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650Y1 - 용기 휴대용 끈 - Google Patents

용기 휴대용 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650Y1
KR200357650Y1 KR20-2004-0013742U KR20040013742U KR200357650Y1 KR 200357650 Y1 KR200357650 Y1 KR 200357650Y1 KR 20040013742 U KR20040013742 U KR 20040013742U KR 200357650 Y1 KR200357650 Y1 KR 200357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anger
neck
hook ring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기
Original Assignee
김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기 filed Critical 김호기
Priority to KR20-2004-0013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6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6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03Suspen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0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0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 A45F2005/1006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with means embracing the hand article to be carried
    • A45F2005/1013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with means embracing the hand article to be carried comprising a strap or ban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0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 A45F2005/108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트 병(용기) 등과 같은 음료 용기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이용 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의 넥크(neck)에 간편하게 끈을 걸어 어깨에 걸거나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하여 음료 용기를 쉽고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걸이용 끈의 표면에 문자나 로고 등을 넣어 광고 및 판촉용도로 사용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 휴대용 끈은, 용기 본체의 넥크부 윗면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과하여 넥크에 장착되는 걸이링과, 상기 걸이링을 중심으로 용기 본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고 걸이링의 양단에 결합되는 걸이끈과,
상기 걸이끈의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걸이끈에 결합된 길이조절 클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기 본체의 넥크부 윗면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과하여 넥크에 장착되는 걸이링과, 상기 걸이링을 중심으로 용기 본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걸이링에 결합된 걸이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 휴대용 끈{A string of receptacle carrying}
본 고안은 패트병 등과 같은 음료 용기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이용 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의 넥크(neck)에 간편하게 끈을 걸어 어깨에 걸거나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하여 음료 용기를 쉽고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걸이용 끈의 표면에 문자나 로고 등을 넣어 광고 및 판촉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물이나 음료를 담아 판매되고 있는 용기는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은 형상과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보통 사용 재질에 따라 합성수지로 성형된 경우는 패트(PET)병으로 불리워진다.
용기(10)의 구조를 도 1을 참고로 보면, 본체(11)와, 본체(11)의 상부 쪽에 넥크(12)가 있고, 그 넥크(12)부는 마개(13)의 결합을 안내하는 플랜지(14)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14)의 상부 쪽으로는 내용물을 넣고 뺄수 있는 입구(15)로 구성되고, 상기 입구(15)를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게 입구(15)의 나사부(16)를 따라 결합되고 탈거되는 마개(14)로 되어 있다. 종류에 따라서는 마개(14) 한번 열면 다시 닫기가 되지 않는 용기도 있다.
이러한 용기(10)는 전체적으로 외관이 둥근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작은 용기는 한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으나 큰 용기는 잡기도 어렵고 무게도 많이나가 휴대하기가 불편했다.
휴대 불편을 개선하기 위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도 2는 물통 용기(10)의 일측 방향에 걸이끈(17)을 걸을 수 있도록 걸이홈(18)을 설치한 경우로서, 걸이홈(18)에 걸이끈(17)을 달아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유사한 다른 구조는 넥크(12) 부분에 걸이홈(18)을 형성하거나 용기 본체(11)에 걸이끈(17)을 걸 수 있는 다른 부착수단을 장착하여 걸이끈(17)을 파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 구조는 물통 용기 본체(11) 부분에 걸이끈(17)을 걸 수 있는 걸이홈(18)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걸이홈(18)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 제작비용이 증가되고, 또한 걸이홈(18)의 형성으로 인해 외관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었으며, 용기 본체(11)에 커버나 다른 부착수단을 씌워서 걸이끈(17)을 고정하는 방식도 마찬가지로 제작 비용이 과다하게 들 뿐만 아니라 쉽게 걸이끈이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특히, 걸이끈(17)은 한 개의 용기(10)에 고정형으로 장착되는 형식이기 때문에 다른 용기(10)에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갖지 않는다.
