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970Y1 - 팔찌형 용기 - Google Patents

팔찌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970Y1
KR200356970Y1 KR20-2004-0011510U KR20040011510U KR200356970Y1 KR 200356970 Y1 KR200356970 Y1 KR 200356970Y1 KR 20040011510 U KR20040011510 U KR 20040011510U KR 200356970 Y1 KR200356970 Y1 KR 200356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let
folding lid
container
li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근
Original Assignee
이예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근 filed Critical 이예근
Priority to KR20-2004-0011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5Containers, or parts thereof, simulating or being incorporated into other items, e.g. puppet, animal, vehicle, building, dumb b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3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lug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turning a cylindrical or conical plug without axial passageways
    • B65D47/30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lug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turning a cylindrical or conical plug without axial passageways provided with a spout, e.g. "escargot"-type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와 소통되거나 폐쇄되는 접이식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는 개폐구가 형성되고, 상기 접이식 뚜껑의 중심에는 소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접이식 뚜껑의 회동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구와 상기 소통로가 서로 소통되거나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용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용기를 신체의 일부인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된 상태로 내용물의 섭취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상품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팔찌형 용기{Bracelet-type container}
본 고안은 음료나 젤 상태의 과자류 등을 저장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휴대시 사용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팔찌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용기는 과일쥬스나 탄산 음료 및 커피 음료, 이온 음료, 스포츠 음료 등 다양한 음료 또는 생수 등을 담는 포장용기로, 이는 음료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제작되며, 상기의 음료를 담는 용기는 유리병이나 알루미늄 캔 또는 PET병 등으로 제작되어 내부에 음료를 저장하여 이동되거나 판매됨으로써, 우리 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 수요량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음료용기는 소풍이나 야유회 등을 갈 때 용기를 가방이나 배낭 등에 넣어 휴대하여 필요시 이를 꺼내어 마시거나 한손으로 들고 다니면서 마셔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 음료용기를 가방이나 배낭 등에 휴대한 경우, 음료를 마실때마다 용기를 배낭이나 가방에서 용기를 꺼내야하므로 매우 번거럽고, 놀이동산이나 등산시 용기를 손으로 파지하고 활동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 주위가 산만하여 용기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특히, 알루미늄 캔의 경우 뚜껑을 개봉하게 되면 음료수 속에 녹아 있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고, 별도의 뚜껑이 없기 때문에 일단 개봉하게 되면 빠른 시간내에 다 마셔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기를 신체의 일부인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된 상태로 내용물의 섭취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상품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팔찌형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팔찌형 용기의 접이식 뚜껑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팔찌형 용기의 접이식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뚜껑이 용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팔찌형 용기 110: 몸체
112: 공간부 114: 장착홈
114a: 개폐구 114b: 힌지홈
120: 접이식 뚜껑 122a: 소통로
114b: 힌지홈 122b: 회동돌기
122c: 지지편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팔찌형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와 소통되거나 폐쇄되는 접이식 뚜껑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는 개폐구가 형성되고, 상기 접이식 뚜껑의 중심에는 소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접이식 뚜껑의 회동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구와 상기 소통로가 서로 소통되거나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 내에 상기 접이식 뚜껑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접이식 뚜껑의 단부에는 지지편이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뚜껑의 개폐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팔찌형 용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팔찌형 용기의 접이식 뚜껑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팔찌형 용기의 접이식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뚜껑이 용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팔찌형 용기(100)는 내부에 공간부(112)가 형성되고 대략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112)와 소통되는 접이식 뚜껑(120)을 포함한다.
우선, 몸체(110)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부드러운 재질의 폴리에틸렌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어 사용자의 손목의 두께에 상관없이 손목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적당한 탄력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공간부(112)에 내용물, 즉 음료수나 물이나 과자류 등이 충분히 채워지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속한 당업자라면 빙과류나 젤 상태로 보관되는 내용물을 상기 몸체(110) 내부에 채울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 일측에는 후술될 접이식 뚜껑(120)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장착홈(114)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114)의 저면에는 개폐구(114a)가 형성된다. 이 개폐구(114a)를 통해 몸체(110) 내부에 충전된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와 사용자가 마실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장착홈(114)의 양측면에는 힌지홈(114b)이 형성되어 후술될 접이식 뚜껑(120)이 상기 힌지홈(114b)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개폐구(114a)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접이식 뚜껑(120)은 대략 빨대형상으로 중심에 내용물이 흘러 나오는 소통로(122a)가 형성되고, 일단부 양측에는 힌지홈(114b)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돌기(122b)가 구비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접이식 뚜껑(120)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지지편(122c)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뚜껑(120)의 일단부는 상기 접이식 뚜껑(120)의 회동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구(114a)와 소통로(122a)가 서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설계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팔찌형 용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팔찌형 용기(100)는 휴대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고 다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등산시나 놀이동산에서 놀이기구 등을 탈 때, 사용자는 활동의 제약을 덜 받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용기의 몸체(110) 공간부(112)에 충진된 음료나 물을 마시고자 하는 경우, 지지편(122c)을 잡아 상기 접이식 뚜껑(120)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몸체(110)의 개폐구(114a)와 상기 접이식 뚜껑(120)의 소통로(122a)가 서로 소통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뚜껑(120)의 소통로(122a)를 통해 몸체(110) 내부의 내용물을 흡입하여 마시게 된다.
한편, 일정분량을 마신 후에 내용물을 다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접이식 뚜껑(120)을 반대로 회동시켜 상기 몸체(110)의 개폐구(114a)와 상기 접이식 뚜껑(120)의 소통로(122a)가 서로 소통되지 않도록 위치시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에 용기(100)를 착용하여 양손이 자유로워지며, 휴대중에 몸체(110) 내부에 충전된 내용물을 마시고자 할 때에는 착용한 상태에서 접이식 뚜껑(120)을 회동시켜 상기 몸체(110)의 개폐구(114a)와 상기 접이식 뚜껑(120)의 소통로(122a)가 서로 소통되게 하여 내용물을 먹을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고안의 팔찌형 용기(1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어 휴대가 편리함은 물론, 어린이들의 경우 모양이나 형상이 특이하여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를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인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용기를 착용한 상태로 내용물의 섭취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휴대 및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주의가 산만한 어린이들로부터 용기의 분실을 방지하고, 특이한 형상으로 흥미를 유발시켜 상품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와 소통되거나 폐쇄되는 접이식 뚜껑을 포함하는 팔찌형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는 개폐구가 형성되고, 상기 접이식 뚜껑의 중심에는 소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접이식 뚜껑의 회동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구와 상기 소통로가 서로 소통되거나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 내에 상기 접이식 뚜껑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접이식 뚜껑의 단부에는 지지편이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뚜껑의 개폐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용기.
KR20-2004-0011510U 2004-04-26 2004-04-26 팔찌형 용기 KR200356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510U KR200356970Y1 (ko) 2004-04-26 2004-04-26 팔찌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510U KR200356970Y1 (ko) 2004-04-26 2004-04-26 팔찌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970Y1 true KR200356970Y1 (ko) 2004-07-21

