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925Y1 - 전자 레인지의 컨트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 레인지의 컨트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925Y1
KR200357925Y1 KR20-2004-0013638U KR20040013638U KR200357925Y1 KR 200357925 Y1 KR200357925 Y1 KR 200357925Y1 KR 20040013638 U KR20040013638 U KR 20040013638U KR 200357925 Y1 KR200357925 Y1 KR 200357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keypad
microwave oven
ho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3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9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9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제조 단가의 저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전체적인 조립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디스플레이부의 원활한 관측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전자 레인지용 컨트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외관을 형성하며, 그 면상에는 노출공이 형성됨과 더불어 회로라인 등의 관통이 가능하도록 절개공이 형성된 컨트롤 패널; 상기 컨트롤 패널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의 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고정되어 이루어진 회로기판; 상기 컨트롤 패널의 외측 면상에 부착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의 노출공이 형성된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는 투명하게 이루어진 상태로 각종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절개공을 관통하여 회로기판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라인을 가지는 키패드부;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의 노출공이 형성된 부위와 상기 키패드부의 투명 부위 사이에 구비되는 소정 두께의 투시창: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컨트롤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 레인지의 컨트롤 어셈블리{tray assembly in microwave oven}
본 고안은 전자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제어 등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컨트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레인지(MWO : microwave oven)는 고주파(초당 약 2,450MHz)를 가열원으로하여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간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이와 같은 전자 레인지 중 컨트롤 어셈블리는 각종 수동 조작에 따른 명령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종래 전자 레인지의 컨트롤 어셈블리가 도시되고 있다.
즉, 종래 전자 레인지의 컨트롤 어셈블리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도시는 생략됨)의 측편인 전장실의 전방측에 구비된다.
상기한 컨트롤 어셈블리는 크게 디스플레이부(11)와, 조작부(12)와, 회로기판(13)과, 컨트롤 패널(14)과, 서포터(15) 그리고, 투시창(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각종 제어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형성된 것이며, 상기 조작부(12)는 다이얼 형태로 각종 조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부분으로써, 상기 회로기판(13)상에 각각 일체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 및 조작부(12)가 일체화된 회로기판(13)은 상기 컨트롤 패널(14)의 내측면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13)에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각종 제어의 선택을 위한다수의 스위치(13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14)은 컨트롤 어셈블리의 외관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컨트롤 패널(14)의 면상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의 외부 노출을 위한 노출공(14a)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조작부(12)가 관통되는 관통공(14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14)의 면상인 상기 노출공(14a)의 둘레부위 및 상기 조작부(12)의 양측 부위에는 다수의 걸림공(14c)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15)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의 전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서포터(15)의 후면 둘레 부위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14)의 각 걸림공(14c)에 결합되어 걸리도록 다수의 후크(15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14)과 동일한 형태의 노출공(15b) 및 관통공(15c)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서포터(15)에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각종 제어의 선택을 위한 다수의 버튼(15d)이 결합되며, 상기 각 버튼(15d)은 상기 컨트롤 패널(14)을 관통하여 회로기판(13)에 구비된 각종 스위치(13a)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16)은 투명한 유리로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15)의 노출공(15b) 및 상기 컨트롤 패널(14)의 노출공 사이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부(11)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전술한 일련의 구조로 구성되는 종래의 컨트롤 어셈블리는 별도의 서포터(15)가 추가로 제공되어야 함으로써 재료비의 상승이 야기된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유리 재질의 투시창(16)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임을 고려한다면 각종 이물질에 의한 오염 혹은, 사용자의 손과 접촉됨에 따른 오염 등이 쉽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서포터(15)에 구비되는 버튼(15d)의 조작 불량이 자주 발생되어 사용자의 불만이 야기된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 단가의 저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전체적인 조립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디스플레이부의 원활한 관측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전자 레인지용 컨트롤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전자 레인지의 컨트롤 어셈블리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종래 컨트롤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컨트롤 어셈블리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디스플레이부 130. 회로기판
140. 컨트롤 패널 141. 노출공
142. 절개공 150. 키패드부
151. 투명 부위 152. 회로라인
160. 투시창 170. 접착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며, 외관을 형성하며, 그 면상에는 노출공이 형성됨과 더불어 회로라인 등의 관통이 가능하도록 절개공이 형성된 컨트롤 패널; 상기 컨트롤 패널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의 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고정되어 이루어진 회로기판; 상기 컨트롤 패널의 외측 면상에 부착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의 노출공이 형성된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는 투명하게 이루어진 상태로 각종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절개공을 관통하여 회로기판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라인을 가지는 키패드부;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의 노출공이 형성된 부위와 상기 키패드부의 투명 부위 사이에 구비되는 소정 두께의 투시창: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컨트롤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하, 도시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어셈블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컨트롤 어셈블리는 크게 컨트롤 패널(140)과, 디스플레이부(110)가 일체로 고정된 회로기판(130)과, 키패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140)은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의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140)의 면상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외부 노출을 위한 노출공(141)이 형성됨과 더불어 회로라인 등의 관통이 가능하도록 절개공(1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공(142)은 상기 컨트롤 패널(140)의 측부에 그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130)은 상기 컨트롤 패널(14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140)의 노출공(1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일체로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부(150)는 상기 컨트롤 패널(140)의 외측 면상에 부착되며, 각종 제어의 선택이 가능한 필름 형태의 조작 패드이다.
