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390Y1 - Fire escape apparatus - Google Patents

Fire escap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390Y1
KR200357390Y1 KR20-2004-0000050U KR20040000050U KR200357390Y1 KR 200357390 Y1 KR200357390 Y1 KR 200357390Y1 KR 20040000050 U KR20040000050 U KR 20040000050U KR 200357390 Y1 KR200357390 Y1 KR 200357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ire
main body
build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05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태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김성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20-2004-0000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39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390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hydraul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65H75/403Carriage with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89Fluid mo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에 화재 발생 등 건물의 창문을 통하여 탈출을 시도해야 하는 긴급한 상황 발생 시, 베란다에 기 설치된 화재피난장치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지상으로 피난할 수 있으며, 자체 충전배터리를 구비하여 화재 등으로 건물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작동이 가능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혼자서도 안전한 피난이 가능함으로써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화재피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vacuation device, and in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a fire must be escaped through a building window, such as a fire, the evacuation device can be safely evacuated to the ground by using a fire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veranda. Equipped with a battery, it is possible to operate even if the power of the building is cut off due to a fire, etc., and it is easy to operate and provides a safety evacuation device that can protect people by safe evacuation by themselves.

Description

화재피난장치{FIRE ESCAPE APPARATUS}Fire evacuation device {FIRE ESCAPE APPARATUS}

본 고안은 화재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에 화재 발생 등 건물의 창문을 통하여 탈출을 시도해야 하는 긴급한 상황 발생 시, 베란다에 기 설치된 화재피난장치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지상으로 피난할 수 있으며, 자체 충전배터리를 구비하여 화재 등으로 건물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작동이 가능하며, 조작이 간편하여 혼자서도 안전한 피난이 가능함으로써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화재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vacuation device, and in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a fire must be escaped through a building window, such as a fire, the evacuation device can be safely evacuated to the ground by using a fire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verand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vacuation device equipped with a battery that can be operated even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building is cut off due to a fire and the like, and the operation is simple and safe evacuation is possible by a single person.

통상적으로 빌딩 등의 고층건물에는 비상 탈출구 및 비상 탈출 장비가 구비되어 있으나 일반주택 또는 소형건물에는 비상 탈출을 위한 구조물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Typically, high-rise buildings such as buildings are equipped with emergency escape and emergency escape equipment, but the general housing or small buildings are not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emergency escape.

또한, 공동주거건물인 아파트의 경우에는 대형건물이면서도 소방법상 요구되는 별도의 비상 탈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화재발생 등과 같은 비상사태 시 탈출로가 확보되지 못하여 큰 인명피해를 불러올 뿐만 아니라, 베란다 측의 창문으로 탈출을 시도하여 고층에서 뛰어내림으로써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apartments that are co-residential buildings are large buildings and do not have a separate emergency escape means required by the fire law. Many casualties have occurred by attempting to escape from the side windows and jumping off high floors.

한편, 비상 탈출구와 비상 탈출 장비를 구비하고 있는 대형건물의 경우에도 훈련되지 않은 자가 작동시키기에는 장비의 조작이 어렵기 때문에, 화재 등 긴급한 상황에서는 더구나 이를 제대로 작동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On the other hand, even in a large building equipped with an emergency exit and emergency escape equipment because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equipment to operate the untrained self, it was difficult to operate it properly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뿐만 아니라, 이러한 탈출 또는 피난 장비는 주거공간에 상비되어 있지 아니하고, 특정 장소에 설치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탈출로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장비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the escape or evacuation equipment is not always in the residential space, and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in most cases, it is difficult to move to the position where the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state without securing the escape route.