Family

ID=4934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510U KR200356970Y1 (ko) 2004-04-26 2004-04-26 팔찌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9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60B1 (ko) 2007-04-19 2008-12-05 황광배 기능성 화장품 케이스
KR100970702B1 (ko) 2010-04-19 2010-07-16 문현정 고리형 음료용기
KR200455163Y1 (ko) 2009-12-15 2011-08-23 (주)아모레퍼시픽 고리형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60B1 (ko) 2007-04-19 2008-12-05 황광배 기능성 화장품 케이스
KR200455163Y1 (ko) 2009-12-15 2011-08-23 (주)아모레퍼시픽 고리형 용기
KR100970702B1 (ko) 2010-04-19 2010-07-16 문현정 고리형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1551B2 (en) Beverage transporting and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US8616390B2 (en) Triple chamber bott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S2645266T3 (es) Recipiente de líquido
US8777044B1 (en) Beverage container device
US8746475B2 (en) Multi-chambered bottles for separating cont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586714B2 (en) Dual chamber bott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814990B2 (en) Beverage system
US10421595B2 (en) Multi-compartment snack storage and dispensing appliance
US20100116769A1 (en) Dual chamber bott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3138490A1 (en) Beverage container device
KR200356970Y1 (ko) 팔찌형 용기
US20230406603A1 (en) System to hold multiple beverage containers
GB2370555A (en) Multi-function container
US20090020542A1 (en) Self-cooling plastic drink bottle
JP2006111268A (ja) 容器
KR200282192Y1 (ko) 서로 다른 음료수를 함께 담을 수 있는 병
KR20130081461A (ko) 이중 음료수병
US20090020541A1 (en) Self-cooling plastic drink bottle
KR200412069Y1 (ko) 이중 용기
KR200429845Y1 (ko) 병 따개가 내설된 휴대용 컵 보관 용기
CN210102262U (zh) 一种多味饮料瓶
KR200314066Y1 (ko)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KR200331138Y1 (ko) 탄산음료 용기
KR200244222Y1 (ko) 액체용기
KR200173734Y1 (ko) 개량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