이 때, 상기 키패드부(150)의 각 부위 중 상기 컨트롤 패널(140)의 노출공(141)이 형성된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151)는 투명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140)의 절개공(142)을 관통하여 회로기판(130)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라인(152)을 가진다.
한편, 전술한 본 고안의 컨트롤 어셈블리에 대한 일련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140)의 전면에는 상기 키패드부(150)의 두께만큼 함몰되게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키패드부(150)를 상기 컨트롤 패널(140)의 전면에 부착 고정하더라도 상기 컨트롤 패널(140)의 전면으로 돌출됨을 방지하여 디자인 효과의 향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술한 본 고안의 컨트롤 어셈블리는 키패드부(150)가 유연한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됨을 고려할 때 컨트롤 패널(140)의 노출공(141)이 형성된 부위가 들뜨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출공(141)이 형성된 부위와, 상기 키패드부(150)의 투명 부위 사이에 소정 두께를 가지는 유리 재질의 투시창(160)을 더 구비한다.
즉, 단단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투시창(160)으로 인해 상기 키패드부(150)의 투명 부위(151)는 상기 투시창(160)에 밀착되기 때문에 들뜨게 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부(150)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부(170)를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140)에 부착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접착부(170)는 상기 키패드부(150)의 테두리 부위를 따라서만 부착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접착부가 상기 키패드부(150)의 투명 부위에도 부착될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세밀하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컨트롤 어셈블리에 따른 구조에 의해 다음과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고안의 컨트롤 어셈블리는 별도의 서포터가 필요치 않게 되어 전체적인 재료비의 저감을 얻을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둘째, 투시창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손때 등의 오염이 적은 필름 상태의 키패드가 컨트롤 패널의 표면에 제공되기 때문에 각종 오염에 의한 식별 불량 등의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키패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 서포터의 버튼 불량에 따른 사용자의 불만이 해소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외관을 형성하며, 그 면상에는 노출공이 형성됨과 더불어 회로라인 등의 관통이 가능하도록 절개공이 형성된 컨트롤 패널;
    상기 컨트롤 패널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의 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고정되어 이루어진 회로기판;
    상기 컨트롤 패널의 외측 면상에 부착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의 노출공이 형성된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는 투명하게 이루어진 상태로 각종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절개공을 관통하여 회로기판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라인을 가지는 키패드부;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의 노출공이 형성된 부위와 상기 키패드부의 투명 부위 사이에 구비되는 소정 두께의 투시창: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컨트롤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의 외측 면상인 상기 키패드가 부착되는 부위는 상기 키패드의 두께만큼 함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컨트롤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와 컨트롤 패널간의 사이에는 상기 키패드부의 테두리 부위를따라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부가 구비되어 상호간의 부착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컨트롤 어셈블리.
KR20-2004-0013638U 2004-05-17 2004-05-17 전자 레인지의 컨트롤 어셈블리 KR200357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638U KR200357925Y1 (ko) 2004-05-17 2004-05-17 전자 레인지의 컨트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638U KR200357925Y1 (ko) 2004-05-17 2004-05-17 전자 레인지의 컨트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925Y1 true KR200357925Y1 (ko) 2004-07-30

Family

ID=4934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638U KR200357925Y1 (ko) 2004-05-17 2004-05-17 전자 레인지의 컨트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9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528B1 (ko) * 2004-10-26 2006-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용 컨트롤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528B1 (ko) * 2004-10-26 2006-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용 컨트롤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5974C (en) Illuminated switch assembly with combined light and light shield
JP5460207B2 (ja) 冷蔵庫
US10180250B2 (en) User interface for a household appliance
JP2008066163A (ja) 操作表示装置
AU2015282309B2 (en) Refrigerator
KR200357925Y1 (ko) 전자 레인지의 컨트롤 어셈블리
CN107773192B (zh) 电器、具有面板的这种电器的结构和制造这种结构的方法
US5491314A (en) Flat high temperature membrane switch display window
JPH06209849A (ja) 調理器
US20210311681A1 (en) Appliance handle with automatic shutoff of input interface elements
CN111023178A (zh) 显示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JP2019027759A (ja) 冷蔵庫
KR200443891Y1 (ko) 에이브이기기의 볼륨노브 조명 구조
JP2000161682A (ja) 加熱調理器
KR101510934B1 (ko) 가전기기용 장치
EP3315649B1 (en) Dashboard for electrical appliances and electrical appliance having such dashboard
JPH0916754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EP3594792A1 (en) A touch control system
KR200308689Y1 (ko) 전자레인지의 표시부 구조
KR102280561B1 (ko) 컨트롤 패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970004504Y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캐비넷 결합장치
KR200207710Y1 (ko) 전자렌지
JP2012048875A (ja) 加熱調理器
JPH1070374A (ja) スイッチ構造
JPS6012176Y2 (ja) 電子機器の操作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