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791Y1 -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791Y1
KR200358791Y1 KR20-2004-0014957U KR20040014957U KR200358791Y1 KR 200358791 Y1 KR200358791 Y1 KR 200358791Y1 KR 20040014957 U KR20040014957 U KR 20040014957U KR 200358791 Y1 KR200358791 Y1 KR 200358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horizontal
construction
height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진
박정호
이용호
Original Assignee
박정진
박정호
이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진, 박정호, 이용호 filed Critical 박정진
Priority to KR20-2004-0014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7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04G1/06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comprising members with rod-like or tubular portions fitting together end to end, with or without separate connecting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은 한번의 지지재 설치로 슬래브거푸집 및 보거푸집 지지가 동시에 이루어지며, 시공위치에 따라 가변하는 보높이에도 손쉽게 대응할 수 있어 시공성이 뛰어나고, 여러 방향으로 거푸집 지지가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콘크리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고안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은 건설구조물 시공 시 거푸집을 지탱하는 수직, 수평, 및 경사지지재로 이루어지는 동바리 시스템에서, 상기 수직지지재의 상단에 외측끼움되어 높이조절되며 수직지지재와 결합되는 중공부재로, 전후좌우 4측면에 고정브라켓이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장착되어 있는 수직받침재; 상기 수직받침재의 고정브라켓에 체결되어 슬래브 및 보의 경계위치에 설치되는 일정높이의 수평부재로, 상기 수평부재는 일측면에 시공하고자 하는 보 높이와 대응 가능한 높이에 고정브라켓이 장착되어 있고, 타측면의 일정높이에 연결용 고정브라켓이 장착되어 있는 수평받침재; 및 상기 수평받침재의 일측면에 장착된 고정브라켓에 체결되어 보거푸집을 지탱하는 보수평받침재;를 특징적인 구성으로 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Timbering system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이나 토목의 구조물 공사 시 한번의 거푸집 받침용 동바리 설치로 슬래브거푸집 및 보거푸집을 동시에 지탱할 수 있으며, 시공위치에 따라 가변하는 보높이에도 손쉽게 대응할 수 있어 시공성이 뛰어나고, 기존의 4방향으로만 수평지지재 설치가 가능했던 동바리 시스템과는 달리 여러 방향으로 수평지지재 설치가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콘크리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고, 수평지지재의 상부에 설치되던 합판 취부용 멍에 및 장선 각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이나 토목의 구조물 공사 시 슬래브 및 보거푸집의 받침용 지지재(동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수직지지재와 수평지지재를 연결함으로써,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을 연직방향으로 지지하여 주고, 콘크리트를 양생 시 콘크리트의 처짐이나 균열을 방지하여 안전한 구조의 건축물이 시공되게 하여 시공상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상기 수직지지재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지지재 상부에 작업발판 등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여 시공자의 작업을 수월하게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종래의 거푸집 받침용 지지재(동바리)는 슬래브 및 보거푸집의 지탱 시 슬래브거푸집 지탱을 위한 지지재와 보거푸집 지탱을 위한 지지재 설치가 각각 따로 따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슬래브거푸집 및 보거푸집 지지를 위한 수직지지재 및 수평지지재의 조립 및 해체가 시공부위별로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지지재 설치작업이 번거로우며 보다 많은 지지재 자재와 작업시간 및 작업인력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거푸집 받침용 지지재(동바리)는 보거푸집 지탱을 위한 지지재 설치 시 시공위치별로 달라지는 가변적인 보의 높이에 유의하여 보거푸집 지지를 위한 지지재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함으로 거푸집 받침용 지지대(동바리) 설치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거푸집 받침용 지지재(동바리)는 전후좌우 4방향으로만 거푸집 지탱을 위한 지지재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12㎜의 슬래브거푸집용 합판을 사용할 경우 거푸집 지지재의 간격은 300㎜내외이어야 콘크리트의 처짐 및 균열을 가장 이상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데, 4방향으로만 거푸집 받침이 가능한 종래의 거푸집 받침용 지지재는 콘크리트의 처짐 및 균열을 방지하는데는 그 한계가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콘크리트 처짐을 방지하게 위해서는 별도의 장선 및 멍에를 설치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은 한번의 지지재 설치로 슬래브 및 보거푸집 지지가 동시에 이루어지며, 시공위치별로 달라지는 가변적인 보의 높이에도 손쉽게 대응할 수 있어 시공성이 뛰어나고, 지지재 설치공정이 단축되고 수평지지재의 상부에 설치되던 합판취부용 멍에 및 장선 각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은 기존의 전후좌우 4방향으로만 설치가 가능했던 거푸집 받침용 지지재와는 달리 여러 방향으로 지지재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며, 12㎜의 슬래브거푸집용 합판을 사용할 경우에도 거푸집 지지재의 간격이 300㎜ 이내로 되어 콘크리트의 처짐 및 균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구조의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동바리 시스템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직받침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직받침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평받침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정면도(c)이다.
도 3b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평받침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정면도(c)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슬래브수평받침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정면도(c)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평연결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정면도(c)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보수평받침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평연결재 및 보수평받침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정면도(c)이다.
도 7b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평연결재 및 보수평받침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A-A' 단면도(c)이다.
도 7c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평연결재 및 보수평받침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B-B' 단면도(c)이다.
도 7d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평연결재 및 보수평받침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C-C' 단면도(c)이다.