또한, 건물의 일부에서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하면, 건물 전체에 연쇄적으로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기본적인 비상구의 램프를 제외하고는 건물의 전원을 자동 차단시키게 되므로, 기존의 전동 장비를 사용할 수 없었으며,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발전기를 비상 가동한다 할지라도 사람을 고층에서 지상으로 하강시키기에는 발전기의 전력이 부족하여, 실제로는 전원 차단 시에는 이러한 탈출 또는 피난 장치를 사용할 수 없었다.In addition, when a disaster such as a fire occurs in a part of the building, the power of the building is automatically shut off except for the lamp of the basic emergency exit so that the damage does not spread to the whole building in a chain. In addition, even if a generator is generally operated in emergency operation, the power of the generator is insufficient to lower a person from a high floor to the ground, and thus, such an escape or evacuation device cannot be used when the power is cut off.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에 화재 등 재난이 발생하여 건물을 탈출하고자 할 때, 건물의 베란다 측 창문을 통하여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화재피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fire evacuation device that can safely escape through the windows of the balcony of the building when a disaster such as a fire occurs in the building to escape the building.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물 내부에 발생한 화재 등의 긴급 상황으로부터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조작이 간편하여 혼자서도 안전한 탈출이 용이한 화재피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evacuat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escaped alone by easy operation so that you can quickly escape from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ccurred in the building.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 내부에 발생한 화재 등의 재난으로 건물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구비되는 자체 충전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이 가능한 화재피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evacuation apparatus that can be driven using a self-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even when the power of the building is cut off due to a disaster such as a fire that occurred inside the building.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a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의 사용상태도,3 is a state of use of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화재피난장치의 배면도,4 is a rear view of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for explaining the device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구동회로를 간략히 도시한 회로도.5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evic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화재피난장치 본체 110: 가이드홈100: main body of the fire evacuation device 110: guide groove

112: 스토퍼(STOPPER) 120: 수직 승강 실린더112: stopper 120: vertical lifting cylinder

130: 이동용 바퀴 140: 운반용 손잡이130: moving wheel 140: carrying handle

200: 승강 플레이트(PLATE) 210: 가이드바200: lifting plate (PLATE) 210: guide bar

212: 횡봉 220: 승강 플레이트 상판212: side bar 220: elevating plate top plate

230: 완충패킹 240: 전진 프레임 가이드수단230: buffer packing 240: forward frame guide means

242: 전진 프레임 지지수단 250; 수평 이동 실린더242: forward frame support means 250; Horizontal moving cylinder

260: 와이어 안내롤러 270: 전진 프레임260: wire guide roller 270: forward frame

280: 와이어(WIRE) 300: 장치구동부280: Wire 300: Device driver

310: 컨트롤 패널 320: 충전용 배터리310: control panel 320: rechargeable battery

330: 권취릴(WINDING-REEL) 332: 와이어 권취 가이드330: wind-up reel 332: wire winding guide

340: 오일 밸브 344: 오일 펌프340: oil valve 344: oil pump

346: 오일 박스 350: 유압 펌프346: oil box 350: hydraulic pump

360, 362: 유압펌프 구동모터 370: 배터리 충전기360, 362: hydraulic pump drive motor 370: battery charger

380: 전원공급부 400: 곤돌라(GONDOLA)380: power supply 400: gondola (GONDOL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물 화재 발생 시 긴급 피난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emergency evacuation in case of a building fire,

다수의 프레임 및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며, 탈착 가능한 이동용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와;A main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frames and plates to form a skeleton of the device, the main body having a removable wheel;

상기 본체의 후방에 제공되는 수직 승강 실린더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제공되는 가이드수단의 안내로 승강하여, 건물의 천장에 상기 본체를 밀착 고정하는 승강 플레이트와;An elevating plate which is lifted up and down by a guide of a vertical elevating cylind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and a guide mean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closely fix the main body to a ceiling of a building;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수평 이동 실린더와 가이드수단에 안내되어 전후진하며, 그 선단에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롤러를 구비하는 전진 프레임과;A forward frame which is guided back and forth by the horizontal moving cylinder and the guide means provided on the elevating plate, and includes a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wire at the front end thereof;

