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422Y1 - 구강세정기 - Google Patents

구강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422Y1
KR200359422Y1 KR20-2004-0013435U KR20040013435U KR200359422Y1 KR 200359422 Y1 KR200359422 Y1 KR 200359422Y1 KR 20040013435 U KR20040013435 U KR 20040013435U KR 200359422 Y1 KR200359422 Y1 KR 200359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ter tank
dispenser
control unit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판
Original Assignee
정규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판 filed Critical 정규판
Priority to KR20-2004-0013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4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3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using pressurised tap-water, e.g. rin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connected to the main wat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소 등에 구애받지 않고 따뜻한 세정수로 치아를 간편하면서도 편안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된 구강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박스 형태의 본체(15)와, 그 내부에 세정수가 채워지도록 된 수조(33)와, 상기 본체(15)의 외측에서 관로(3)를 매개로 상기 수조(33)에 연결되며 그 선단부에는 노즐(48)이 구비된 노즐건(55)과, 상기 수조(33)와 노즐건(55) 사이에 연결되어 수조(33)에 채워진 세정수를 상기 노즐(48)을 통해 소정 압력으로 토출시키도록 된 펌핑수단(35)과, 상기 수조(33)의 둘레부 또는 수조(33)에 연결된 관로(3)에 구비되어 상기 수조(33)에 채워진 세정수를 가열하도록 된 히팅수단(38)과, 이 히팅수단(38)과 펌핑수단(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히팅수단(38)의 가열 온도와 펌핑수단(35)의 펌핑압력을 조절하도록 된 컨트롤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구강세정기{a mouth cleaning apparatus}
본 고안은 구강세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소 등에 관계없이 따뜻한 세정수로 치아를 세정할 수 있도록 된 구강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점이나 레스토랑과 같은 대중 음식점에서 식사를 마친 다음, 이쑤시게를 사용하여 이빨 사이에 끼인 음식찌꺼기를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이쑤시게를 사용하면, 이빨 사이가 더 벌어지게 되므로, 음식물 찌꺼기가 그만큼 더 잘 끼이게 되며, 치아가 약해져 치아 건강을 해치게 될 뿐만 아니라, 위생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 노즐을 통해 소정 압력으로 토출되는 세정수에 의해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할 수 있는 구강세정기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강세정기는 차가운 세정수를 토출하여 세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시 치아가 시리게되므로, 사용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따뜻한 물로 치아를 세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따뜻한 물로 교환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특히, 대중 음식점 등의 공공 장소에서 따뜻한 물로 교환하는 것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공공 장소에서 따뜻한 물로 치아를 세정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소 등에 관계없이 따뜻한 세정수로 치아를 세정할 수 있도록 된 구강세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본체 33. 수조
35. 펌핑수단 38. 히팅수단
45. 노즐디스펜서 55. 노즐건
60. 컨트롤부
본 고안에 따르면, 박스 형태의 본체(15)와, 그 내부에 세정수가 채워지도록 된 수조(33)와, 이 수조(33)에 관로(3)를 통해 연결되며 그 선단부에는 노즐(48)이 구비된 노즐건(55)과, 상기 수조(33)와 노즐건(55) 사이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상기 노즐(48)을 통해 토출하도록 펌핑하는 펌핑수단(35)과, 상기 수조(33)의 둘레부 또는 수조(33)에 연결된 관로(3)상에 구비되어 세정수를 가열하도록 된 히팅수단(38)과, 이 히팅수단(38)과 펌핑수단(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히팅수단(38)의 가열 온도와 펌핑수단(35)의 펌핑압력을 조절하도록 된 컨트롤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조(33)에는 첨가제 디스펜서(65)가 연결되고, 상기 첨가제 디스펜서(65)에는 상기 컨트롤부(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부(60)에 의해 첨가제 디스펜서(65)를 작동시켜 세정수에 첨가제를 혼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5)의 내부에는 코인투입기(70)와 노즐디스펜서(45)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5)의 둘레부에는 상기 노즐디스펜서(45)의 배출구와 인접되도록 된 노즐출구(17)가 구비되고, 상기 코인투입기(70)와 노즐디스펜서(45)에는 상기 컨트롤부(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노즐건(55)은 그 선단부에 노즐(48)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코인투입기(70)로 코인이 투입되면, 상기 컨트롤부(60)의 명령에 의해 노즐디스펜서(45)에 적재된 노즐(48)이 상기 본체(15)의 노즐출구(17)로 배출되어, 상기 노즐(48)을 노즐건(55)의 선단부에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을 화장실 세면대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박스 형태의 본체(15)와, 내부에 세정수가 채워지는 수조(33)와, 이 수조(33)에 연결된 노즐건(55)과, 이 노즐건(55)과 수조(33) 사이에 연결된 펌핑수단(35)과, 상기 수조(33)의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팅수단(38)과, 상기 펌핑수단(35)과 히팅수단(38)에 연결된 컨트롤부(6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5)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상면에는 세정수주입구(1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5)의 세정수주입구(18)에는 메인수조(33)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수조(33)에는 관로(3)를 통해 보조수조(37)가 연결된다.