도 8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고정브라켓의 한방향체결핀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고정브라켓의 양방향체결핀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고정브라켓을 이용하여 수직재, 수평재, 및 경사재가 체결되는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체결이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b의 'A'를 도시한 부분측면도이다.(보 높이 300㎜인 경우)
도 11은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측면도이다.(보 높이 700㎜인 경우)
도 12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b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측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의 'B'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b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측면도이다.(보 높이 700㎜인 경우)
도 14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b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10b :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100, 100a : 수직받침재 104 :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
105 : 고정공(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
106 :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
110, 110a : 수평받침재 120 : 슬래브수평받침재
130, 130a, 130b, 130c : 보수평받침재
140, 140a, 140b, 140c : 수평연결재
150 : PC강선 150a : 보강판
150b : 보강볼트 160 : 성형목
200 : 고정브라켓 210 : 몸체부(고정브라켓)
211 : 관통공(몸체부) 220 : 체결핀
220a : 한방향체결핀 220b : 양방향체결핀
221 : 단면감소부(체결핀) 222 : 고정부(체결핀)
300 :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 300a : 걸림부(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
301 : 하부 다방향연결브라켓 301a : 체결부(하부 다방향연결브라켓)
310 : 상부 수평지지재 320 : 상부 경사지지재
400 : 이동부재 410 : 고정볼트(이동부재)
420 : 고정부(이동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은 건설구조물 시공 시 거푸집을 지탱하는 수직, 수평, 및 경사지지재로 이루어지는 동바리 시스템에서, 상기 수직지지재의 상단에 외측끼움되어 높이조절되며 수직지지재와 결합되는 중공부재로, 전후좌우 4측면에 고정브라켓이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장착되어 있는 수직받침재; 상기 수직받침재의 고정브라켓에 체결되어 슬래브 및 보의 경계위치에 설치되는 일정높이의 수평부재로, 상기 수평부재는 일측면에 시공하고자 하는 보 높이와 대응 가능한 높이에 고정브라켓이 장착되어 있고, 타측면의 일정높이에 연결용 고정브라켓이 장착되어 있는 수평받침재; 및 상기 수평받침재의 일측면에 장착된 고정브라켓에 체결되어 보거푸집을 지탱하는 보수평받침재;를 포함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때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은 상기 수평받침재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수직받침재의 고정브라켓에 체결되어 슬래브거푸집을 지탱하는 수평부재로, 상기 수평부재는 좌우 양측면에 수평받침재의 타측면에 장착된 고정브라켓의 형성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고정브라켓이 장착되어 있는 슬래브수평받침재; 및 상기 수평받침재의 타측면 고정브라켓 및 슬래브수평받침재의 고정브라켓에 체결되어 수평받침재와 슬래브수평받침재 상호간을 연결하는 수평연결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은 수직받침재, 수평받침재, 슬래브수평받침재, 보수평받침재, 및 수평연결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거푸집 받침용 동바리를 설치함으로써, 한번의 지지재 설치로 슬래브 및 보거푸집을 동시에 지탱할 수 있어 지지재 설치공정이 단축되고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이 절약되며, 시공위치에 따른 가변적인 보높이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어 시공성이 높고, 기존의 전후좌우 4방향으로만 설치가 가능했던 거푸집 받침용 지지재와는 달리 여러 방향으로 거푸집 지탱을 위한 지지재 설치가 가능하여 12㎜의 슬래브거푸집용 합판을 사용할 경우도 거푸집 지지재 간격이 300㎜ 이내로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처짐 및 균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안전한 구조의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되는 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보호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사항들 이외에 본 고안이 가지는 또 다른 기술적 특징들 및 장점들은 후술하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에게 더욱 확실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지지재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사용되는 수직받침재(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사용되는 수직받침재(100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사용되는 수평받침재(1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정면도(c)이며, 도 3b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사용되는 수평받침재(110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정면도(c)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사용되는 슬래브수평받침재(1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정면도(c)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사용되는 수평연결재(14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정면도(c)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사용되는 보수평받침재(13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사용되는 수평연결재(140a) 및 보수평받침재(130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정면도(c)이며, 도 7b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사용되는 수평연결재(140b) 및 보수평받침재(130b)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A-A' 단면도(c)이며, 도 7c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사용되는 수평연결재(140c) 및 보수평받침재(130c)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B-B' 단면도(c)이며, 도 7d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사용되는 수평연결재(140d) 및 보수평받침재(130d)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a), 측면도(b), 및 C-C' 단면도(c)이고, 도 8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사용되는 고정브라켓(200)의 한방향체결핀(220a)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b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사용되는 고정브라켓(200)의 양방향체결핀(220b)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고정브라켓(200)을 이용하여 수직재(1), 수평재(2), 및 경사재(3)가 체결되는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체결이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10c는 도 10b의 'A'를 도시한 부분측면도이고(보 높이 300㎜인 경우), 도 11은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측면도이고(보 높이 700㎜인 경우), 도 12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a)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b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b)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측면도이며, 도 12c는 도 12a의 'B'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13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b)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b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b)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측면도이고(보 높이 700㎜인 경우), 도 14a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사용되는 이동부재(400)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4b는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사용되는 이동부재(400)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상기 수직받침재(100, 100a)는 바닥슬래브에서부터 일정높이를 가지도록 상호연결되며 적층되는 수직지지재(1)의 상단에 외측끼움되어 높이조절되며 상기 수직지지재(1)와 결합되는 중공부재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좌우 4측면에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수직받침재(100, 100a)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200)은 후술되는 일정높이의 수평받침재(110, 110a)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브라켓(200)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받침재(100, 100a)는 시공위치별로 가변하는 보높이에 대응하고자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수직받침재(100)가 제작될 때에는 도 10c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되는 보 높이에 따라 수평받침재(110)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가 수직받침재(100)의 고정브라켓(20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수평받침재(110)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의 높이로 상호이격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200) 다수개가 보 높이 변화에 대응가능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설치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수직받침재(100a)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공(105)이 형성되어 있는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와 상기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의 하방에 위치되는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의 고정공(105)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단 일부분에 로그표 값에 의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재(1)의 체결공과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는 수직받침재(100a)의 최상단부를 구성하며, 시공 시 규격화된 수직지지재(1)를 시공함으로써 시공상황별로 다르게 발생하는 층고높이와 수직지지재(1) 설치높이와의 미세한 오차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200)은 수평받침재(110a)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의 높이에 상관없이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의 상단에 장착되고,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5)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수평받침재(110a)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와 결합되어야 함으로 수평받침재(110a)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의 높이를 고려하여 상단 및 하단에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수직받침재(100a)가 외측끼움되는 수직지지재(1)는 상단 일부분에 상기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의 고정공(105)과 대칭되도록 로그표 값 간격으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와수직지지재(1)는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의 고정공(105)과 수직지지재(1)의 체결공을 함께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막대나 고정핀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결합된다.
또한 이때 전술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재(1)의 상부 일부분의 체결공 간격을 결정하는 로그표 값이란 0.01의 간격을 둔 1에서 9.99까지의 상용로그의 값을 소수점 아래 4자리까지 구한 것을 말한다.