상기 본체에 실장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기 안내롤러를 통하여 와이어에 매달린 물체를 승하강시키도록 권취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릴과;A winding reel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rotated by a winding motor to lift and lower an object suspended on a wire through the guide roller of the lifting plate;

상기 본체에 실장되며, 상기 수직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수평 이동 실린더에 오일을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를 구동하는 오일공급부와;An oil supply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to supply oil to the vertical lifting cylinder and the horizontal moving cylinder to drive the cylinder;

상기 각 장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 units;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 인가 시,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각 장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컨트롤 패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피난장치를 제공한다.And a control panel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driving of each device unit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상기 컨트롤 패널에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panel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권취에 따라 하강하여, 탑승자를 피난시키는 곤돌라임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it is preferable that the gondime to evacuate the occupant to descend according to the winding of the wir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건물의 전원이 오프되면 자체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와, 상기 충전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기로 구성됨으로써 건물의 전원공급 시 완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is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building itself, and the battery charger to charge the charging battery when the power of the building is turned off,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stat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천장면밀착 시 쿠션력을 제공하는 완충부재를 천장면 밀착부에 소정 개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fir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fting plate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number of the cushioning member to provide a cushioning force in the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가이드홈과, 이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가이드바로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fir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means is composed of a guide groove and a guide bar that is inserted into i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운반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carrying handl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모터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에 따라 상기 권취릴을 회전시키는 유압펌프 및 이를 구동하는 유압펌프 구동모터로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ke-up motor is composed of a hydraulic pump for rotating the take-up reel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and a hydraulic pump drive motor for driving i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 구동모터는 상기 유압펌프를 정역방향으로 각각 구동시키도록 회전방향이 서로 다른 두 개의 구동모터로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aulic pump drive motor is composed of two drive motors with different rotation directions to drive the hydraulic pump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respectively.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공급부는 상기 수직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수평 이동 실린더에 오일을 전송하는 오일펌프와, 상기 오일펌프로 공급되는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펌프로부터 전송되는 오일을 상기 실린더에 공급하는 유압라인 및 상기 유압라인을 통하여 해당 실린더에 오일을 공급 및 차단, 수거하도록 제어하는 밸브로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 supply unit is an oil pump for transmitting oil to the vertical lifting cylinder and the horizontal moving cylinder, an oil tank for storing the oil supplied to the oil pump, and the oil It consists of a hydraulic line for supplying the oil transmitted from the pump to the cylinder and a valve for controlling to supply, block and collect the oil to the cylinder through the hydraulic lin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화재피난장치의 동작을 지속적으로 제어하는 구동레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panel may further include a drive lever for continuous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e evacuation devic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us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는 크게 본체(100)와, 승강 플레이트(200)와, 장치구동부(300) 및 곤돌라(4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main body 100, a lifting plate 200, the device driving unit 300 and the gondola 400.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화재피난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구동회로를 간략히 도시한 회로도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rear view of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for explaining the device driv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ircuit diagram briefly showing the devic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본체(100)(One). Body 100

상기 본체(100)는 다수의 프레임 및 판재로 이루어져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의 골격을 형성한다.The main body 1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and plates to form the skeleton of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100)는 양 측면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고, 후방에 로드가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와 결합되어 전후진 구동 시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를 승하강시키는 수직 승강 실린더(120)를 구비한다.The main body 100 has guide means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elevating plate 200 on both sides, and the rod is coupled to the elevating plate 200 at the rear to drive the elevating plate 200 forward and backward It has a vertical lifting cylinder 120 for raising and lowering.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10)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홈(110)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가이드바(210)로 구성된다.The guide means includes a guide groove 110 formed in the main body 100 and a guide bar 210 provided in the elevating plate 200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0.

한편, 상기 가이드홈(110)의 일 측에는 상기 가이드바(210) 하강 시, 최저 하강 위치를 잡아주는 스토퍼(112)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110 is provided with a stopper 112 for holding the minimum falling position when the guide bar 210 descends.