상기 수조(33)는 상기 본체(15)의 세정수주입구(18)에 연결된 메인수조(36)와, 이 메인수조(36)와 관로(3)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본체(15)에 내장된 보조수조(37)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인수조(36)와 보조수조(37)를 연결하는 관로(3)에는 밸브(7a)가 설치되고, 이 밸브(7a)는 후술할 컨트롤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보조수조(37)에는 치아나 구강을 1회 세정할 수 있는 량의 온수가 채워지는데, 상기 보조수조(37)의 온수를 사용하면, 상기 컨트롤부(60)에 의해 메인수조(36)와 보조수조(37) 사이의 밸브(7a)가 개방되면서 상기 보조수조(37)에 세정수가 보충되며, 이렇게 보충된 세정수는 후술할 히팅수단(38)에 의해 따뜻하게 가열된다.
상기 노즐건(55)은 본체(15)의 외측에서 관로(3)를 통해 상기 보조수조(37)에 연결된 것으로, 그 선단부에는 노즐(48)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노즐건(55)의 선단부는 노즐(48)을 원터칙식으로 결합하거나 나사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펌핑수단(35)은 상기 보조수조(37)와 노즐건(55) 사이에 관로(3)를 통해 연결된 것으로, 압력펌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펌핑수단(35)은 상기 컨트롤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펌핑수단(35)과 노즐건(55)을 연결하는 관로(3)에는 밸브(7b)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7b)는 상기 컨트롤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히팅수단(38)은 상기 메인수조(36)와 보조수조(37)를 연결하는 관로(3)에 설치된 것으로, 전기히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수조(36)에서 보조수조(37)로 공급되는 세정수가 상기 히팅수단(38)을 거치면서 가열되어, 상기 보조수조(37)에 약 10°C 정도의 따뜻한 세정수가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히팅수단(38)의 보조수조(36)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부(60)는 상기 히팅수단(38)과 펌핑수단(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상기 히팅수단(38)의 가열 온도와 펌핑수단(35)의 펌핑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부(60)는 상기 보조수조(37)에 채워진 세정수의 온도가 치아를 세정하기 위한 바람직한 온도인 10°C 정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60)에 연결된 컨트롤패널(61)은 상기 본체(15)의 외측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널(61)에는 ON 스위치(62a)와 가동램프(62a) 및 압력조절버튼(6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60)는 상기 메인수조(36)와 보조수조(37) 사이의 관로(3)에 설치된 밸브(7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부(60)의 명령에 의해 상기 밸브(7a)가 개방되면서 상기 메인수조(36)에 채워진 세정수가 보조수조(37)로 공급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노즐건(55) 선단부의 노즐(48)을 치아에 근접시키고 상기 컨트롤패널(61)의 ON스위치(62a)를 누르면, 상기 컨트롤부(60)의 명령에 의해 펌핑수단(35)이 작동함과 더불어 상기 보조수조(37)와 노즐건(55) 사이의 밸브(7b)가 개방되면서 소정 압력의 세정수가 상기 노즐(48)을 통해 토출되기 때문에, 치아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나 구강 내의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여 세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팅수단(38)에 의해 약 10°C 정도로 가열된 따뜻한 세정수가 상기 노즐(48)을 통하여 토출되기 때문에, 찬물에 의해 치아가 시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거부감 없이 편안하게 치아를 세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대중 음식점이나 레스토랑과 같은 공공 장소에서 언제든지 따뜻한 세정수로 치아를 세정할 수 있으므로, 장소 등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면서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패널(61)의 압력조절버튼(63)에 의해 세정수의 토출 압력을 원하는 데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수조(37)에 