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176Y1 -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176Y1
KR200358176Y1 KR20-2004-0011651U KR20040011651U KR200358176Y1 KR 200358176 Y1 KR200358176 Y1 KR 200358176Y1 KR 20040011651 U KR20040011651 U KR 20040011651U KR 200358176 Y1 KR200358176 Y1 KR 200358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ample
biopsy sample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민
Original Assignee
송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민 filed Critical 송영민
Priority to KR20-2004-0011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1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1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38Sl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로서, 용매의 출입이 가능한 겔 형태의 플레이트(2) 및 커버(4)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의 일측에 형성된 생검시료(10)가 도입되는 공간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함입부(6); 및 상기 커버(4)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의 함입부(6)에 삽입되어 덮을 수 있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Auxiliary Tool for Examination of Biopsy Specimen}
본 고안은 생검시료의 조직학적 또는 세포학적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매의 출입이 가능한 겔 형태의 플레이트(2) 및 커버(4)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의 일측에 형성된 생검시료(10)가 도입되는 공간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함입부(6); 및 상기 커버(4)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의 함입부(6)에 삽입되어 덮을 수 있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체 또는 동물 등으로부터 채취된 세포학적 시료를 검사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상기 시료를 직접 슬라이드에 도말하고 알코올에 고정한 다음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면, 파파니콜로 염색(Papanicolaou stain)과 같은 기본검사 밖에 시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진단에 필요한 여러가지 검사를 할 수 없었다.
한편, 상기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검사를 요하는 시료를 조직학적 검사방법을 이용하여, 검체 표본을 제작한 후 염색 등의 과정을 거쳐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시료의 이상유무를 판독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즉, 검사를 요하는 시료를 카세트(cassette)의 내부에 넣어 고형화시키고, 상기 고형화된 시료를 카세트로부터 꺼낸 다음, 베이스 몰드(base mold)의 하부에 위치시켜 파라핀으로 매설하여 포매블럭을 제조하여, 이를 절단도구로 얇게 절단하여 슬라이드에 옮긴 후 현미경 등으로 관찰하는 방법이다. 이 때 상기 시료의 고형화 방법은 저장카세트 내부에 있는 시료에 파라핀 등의 응고제를 직접 충진하여 고형화시키거나, 종이(filter paper) 또는 혈장(plasma) 등으로 시료를 둘러싼 후, 이에 단백질 또는 다당류 등의 응고제를 주입하여 저장카세트 내부에서 시료를 고형화시킬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여러장의 슬라이드 절편을 만들 수 있으므로 진단에 필요한 여러가지 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나, 조직학적 검사 과정 중에 다른 시료와의 혼합 및 불필요한 시약 등과의 접촉으로 인해 시료가 오염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검사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상기 검체 표본을 제조하는 방법과 관련된 특허문헌으로서 일본특허공개 2002-303568호에서는 시료를 저장카세트에 도입시킨 후, 글루코 만난(gluco mannan) 및 포르말린으로 이루어진 정착지지체로 고형화시키고, 상기 고형화된 시료를 아세톤,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으로 겔화시킨 후, 겔화된 시료를 저장카세트의 하부에 위치시켜 파라핀으로 매설하여, 이를 절단도구로 절단하여 검체 표본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시된 방법은 시료를 직접 저장카세트에 도입시키고 이를 고형화시키므로 고형화 물질로 인해 시료가 오염될수 있으며, 상기 저장카세트는 다공성이므로 극소량의 고형시료 또는 점액성 시료를 직접 도입시켜 검체 표본을 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미국특허 제 5,137,710호에서는 중앙에 홈이 존재하는 종이 필터를 오목한 캐리어에 넣고, 검사를 요하는 시료 및 알긴(algin) 등의 겔성 물질을 종이 필터에 삽입시켜 시료를 고형화하여 검체 표본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시된 방법은 겔성 물질 내부로 시료를 삽입시키므로 겔성 물질이 굳기 전에 시료를 삽입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점액성 시료를 겔성 물질 내부로 삽입할 수 없다.