또 상기 수직받침재(100a)는 수직받침재(100)에 장착된 다수개의 고정브라켓(200)만으로 가변적인 보높이에 대응하여야 하는 전술된 수직받침재(100)와는 달리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와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6)의 설치위치로 가변적인 보높이에 대응하게 됨으로 전술된 수직받침재(100)보다는 적은 수의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되어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받침재(100a)는 전술된 수직받침재(100)보다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며 제작비용이 절감된다.
추후 시공 시 상기 수직받침재(100, 100a)의 종류선택은 시공현장의 상황에 따라 택일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받침재(100, 100a)는 하단 일부분에 상기 수직지지재(1)의 체결공을 관통하는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장공형의 결합공(10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102)이 형성된 수직받침재(100, 100a)의 하단 외측면에는 암나사산(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받침재(100, 100a)의 하단에는 상기 암나사산(101)과 결합가능한 고정나사(103)가 외측끼움되어 있음으로, 추후 시공 시 상기 수직받침재(100, 100a)와수직지지재(1)와의 미세한 결합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전술된 바와 같이 고정막대 또는 고정핀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상기 수평받침재(110, 110a)는 도 10a, 도 12a, 및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받침재(100, 100a)의 고정브라켓(200)에 체결되어 슬래브 및 보의 경계위치에 설치되는 수평부재로, 일측면에는 시공하고자 하는 보 높이와 대응 가능한 높이에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되고, 타측면의 일정높이에 연결용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받침재(110, 110a)는 고정브라켓(200)의 장착 형태에 따라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받침재(110)는 시공위치별로 가변하는 보높이에 용이하게 대응하며 보수평받침재(130, 130a, 130b, 130c, 130d)가 체결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최소 보높이부터 최대 보높이까지 만족할 수 있는 위치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되고, 타측면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받침재(110)와 슬래브수평받침재(120) 상호간을 연결하는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가 수평을 이루며 체결될 수 있게 적정높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평받침재(11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술된 수직받침재(10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0b, 도 10c, 도 11,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받침재(100)는 수평받침재(110)가 시공하고자 하는 보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게 다수개의 고정브라켓(200)이 설치되어 소정의 가변성을 보유하고는 있지만, 전체적인 높이가 규격화되어 있음으로 시공위치별로 가변되는 보 높이에 완벽히 능동적으로 대처하기에는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최소 보높이부터 최대 보높이까지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된 수평받침재(110)를 상기와 같은 수직받침재(100)에 체결하고, 상기 수평받침재(110)에 시공하고자 하는 보 높이에 맞게 보수평받침재((130, 130a, 130b, 130c, 130d)를 체결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수직받침재(100)의 시공상의 한계를 극복하며 보 높이에 따른 시공상의 제약없이 가변적인 보 높이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의 가변성 및 시공성을 극대화시킨다.
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받침재(110a)는 일측면에 시공하고자 하는 보 높이에 대응 가능한 높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수평받침재(110a)와 슬래브수평받침재(120) 상호간을 연결하는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가 수평을 이루며 체결될 수 있도록 적정높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평받침재(110a)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받침재(100a)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와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6)로 구성되는 상기 수직받침재(100a)는 시공위치별로 가변하는 보높이에 대응할 때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와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6)가 보높이에 대응 가능한 간격으로 상호이격되어 수직지지재(1)에 각각 외측끼움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수직받침재(100a)에 체결되는 수평받침재(110a)는 전술된 수평받침재(110)와는 달리 일측면에 최소 보높이부터 최대 보높이까지 만족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수평받침재(110)의 고정브라켓(200)보다는 적은 수의 고정브라켓(200)만이 장착되어 가변적인 보 높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평받침재(110a)는 전술된 수평받침재(110)보다는 경량으로 제작되며, 제작비용이 절감되어 보다 경제적이다.
전술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의 상기 수평받침재(110, 110a)는 시공위치별로 가변하는 보 높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한번의 지지재 설치로 동시에 슬래브 및 보거푸집을 지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지재 설치공정을 단축하며 작업시간 및 작업인력을 절약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킨다.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b)에서 상기 슬래브수평받침재(120)는 수평받침재(110, 110a)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수평부재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받침재(100, 100a)의 고정브라켓(200)에 체결되어 슬래브거푸집을 지탱한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슬래브수평받침재(120)는 좌우 양측면에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슬래브수평받침재(120)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200)은 상기 수평받침재(110, 110a)와 슬래브수평받침재(120) 사이를 상호연결하는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의 수평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받침재(110, 110a)의 타측면에 장착된 고정브라켓(200)과 동일한설치개수와 설치높이로 설치된다.
또 상기 슬래브수평받침재(12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수평받침재(110, 110a)와 함께 시공되는 보의 높이에 따라 수직받침재(100, 100a)에 체결되는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시공위치별로 가변되는 보의 높이에 손쉽게 대응하며 용이한 시공을 이루어지게 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b)에서 상기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는 상기 수평받침재(110, 110a)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의 고정브라켓(200)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받침재(110, 110a)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를 상호연결하며 슬래브거푸집을 지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안정된 구조의 동바리 시스템을 이루게 한다.
또 상기와 같은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는 도 5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나뉘어 제작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연결재(140)는 상기 수평받침재(110, 110a)의 타측면에 장착된 고정브라켓(200)과 슬래브수평받침재(120)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된 고정브라켓(200)에 체결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 수평부재로, 동일한 설치높이를 가지는 상기 수평받침재(110, 110a)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의 고정브라켓(200)에 체결됨으로써 용이하게 수평이 맞춰지며 설치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연결재(140a)는 하부 외측으로 PC강선(150)을 더 설치한 것으로, 상기 PC강선(150)의 양단을 상기 수평연결재(140a)에 고정시키고 PC강선(150)의 중앙을 수평연결재(140a)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하방을 향하게 벌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PC강선(150)이 아치형을 이루도록 하여 PC강선(150)에 인장력을 미리 가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오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평연결재(140a)는 전술된 수평연결재(140)보다 수평연결재(140a)의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한 처짐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더욱 더 안정된 구조의 건설구조물을 축조하게 한다.
