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750Y1 - 떡시루 패킹구조 - Google Patents

떡시루 패킹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750Y1
KR200356750Y1 KR20-2004-0012267U KR20040012267U KR200356750Y1 KR 200356750 Y1 KR200356750 Y1 KR 200356750Y1 KR 20040012267 U KR20040012267 U KR 20040012267U KR 200356750 Y1 KR200356750 Y1 KR 200356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structure
rice cake
packing
coupling
coup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항석
Original Assignee
강항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항석 filed Critical 강항석
Priority to KR20-2004-0012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7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7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떡시루 패킹구조에 관한 것으로서,떡시루를 적층시킨 상태로 떡을 찌는 경우 스팀의 방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떡시루 결합구조중 패킹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패킹구조는 패킹구조의 내부의 빈공간으로 스팀이 스며들어 물이 고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비위생적이며, 하층 프레임의 상단에 의해 휘어지는 각도가 일정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기밀성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하층의 프레임과의 결합구조를 가진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떡시루에 있어서, '

Description

떡시루 패킹구조 { packing structure of a steamer for ricecake }
본 고안은 떡시루 패킹구조에 관한 것으로서,떡시루를 적층시킨 상태로 떡을 찌는 경우 스팀의 방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떡시루 결합구조중 패킹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시루는 상결합구조가 개방된 형상의 사각체 프레임의 양측에 손잡이를 형성시키고, 사각체 프레임은 적층이 가능하도록 프레임의 하측면에 캡 형태의 결합공간을 형성시켜 또 다른 사각체 프레임 상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설계되어있다. 그리고, 각 프레임이 적층되는 부분의 틈새로 스팀이 과도하게 빠져 나가지 않도록 고무, 실리콘 등의 패킹구조를 프레임 하측면의 캡형태 내에 삽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패킹구조물을 그냥 절단하여 삽입하다보면 그 복원력에 의해서 하층프레임과의 접합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 형상으로 패킹내에 빈공간을 형성하여 하층 프레임의 상단에 의해 패킹이 '' 형상으로 구부러지도록 하여 그 접점에서의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패킹구조는 패킹구조의 내부의 빈공간으로 스팀이 스며들어 물이 고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비위생적이며, 하층 프레임의 상단에 의해 휘어지는 각도가 일정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기밀성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패킹 구조를 개선하여 스팀의 방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패킹내부의 공간이 떡시루와 차단되지 않도록 설계하여 물이 고이는 등의 비위생적인 상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떡시루 패킹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떡시루 구성도 및 적층상태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떡시루 결합구조의 사시도 및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패킹 구조물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패킹 구조물이 내장된 프레임 결합구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패킹구조물이 변화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프레임 결합구조
12: 패킹 구조물
S : 패킹구조 내부공간
M : 떡시루 프레임 본체
121: 패킹구조물의 상부 열린측의 말단
122: 패킹구조물의 하부 열린측의 말단
123: 패킹구조물의 하부 닫힌측의 말단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하층의 프레임과의 결합구조를 가진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떡시루에 있어서, ''형상의 패킹 구조물과 상기 패킹 구조물의 결합구조 상부 열린 측의 말단을 고정하는 제1걸림턱, 결합구조 닫힌 측의 말단을 고정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는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패킹 구조물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면서도 패킹구조물 하부 열린 측의 말단은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시루 패킹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떡시루가 실제 사용시에 적층되어 있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떡시루 프레임의 상부(10)는 다른 상층의 프레임의 결합구조(1)와 연결될 것이고 떡시루 프레임 결합구조(11)는 다른 하층의 프레임의 상부(100)와 결합되면서 적층되게 된다.
도2 는 본 고안에 의한 떡시루의 결합구조(11)를 나타내고 있는 바, 떡시루 결합구조(11)는 다른 하층의 프레임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적층된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틈으로 스팀이 과도하게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킹구조물(12)이 내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상기 패킹구조물(12)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패킹구조물(12)은 종래의 ''형상의 패킹구조물과는 달리 ''형상으로서, 패킹구조 내부 공간(S)과 떡시루의 내부공간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패킹구조물의 하부 열린측의 말단(122)은 끝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내부공간(S)으로의 스팀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패킹구조물의 소재는 고무나 실리콘 등 내열성이 뛰어나고 질기며 발포현상이 없는 소재가 바람직할 것이다.
도4는 상기의 패킹구조물(12)이 내장된 프레임 결합구조(11)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패킹구조물의 상부 열린측의 말단(121)은 프레임 결합구조(11)의 제1걸림턱(111)에 의해 고정되고, 패킹구조물의 하부 닫힌측의 말단(123)은 프레임 결합구조(11)의 제2걸림턱(112)에서 잡아주고 있다.
따라서, 상기 패킹구조물의 하부 열린측의 말단(122)은 아무 고정수단 없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스팀이 패킹구조물 내부공간(S)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종래에는 떡시루 프레임 본체(M)와 이 결합구조(11)가 한 판으로 제작되고 결합구조의 내부공간은 별도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본 고안에 따르면 결합구조(11)만을 도4에서와 같이 제작하고 그 위에 떡시루 프레임 본체(M)를 접합시키는 방식으로 떡시루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제작기간 또한 단축할 수 있다.
도5는 떡시루를 적층시켰을 경우와 이를 가열하여 스팀이 발생하는 경우에 본 고안의 패킹구조물이 변화하는 모습을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다른 하층의 프레임의 상부(100)와 본 발명의 패킹구조가 결합되었을 경우
패킹구조물의 내부공간(S)은 변화를 가져오며 패킹구조물 결합구조 열린측의 말단(122)또한 A'방향으로 약간 움직이게 된다.
패킹구조물의 내부공간(S)과 떡시루의 내부공간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열을 통해 발생한 스팀은 패킹구조물의 내부공간(S)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며 패킹구조물 결합구조 하부 열린 측의 말단(122)은 A'방향으로 최대한 벌어지게 된다.
패킹구조물의 내부공간(S)으로 들어간 스팀은 밖으로 빠져 나갈 수 없게 되고, 또한 증기압에 의해 최대한 벌어진 패킹구조물 하부 열린측의 말단(122)은 적층된 프레임간의 결합지점(P)으로의 스팀방출을 차단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패킹구조를 적용하면, 적층 떡시루의 가열시 발생하는 스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단시간내에 조리가 가능하여 연료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패킹구조물의 내부공간과 떡시루의 내부공간이 연결되어 있어, 물이 고여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위생 관리측면에서도 효율적이며 오염성이 적어 떡의 식감을 향상시킬수 있다.