이에, 본 고안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료의 오염 및 유실을방지할 수 있고, 극소량의 고형시료 또는 점액성 시료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검체 표본으로 제조할 수 있는 플레이트 및 커버로 이루어진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매의 출입이 가능한 겔 형태의 플레이트(2) 및 커버(4)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의 일측에 형성된 생검시료(10)가 도입되는 공간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함입부(6); 및
상기 커버(4)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의 함입부(6)에 삽입되어 덮을 수 있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를 포함하는 포매블록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의 구성요소인 플레이트 및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의 구성요소인 플레이트 및 커버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의 구성요소인 플레이트 상단에 커버를 안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생검시료가 도입된 본 고안의 보조기구를 포매블럭으로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해 본 고안의 포매블럭을 얇게 박절하여 슬라이드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플레이트 4: 커버
6: 함입부 8: 돌출부
10: 생검시료 12: 카세트
14: 베이스 몰드 16: 왁스
18: 포매블록 20: 생검시료를 포함한 절편
22: 조직 박절기 24: 유리 슬라이드
본 고안은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이하 "보조기구"라 한다)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보조기구는 용매의 출입이 가능한 겔 형태의 플레이트 및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생검시료가 도입되는 공간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함입부; 및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함입부에 삽입되어 덮을 수 있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 "생검시료"란 인체를 포함한 동물 및 식물과 같은 개체의 해부학적 부위로부터 분리하여 조직학적 또는 세포학적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검사물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검사할 수 있는 생검시료는 일반적인 세포 또는 조직, 가래(sputum), 담즙(bile) 또는 기관지 세척(bronchial washing), 기관지 브러시(bronchial brushing) 또는 폐 흡인(lung aspiration)으로 인한 점액성의 검사물, 단백질 함량이 많은 흉수(pleural fluid), 복수(peritoneal fluid) 또는 심막액(pericardial fluid) 등의 삼출수(effusion fluid)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고안의 보조기구는 종래의 세포학적 검사방법으로 불가능한 골수(bone marrow)를 검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보조기구는 크게 플레이트(plate) 및 커버(cover)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및 커버는 겔(gel) 형태이므로 삼투압 원리에 의해 용매의 출입이 가능하고, 다른 검사물 또는 불순물의 침투를 막아 검사하려는 생검시료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검사하려는 생검시료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보조기구를 구성하는 플레이트 및 커버를 겔 형태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약 20 내지 40℃의 상온에서 겔을 형성하고 70 내지 90℃에서는 용융되지 않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가로스(agarose), 아가(agar) 또는 젤라틴(gelatin)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물질은 고상(solid phase) 또는 액상(liquid phase)일 수도 있으며, 고상인 경우에 파우더 또는 겔 형태일 수도 있다. "아가로스", "아가" 및 "젤라틴" 은 모두 약 35℃에서 젤리화되고, 약 90℃이상에서 용융되며, 고상에서 가요성(flexibility)을 보유하는 투명한 물질이다.
본 고안의 보조기구를 구성하는 플레이트 및 커버는 크기 및 모양에 맞는 주형을 제조하고 이에 아가로스, 아가 또는 젤라틴 등의 겔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부운 다음 냉각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된 플레이트 및 커버의 건조 및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생검시료의 검사를 수행하기 전에는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에 넣어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보조기구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는 그 일측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함입부에 생검시료가 도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함입부는 생검시료의 크기 및 용량에 따라 크기, 함입높이 및 형태 등의 조절이 가능하며, 함입부의 개수는 생검시료의 종류 및 염색방법 등 생검시료를 차별화하여 검사하는 방식에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보조기구를 구성하는 커버는 그 일측에 형성되고 생검시료가 도입된 상기 플레이트의 함입부에 삽입되어 덮을 수 있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플레이트의 함입부의 크기, 함입높이, 형태 및 개수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생검시료의 오염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양태로서, 본 고안의 보조기구는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함입부에 생검시료를 도입시키고, 생검시료가 도입된 상기 플레이트 상단에 플레이트의 함입부에 삽입되어 덮을 수 있도록 돌출부를 구비한 커버를 안착시켜 생검시료의 오염 및 유실을 방지하여 검체 표본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검사하려는 생검시료의 관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보조기구는 알코올-자일렌-왁스 등을 이용한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포매(embedding)블록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생검시료가 포함된 포매블록을 조직 박절기로 박절하여 검체 표본으로 제작한 후, 통상의 검사방법으로 생검시료의 이상유무를 판독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보조기구에 대해 