또한, 상기 본체(100)는 탈착 가능한 이동용 바퀴(130)를 하면에 구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운반용 손잡이(140)를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 구비하여 이동 또는 운반 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removable moving wheel 130 on the lower surface can be easily carried out to move the position of the fir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ying handle 140 One each provided on the side can be easily carried out when moving or transporting.

상기 본체(100)는 하단부에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를 구동 및 제어하는 장치구동부가 내장되는 장치구동부(300) 실장부를 구비한다.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device driving unit 300 is mounted to the device driving unit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lower end.

(2). 승강 플레이트(200)(2). Elevating plate (200)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는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 제공되는 상기 수직 승강 실린더(120)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제공되는 가이드수단-가이드홈(110)의 안내로 승강하여, 건물의 천장에 상기 본체(100)를 밀착 고정한다.The elevating plate 200 is elevated by a guide of the guide means-guide groove 11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elevating cylinder 120 and the main body 10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building Fix the main body 100 to the ceiling of the close contact.

이를 위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는 양측에 상기 본체(100)의 가이드홈(110)에 안내되어 승하강하는 가이드바(210)를 구비하고, 상면에 건물의 천장과 밀착 고정되는 상판(220)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바(210)을 횡으로 연결하여 상기 전진 프레임(270) 및 상기 전진 프레임 지지수단(242)과 상기 수평 이동실린더(250)를 장착하는 횡봉(212)를 구비한다.To this end, the elevating plate 200 is provided with a guide bar 210 which is guided by the guide groove 110 of the main body 100 to move up and down on both sides, the top plate 220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of the building on the upper surface And a horizontal bar 212 for horizontally connecting the guide bar 210 to mount the forward frame 270, the forward frame support means 242, and the horizontal moving cylinder 250.

상기 승강 플레이트 상판(220)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가 상기 수직 승강 실린더(120)에 의해 승강되어 건물의 천장에 밀착 고정될 때에 구조적으로 견고성이 강화되고 부드럽게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쿠션력을 갖는 완충패킹(230)을 소정 위치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vating plate top plate 220 has a cushioning force so that when the elevating plate 200 is elevated by the vertical elevating cylinder 120 is tightly fixed to the ceiling of the building, it is structurally strong and smoothly fixed. Preferably, the buffer packing 23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전진 프레임(270)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에 제공되는 상기 수평 이동 실린더(250)와 상기 전진 프레임 가이드수단(240)에 안내되어 전후진하며, 그 선단에 와이어(280)를 안내하는 안내롤러(260)를 구비한다.The forward frame 270 is guided back and forth by the horizontal moving cylinder 250 and the forward frame guide means 240 provided on the elevating plate 200, the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wire 280 to the front end 260.

한편, 상기 전진 프레임(270)에 상기 와이어(280)를 통하여 승하강 하는 물체의 하중이 대부분 실리므로, 상기 전진 프레임(27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242)을 더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ad of the object lifting up and down through the wire 280 to the forward frame 270, the support means 242 for supporting the forward frame 270 is further provided.

상기 수평 이동 실린더(250)는 로드가 상기 전진 프레임(270)과 결합되어 전후진 구동 시 상기 전진 프레임(270)을 전후진 시킨다.The horizontal moving cylinder 250 is coupled with the forward frame 270 to advance the forward frame 270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상기 수평 이동 실린더(250) 및 상기 수직 승강 실린더(120)는 유압라인(342)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에 의하여 동작한다.The horizontal moving cylinder 250 and the vertical lifting cylinder 120 is operated by oil supplied from the hydraulic line 342.

한편,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는 상기 횡봉(212)의 소정 위치에 상기 와이어(280)를 안내하는 안내롤러(282)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levating plate 200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282 for guiding the wire 28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ide bar (212).

