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524Y1 - 접시 - Google Patents

접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524Y1
KR200358524Y1 KR20-2004-0011689U KR20040011689U KR200358524Y1 KR 200358524 Y1 KR200358524 Y1 KR 200358524Y1 KR 20040011689 U KR20040011689 U KR 20040011689U KR 200358524 Y1 KR200358524 Y1 KR 200358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
plate
decorative border
decorative
dish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김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수 filed Critical 김양수
Priority to KR20-2004-0011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5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5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광이 발산되어 독특한 분위기가 연출되며,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도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접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음식이 담아지는 접시부(10)와, 저면에 나사홈(22)이 형성되어 상기 접시부(10)의 둘레부에 나사결합되는 장식테두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시에 있어서, 상기 장식테두리(20)는 야광물질이 혼합된 합성수지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접시{A dish}
본 고안은 접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광이 발산되어 독특한 분위기가 연출되며,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도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접시에 관한 것이다.
주점이나 카바레 등과 같은 유흥업소에서 사용되는 안주접시는 크고 화려하게 제작된다. 이러한 안주접시 중에서도 금속으로 제작된 것이 있는데, 금속재 접시는 금속광택으로 인해 다른 제품에 비해 한층 더 화려하게 보이므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금속재 안주접시 중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시(2)의 둘레부에 주물제 장식테두리(4)가 결합된 것이 있다. 상기 장식테두리(4)는 표면이 금도금된다.
한편, 유흥업소의 실내는 다소 어둡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비록 접시가 미려하게 제작되어도 접시의 형상이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종래에는 장식테두리(4)에 야광물질(6)이 코팅된 제품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품은 주물제 장식테두리(4)의 표면에 코팅된 야광물질(6)이 쉽게 벗겨져서 오히려 접시의 외관이 지저분해질 뿐만 아니라 주물제 장식테두리 위에 야광물질(6)을 코팅하기도 쉽지 않다. 또한, 장식테두리(4)를 주물제작한 후 별도로 야광물질(6)을 코팅하여야 하므로 제작이 복잡하고 이에 따라 코스트가 증가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종래 장식테두리(4)에 야광물질(6)이 코팅된 제품은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장식테두리(4)는 접시(2)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데, 접시(2)의 둘레부에는 결합공(3)들이 형성되고, 장식테두리(4)의 저면에는 나사홈(5)들이 형성되어, 장식테두리(4)의 나사홈(5)들이 접시(2)의 결합공(3)들에 정렬되도록 위치를 조절한 다음, 나사(9)를 체결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접시(2)를 성형한 다음, 그 둘레부에 결합공(3)을 천공하여야 하므로 제작공정이 복잡하며, 조립시 접시(2)의 결합공(3)과 장식테두리(4)의 나사홈(5)이 정렬되도록 조절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조립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또한, 접시(2)의 결합공(3)과 장식테두리(4)의 나사홈(5)의 위치에 오차에 발생되는 경우에는 조립이 불가능하므로 불량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식테두리가 초기의 상태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며, 접시에 장식테두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을 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공정이 단축되고, 장식테두리의 조립도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접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접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접시부 20. 장식테두리
22. 나사홈 24. 돌출부
본 고안에 따르면, 음식이 담아지는 접시부(10)와, 저면에 나사홈(22)이 형성되어 상기 접시부(10)의 둘레부에 나사결합되는 장식테두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시에 있어서, 상기 장식테두리(20)는 야광물질이 혼합된 합성수지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장식테두리(20)의 외측단부는 접시부(10)의 단부보다 돌출되며, 상기 나사홈(22)은 접시부(10)의 단부보다 외측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식테두리(20)의 저면에는 상기 나사홈(22)보다 외측으로 위치되어 접시부(10)의 두께만큼 돌출된 돌출부(24)가 마련되어, 상기 장식테두리(20)를 접시부(10)에 얹고 상기 나사홈(22)에 나사(9)를 체결하면, 상기 돌출부(24)와 접시부(10)의 단부가 상기 나사(9)의 헤드 또는 나사(9)에 체결되는 와셔(10)에 의해 가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담아지는 접시부(10)와, 이 접시부(10)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장식테두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시부(10)는 금속판을 프레스성형하여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저면에는 다수개의 다리(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장식테두리(20)는 야광물질이 혼합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다.
이와 같이 장식테두리(20)에 야광물질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접시의 사용시 상기 장식테두리에서 발광되는 야광빛에 의해 독특한 분위기가 연출되며, 아울러 접시의 위치나 형상이 쉽게 식별된다.
한편, 상기 장식테두리(20)는 외측단부가 접시부(10)의 단부보다 돌출되도록 성형되며, 그 저면에는 장식테두리(20)를 접시부(20)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홈(22)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 나사홈(22)은 장식테두리(20)를 접시부(10)에 결합시키기 위해 접시부(10)의 단부에 배치하였을 때 접시부(10)의 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장식테두리(20)의 저면에는 이 나사홈(22)의 외측으로는 장식테두리(20)의 둘레부를 따라 접시부(10)의 두께만큼 돌출되는 돌출부(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장식테두리(20)를 접시부(10)에 결합시키기 위해 접시부(10)의 단부에 배치하면, 접시부(10)의 단부는 장식테두리(20) 저면의 나사홈(22)보다 내측 단부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홈(22)에 와셔(10)가 끼워진 나사(9)를 체결하면, 상기 와셔(10)에 의해 장식테두리(20)의 돌출부(24)와 접시부(10)의 단부가 가압되어 장식테두리(20)가 접시부(10)에 결합고정된다. 이때 상기 나사(9)의 헤드가 비교적 크게 형성된 경우에는 와셔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돌출부(24)와 접시부(10)의 단부가 나사(9)의 헤드에 의해 직접 가압되도록 체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장식테두리를 접시부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홈(22)을 접시부(10)의 단부보다 외측으로 위치되도록 형성하고, 장식테두리(20)의 단부에 돌출부(24)를 형성하면, 종래와 같이 접시부에 장식테두리를 결합하기 위해 결합공을 별도로 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이 간단하다. 또한, 나사홈을 접시의 결합공에 정렬시키기 위한 노력과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이 편리하고, 조립시간도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장식테두리에서 발광되는 야광에 의해 색다른 분위기가 연출되므로 술먹는 자리의 흥이 한층 더 고조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접시의 위치와 형상이 쉽게 식별되는 접시가 제공된다. 특히, 본 고안은 장식테두리에 야광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종래 야광물질이 코팅된 경우처럼 야광물질이 벗겨지는 문제가 없고, 장식테두리가 장기간 초기의 품질상태를 유지하며, 장식테두리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도 용이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어 코스트도 저렴하다.