상세히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기구의 구성요소인 플레이트 및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기구의 구성요소인 플레이트 및 커버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의 구성요소인 플레이트 상단에 커버를 안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생검시료가 도입된 본 고안의 보조기구를 포매블럭으로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해 포매블럭을 얇게 박절하여 슬라이드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기구는 플레이트(2) 및 커버(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2) 및 커버(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주형을 제조하여, 이에 아가로스, 아가 또는 젤라틴 등의 겔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부운 다음 냉각시켜 제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아가로스 또는 아가 수용액 또는 1 내지 5%의 젤라틴 수용액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아가로스 수용액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플레이트(2) 및 커버(4)는 겔 형태이므로 건조 및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생검시료의 검사를 수행하기 전에는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에 넣어서 보관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100%의 알코올에 넣어서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2)는 생검시료(10)를 도입하여 시료의 오염 및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함입부(6)가 플레이트(2)의 일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플레이트(2)의 크기는 통상적인 검사방법에서 사용하는 카세트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가로 대 세로의 길이 비율을 1 : 1 내지 1 : 3으로 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2)의 높이는 도입되는 생검시료(10)의 용량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의 일측에 형성된 함입부(6)는 생검시료(10)의 크기 및 용량 등에 따라 크기 및 함입높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가로 대 세로의 길이 비율을 1 : 1 내지 1 : 3으로 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함입부(6)의 함입높이는 도입되는 생검시료(10)의 용량 및 크기에 따라 조절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의 일측에 형성된 함입부(6)는 생검시료의 종류 및 염색방법 등 생검시료를 차별화하여 검사하는 방식에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개의 함입부가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관점으로서, 상기 플레이트(2)의 함입부(4) 형태는 사각형이 바람직하지만, 생검시료의 크기 및 용량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4)는 그 일측에 형성되고 생검시료(10)가 도입된 상기 플레이트(2)의 함입부(6)에 삽입되어 덮을 수 있도록 돌출부(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4)의 크기는 상기 플레이트(2)의 크기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커버(4)의 높이는 플레이트(2)의 높이보다 낮게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4)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8)의 크기, 돌출높이, 형태 및 개수는 상기플레이트(2)의 일측에 형성된 함입부(6)의 크기, 함입높이, 형태 및 개수에 따라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도입되는 생검시료(10)가 오염되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기구는 플레이트(2)의 일측에 형성된 함입부(6)에 생검시료(10)를 도입시키고, 생검시료(10)가 도입된 상기 플레이트(2) 상단에 플레이트(2)의 함입부(6)에 삽입되어 덮을 수 있도록 돌출부(8)를 구비한 커버(2)를 안착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생검시료의 오염 및 유실을 방지한 검체 표본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검사하려는 생검시료의 관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 양태로서, 생검시료가 도입된 본 고안의 보조기구는 파라핀 또는 밀납등의 왁스를 이용하여 포매(embedding)블록으로 제조하고, 이를 박절하여 생검시료의 검체 표본으로 제조한 후, 통상의 검사방법으로 생검시료를 관찰 할 수 있다.
생검시료가 도입된 본 고안의 보조기구를 포매블록으로 제조하기 전에 추가적으로 알코올로 탈수시키고, 탈수된 보조기구를 다시 자일렌(xylene)에 침지시켜 투명하게 만들어 준 다음 파라핀(paraffin) 또는 밀납 등의 왁스를 침투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처리 과정을 거친 생검시료(10)가 도입된 본 고안의 보조기구를 베이스 몰드(14)에 넣고, 소량의 왁스(16)를 본 고안의 보조기구 상단에 부어준 다음 냉각하면 견고한 포매블록(18)을 수득할 수 있다. 이 때, 왁스(16)를 부어준 다음 그 위에 카세트(12)를 씌우는 과정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완전한 포매블럭(18)을 박절하기 위해서 조직 박절기(22)를 이용해야 하는데, 조직 박절기(22)에는 카세트(12)에 맞는 홀더가 있어 포매블록(18)의 탈부착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완성된 포매블록(18)을 포함하는 카세트(12)를 조직 박절기(microtome)(22)에 고정시키고 상기 포매블록(18)을 얇게 박절하여 생검시료(10)를 포함하는 절편(20)인 검체 표본으로 제조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편(20)을 투명한 유리 슬라이드(24)에 붙인 후, 원하는 검사를 시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이를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고안에 따른 보조기구의 플레이트 및 커버의 제조
비이커에 증류수 100㎖ 및 4g의 아가로스를 넣은 다음 가열하면서 아가로스를 용융시켰다.
상기 아가로스 수용액을 플레이트 및 커버의 주형에 부운 다음 실온까지 서서히 냉각시켜 겔화하였다. 이 때 겔화된 플레이트의 가로 및 세로 길이는 10㎜, 높이는 4㎜였고,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함입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는 5㎜, 높이는 3㎜였다. 또한 겔화된 커버의 가로 및 세로 길이는 10㎜, 높이는 1.5㎜였고, 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는 4㎜, 높이는 1㎜였다.