(3). 장치구동부(300)(3). Device driving unit 300

상기 장치구동부(300)는 상기 본체(100)에 실장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200)의 상기 안내롤러(260)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280)에 매달린 물체를 승하강시키도록 권취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280)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릴(330)를 구비한다.The device driving unit 30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and rotated by a winding motor to lift and lower an object suspended on the wire 280 through the guide roller 260 of the lifting plate 200. It is provided with a winding reel 330 to wind or unwind the wire 280.

상기 권취모터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를 24V의 낮은 전압을 가지고 안정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유압펌프(350) 및 이를 구동하는 유압펌프 구동모터(360, 362)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펌프 구동모터는 상기 물체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유압펌프(35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60)와, 상기 물체를 하강시키도록 상기 유압펌프(35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62)로 이루어진다.The winding motor is composed of a hydraulic pump 350 and hydraulic pump driving motors 360 and 362 to drive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stably with a low voltage of 24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aulic pump driving motor includes a driving motor 360 for driving the hydraulic pump 350 to lift and lower the object, and a driving motor 362 for driving the hydraulic pump 350 to lower the object. .

상기 유압펌프 구동모터(3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B1(313)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유압펌프(350)를 구동하여 상기 곤돌라(400)를 승강시키며, PB2(315)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 구동모터(362)가 구동되어 상기 곤돌라(400)를 하강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hydraulic pump driving motor 360 is driv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B1 313 to drive the hydraulic pump 350 to elevate the gondola 400, and the PB2 315 of the hydraulic pump driving motor 360.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e hydraulic pump driving motor 362 is driven to lower the gondola 400.

상기 장치구동부(300)는 상기 수직 승강 실린더(120) 및 상기 수평 이동 실린더(250)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승강 실린더(120) 및 상기 수평 이동 실린더(250)에 오일을 전송하는 오일펌프(344)와, 상기 오일펌프(344)로 공급할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346)와, 상기 오일펌프(344)로부터 전송되는 오일을 상기 유압라인(342)을 통하여 해당 실린더에 공급 및 차단, 수거하는 밸브(340)로 구성되는 오일공급부를 구비한다.The device driving unit 300 transmits oil to the vertical lifting cylinder 120 and the horizontal moving cylinder 250 to supply oil to the vertical lifting cylinder 120 and the horizontal moving cylinder 250. 344, the oil tank 346 storing the oil to be supplied to the oil pump 344, and supplying and blocking the oil transmitted from the oil pump 344 to the cylinder through the hydraulic line 342, It is provided with an oil supply consisting of a valve 340 for collecting.

상기 오일펌프(34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W1(317)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수직 승강 실린더(120)를 구동하고, S/W2(319)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수평 이동 실린더(250)를 구동한다.As shown in FIG. 5, the oil pump 344 is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S / W1 317 to drive the vertical lifting cylinder 120, and is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S / W2 319. The horizontal moving cylinder 250 is driven.

상기 장치구동부(300)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의 모든 전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80)와 상기 전원공급부(380)로부터 전원 인가 시,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컨트롤 패널(310)을 구비한다.The device driving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380 and the power supply unit 380 for supplying power to all electric devices of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panel 310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ire evacuation device.

상기 전원공급부(380)는 건물의 전원이 오프되면 자체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배터리(320)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320)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기(370)로 구성되어, 건물의 전원공급 시 상기 충전용 배터리(320)를 완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power supply unit 380 is composed of a rechargeable battery 320 to supply power from the building itself when the power is off, and a battery charger 370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320, the power supply of the building When the rechargeable battery 320 is maintained in a fully charged state.