채워진 세정수를 사용하면, 상기 컨트롤부(60)에 의해 메인수조(36)로부터 보조수조(37)로 세정수가 재 공급되며, 이렇게 공급된 세정수는 상기 히팅수단(38)에 의해 약 10°C 정도로 가열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공 화장실의 세면대(1) 등에 적어도 두 셋트 이상 설치되어 사용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첨가제 디스펜서(65)와 코인투입기(70) 및 노즐디스펜서(45)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본체(15)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노즐디스펜서(45)의 배출구와 인접되도록 노즐출구(17)가 구비된다.
상기 첨가제 디스펜서(65)는 본체(15)에 내장되어 관로(3)를 통해 상기 보조수조(37)에 연결된다. 부호 7c는 첨가제 디스펜서(65)와 보조수조(37) 사이의 관로(3)에 설치된 밸브(7c)이고, 이 밸브(7c)는 상기 컨트롤부(60)에 전기적으로연결된다. 상기 첨가제 디스펜서(65)에는 박하, 가그린, 식염수 등의 첨가제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 코인투입기(70)는 본체(15)의 상측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컨트롤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노즐디스펜서(45)는 길다란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하측 배출구가 상기 본체(15)의 노즐출구(17)에 인접된다. 이러한 노즐디스펜서(45)에는 다수개의 노즐(48)이 적재되는 것으로, 상기 노즐디스펜서(45)의 하측 배출구는 하측 배출구에는 판형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고, 이 판형밸브는 상기 컨트롤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부호 85는 그 하단의 배출구가 상기 본체(15)의 노즐출구(17)에 인접되는 컵디스펜서(85)이다. 상기 컵디스펜서(85)에는 다수개의 컵(4)이 적재되고, 상기 컵디스펜서(85)의 하단 배출구에는 판형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며, 상기 컵디스펜서(85)의 판형밸브는 상기 컨트롤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도 3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코인투입기(70)를 통해 코인을 투입하면, 상기 컨트롤부(60)의 명령에 의해 컵디스펜서(85)의 판형밸브가 개방되면서 상기 본체(15)의 노즐출구(17)로 컵(4)이 먼저 배출된 다음, 상기 노즐디스펜서(45)의 판형밸브가 개방되면서 상기 컵(4)의 내부로 노즐(48)이 하나씩 배출되어 수용된다. 이어서, 상기 노즐(48)을 노즐건(55)의 선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컨트롤패널(61)의 ON 스위치(62a)를 누르면, 상기 보조수조(37)와 노즐건(55) 사이의 밸브(7b)가 개방되면서 상기 노즐(48)을 통해 세정수가 소정 압력으로 토출되어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찌꺼기 또는 구강 내의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노즐(48)을 담았던 컵(4)에 물을 받아서 마무리로 세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 디스펜서(65)에 채워진 박하, 가그린 등의 첨가제를 상기 보조수조(33)에 공급하여 혼합함으로써, 치아의 세정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본체(15)의 일측에 케이스(75)가 별도로 구비되고, 이 케이스(75)의 내부에는 자외선램프(80)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75)에 노즐건(55)을 수용하여 상기 자외선램프(80)에 의해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히팅수단에 의해 약 10°C 정도로 가열된 따뜻한 세정수로 치아를 세정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따뜻한 물로 치아를 세정하기 위해 찬물을 따뜻한 물로 교체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대중 음식점이나 레스토랑과 같이 따뜻한 물이 준비된 않은 공공 장소라 할지라도 언제든지 따뜻한 세정수로 치아나 구강을 세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장소 등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면서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박스 형태의 본체(15)와, 그 내부에 세정수가 채워지도록 된 수조(33)와, 이 수조(33)에 관로(3)를 통해 연결되며 그 선단부에는 노즐(48)이 구비된 노즐건(55)과, 상기 수조(33)와 노즐건(55) 