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816Y1 - 피에이치 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 - Google Patents

피에이치 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816Y1
KR200356816Y1 KR20-2004-0010050U KR20040010050U KR200356816Y1 KR 200356816 Y1 KR200356816 Y1 KR 200356816Y1 KR 20040010050 U KR20040010050 U KR 20040010050U KR 200356816 Y1 KR200356816 Y1 KR 200356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or
housing
alkaline
color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현
Original Assignee
오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현 filed Critical 오태현
Priority to KR20-2004-0010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8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8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3색 LED를 이용하여 투입된 전압에 따라 해당 색이 발광되도록 색상을 간략화시키고, 음용수를 토출하는 토출구의 상부에 그 3색 LED를 위치시켜 용이하게 알칼리수/산성수/중성수 인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색상의 변화에 따라 저장수의 색상도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미관상 미려하도록 한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공급받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생성하기 위해 내부에 복수개의 전극이 각각 구비되고, 전해분해조가 구비된 하우징이 제공되고, 그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어 수도관과 직결되어 원수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관이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기분해됨으로써 생성된 알칼리수를 음용하기 위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알칼리수 유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기분해됨으로써 생성된 산성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산성수 유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구성되며 상기 알칼리수 유출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PH를 색상을 통해 표시하기 위하고, 입력전압을 조절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의 생성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키조작패널이 형성되고, 배출되는 물이 알칼리수인지, 산성수인지, 중성수인지를 색상으로 나타내는 3색 LED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3색 LED를 이온수기 하우징의 전면에 구성하고, 전압을조절하는 조작키를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이온수의 성질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으며, 조작키를 조작함으로써 이온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배출케 하므로 그 사용 편의성이 매우 높으며, 내부 이온수를 관찰할 수 있게 하는 투시창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3색 LED를 내설시킴으로써 고급스러운 분위기로 야간 실내조명의 기능을 가지므로 효과가 크다.