또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연결재(140c, 140d)는 하부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보강볼트(150b)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보강판(150a)이 더 설치된 것으로, 전술된 PC강선(150)과 같이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한 처짐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부재의 뒤틀림을 배제시키며 더욱 더 안정된 구조의 건설구조물을 축조하게 한다. 이때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볼트(150b)는 일단이 상기 보강판(150a)을 관통하여 수평연결재(140c, 140d)의 내측면에 맞닿게 설치됨으로써 수평연결재(140c, 140d)가 상부 하중에 더욱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 도 7b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연결재(140b, 140c, 140d)는 상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성형목(160)을 덧씌우거나 또는 수평연결재(140b, 140c, 140d)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형목(160)은 기존에 수평부재 사용시 설치되던 장선목 및 멍에목의 사용을 불필요하게 하여 자재를 절감시키고, 시공공정을 단축시키며, 장선목 및 멍에목의 사용으로 인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평부재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추후 시공 시 상기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에서 PC강선(150) 및 보강판(150a)의 사용여부 및 성형목(160)의 사용여부는 제작 및 시공상황에 따라 택일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관이 사용될 수 도 있으며,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관이 사용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사항은 비단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전술된 수평받침재(110, 110a),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와 후술되는 보수평받침재(130, 130a, 130b, 130c, 130d), 상부 수평지지재(310)에도 해당된다. 또 이러한 관 형태에 따른 종류의 선택은 제작 및 시공상황에 따라 택일되어 시행되어도 무방하다.
도 10b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상기 보수평받침재(130, 130a, 130b, 130c, 130d)는 상기 수평받침재(110, 110a)의 일측면의 고정브라켓(200)에 체결되어 보거푸집을 지탱하는 수평부재로써, 시공되는 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수평받침재(110, 110a)에 체결되는 위치가 조절된다. 즉 상기 보수평받침재(130, 130a, 130b, 130c, 130d)가 도 10c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받침재(110)에 체결될 경우 상기 보수평받침재(130, 130a, 130b, 130c, 130d)는 수평받침재(110, 110a)의 일측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고정브라켓(200) 중에서 시공하고자 하는 보 높이에 맞는 고정브라켓(200)에 체결됨으로써 시공위치별로 가변하는 보높이에 손쉽게 대응하며 보거푸집을 지탱하게 된다. 또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받침재(110a)에 체결될 경우 상기 수평받침재(110a)는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와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6)의 설치위치로 보높이가 조절되는 수직받침재(100a)에 체결되고, 상기 보수평받침재(130, 130a, 130b, 130c, 130d)는 이러한 수평받침재(110a)에 체결됨으로써 자연스럽게 가변적인 보높이에 대응하게 되며 보거푸집을 지탱하게 된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보수평받침재(130a, 130b, 130c, 130d)는 전술된 수평연결재(140a, 140b, 140c, 140d)와 같이 하부 외측으로 PC강선(150) 또는 보강판(150a)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수평받침재(130a, 130b, 130c, 130d)는 콘크리트 타설 등으로 인한 상부 하중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콘크리트의 처짐을 극소화시키고 부재의 뒤틀림을 배제하여 안정된 구조의 건설구조물을 구축하게 한다.
또 상기 보수평받침재(130b, 130c, 130d)는 전술된 수평연결재(140b, 140c, 140d)와 같이 상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성형목(160)을 덧씌우거나 또는 보수평연결재(140b, 140c, 140d)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형목(160)은 기존에 수평부재 사용시 설치되던 장선목 및 멍에목의 사용을 불필요하게 하여 자재를 절감시키고, 시공공정을 단축시키며, 장선목 및 멍에목의 사용으로 인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평부재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추후 시공 시 상기 보수평받침재(130a, 130b, 130c, 130d)의 종류 선택 및 PC강선(150)이나 보강판(150a)의 사용여부, 성형목(160)의 사용여부 등은 제작 및 시공상황에 따라 택일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상기 수직지지재(1), 수평받침재(110, 110a), 보수평받침재(130, 130a, 130b, 130c, 130d), 슬래브수평받침재(120) 및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의 내부에는 강성보강용 리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강성보강용 리브는 상기 부재들의 상부에 허용하중보다 더 큰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크기가 큰 부재로의 교체없이 통상의 크기를 가지는 부재로 처짐 및 뒤틀림을 극소화하며 안정된 구조의 동바리 시스템을 구성하게 한다.
상기 부재들의 강성보강용 리브의 설치 여부는 시공현장 상황에 따라 택일되어도 무방하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상기 수직받침재(100, 100a), 수평받침재(110, 110a),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200)은 상면과 정면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양측면에 관통공(211)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210); 및 상기 몸체부(210)의 양측면의 관통공(211)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핀으로, 상기 몸체부(210) 내측에 위치되는 본체에는 단면감소부(221)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부(210) 외측에 위치되는 단부에는 결합 및 해체가 조절되도록 90도 회전되는 고정부(222)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핀(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브라켓(200)을 사용하여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받침재(100, 100a), 수평받침재(110, 110a), 슬래브수평받침재(120), 보수평받침재(130, 130a, 130b, 130c, 130d), 및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가 상호조립된 형태를 시공할 때에는 상기 수평받침재(110, 110a), 슬래브수평받침재(120), 보수평받침재(130, 130a, 130b, 130c, 130d), 및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의 단부가 고정브라켓(200) 몸체부(210)에 내측에 위치되어 고정브라켓(200)의 체결핀(220)의 단면감소부(221)에 걸림식으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수평받침재(110, 110a), 슬래브수평받침재(120), 보수평받침재(130, 130a, 130b, 130c, 130d), 및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의 단부는 고정브라켓(200)의 체결핀(220)의 단면감소부(221)에 걸림식 체결될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같은 고정브라켓(200)은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전술된 수직받침재(100), 수평받침재(110),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슬래브에서부터 일정높이를 가지도록 상호연결되며 적층되는 수직(1), 수평(2), 및 경사지지재(3)로 이루어지는 하부 조립체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브라켓(200)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재(1)에만 설치되고, 수평지지재(2)의 단부는 상기 수평받침재(110, 110a), 슬래브수평받침재(120), 보수평받침재(130, 130a, 130b, 130c, 130d), 및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의 단부와 같이 고정브라켓(200)의 몸체부(210) 내측에 위치되는 체결핀(220)의 단면감소부(221)에 걸림식 체결될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제작되며,체결핀(220)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경사지지재(3)의 단부는 상기 체결핀(22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작된다.