상기 컨트롤 패널(310)은 푸쉬버튼(Push Button) 또는 일반 온/오프 스위치로 구성하여, 키입력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화재피난장치의 동작을 원하는 상태까지 지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레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310 may be configured as a push button or a general on / off switch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key input so as to perform a preset operation or to operate the fire evacuation device. The drive lever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ntinuously control to a desired state.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화재피난장치와 이격되어 있는 상태, 즉 상기 곤돌라(400)에 탑승한 상태 또는 건물을 탈출하여 지상에 있는 경우에도 이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상기 컨트롤 패널에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함)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r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s key to operate even when the user is spaced apart from the fire evacuation device, that is, the state boarded in the gondola 400 or escape from the building on the ground It is preferable to have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panel by wire or wirelessly according to the input.

(4). 곤돌라(400)(4). Gondola (400)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는 재난이 발생한 건물로부터 인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와이어(280)의 일단에 곤돌라(400)를 연결한다.Fir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gondola 400 to one end of the wire 280 in order to escape quickly and safely from the building in which the disaster occurred.

상기 곤돌라(400)는 상기 와이어(280)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280)의 권취에 따라 하강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피난시킨다.The gondola 400 is connected to the wire 280, descends according to the winding of the wire 280, to safely evacuate the occupant.

상기 곤돌라(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280)와 연결된 축을 중심으로 지지축을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the gondola 400 may reinforce a support shaft about an axis connected to the wire 280 so as to stably maintain the center without shak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는 고층 아파트나 상가 등 건물의 각층 베란다에 설치되며, 건물 내부에 화재 등의 재난 발생에 따라 건물의 전원이 차단되어도 자체 충전용 배터리(320)에 의하여 정상 작동되어 인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피난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veranda of each floor of a building such as a high-rise apartment or a shopping mall, and even if the power of the building is cut off due to a disaster such as a fire in the building, It can operate normally to evacuate people quickly and safely.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화재피난장치는 화재 발생 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컨트롤 패널(310) 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구비된 상기 S/W1(317)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오일펌프(344)가 구동되어 상기 수직 승강 실린더(12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를 상승시킨다.In particular,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S / W1 317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310 or the remote controller when the fire occurs, the oil pump ( 344 is driven to drive the lifting plate 200 by driving the vertical lifting cylinder 120.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는 상기 수직 승강 실린더(120)와 상기 가이드홈(110) 및 가이드바(210)의 안내를 받아 건물의 천장까지 상승한다. 이때, 건물 천장과 접촉하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의 상판(220)에 구비되는 완충패킹(230)에 의하여 상기 본체(100)가 부드러우면서 견고하게 밀착 고정된다.The elevating plate 200 is guided by the vertical elevating cylinder 120 and the guide groove 110 and the guide bar 210 to ascend to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t this time, the main body 100 is firmly and firmly fixed by the buffer packing 230 provided on the upper plate 220 of the elevating plate 200 in contact with the building ceiling.

상기 본체(100)가 건물의 천장과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 후,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컨트롤 패널(310) 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구비된 상기 S/W2(319)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오일펌프(344)가 구동되어 상기 수평 이동 실린더(25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전진 프레임(270)을 전진시킨다.After the main body 100 is tightly fixed to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nd firmly fixed, and a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S / W2 319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310 or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The oil pump 344 is driven to drive the horizontal moving cylinder 250 to advance the forward frame 270.

상기 전진 프레임(270)은 끝단에 구비되는 와이어 안내롤러(260)에 연장되어 장착되어 있는 상기 곤돌라(400)가 건물의 베란다를 벗어나 하강 시 걸리지 않을 정도로 전진된다.The advance frame 270 is advanced so that the gondola 400 is extended to the wire guide roller 260 is provided at the end so as not to be caught when falling out of the porch of the building.

상기 곤돌라(400)에 피난자가 탑승한 후,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컨트롤 패널(310) 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구비된 상기 PB2(315)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유압펌프 구동모터(362)가 구동되어 상기 유압펌프(350)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권취릴(330)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곤돌라(400)를 하강시킨다.After the refugee boards the gondola 400,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panel 310 or the PB2 315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the hydraulic pump driving motor 362 is provided. Is driven to drive the hydraulic pump 350. Accordingly, the winding reel 330 is rotated to lower the gondola 400.