Description

피에이치 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IONIZING APPARATUS HAVING A POTENTIAL OF HYDROGEN DISPLAY MEANS}
본 고안은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3색 LED를 이용하여 투입된 전압에 따라 해당 색이 발광되도록 색상을 간략화시키고, 음용수를 토출하는 토출구의 상부에 그 3색 LED를 위치시켜 용이하게 알칼리수/산성수/중성수 인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색상의 변화에 따라 저장수의 색상도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미관상 미려하도록 한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각종 공해로 인한 환경오염이 가장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있는 바, 대기오염이나 토지오염, 수질오염 등 여러가지 환경오염중 특히 하천수나 해수, 온천수등 자연수의 오염은 식수인 수도물의 사용을 제한하는 심각한 문제로 되고 있다. 따라서 수도물을 직접 마시지 않고 가정이나 학교, 직장, 관공서등 공공장소에서는 냉온정수기를 설치하여 물을 마시고자 하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냉수와 온수를 선택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 의학에서 고혈압이나 당뇨병, 심장병 등 현대인들의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산성식품의 과다섭취로 인한 체질의 산성화로 밝혀짐에 따라 산성체질을 알카리성 체질로 개선하고자 음용수를 전기분해장치를 이용한 이온수기로 알카리 이온수화 하여 음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이온수기는 그 구조가 전기분해로 얻어지는 산성이온수는 폐기하고 알카리 이온수 만을 음용할 수 있는 것일 뿐만아니라 알카리 이온수도 이온의 농도나 pH를 조절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온수 생산의 pH농도는 가해지는 전압에 비례하고, 물량(유량)에 역비례하여 pH농도를 높이려면 전압을 높이거나 물량을 감속시킨다.
그러나, 전압과 물량을 증감시켜 적정의 pH농도 이온수 생산은 한계가 있고 사용하기 불폄한 점이 있다. 최근에는 산성이온수가 피부미용 뿐만아니라 세척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산성이온수의 활용 필요성이 재기되고 있으나 종래의 이온수기는 그 구조가 산성이온수를 하수도로 폐기하도록 한정되어 있어서 손쉽게 산성이온수를 이용할 수 없었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온수 탱크의 토출구에서는 음용수로서 알칼리수만 유출되도록 되어져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세안 및 살균용으로 산성이온수를 알칼리 이온수와 함께 단일의 유출구를 통해 유출하는 이온수기가 출시되고 있는 바, 이런 경우 현재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이온수가 산성이온수인지 알칼리 이온수인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PH를 1∼14까지 별도의 LED나 세븐세그먼트를 통해 표시하는 장치가 출시되었다. 또한, 1∼14까지의 색상을 각각 별도의 LED 색깔로 표시하는 장치도 출시되었다. 하지만, 이 경우 PH를 나타내는 색상이 너무 많으므로 사용자는 모든 색상별 PH를 기억하기 힘들뿐더러, 실제로 물을 마실 때 일일이 그 색상을 주시하면서 물을 마실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숫자로 PH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 심화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3색 LED를 이용하여 투입된 전압에 따라 해당 색이 발광되도록 색상을 간략화시키고, 음용수를 토출하는 토출구의 상부에 그 3색 LED를 위치시켜 용이하게 알칼리수/산성수/중성수 인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색상의 변화에 따라 저장수의 색상도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미관상 미려하도록 한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의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4a, 4b, 4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의 다른 PH표시방식을 구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하우징, 8:키조작패널,
10:조작키, 13:3색LED,
14:알칼리수토출부, 16:산성수토출부,
18:투시창, 19:브라켓,
25:조사창, 27:백색시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받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생성하기 위해 내부에 복수개의 전극이 각각 구비되고, 전해분해조가 구비된 하우징이 제공되고, 그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어 수도관과 직결되어 원수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관이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기분해됨으로써 생성된 알칼리수를 음용하기 위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알칼리수 유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기분해됨으로써 생성된 산성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산성수 유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구성되며 상기 알칼리수 유출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PH를 색상을 통해 표시하기 위하고, 입력전압을 조절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의 생성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키조작패널이 형성되고, 배출되는 물이 알칼리수인지, 산성수인지, 중성수인지를 색상으로 나타내는 3색 LED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작키의 업/다운 조작에 의해 출력되는 펄스폭을 제어하고, 그 제어된 펄스폭이 FET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하고 게이트 전압이 전해분해조를 흐르는 전류 즉 전극에 드레인 전류를 제어는 전압/전류 조절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키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전류 조절부에서 발생되는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조작키(10)의 키를 조작하여 상기 제어부(40)에서 펄스가 출력되면 FET(64)에 게이트 전압을 유기시키기 위해 광을 발생시키는 포토커플러 발광부와, 그 광을 수광하는 포토 커플러 수광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내부 이온수를 관찰하기 위한 투시창이 형성되고, 상기 투시창의 내측면에는 상기 3색 LED를 그 상부에 고정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브라켓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브라켓의 상단은 밀폐되어 상기 3색 LED가 결합되어져 있고, 그 3색 LED의 결합위치 하단에는 투명한 조사창이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의 내측면에는 3색 LED의 발광 빛이 반사되는 백색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2)는 공급받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생성하기 위해 내부에 복수개의 전극이 각각 구비되고, 전해분해조가 구비된 하우징(4)과; 그 하우징(4)의 상면에 형성되어 수도관과 직결되어 원수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관(6)과;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서 전기분해됨으로써 생성된 알칼리수를 음용하기 위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알칼리수 유출부(14)와;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서 전기분해됨으로써 생성된 산성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산성수 유출부(1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4)의 전면에는 상기 알칼리수 유출부(14)를 통해 배출된 물의 PH를 색상을 통해 표시하기 위하고, 입력전압을 조절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의 생성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키조작패널(8)이 구비되어져 있다. 