실시예 2
본 고안의 보조기구를 이용한 생검시료를 포함하는 포매블록 및 절편의 제작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플레이트의 함입부에 생검시료를 도입시키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커버를 상기 플레이트 상단에 안착시켰다.
상기 플레이트 상단에 커버가 안착된 본 고안의 보조기구를 70% 알코올에서 1 내지 2시간, 80% 알코올에서 1 내지 2시간, 90% 알코올에서 1 내지 2시간, 100% 알코올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침지하여 탈수시켰다. 탈수된 아가로스 겔은 자일렌에 2 내지 4시간 동안 침지하여 투명하게 만들어준 다음 파라핀을 2 내지 4시간 동안 침투시켰다.
이렇게 수득한 본 고안의 보조기구를 포매기(Embedding Center, MICROM, 독일)에서 박절할 면이 하향이 되도록 베이스 몰드에 넣고 파라핀을 약간 첨가한 다음 카세트를 살짝 덮어 냉판(cold plate)에서 굳혔다. 상기 첨가한 파라핀을 완전히 굳힌 후 베이스 몰드에서 카세트를 분리시켜서 포매블록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포매블록은 조직 박절기(Microtome)를 이용하여 얇게(4~8㎛) 박절(cutting)하였고, 박절된 절편을 유리 슬라이드에 붙인 후 원하는 검사를 시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고안의 보조기구는 생검시료의 오염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극소량의 고형시료 또는 점액성 시료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검체 표본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생검시료의 조직학적 또는 세포학적 검사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용매의 출입이 가능한 겔 형태의 플레이트(2) 및 커버(4)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의 일측에 형성된 생검시료(10)가 도입되는 공간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함입부(6); 및
    상기 커버(4)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의 함입부(6)에 삽입되어 덮을 수 있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2) 및 커버(4)의 재질이 아가로스, 아가 또는 젤라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를 포함하는 포매블럭(18).
KR20-2004-0011651U 2004-04-27 2004-04-27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 KR200358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51U KR200358176Y1 (ko) 2004-04-27 2004-04-27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51U KR200358176Y1 (ko) 2004-04-27 2004-04-27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867A Division KR100458860B1 (ko) 2004-04-22 2004-04-22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176Y1 true KR200358176Y1 (ko) 2004-08-07

Family

ID=4943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651U KR200358176Y1 (ko) 2004-04-27 2004-04-27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1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8156B2 (ja) 組織標本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3049537B2 (ja) 生検試料の定着支持方法とその定着支持剤及び包埋カセット
Sadeghipour et al. Making formalin-fixed, paraffin embedded blocks
KR100458860B1 (ko)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
CA2665687C (en) Biopsy support with sectionable resilient cellular material
JP4083119B2 (ja) 組織学研究のための組織サンプルを調製および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4373438B2 (ja) レシピエント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039396A2 (en) Non-embedded tissue microarray technology for protein and nucleic acid analyses
ITCA20120004A1 (it) Unico reattivo disidratante e diafanizzante per istologia e citologia non nocivo e non tossico, biodegradabile 88%, a bassa volatilita&#39;
Islam et al. Plastic embedding in routine histology I: Preparation of semi‐thin sections of undecalcified marrow cores
EP383024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paring cytological samples
Rossi et al. A method for ultrastructural study of lesions found in conventional histological sections
JP2006300667A (ja) 包埋支持剤の固定固化器具及び生物試料の保持方法並びにテッシュアレイヤーゲル
JP4592434B2 (ja) 細胞診標本の作製方法及びそれにより作製された細胞診標本
KR200358176Y1 (ko) 생검시료의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
Mondal Manual of histological techniques
Eastham et al. Use of tissues embedded in epoxy resin for routine histological examination of renal biopsies
Shariff et al. Principles & interpretation of laboratory practices in surgical pathology
WO2000049383A1 (en) Combined en bloc staining and embedding process
Armstrong et al. Backprocessing paraffin wax blocks for subgross examination.
Shaw et al. Correct orientation of specimens for histologic processing: preliminary embedding in agar
Carleton Histological technique for normal tissues, morbid changes and the identification of parasites
US11828690B2 (en) Cytology cell block preparation devices and methods of cell block prepartaion using same
Stirling General tissue preparation methods
EP3929559A1 (en) Method and kit for the preparation of cellbl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