또 이때 상기 체결핀(220)은 경사지지재(3)의 배치형태에 따라 사용되는 체결핀(220)의 종류가 달라진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200)의 한 쪽 측면에서만 지지재가 체결될 때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단부에만 고정부가 형성된 한방향체결핀(220a)을 사용하고, 고정브라켓(200)의 양 쪽 측면에서 지지재가 체결될 때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 단부에 고정부가 형성된 양방향체결핀(220b)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체결핀(220)은 경사지지재(3)의 배치상태에 따른 시공의 제한없이 지지재들의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한다.
또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상기 수직지지재(1)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실린더형의 이동부재(400)의 전후좌우 4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재(400)는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된 좌우 측면 하단에 수직지지재(1)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볼트(410)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된 전후 측면에는 이동부재(400)의 내측을 향하여 일정부분 절곡되는 고정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동부재(400)는 수직지지재(1)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시공하고자 하는 높이에서 상기 고정볼트(410)로 수직지지재(1)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410)는 수직지지재(1)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것임으로 수직지지재(1)에 어떠한 손상도 가하지 않고 부재의 단면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이동부재(400)가 고정되게 한다.
또 상기 이동부재(4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하여 일정부분 절곡되는 고정부(420)가 형성되어 있어 고정볼트(410)와 더불어 상기 이동부재(400)가 수직지지재(1)에 견고하게 지지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부재(400)는 하부 조립체를 이루는 기존의 수직지지재(1)에 설치되어 전술된 수직받침재(100, 100a), 수평받침재(110, 110a), 보수평받침재(130, 130a, 130b, 130c, 130d), 슬래브수평받침재(120) 및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와 함께 범용성이 높은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을 구성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상기 수직받침재(100, 100a), 수평받침재(110, 110a),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은 전술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제작된 수평받침재(110, 110a), 슬래브수평받침재(120), 보수평받침재(130, 130a, 130b, 130c, 130d), 및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가 걸림식 체결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전술된 고정브라켓(200)과 같이 하부 조립체를 이루는 수직지지재(1)와 상기 이동부재(400)에도 설치 가능하다.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 10a, 10b)에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종류 선택은 시공상황에 따라 택일되어 시공되어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a)은 상기 수직받침재(100, 100a)의 상단에 외측끼움되는 원반형 브라켓으로, 상기 수직받침재(100, 100a)를 중심으로 360도 돌아가면서 일정각도를 이루는 다수개의 걸림부(300a)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0); 상기 수직받침재(100, 100a)의 하단에 외측끼움되어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0)에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원반형 브라켓으로, 상기 수직받침대(100, 100a)를 중심으로 360도 돌아가면서 일정각도를 이루는 다수개의 체결부(301a)가 형성되는 하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1); 상기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0)의 걸림부(300a)에 걸림식으로 체결되도록 양단부가 갈고리 형상인 상부 수평지지재(310); 및 상기 상부 수평지지재(310)의 일단부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일단이 양갈래로 벌어져 있는 Y자 형상의 부재로, 양갈래로 벌어진 일단은 상부 수평지지재(310)의 단부가 걸림식 체결되는 상기 체결핀(220)이 관통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하부다방향연결브라켓(301)의 체결부(301a)에 걸림식 체결되도록 갈고리형상인 상부 경사지지재(320);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a)의 상기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0)은 수직받침재(100, 100a)의 상단에 외측끼움되는 원반형 브라켓으로, 수직받침재(100, 100a)를 중심으로 360도 돌아가면서 일정각도를 이루는 다수개의 걸림부(300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300a)는 수직받침재(100, 100a)를 중심으로 16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종래의 거푸집으로 주로 사용되는 12㎜ 합판을 거푸집 동바리가 받침할 경우 동바리를 구성하는 지지대가 300㎜ 간격으로 설치될 때 가장 이상적으로 콘크리트의 처짐 및 균열을 방지할 수 있기때문이다. 즉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a)에서 하나의 수직지지대(100, 100a)를 중심으로 지지대가 16방향으로 뻗어 나가 동바리를 구성할 때 상기와 같은 사항을 가장 이상적으로 만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a)에서 상기 상부다방향연결브라켓(300)의 걸림부(300a) 개수를 조절하여 지지대를 16방향 이상으로 뻗어 나가게 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할 경우 콘크리트의 처짐 및 균열을 방지하는 효과는 16방향으로 지지대를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그다지 큰 차이가 없으며, 지지재가 필요이상으로 설치되게 되어 경제적인 부담만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0)의 걸림부(300a)에 16방향으로 갈고리 형상의 단부를 갖는 상부 수평지지재(310) 및 수평지지재(2)를 걸림식으로 체결하여 동바리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전후좌우 4방향으로만 지지대 체결이 가능했던 동바리와는 달리 보다 효과적으로 콘크리트의 처짐 및 균열을 방지하여 높은 품질의 건설구조물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a)에서 상기 하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1)은 상기 수직받침재(100, 100a)의 하단에 외측끼움되어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0)에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원반형 브라켓으로, 상기 수직받침대(100, 100a)를 중심으로 360도 돌아가면서 일정각도를 이루는 다수개의 체결부(301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1)의체결부(301a)는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0)의 걸림부(300a)의 형성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0)의 걸림부(300a)에 타단이 체결되어 외측으로 뻗어나가는 상부 수평지지대(310)의 일단과 상기 하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1)의 체결부(301a)에 일단이 체결되는 상부 경사지지재(32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때 상기 하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1)의 형성높이는 지지재의 형성방향 수에 따라 조절된다. 즉 8방향으로 지지재를 설치할 경우에는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0)과 하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1)의 간격은 16방향으로 지지재를 설치할 경우 보다 좁아지게 된다.