그 키조작패널(8)에는 사용자가 입력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키(10)가 마련되어져 있으며, 그 하부에는 배출되는 물이 알칼리수인지, 산성수인지, 중성수인지를 색상으로 나타내는 3색 LED(13)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4)의 상단부에는 상기 공급관(6)과 연결된 필터(도3: 50)가 내장되어져 있는 바, 공급수가 전기분해조로 투입되기전에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의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2)는 그 하우징(4)의 전면에 구비되어 알칼리수 및 산성수가 생성될 수 있도록 키조작을 행하는 조작키(10)가 마련되어져 있는 바, 그 이온수기(2)에는 상기 조작키(10)의 업/다운 조작에 의해 출력되는 펄스폭을 제어하고, 그 제어된 펄스폭이 FET(64)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하고 게이트 전압이 전해분해조를 흐르는 전류 즉 전극(52,54)에 드레인 전류를 제어함으로서 이온탱크내의 이온화를 제어함으로서 PH 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전류 조절부(2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키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전류 조절부(20)에서 발생되는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가 구비되어져 있다.
즉, 상기 조작키(10)의 업/다운 키의 UP 키를 눌름으로써 펄스폭이 증가하고 게이트 전압이 증가하게 된다. 이 게이트 전압의 증가는 드레인 전류를 증대시키므로 상기 전기분해조내의 이온화가 더욱 활발해져서 PH 값이 증가하게 되어 알칼리수가 생성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업/다운키의 DN키를 조작함으로써 펄스폭이 좁아지고 게이트 전압이 감소하게 된다. 이 게이트 전압의 감소는 드레인 전류를 감소시키므로 전기분해조의 이온화가 약화되어 PH 값이 작아지게 되어 산성수가 생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이러한 각각의 펄스폭을 PH값으로 환산하여 상기 3색 LED(13)를 구동시키는 바, 그 3색 LED(13)는 투입된 전압에 따라 각기 상이한 색상을 발광하게 되고, 그 3색 LED(1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2)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투입된 전압이 고전압인 경우에는 청색의 LED가 발광되게 하고, 저전압인 경우에는 적색의 LED가 발광되게 하고, 그 중간인 경우에는 노란색의 LED가 발광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 하우징(4)의 전면에서 발광되는 3가지 색상만으로 현재 어떤 이온수가 토출되는 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소망하는 이온수를 토출시키기 위해 상기 조작키(10)를 조작하여 알칼리수, 산성수, 중성수를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2)는 처음에 원수를 상기 공급관(6)을 통해 하우징(4)의 내부에 구비된 전기분해조(비도시)를 원수로 채우고 이온수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스위치(미도시)를 ON 하면 FET(64)의 드레인에는 VDS가 유기된다. 이때, 상기 조작키(10)의 키를 조작하여 상기 제어부(40)에서 펄스가 출력되면 포토커플러 발광부(66)를 지나 포토 커플러 수광부(62)가 단락되어 FET(64)에 게이트 전압이 발생되고 FET(64)이 ON되어 드레인 전류가 흘러 상기 하우징(4)의 전기분해조에서 이온화가 진행된다. 그로인해, 상기 알칼리수 토출부(14)나 산성수 토출구(16)를 통해 알칼리수와 산성수가 유출되게 된다.
이때, 더 강한 알카리수를 만들고자 하면 조작키(10)의 업버튼을 조작하면, 그로인해 펄스폭이 더욱 넓어지고 따라서 FET(64)의 게이트 전압이 증대한다. 따라서, 드레인 전류가 증대하고 이온화가 더 활성화되어 PH농도는 증가하고 더 강한 알카리수를 얻을 수 있고 이 증가된 PH값을 상기 3색 LED(13)를 통해 서로 상이한 색으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수인 경우 청색 LED가 발광되도록 한다.
도 4a, 4b, 4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의 다른 PH표시방식을 구현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4a에 도시된 이온수기(2')는 그 내부구성이 도 1에 도시된 이온수기와 동일하지만, 상기 이온수기(2')의 경우에는 내부에 저장된 이온수를 사용자가 직접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4)에 별도의 투시창(18)을 형성하고, 그 투시창(18)의 내측 상면에 상기 3색 LED(13)를 구성토록 한다. 따라서, 이온수의 PH에 따라서 각기 상이하게 발광되는 3색 LED(13)에 의해 투시창(18)을 통해 관찰되는 이온수가 발광된 3색 LED(13)에 의해 해당 PH의 색으로 반사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투시창(18)의 내측면에는 상기 3색 LED(13)를 그 상부에 고정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19)이 구비되어져 있다. 그 브라켓(19)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이며, 그 상단은 밀폐되어 상기 3색 LED(13)가 결합되어져 있다. 그리고, 그 3색 LED(13)의 결합위치 하단에는 투명한 조사창(25)이 구비되어져 있으므로 3색 LED(13)가 위치된 격실에는 이온수가 유입되지 않게 한다.
3색 LED(13)의 발광시에는 그 빛이 상기 조사창(25)을 통해 브라켓(19)의 내부로 조사되는 바, 상기 투시창(18)과 마주보는 브라켓(19)의 내측면에는 백색시트(27)가 부착되어 상기 3색 LED(13)의 발광시 그 백색시트(27)에 반사된 빛이 상기 투시창(18)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선명하게 색상을 구분하도록 한다.
이런 구성은 상기 3색 LED(13)가 투시창(18)을 통해 보이지 않으나, 이온수의 PH에 따라 이온수나 또는 상기 브라켓(19)의 백색시트(27)에 반사된 빛을 통해 현재 이온수가 알칼리수인지, 산성수인지, 중성수인지를 구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이온수의 성질을 주지시키기에 충분한 효과가 있으며, 야간에 실내 조명으로써 훌륭하다. 또한, 상기 3색 LED(13)가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으므로 고급스러움을 더할 수 있다.
이때, 미설명부호 21은 상기 투시창(18)을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21)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는 단지 상기한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는 3색 LED를 이온수기 하우징의 전면에 구성하고, 전압을 조절하는 조작키를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이온수의 성질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으며, 조작키를 조작함으로써 이온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배출케 하므로 그 사용 편의성이 매우 높으며, 내부 이온수를 관찰할 수 있게 하는 투시창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3색 LED를 내설시킴으로써 고급스러운 분위기로 야간 실내조명의 기능을 가지므로 효과가 크다.