한편, 물이나 음료수 등을 담는 일회용 용기들은 이러한 걸이끈(17)의 부착 필요성이 없어 휴대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는데, 휴대 방법은 용기를 넣을 수 있는 별도의 가방에 담아 가방을 통해 휴대하거나 아니면 용기(10)의 넥크 (12)부분을 손으로 파지 하여 휴대하게 된다. 하절기에는 특히 야외에서의 사용이빈번하지만 가방을 이용하기는 부적합하고 또한 손으로 들고 다니기도 불편하며, 냉장 처리된 경우 손으로 들어 휴대하면 쉽게 온도가 변하는 등 용기 휴대에 다양한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의 휴대 필요에 따라 용기에 직접 걸어서 사용할 수 있는 용기 휴대용 걸이 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기의 휴대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한 개의 걸이끈을 가지고 여러 가지 용기에 거는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는 호환 가능한 휴대용 걸이 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걸이끈은,
용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쪽에 플랜지를 구비하는 넥크가 있고, 내용물을 넣고 뺄 수 있는 입구를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게 입구를 따라 결합되고 탈거 되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넥크부 윗면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과하여 넥크에 장착되는 걸이링과,
상기 걸이링을 중심으로 용기 본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고 걸이링의 양단에 결합되는 걸이끈과,
상기 걸이끈의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걸이끈에 결합된 길이조절 클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용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쪽에 플랜지를 구비하는 넥크가 있고, 내용물을 넣고 뺄 수 있는 입구를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게 입구를 따라 결합되고 탈거되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넥크부 윗면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과하여 넥크에 장착되는 걸이링과,
상기 걸이링을 중심으로 용기 본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걸이링에 결합된 걸이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용기의 구조 및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용기에 대한 휴대용 끈의 설치 상태를 예로서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걸이끈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걸이끈을 용기에 장착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걸이끈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걸이끈을 용기에 장착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1 : 용기본체
12 : 넥크 14 : 플랜지
20 : 끈 21 : 걸이링
22 : 걸이끈 23 : 길이조절클립
24 : 제1결합부 25 : 장착대
26 : 제2결합부 28 :연결용 클립
29 : 고리부 30 : 탄성판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걸이끈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걸이끈을 용기에 장착한 사용상태 참고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걸이끈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고, 도 6은 도 4의 걸이끈을 용기에 장착한 사용상태 참고도 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10) 휴대용 걸이끈(20)은, 도 3 및 도 5 와 같이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부 쪽에 플랜지(14)를 구비하는 넥크(12)가 있고, 내용물을 넣고 뺄 수 있는 입구(15) 및 상기 입구(15)를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게 입구의 나사부(16)를 따라 결합되고 탈거 되는 마개(13)로 이루어지는 용기(10)의 형태에 장착하여 사용이 가능한 구조이다.
제1실시 예에 따른 걸이끈(20)은 도 3과 같이, 용기 본체(11)의 넥크부 윗면에 형성된 플랜지(14)를 통과하여 넥크(12)에 장착되는 걸이링(21)과, 상기 걸이링(21)에 결합되어 걸이링(21)을 중심으로 용기 본체(11)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걸이링(21)에 양단이 결합되는 걸이끈(22)과, 상기 걸이끈(22)의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걸이끈에 결합된 길이조절 클립(23)을 더 구비한다.
상기 걸이끈(22)은 일단 한쪽이 제1결합부(24)를 형성하여 걸이링(21)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걸이링(21)을 관통하여 상기 길이조절 클립(23)의 장착대(25)에 제2결합부(26)로 결합되어 걸이끈(2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길이조절 클립(23)은, 걸이끈(22)을 장착할 수 있게 가운데 부분에 장착대(25)가 형성되고, 그 장착대(25)를 중심으로 걸이끈(22)이 양 방향에서 통과하도록 통과홈(27a)(27b)을 형성한 통상의 길이조절 클립(23)의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장착대(25)를 중심으로 걸이끈(22)의 길이를 마찰력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2실시 예에 따른 걸이끈(22)은 도 5와 같이, 용기 본체(11)의 넥크부 윗면에 형성된 플랜지(14)를 통과하여 넥크(12)에 장착되는 걸이링(21)과, 상기 걸이링(21)을 중심으로 용기 본체(11)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걸이링(21)에 결합된 걸이끈(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이끈(22)은 상대 구조물에 걸거나 장착할 수 있는 별도의 연결용 클립(28)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용 클립(28)은 고리부(29)가 있고, 이 고리부(29)에 탄성판(30)이 설치되어, 탄성판(30)을 벌린 상태에서 고리부(29)를 가방이나 물건에 걸수 있는 통상의 연결용 클립(28)을 적용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휴대용 걸이 끈(30)에 의한 용기의 휴대 및 사용 효과 등을 도 4 및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용기 본체(11)의 넥크(12)에 걸이끈(22)을 장착한 사용상태로서, 걸이링(21)이 용기 본체(11)의 넥크(12)에 장착된다. 용기 본체(11)의 넥크(12)에 장착되는 걸이링(21)은 용기 본체(11)의 넥크(12)의 윗면에 형성되는 플랜지(14)를 통과하여 장착되는데, 플랜지(14)의 사이즈에 비해 넥크(12)의 둘레가 보다 좁으므로 플랜지(14)를 통과한 걸이링(21)은 넥크(12)에 안착되면 플랜지(14)에 걸려 잘 빠지지 않는 상태로 용기 본체(11)에 장착된다.
즉, 걸이링(21)은 바깥쪽에서 플랜지(14)를 통과하여 들어갈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되지만, 일단 플랜지(14)를 통과하여 넥크(12)에 위치하면 플랜지(14)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작은 넥크(12)에 안착되어 정확하게 플랜지(14)의 결합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걸이링(21)을 빼내지 않는 이상 각 방향으로 흔들거나 움직여도 빠지지 않는 상태로 장착된다.