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a)에서 상기 상부 수평지지재(310)는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0)의 걸림부(300a)에 걸림식으로 체결되도록 양단부가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경사지지재(320)는 상기 상부 수평지지재(310)의 일단부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일단이 양갈래로 벌어져 있는 Y자 형상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Y자 형상으로 제작되는 상부 경사지지재(320)의 양갈래로 벌어진 일단에는 상부 수평지지재(310)의 단부가 걸림식 체결되는 체결핀(220)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단은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1)의 체결부(301a)에 걸림식 체결되도록 갈고리형상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상부 수평지지재(310)의 타단부는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0)의 걸림부(300a)에 체결되고 일단부는체결핀(220)이 관통하는 상부 경사지지재(320)의 양갈래로 벌어진 일단부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체결핀(220)의 단면감소부(221)에 걸림식으로 체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시공될 때 상기 상부 경사지지재(320)의 상부 수평지지재(310)와의 결합은 체결핀(220)의 고정부(222)로 용이하게 조절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상기 상부 수평지지재(310) 및 상부 경사지지재(320)는 상기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0) 및 하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1)에 체결되어 슬래브거푸집을 지탱함으로써 전술된 슬래브수평받침재(120) 및 수평연결재(140, 140a, 140b, 140c, 140d)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의 자세한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시공예는 4방향으로 동바리 시스템이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수직받침재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받침재(100)이며, 수평받침재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받침재(110)이며, 수평연결재는 도 5에 도시된 수평연결재(140)이며, 보수평받침재는 도 7a에 도시된 보수평받침재(130a)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수직(1), 수평(2), 및 경사지지재(3)를 시공하고자 하는 적정높이까지 상호연결하며 적층한다. 이후 상기 수직지지재(1)의 상단에 수직받침재(100)를 외측끼움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적정높이로 높이조절한 후 상기 수직지지재(1)와 수직받침재(1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재(1)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임으로, 상기 수직받침재(100)와 수직지지재(1)는수직받침재(100)의 결합공(102) 및 수직지지재(1)의 체결공을 동시에 관통하는 고정막대 또는 고정핀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수직받침재(100)는 하단에 결합공(102)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암나사산(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산(101)과 결합가능한 고정나사(103)가 외측끼움되어 있음으로 상기 수직받침재(100)와 수직지지재(1)의 미세한 결합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와 같은 수직받침재(100)의 전후좌우 4방향으로 형성된 고정브라켓(200)에 수평받침재(110)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를 체결하고, 상기 수평받침재(110)와 슬래브수평받침재(120) 사이는 수평연결재(140)를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인 시공형상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이루게 한다. 이때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와 보의 경계위치에는 수평받침재(110)를 설치하고 슬래브거푸집 하부에는 슬래브수평받침재(12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수평받침재(110)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는 수직받침재(100) 체결 시, 도 10c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하고자 하는 보높이에 맞게 수직받침재(100)의 체결위치가 선택되어지며, 상기 수평받침재(110)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는 수평을 이루도록 동일한 높이의 수직받침재(100) 고정브라켓(200)에 체결된다. 이때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에서 보높이 700㎜이상을 시공할 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받침재(110)의 상부에 수평지지재(2)를 더 설치함으로써 일정높이를 가지는 수평받침재(110)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의 시공상의 한계를 극복한다. 즉 상기 수평받침재(110)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제작됨으로 보높이가 수평받침재(110)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의 높이 이상일때는 상기 수평받침재(110)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만으로는 보높이를 만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수평받침재(110)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 상부에 수평지지재(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시공상의 제약을 극복하며 시공위치별로 가변하는 보높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수평받침재(110) 및 슬래브수평받침재(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부재는 전술된 바와 같은 수평지지재(2) 뿐 만 아니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연결재(140a)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부재의 종류 선택 여부는 시공상황에 따라 택일되어 시공되어도 무방하다.
이후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수평받침재(110)의 고정브라켓(200)에 보수평받침재(130a)를 체결시킨다. 이때 보수평받침재(130a)는 시공하고자 하는 보높이에 맞게 수평받침재(110)의 다수개의 고정브라켓(200) 중에서 택일되어 체결된다. 또한 상기 보수평받침재(130a)는 하부에 PC강선(150)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부 하중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콘크리트 처짐을 극소화시켜 안정된 구조의 건설구조물 축조를 가능하게 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a)의 다른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시공예는 16방향으로 동바리 시스템이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수직지지재(100) 및 보수평받침재(130a)는 전술된 시공예와 동일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체결핀(220)은 한방향체결핀(220a)을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수직(1), 수평(2), 및 경사지지재(3)를 시공하고자 하는 적정높이까지 상호연결하며 적층한 후, 전술된 시공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수직지재(1)의 상단에 수직받침재(10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수직받침재(1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받침재(100)로, 상기 수직받침재(100)의 외측면에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0) 및 하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1)이 더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0) 및 하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1)은 시공하고자 하는 동바리 시스템의 형성방향에 맞게 적정간격으로 상호이격되어 수직받침재(100)에 장착된다.
이후 슬래브 및 보의 경계위치에 수평받침재(110)를 설치하고, 보거푸집 하부 위치에 보수평받침재(130a)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수평받침재(110)는 다수개의 수직받침재(100)의 고정브라켓(200) 중에서 시공하고자 하는 보높이에 맞게 택일되어 체결되며, 보수평받침재(130a)는 다수개의 수평받침재(110)의 고정브라켓(200) 중에서 시공하고자 하는 보높이에 맞게 택일되어 체결된다.
또 본 시공예에서는 상기 수평받침재(110) 및 보수평받침재(130a)의 설치와 더불어 상부 수평지지재(310) 및 상부 경사지지재(320)의 설치도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상부 수평지지재(310) 및 상부 경사지지재(320)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되게 되는데, 상기 상부 수평지지재(310)는 일단이 상기 수직받침재(100)에 장착된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0)의 걸림부(300a)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부 경사지지재(320)의 양 갈래로 갈라진 일단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한방향체결핀(220a)으로 상호결합된다. 이때 한방향체결핀(220a)은 상기 상부 경사지지재(320)의 관통공에삽입되어 상기 상부 수평지지재(310)의 타단이 한방향체결핀(220a)의 단면감소부(221)에 걸림식 체결되게 한 후 일방항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 수직지지재(310)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고, 상기 한방향체결핀(220a)의 고정부(222)로 고정을 완성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수평지지재(310)와 상부 경사지지재(320)의 결합을 더욱 더 견고하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 수평지지재(310)와 결합되는 상부 경사지지재(320)의 타단은 하부 다방향연결브라켓(301)의 체결부(301a)에 걸림식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본 시공예에서 상기 상부 수평지지재(310) 및 상부 경사지지재(320)는 4방향으로 구성되는 동바리 시스템(10)의 슬래브수평받침재(120) 및 수평연결재(140, 140a)의 역할을 대신하며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a)이 여러방향으로 지지재 설치가 가능하게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16방향의 동바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처짐 및 균열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고품질의 구조물을 시공하게 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a)을 형성한다.