Claims (2)

  1. 음식이 담아지는 접시부(10)와, 저면에 나사홈(22)이 형성되어 상기 접시부(10)의 둘레부에 나사결합되는 장식테두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시에 있어서, 상기 장식테두리(20)는 야광물질이 혼합된 합성수지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테두리(20)의 외측단부는 접시부(10)의 단부보다 돌출되며, 상기 나사홈(22)은 접시부(10)의 단부보다 외측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식테두리(20)의 저면에는 상기 나사홈(22)보다 외측으로 위치되어 접시부(10)의 두께만큼 돌출된 돌출부(24)가 마련되어, 상기 장식테두리(20)를 접시부(10)에 얹고 상기 나사홈(22)에 나사(9)를 체결하면, 상기 돌출부(24)와 접시부(10)의 단부가 상기 나사(9)의 헤드 또는 나사(9)에 체결되는 와셔(10)에 의해 가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
KR20-2004-0011689U 2004-04-27 2004-04-27 접시 KR200358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89U KR200358524Y1 (ko) 2004-04-27 2004-04-27 접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89U KR200358524Y1 (ko) 2004-04-27 2004-04-27 접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524Y1 true KR200358524Y1 (ko) 2004-08-11

Family

ID=4943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689U KR200358524Y1 (ko) 2004-04-27 2004-04-27 접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5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9133B2 (en) Anti-slip fluorescent electronic energy-saving lamp
KR200358524Y1 (ko) 접시
US20080080955A1 (en) Cover for a lug nut of a wheel disk of a car
CN207419961U (zh) 一种室内装饰踢脚线的安装结构
KR101204379B1 (ko) 한지를 이용한 자개 장신구
USD541856S1 (en) Savings bond with surface decoration
KR200398292Y1 (ko) 회전의자용 다리받침
KR200396756Y1 (ko) 악세사리용 비드
KR200292380Y1 (ko) 조명등 갓에 부착되는 장식테두리의 조립구조
US20040265535A1 (en) Suspension ornament
KR102000290B1 (ko) 조명등커버의 장식구 제조방법
KR200381141Y1 (ko) 가구용 손잡이
KR20010003602A (ko) 목편을 이용한 악세사리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200177864Y1 (ko) 아이스버킷
TWM523444U (zh) 骨灰罈裝飾件組結構
US20030012019A1 (en) Multi-color pipe-type lamp
KR200187531Y1 (ko) 우산손잡이의 장식판 결합구조
KR200233533Y1 (ko) 흡착구를 이용한 장식용 벽걸이구조
KR200192796Y1 (ko) 주방용 싱크대 도어
JP3134239U (ja) 瓔珞
KR200201570Y1 (ko) 사무용 가구의 장식테
KR200404238Y1 (ko) 볼 체인
KR200260635Y1 (ko) 전면에 장식몰딩이 부착된 싱크상판
KR200427404Y1 (ko) 식탁용구 통
KR200203514Y1 (ko) 실내 조명등용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