Claims (4)

  1. 공급받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생성하기 위해 내부에 복수개의 전극이 각각 구비되고, 전해분해조가 구비된 하우징이 제공되고, 그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어 수도관과 직결되어 원수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관이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기분해됨으로써 생성된 알칼리수를 음용하기 위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알칼리수 유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기분해됨으로써 생성된 산성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산성수 유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구성되며 상기 알칼리수 유출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PH를 색상을 통해 표시하기 위하고, 입력전압을 조절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의 생성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키조작패널이 형성되고, 배출되는 물이 알칼리수인지, 산성수인지, 중성수인지를 색상으로 나타내는 3색 LED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키의 업/다운 조작에 의해 출력되는 펄스폭을 제어하고, 그 제어된 펄스폭이 FET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하고 게이트 전압이 전해분해조를 흐르는 전류 즉 전극에 드레인 전류를 제어는 전압/전류 조절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키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전류 조절부에서 발생되는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조작키(10)의 키를 조작하여 상기 제어부(40)에서 펄스가 출력되면 FET(64)에 게이트 전압을 유기시키기 위해 광을 발생시키는 포토커플러 발광부와, 그 광을 수광하는 포토 커플러 수광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내부 이온수를 관찰하기 위한 투시창이 형성되고, 상기 투시창의 내측면에는 상기 3색 LED를 그 상부에 고정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브라켓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브라켓의 상단은 밀폐되어 상기 3색 LED가 결합되어져 있고, 그 3색 LED의 결합위치 하단에는 투명한 조사창이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내측면에는 3색 LED의 발광 빛이 반사되는 백색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
KR20-2004-0010050U 2004-04-12 2004-04-12 피에이치 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 KR200356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050U KR200356816Y1 (ko) 2004-04-12 2004-04-12 피에이치 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050U KR200356816Y1 (ko) 2004-04-12 2004-04-12 피에이치 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990A Division KR20040052597A (ko) 2004-04-12 2004-04-12 피에이치 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816Y1 true KR200356816Y1 (ko) 2004-07-21

Family

ID=4943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050U KR200356816Y1 (ko) 2004-04-12 2004-04-12 피에이치 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8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1002611A (es) Dispositivo desinfectante que tiene medios de suministro de potencia y salida de fluido.
KR200356816Y1 (ko) 피에이치 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
KR20040052597A (ko) 피에이치 표시부가 구비된 이온수기
CN201930091U (zh) 一种带有消毒器的便携式电动牙刷
KR101645308B1 (ko) 투명창을 가지고 살균력이 증가된 살균수 샤워기
CN2903700Y (zh) 一种多功能灯具
KR200292242Y1 (ko) 이온수 생성장치
KR20150105012A (ko) 투명창을 가지고 살균력이 증가된 살균수 정수기
KR101183012B1 (ko) 전해 산소 세면기
KR20110048692A (ko) 이온수기
CN205534547U (zh) 一种带发光显示面的水龙头
JP3233099U (ja) オゾンの濃度検知機能付きの蛇口
KR20100060411A (ko) 손 소독기능을 갖춘 소변기
KR100922767B1 (ko) 수족관용 조명 제어방법
CN212490851U (zh) 一种多功能紫外线杀菌灯
JP3516202B2 (ja) 電解水生成装置
CN203075304U (zh) 一种采用蓝光杀菌技术的便携式灌肠机
JP2006223940A (ja) 電解処理装置
KR101212835B1 (ko) 비데
CN213589159U (zh) 一种电梯按键杀菌灯
KR20080023244A (ko) 엘 이디 살균 물탱크
US20240140834A1 (en) Dual faucet with sterile water and regular water supply function
JP2006198500A (ja) 電解処理装置
KR102391178B1 (ko) 코크살균수단과 급수제어수단이 마련된 음수대
CN202699671U (zh) 多功能消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