도 13a 및 도 13b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10b)의 또 다른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시공예는 슬래브거푸집으로 철근이 부착된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수직받침재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수직받침재(100a)를 사용하고, 수평받침재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받침재(110a)를 사용하며, 보수평받침재는 도 7a에 도시된보수평받침재(130a)을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수직(1), 수평(2), 및 경사지지재(3)를 시공하고자 하는 적정높이까지 상호연결하며 적층한다. 이후 상기 수직지지재(1)의 상단에 수직받침재(100a)를 외측끼움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적정높이로 높이조절한 후 상기 수직지지재(1)와 수직받침재(100a)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수직받침재(100a)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와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6)로 구성되는 수직받침재(100a)이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재(1)를 상기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와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6)를 관통하게 설치하고 상기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6)를 시공하고자 하는 보높이를 고려하여 수직지지재(1)의 적정위치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6)와 수직지지재(1)는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6)의 결합공(102)과 수직지지재(1)의 체결공을 동시에 관통하는 고정막대 또는 고정핀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결합되며,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6)의 하단에 외측끼움되어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6)의 암나사산(101)과 결합되는 고정나사(103)로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6)와 수직지지재(1)의 미세한 결합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 상기와 같은 수직지지재(1)의 최상단에 위치되는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는 시공하고자 하는 층고와 규격화된 수직지지재(1)를 적층함으로써 발생되는 수직지지재(1) 적층높이 사이의 오차를 고려하여 수직지지재(1)에 체결되는 위치가 정해져 수직지지재(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재(1)의 상단일부분의 체결공은 로그표 값에 의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의 고정공(105)은 상기 수직지지재(1)의 체결공에 대칭되어 고정공(105)이 형성됨으로 층고와 규격화된 수직지지재(1) 적층높이 사이의 미세한 오차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와 수직지지재(1)는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의 고정공(105)과 수직지지재(1)의 체결공을 동시에 관통하는 고정막대 또는 고정핀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용이하게 결합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수직받침재(100a)에 수평받침재(110a)를 체결시킨다. 이때 상기 수평받침재(110a)는 전술된 바와 같이 슬래브 및 보의 경계위치에 설치되어 슬래브거푸집과 보거푸집을 동시에 지탱 가능하게 하는 부재로, 본 시공예에서와 같이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104)와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6)로 구성되는 수직받침재(100a)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받침재(110a)를 사용한다. 본 시공예에서 시공위치별로 가변되는 보 높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수직받침재(100a)의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106)로 조절됨으로 최소 보높이부터 최대 보높이까지 만족하도록 다수개의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되어 있는 수평받침재(110)보다는 적은 수의 고정브라켓(200)이 장착되어 경량이며 취급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인 수평받침재(110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700㎜이상의 보를 시공할 경우, 상기 수평받침재(110a)의 상부에는 보높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높이에 수평연결재(140a)를 더 설치한다. 이때 수평연결재(140a) 대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수평지지재(2)를 설치할 수 도 있지만, 상부에 허용하중보다 더 큰 하중이 실릴 경우 상기 수평연결재(140a)가 수평지지재(2)보다 처짐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구조적으로 안정된 동바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 상기 수평연결재(104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전술된 바와 같이 수직받침재(100a) 및 수평받침재(110a)를 설치한 후, 상기 수평받침재(110a)의 일측면에 장착된 고정브라켓(200)에 보수평받침재(130a)를 설치한다.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은 한번의 지지재 설치로 슬래브 및 보거푸집 지탱을 위한 지지재의 설치가 동시에 이루어지며 시공위치별로 달라지는 가변적인 보의 높이에도 손쉽게 대응할 수 있어 시공성이 높고,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은 기존의 전후좌우 4방향으로만 설치가 가능했던 거푸집 받침용 지지재와는 달리 여러 방향으로 거푸집 지탱을 위한 지지재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고, 상기 수평연결재의 외측에 성형목을 더 덧씌우거나 수평연결재의 내측에 성형목을 삽입하여 일체화시킴으로서 기존의 동바리 설치 시 수평연결재의 상부에 시공되던 장선목 및 멍에목의 사용을 불필요하게 하여 자재를 절감시키고 시공공정을 단축하며, 콘크리트의 처짐 및 균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구조의 건설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을제공하는데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은 수직지지재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상기와 같은 이동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동바리의 높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재의 고정볼트 및 고정부로 수직지지재의 단면 손상없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건설구조물 시공 시 거푸집을 지탱하는 수직, 수평, 및 경사지지재로 이루어지는 동바리 시스템에서,
    상기 수직지지재의 상단에 외측끼움되어 높이조절되며 수직지지재와 결합되는 중공부재로, 전후좌우 4측면에 고정브라켓이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장착되어 있는 수직받침재;
    상기 수직받침재의 고정브라켓에 체결되어 슬래브 및 보의 경계위치에 설치되는 일정높이의 수평부재로, 상기 수평부재는 일측면에 시공하고자 하는 보높이와 대응 가능한 높이에 고정브라켓이 장착되어 있고, 타측면의 일정높이에 연결용 고정브라켓이 장착되어 있는 수평받침재; 및
    상기 수평받침재의 일측면에 장착된 고정브라켓에 체결되어 보거푸집을 지탱하는 보수평받침재;
    를 포함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수평받침재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수직받침재의 고정브라켓에 체결되어 슬래브거푸집을 지탱하는 수평부재로, 상기 수평부재는 좌우 양측면에 수평받침재의 타측면에 장착된 고정브라켓의 형성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고정브라켓이 장착되어 있는 슬래브수평받침재; 및
    상기 수평받침재의 타측면 고정브라켓 및 슬래브수평받침재의 고정브라켓에체결되어 수평받침재와 슬래브수평받침재 상호간을 연결하는 수평연결재;
    를 더 포함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수직지지재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받침재는 하단 일부분에 상기 수직지지재의 체결공을 관통하는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장공형의 결합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이 형성된 수직받침재의 하단 외측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받침재의 하단에는 상기 암나사산과 결합가능한 고정나사가 외측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수직지지재는 상단 일부분의 체결공 형성간격은 로그표 값에 의한 간격으로 정해지고, 상기 수직받침재는 수직지지재의 체결공과 대칭되는 다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는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 및 상기 미세조절용 가변받침재의 하방에 위치되는 보높이조절용 고정받침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5. 제2항에서, 상기 수직받침재, 수평받침재, 및 슬래브수평받침재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은,