걸이링(21)은 고무재의 링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면 탄력으로 삽입하고 반대로 탈거할 수 있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휴대 대상이 되는 용기(10)에 걸이링(21)을 장착하면, 직접 용기 본체(11)를 손으로 잡지 않고 걸이끈(22)을 통해 용기 본체(11)를 들거나 운반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용기를 걸이끈(22)을 통해 휴대할 수 있게 되며, 걸이끈(22)은 직접 손으로 잡거나 아니면 어깨에 걸 수 있다. 이때, 휴대의 목적과이용법에 따라 걸이끈(22)의 길이를 길이조절 클립(23)을 이동시켜 조절하며, 어깨에 걸 경우 걸이끈(22)의 길이를 길게 조절하고, 손으로 잡을 경우는 걸이끈(22)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여 휴대 편의성도 갖는다.
도 6은 연결용 클립(28)을 구비하는 걸이끈(22)의 사용상태로서, 걸이링(21)을 용기 본체(11)의 넥크(12)에 장착하여 가방이나 물건에 연결용 클립(28)의 탄성판(30)을 작동시켜 고리부(29)를 통해 용기 본체(11)를 걸어서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데 적합하며, 별도로 걸이끈(22)의 길이 조절 없이 손으로 들고 휴대하는데도 적합하다.
어느 형태이거나 용기 본체(11)에 걸이링(21)을 간편하게 장착시켜 걸이끈(22)을 통해 편리하게 용기를 휴대할 수 있으며, 용기(10)에 담겨진 내용물이 다 소모되고, 또한 새로운 용기에 같은 목적으로 걸이 끈(20)을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용기 본체(11)의 넥크(12)에 장착된 걸이링(21)을 수직 방향으로 탈거 하여 장착 대상 용기(10)에 쉽게 장착하여 걸이 끈(20)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물병이나 음료수 용기 등을 손으로 들고 다니지 않고 필요에 따라 걸이끈을 용기에 장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들고 다니는 불편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걸이끈의 표면에 회사 광고 등의 로고나 문자를 넣어 광고 및 판촉용도로서 광범위한 활용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용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쪽에 플랜지를 구비하는 넥크가 있고, 내용물을 넣고 뺄 수 있는 입구를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게 입구를 따라 결합되고 탈거되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넥크부 윗면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과하여 넥크에 장착되는 걸이링과,
    상기 걸이링을 중심으로 용기 본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고 걸이링의 양단에 결합되는 걸이끈과,
    상기 걸이끈의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걸이끈에 결합된 길이조절 클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휴대용 걸이 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끈은 한쪽이 걸이링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걸이링을 관통하여 상기 길이조절 클립에 결합되어 어깨끈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휴대용 걸이 끈.
  3. 용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쪽에 플랜지를 구비하는 넥크가 있고, 내용물을 넣고 뺄 수 있는 입구를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게 입구를 따라 결합되고 탈거되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넥크부 윗면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과하여 넥크에 장착되는 걸이링과,
    상기 걸이링을 중심으로 용기 본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걸이링에 결합된 걸이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휴대용 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끈은 상대 구조물에 걸거나 장착할 수 있는 별도의 연결용 클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휴대용 끈.
KR20-2004-0013742U 2004-05-18 2004-05-18 용기 휴대용 끈 KR200357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742U KR200357650Y1 (ko) 2004-05-18 2004-05-18 용기 휴대용 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742U KR200357650Y1 (ko) 2004-05-18 2004-05-18 용기 휴대용 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650Y1 true KR200357650Y1 (ko) 2004-07-31

Family

ID=4943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742U KR200357650Y1 (ko) 2004-05-18 2004-05-18 용기 휴대용 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6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113B1 (ko) 2008-07-25 2011-01-1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113B1 (ko) 2008-07-25 2011-01-1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용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9157B2 (en) Food and beverage cooler assembly
US20090301990A1 (en) Stainless steel container and plastic cap with finger loop and stainless steel plug
US8235190B2 (en) Cup holder for wheeled luggage
US5167354A (en) Beverage-container carrier and sipping assembly
US5328069A (en) Versatile beverage container cover
US7753240B2 (en)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US5509551A (en) Beverage container dispensing cap
US6766917B1 (en) Closure with hinged hook
US20100078451A1 (en) Portable carrier for beverage containers
US4165814A (en) Container for potable liquid
US20060201956A1 (en) Magnetized insulator for beverage container
US20100108857A1 (en) Spray Bottle Carrying Apparatus
US20150041427A1 (en) Combination Bottle Handle, Opener and Hanger
JP3125320U (ja) 飲料水用ペットボトルの吊垂ホルダー
KR200357650Y1 (ko) 용기 휴대용 끈
US20050109803A1 (en) Water bottle holder
US20050184078A1 (en) Drinking container with article holding clip
US20020108960A1 (en) Holder for a child&#39;s beverage cup
US20060150341A1 (en) Cup with combination caribiner and bottle opener
US20030146254A1 (en) Cap for closing an opening in a liquid container
JP3083538U (ja) 飲料瓶の掛け具
US20120000042A1 (en) Bottle and Key Clip
US6138829A (en) Beverage containment device
CN219077711U (zh) 一种新型酒瓶
US11548775B2 (en) Protective cap for beverage dispensing spig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