또한, 아직 탈출하지 못한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컨트롤 패널(310) 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구비된 상기 PB1(313)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유압펌프 구동모터(360)가 구동되어 상기 유압펌프(350)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권취릴(330)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곤돌라(400)를 승강시킨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person who has not yet escaped, a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PB1 313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310 or the remote controller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and the hydraulic pump driving motor 360 Is driven to drive the hydraulic pump 350. Accordingly, the winding reel 330 is rotated to elevate the gondola 400.

한편, 사용자는 본 고안에 따라 구비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혼자서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건물 밖으로 피난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310)에 구비되는 키들을 각 단계에서 각각 입력하지 않고도 시작버튼만을 입력함으로써 기 프로그래밍된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피난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evacuate quickly and safely out of the building alone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 control unit for storing a predetermined control program and executing the same, the evacuation oper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a pre-programmed sequence by inputting only a start button without inputting keys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310 at each step. Can be done.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equivalents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물에 화재 등 재난이 발생하여 건물을 탈출하고자 할 때, 가장 안전한 탈출로가 될 수 있는 건물의 베란다 측 창문을 통하여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화재피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인명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e evacuation device capable of quickly escaping through the window of the balcony of the building, which can be the safest escape route when a disaster such as a fire occurs in the building, thereby making it the safest escape route. It is effective to protect the maximum.

또한, 본 고안은 조작이 간편한 화재피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건물 내부에 발생한 화재 등의 긴급 상황으로부터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quickly and safely escape from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a fire occurred in the building by providing a fire evacuation device that is easy to operate.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자체 충전용 배터리를 구비하여 정상적인 구동이 가능한 화재피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건물 내부에 발생한 화재 등의 재난으로 건물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e evacuation device that can operate normally with its own rechargeable battery, thereby minimizing human injury by quickly and safely escaping even if the power of the building is cut off due to a disaster such as a fire occurring inside the building. It can be effective.

Claims (11)