    상면과 정면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양측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핀으로, 상기 몸체부 내측에 위치되는 본체에는 단면감소부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부 외측에 위치되는 단부에는 결합 및 해체가 조절되도록 90도 회전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체결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6. 제2항에서, 상기 수직받침재, 수평받침재, 및 슬래브수평받침재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은 수평받침재, 슬래브수평받침재, 보수평받침재, 및 수평연결재의 일단이 걸림식 체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7. 제2항에서, 상기 수직지지재, 수평받침재, 보수평받침재, 슬래브수평받침재, 및 수평연결재의 내부에는 강성보강용 리브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8. 제2항에서, 상기 보수평받침재 및 수평연결재는 하부 외측으로 인장력이 가해진 PC강선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9. 제2항에서, 상기 보수평받침재 및 수평연결재는 하부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보강볼트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보강판이 더 설치되며, 상기 보강볼트는 일단이 보강판을 관통하여 상기 보수평받침재 및 수평연결재의 내측면에 맞닿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10. 제2항에서, 상기 보수평받침재 및 수평연결재는 상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성형 목이 덧씌어지거나 또는 상기 보수평받침재 및 수평연결재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11. 제2항에서, 상기 수평받침재 및 슬래브수평받침재는 시공되는 보 높이에 따라 수직받침재의 다수개의 고정브라켓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며, 수평받침재의 일측면 고정브라켓은 시공위치별로 가변하는 보 높이에 대응하도록 높이방향으로 최소 보높이부터 최대 보높이까지 만족할 수 있는 위치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12. 제5항에서, 상기 수직받침재의 상단에 외측끼움되는 원반형 브라켓으로, 상기 수직받침재를 중심으로 360도 돌아가면서 일정각도를 이루는 다수개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
    상기 수직받침재의 하단에 외측끼움되어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에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원반형 브라켓으로, 상기 수직받침대를 중심으로 360도 돌아가면서 일정각도를 이루는 다수개의 체결부가 형성되는 하부 다방향연결브라켓;
    상기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의 걸림부에 걸림식으로 체결되도록 양단부가 갈고리 형상인 상부 수평지지재; 및
    상기 상부 수평지지재의 일단부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일단이 양갈래로 벌어져 있는 Y자 형상의 부재로, 양갈래로 벌어진 일단은 상부 수평지지재의 단부가 걸림식 체결되는 상기 체결핀이 관통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하부다방향연결브라켓의 체결부에 걸림식 체결되도록 갈고리형상인 상부 경사지지재;
    를 더 포함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13. 제5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수평받침재, 슬래브수평받침재, 보수평받침재, 및 수평연결재의 양단은 고정브라켓 체결핀의 단면감소부나 또는 결합부에 걸림식 체결되도록 갈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14. 제5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수직지지재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실린더형의 이동부재의 전후좌우 4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고정브라켓이 장착된 좌우 측면 하단에 수직지지재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볼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브라켓이 장착된 전후 측면에는 이동부재의 내측을 향하여 일정부분 절곡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15. 제12항에서, 상기 상부 다방향연결브라켓의 걸림부 및 하부 다방향연결브라켓의 체결부는 수직지지대를 중심으로 16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KR20-2004-0014957U 2004-05-29 2004-05-29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KR200358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57U KR200358791Y1 (ko) 2004-05-29 2004-05-29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57U KR200358791Y1 (ko) 2004-05-29 2004-05-29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612A Division KR20050113438A (ko) 2004-05-29 2004-05-29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791Y1 true KR200358791Y1 (ko) 2004-08-11

Family

ID=4934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957U KR200358791Y1 (ko) 2004-05-29 2004-05-29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7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734B1 (ko) 2010-04-02 2012-12-28 서울시스템렌탈 (주) 표준규격 안전발판 설치용 서포트모듈 및 상기 모듈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서포트모듈시스템
CN111236619A (zh) * 2020-03-25 2020-06-05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用于超高超限混凝土施工的钢托支模架及其安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734B1 (ko) 2010-04-02 2012-12-28 서울시스템렌탈 (주) 표준규격 안전발판 설치용 서포트모듈 및 상기 모듈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서포트모듈시스템
CN111236619A (zh) * 2020-03-25 2020-06-05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用于超高超限混凝土施工的钢托支模架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395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CN101460690B (zh) 板材模板系统
US9863113B2 (en) Steel pipe socket and method of connecting steel pipe pile and steel pipe column using the same
KR100969992B1 (ko) 교각용 거푸집 시스템
US20110107711A1 (en) Connector system for securing an end portion of a steel structural member to a vertical cast concrete member
KR101766807B1 (ko) 플레이트를 활용한 pc기둥-pc보 강접합 결합구조 및 pc거더-pc빔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101810203B1 (ko) 강재거더 상부플랜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결합된 강합성 거더의 제작방법
KR20070092460A (ko) 보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시공방법
KR102476886B1 (ko) 교정바와 교정너트를 이용한 교량 상부 거더의 횡변위를 제어하는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교량상부구조
JP5844584B2 (ja) 塔状構造物
KR101451877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조물
KR20160091465A (ko)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
KR200358791Y1 (ko)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KR200436819Y1 (ko) 보 시스템 거푸집
KR100997106B1 (ko) 교각용 지그 시스템
KR20050113438A (ko)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
KR102487850B1 (ko) 일체형 지지대를 포함하는 캔틸레버 프리캐스트 반단면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구조체 시공 방법
KR101420303B1 (ko) 기초용 철근 스페이서
KR20060037137A (ko)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KR20110002260U (ko) 서포터의 사용성이 개선된 보 거푸집용 지지어셈블리
KR102177986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장 적치 기간 중 변형을 억제하는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
KR101171823B1 (ko) 슬라브패널 조립체
KR20170057063A (ko) 분리 독립형 펀칭전단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의 내력 증가 시공방법
KR101107268B1 (ko) 슬래브 거푸집용 드롭헤드 어셈블리
KR20110114394A (ko) 슬라이딩이 가능한 옹벽 거푸집용 지지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