Claims (3)

  1. 하층의 프레임과의 결합구조를 가진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떡시루에 있어서, ''형상의 패킹 구조물(12)과 상기 패킹 구조물의 상부 열린 측의 말단(121)을 고정하는 제1걸림턱(111), 결합구조 닫힌 측의 말단(123)을 고정하는 제2걸림턱(112)을 포함하는 결합구조(11)로 하여금 상기 패킹 구조물(12)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면서도 패킹구조물 하부 열린 측의 말단(122)은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시루 패킹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조(11)는 떡시루 본체(M)와는 분리하여 제작되고 추후에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시루 패킹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패킹구조물 하부 열린 측의 말단(122)의 형상을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시루 패킹구조.
KR20-2004-0012267U 2004-05-01 2004-05-01 떡시루 패킹구조 KR200356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267U KR200356750Y1 (ko) 2004-05-01 2004-05-01 떡시루 패킹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267U KR200356750Y1 (ko) 2004-05-01 2004-05-01 떡시루 패킹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750Y1 true KR200356750Y1 (ko) 2004-07-19

Family

ID=4934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267U KR200356750Y1 (ko) 2004-05-01 2004-05-01 떡시루 패킹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7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90Y1 (ko) * 2012-04-24 2013-09-06 조영심 시루용 패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90Y1 (ko) * 2012-04-24 2013-09-06 조영심 시루용 패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5263B2 (ja) 真空可能な鍋用蓋及びこれを用いた鍋
USD588826S1 (en) Chair
TWI518007B (zh) 由紙材料構成的杯及製造由紙材料構成的杯的方法
RU2540390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крышки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состоящая из прозрачной крышки и каркаса
KR200356750Y1 (ko) 떡시루 패킹구조
GB2448380A (en) Inflatable pad assembly
KR101252443B1 (ko) 다기능 냄비
KR101993191B1 (ko) 상시 개방이 가능한 진공 용기용 체크밸브
CN107205592B (zh) 带有金属板外表面的分配器、支撑结构、金属板以及制造方法
CN105873833A (zh) 容器盖和阀
KR101307890B1 (ko) 압력지지보강형 커버패킹 및 그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US20050199636A1 (en) Silicone-rubber plate used in an oven
KR101602759B1 (ko) 식기건조대용 스트랩
JP5366466B2 (ja) 収納庫用引出取手および収納庫
USD560103S1 (en) Portion of a whisk
KR101620401B1 (ko) 요리 용기
JP5313056B2 (ja) ゴミ袋の保持具
IT201900006360A1 (it) Piatto porta posate
JP2013189211A (ja) 包装用容器
CN216876029U (zh) 烤盘组件及煎烤机
KR200465741Y1 (ko) 일회용 종이컵
CN215776545U (zh) 油杯及集成灶
KR200352941Y1 (ko) 돌출형 실리콘 패킹을 갖는 떡시루
CN109124324B (zh) 锅盖锁紧组件、锅盖组件和烹饪器具
CN212438218U (zh) 一种防溢炖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