건물 화재 발생 시 긴급 피난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emergency evacuation in case of building fire, 다수의 프레임 및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며, 탈착 가능한 이동용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와;A main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frames and plates to form a skeleton of the device, the main body having a removable wheel; 상기 본체의 후방에 제공되는 수직 승강 실린더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제공되는 가이드수단의 안내로 승강하여, 건물의 천장에 상기 본체를 밀착 고정하는 승강 플레이트와;An elevating plate which is lifted up and down by a guide of a vertical elevating cylind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and a guide mean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closely fix the main body to a ceiling of a building;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수평 이동 실린더와 가이드수단에 안내되어 전후진하며, 그 선단에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롤러를 구비하는 전진 프레임과;A forward frame which is guided back and forth by the horizontal moving cylinder and the guide means provided on the elevating plate, and includes a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wire at the front end thereof; 상기 본체에 실장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기 안내롤러를 통하여 와이어에 매달린 물체를 승하강시키도록 권취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릴과;A winding reel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rotated by a winding motor to lift and lower an object suspended on a wire through the guide roller of the lifting plate; 상기 본체에 실장되며, 상기 수직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수평 이동 실린더에 오일을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를 구동하는 오일공급부와;An oil supply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to supply oil to the vertical lifting cylinder and the horizontal moving cylinder to drive the cylinder; 상기 각 장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 units;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 인가 시,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각 장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컨트롤 패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피난장치.And a control panel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driving of each device unit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상기 컨트롤 패널에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피난장치.And a remote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panel by wire or wirelessly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안내롤러를 통하여 와이어에 매달린 상기 물체는,According to claim 1, The object suspended on the wire through the guide roller of the elevating plate,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권취에 따라 하강하여, 탑승자를 피난시키는 곤돌라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피난장치.A fire escape apparatus,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and descends according to the winding of the wire to evacuate an occupa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건물의 전원이 오프되면 자체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와, 상기 충전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피난장치.Fire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harg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building itself, and a battery charger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when the power of the building is of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evating plate, 천장면 밀착 시 쿠션력을 제공하는 완충부재를 천장면 밀착부에 소정 개수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피난장치.Fire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number of the cushioning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to provide a cushion force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means, 가이드홈과, 이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가이드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피난장치.Fire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guide groove, the guide bar is inserted into the sl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운반용 손잡이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피난장치.Fire evacu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by having a carrying hand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모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inding motor,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에 따라 상기 권취릴을 회전시키는 유압펌프 및 이를 구동하는 유압펌프 구동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피난장치.And a hydraulic pump for rotating the take-up reel according to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and a hydraulic pump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winding reel.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 구동모터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ydraulic pump drive motor, 상기 유압펌프를 정역방향으로 각각 구동시키도록 회전방향이 서로 다른 두 개의 구동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피난장치.Fire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wo drive motors of different rotational direction to drive the hydraulic pump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공급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il supply unit, 상기 수직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수평 이동 실린더에 오일을 전송하는 오일펌프와, 상기 오일펌프로 공급되는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펌프로부터 전송되는 오일을 상기 실린더에 공급하는 유압라인 및 상기 유압라인을 통하여 해당 실린더에 오일을 공급 및 차단, 수거하도록 제어하는 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피난장치.An oil pump for transmitting oil to the vertical lifting cylinder and the horizontal moving cylinder, an oil tank for storing oil supplied to the oil pump, a hydraulic line for supplying oil from the oil pump to the cylinder, and the hydraulic pressure Fire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valve for controlling the supply, blocking, and collection of oil to the cylinder through the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panel, 상기 화재피난장치의 동작을 지속적으로 제어하는 구동레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피난장치.And a drive lever for continuous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e evacuation device.
KR20-2004-0000050U 2004-01-02 2004-01-02 Fire escape apparatus KR20035739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050U KR200357390Y1 (en) 2004-01-02 2004-01-02 Fire escap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050U KR200357390Y1 (en) 2004-01-02 2004-01-02 Fire escape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300A Division KR100629906B1 (en) 2003-12-31 2003-12-31 Fire escap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390Y1 true KR200357390Y1 (en) 2004-07-23

Family

ID=4943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050U KR200357390Y1 (en) 2004-01-02 2004-01-02 Fire escap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39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6680A (en) Emergency rescue system
KR101934979B1 (en)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CN104689492B (en) Solar energy or AC frequency conversion charging accumulator DC driven high-altitude safe rescue cabin
CN102166390A (en) High-rise fire safety escape device with escape hatch
KR100841211B1 (en) Fire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CN201186113Y (en) Remote-control track type device for rescuing from high building
CN109248386A (en) A kind of life-saving device for high-rise fire hazard
CN201978366U (en) Multifunctional rescue capsule for buildings
KR101771711B1 (en)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CN204582336U (en) Solar energy or AC frequency conversion charging accumulator DC driven high-altitude safe rescue cabin
CN106422091A (en) Rescuing and fire-extinguishing device used on high building roofs
KR20050096025A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200357390Y1 (en) Fire escape apparatus
KR100629906B1 (en) Fire escape apparatus
JP5616418B2 (en) Hand-wound gondola
CN102847243B (en) High-rise fire rescuing machine
EP2868615B1 (en) A portable power driven system with a safety arrangement
CN210096726U (en) Underground rescue device
KR101771712B1 (en)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CN104912446A (en) Tall building self rescue escape window
CN204728929U (en) A kind of high-rise self-rescue escape window
CN202052217U (en) High-altitude lifting pulley
CN201906366U (en) Escape device for building in danger
CN202052219U (en) High altitude hand-rocking lifting frame
KR20070015237A (en) Driving gear of skyscraper fire suppression and life structure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