)를 최초 전원케이블(10)의 플러그 소켓(14)에 연결 접속하며, 그 다음 전기기기의 전원케이블(10)의 플러그(16)를 두 번째 전원케이블(10)에 연결 접속하는 등 개별적인 연결 접속관계를 통해 종래의 멀티 탭 없이 기기의 접속과 전원연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원케이블 상에 또 다른 전원케이블 연결을 위한 플러그 소켓을 형성함으로써, 전기기기의 대수에 상관없이 연결 접속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종래의 멀티 탭이 필요 없게 되며, 접속방식이 집적방식이 아니라 개별방식이기 때문에 전원연결에 따른 안정성이 뛰어나며, 또한 전원연결에 따른 배선환경이 종래에 비해 현격히 개선되어 미관상에서도 개선점이 있는 간단하면서도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전기기기 자체에 연결되거나 인위적으로 연결 접속되는 전원케이블(10)의 전선(12) 상에 상기 전기기기에 근접하는 편향위치에 별도의 전원케이블(10)을 연결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20)를 구성하여, 이러한 접속단자(20)를 갖는 전원케이블(10)을 각 접속단자(20)에 개별방식으로 연결 접속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
KR20-2004-0014161U 2004-05-21 2004-05-21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 KR200360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161U KR200360119Y1 (ko) 2004-05-21 2004-05-21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161U KR200360119Y1 (ko) 2004-05-21 2004-05-21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119Y1 true KR200360119Y1 (ko) 2004-08-31

Family

ID=4934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161U KR200360119Y1 (ko) 2004-05-21 2004-05-21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1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1294B2 (en) Universal wire harness for detectors
CN102117987B (zh) 连接器组件
KR200360119Y1 (ko)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
JP4062741B2 (ja) 端子変換ユニット
US20180375672A1 (en) Power of ethernet power and data splitting systems and methods
US11888255B2 (en) Single pair ethernet connector
US11411331B2 (en) Hybrid type wire-to-wire connector structure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same
CN201656096U (zh) 连接器组件
JP2005536859A (ja) プラグ・コネクター
JP2005038737A (ja) 天井照明用配線接続構造及び配線接続方法
US20170013102A1 (en) Multi ended telecom test adapter
US20040175965A1 (en) Integrated device electronics connector
JP2000035838A (ja) パワ―分配用バスとその製造方法
KR200282469Y1 (ko) 전원 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CN107526421B (zh) 一种双压接电源线缆供电系统
KR20040019229A (ko) 모니터의 전원코드
KR200458686Y1 (ko) 케이블 시스템 장치
JP2001167836A (ja) 信号伝送システム
KR200282483Y1 (ko) 다중 전원 분배용 커넥터
KR200292492Y1 (ko) 전화기 연결단자가 구비된 어댑터
KR200189831Y1 (ko) 인터넷 멀티탭
JP2009266471A (ja) テーブルタップ
JP2005129375A (ja) 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該ハーネスを用いた電気機器
US20170187148A1 (en) Independently powered usb connector
JP3380070B2 (ja) 接続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