사이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상기 노즐(48)을 통해 토출하도록 펌핑하는 펌핑수단(35)과, 상기 수조(33)의 둘레부 또는 수조(33)에 연결된 관로(3)상에 구비되어 세정수를 가열하도록 된 히팅수단(38)과, 이 히팅수단(38)과 펌핑수단(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히팅수단(38)의 가열 온도와 펌핑수단(35)의 펌핑압력을 조절하도록 된 컨트롤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33)에는 첨가제 디스펜서(65)가 연결되고, 상기 첨가제 디스펜서(65)에는 상기 컨트롤부(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부(60)에 의해 첨가제 디스펜서(65)를 작동시켜 세정수에 첨가제를 혼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5)의 내부에는 코인투입기(70)와 노즐디스펜서(45)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5)의 둘레부에는 상기노즐디스펜서(45)의 배출구와 인접되도록 된 노즐출구(17)가 구비되고, 상기 코인투입기(70)와 노즐디스펜서(45)에는 상기 컨트롤부(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노즐건(55)은 그 선단부에 노즐(48)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코인투입기(70)로 코인이 투입되면, 상기 컨트롤부(60)의 명령에 의해 노즐디스펜서(45)에 적재된 노즐(48)이 상기 본체(15)의 노즐출구(17)로 배출되어, 상기 노즐(48)을 노즐건(55)의 선단부에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기.
KR20-2004-0013435U 2004-05-14 2004-05-14 구강세정기 KR200359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435U KR200359422Y1 (ko) 2004-05-14 2004-05-14 구강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435U KR200359422Y1 (ko) 2004-05-14 2004-05-14 구강세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422Y1 true KR200359422Y1 (ko) 2004-08-21

Family

ID=4934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435U KR200359422Y1 (ko) 2004-05-14 2004-05-14 구강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4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257B1 (ko) 2010-01-13 2012-07-03 소대화 치아 및 구강 세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257B1 (ko) 2010-01-13 2012-07-03 소대화 치아 및 구강 세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1423B2 (en) Multi-use portable hand held hygienic device
JP2004526545A (ja) 歯科衛生用装置
KR20190116278A (ko)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4075467B2 (ja) 局部洗浄装置
WO2012001980A1 (ja) 衛生洗浄装置
JP6983441B2 (ja) 排泄物処理装置の洗浄及び消毒方法、並びにこれを利用する排泄物処理装置
KR200359422Y1 (ko) 구강세정기
JP2008240403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CN107073198B (zh) 大肠清洗器
US7055185B1 (en) Antiseptic bidet in combination with a hygiene safety guard
KR0134468Y1 (ko) 세면대의 보조 세척장치
US20050159713A1 (en) Portable and self-contained lavage apparatus
KR20100005243U (ko) 자가 세정형 노즐 소독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KR20050022844A (ko) 세정기능을 갖는 물 분사 칫솔
CN2439477Y (zh) 喷泉洁身器
KR101688697B1 (ko) 마사지 겸용 수동식 비데 장치
KR200384101Y1 (ko) 물청소용 밀대솔
CN204863527U (zh) 洗牙器
KR200364804Y1 (ko) 구강용 세척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JP2004270184A (ja) 衛生洗浄装置
JP2004116151A (ja) 衛生洗浄装置
KR200334836Y1 (ko) 세정기능을 갖는 물 분사 칫솔
KR20120017862A (ko) 치아 및 구강 세척기가 구비된 비데
KR200283020Y1 (ko) 치아 세정기
CN2425963Y (zh) 活动式便后洗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