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447Y1 - 미서기 창호 - Google Patents

미서기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447Y1
KR200356447Y1 KR20-2004-0012477U KR20040012477U KR200356447Y1 KR 200356447 Y1 KR200356447 Y1 KR 200356447Y1 KR 20040012477 U KR20040012477 U KR 20040012477U KR 200356447 Y1 KR200356447 Y1 KR 200356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ixed
rail
close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진
Original Assignee
인덱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덱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덱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2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4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4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06B3/4618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the sliding wing being arranged beside a fixe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미서기 창호의 개폐기능을 갖추면서 창호를 닫았을 경우 그 면이 일자형태의 커튼월 방식으로 닫혀지도록 구성된 미서기 창호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미서기 창호는, 건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창 및 이 고정창과 나란히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개폐되도록 복수의 롤러가 제공된 이동창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이동창의 개폐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헹거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창을 닫았을 경우 이동창이 고정창과 동일한 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 및 헹거레일은 그 끝단부가 고정창 방향으로 완만하게 휘어진 곡률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는 중심축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미서기 창호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창과 이동창의 접촉단부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이동창의 개폐시 창문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미서기 창호{SLIDING DOORS AND WINDOWS}
본 고안은 미서기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서기 창호의 개폐기능을 갖추면서 창호를 닫았을 경우, 그 면이 일자형태의 커튼월(curtain wall) 방식으로 닫혀지도록 구성된 미서기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서기 창호는 문 혹은 창의 개폐형태가 서로 엇갈리는 면으로 구성되고, 그 상,하부에 문이나 창의 수평움직임에 필요한 홈이나 레일이 있어 좌우 수평으로 두 개의 문짝이나 그 이성의 문짝을 움직여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형식의 창이나 문을 일컫는다.
이러한 미서기 창호는 오랫동안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고, 현대적인 실내환경조절시스템이 갖추어진 주택이나 건축물에서도 광범위하게 환영받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기후적 여건 때문이다.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고 온도변화가 심한 이유 때문에 계절에 따라서 온도 및 습도의 차이가 매우 심하고 또한, 이러한 변화는 계절뿐만 아니라 매일 매일의 오전과 오후의 최저치와 최고치에서도 변화량이 매우 심하다.
따라서, 인공적인 실내환경 조절기능으로 환기의 효율 및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근래에는 창문의 크기가 점점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미서기 형식의 창호는 공장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설치 및 사용이 간단하고 용이하여 대부분의 건물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미서기 창호는 벽체에 고정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내측에서 서로 교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 또는 2쌍 이상의 창문으로 이루어지며, 창문중의 하나는 고정형으로 설치하여 다른 하나의 창문을 슬라이드 이동으로 개폐하도록 하거나, 또는 창문 모두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양쪽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미서기 창호는 프레임의 하부에는 레일이 설치되고, 창문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호차(戶車)가 설치되어, 창문의 개폐시 호차가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최근 토지의 효율화를 높이기 위하여 고층아파트 형태의 주거용 건물이 점차 일반화되고있고, 또한 고층건물도 일반화되고 있는데, 이 경우 창의 개폐방식도 미서기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선택되고 있다.
그러한 원인은 미서기 형식의 창호는 고층건물의 외관디자인을 나쁘게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결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시스템창호가 있으나 이것들은 거의 대부분이 외국에서 개발 및 생산되어 수입되므로 그 가격이 고가이고 또 불필요한 기능까지 첨부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미서기 창호의 개폐기능을 갖추면서 창호를 닫았을 경우 그 면이 일자형태의 커튼월 방식으로 닫혀지도록 구성된 미서기 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미서기 창호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미서기 창호를 측면에서 바라본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미서기 창호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미서기 창호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미서기 창호에 제공된 가이드 레일이 일부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미서기 창호는, 건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창 및 이 고정창과 나란히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개폐되도록 복수의 롤러가 제공된 이동창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이동창의 개폐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헹거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창을 닫았을 경우 이동창이 고정창과 동일한 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 및 헹거레일은 그 끝단부가 고정창 방향으로 완만하게 휘어진 곡률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는 중심축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미서기 창호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창과 이동창의 접촉단부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이동창의 개폐시 창문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미서기 창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미서기 창호를 측면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미서기 창호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미서기 창호는, 건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에 고정되는 고정창(4) 및 이 고정창(4)과 나란히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개폐되는 이동창(6)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의 상부와 하부 일측에는 헹거레일(8) 및 가이드레일(10)이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창(6)의 상부에는 상기 헹거레일(8)를 따라서 회전 이동하는 복수의 롤러(12)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프레임(2)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 핀(14)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미서기 창호는 이동창(6)의 개폐시 롤러(12)는 헹거레일(8)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가이드 핀(14)은 가이드 레일(1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통상적인 미서기 창호에 제공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미서기 창호에 있어서, 본 고안에 제공된 미서기 창호는 이동창(6)을닫았을 경우, 닫힌 이동창(6)이 고정창(4)과 일자형태로 위치하도록, 가이드 레일(10) 및 헹거레일(8)은 그 끝단부가 고정창(4) 방향으로 완만하게 휘어진 곡률부(16)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12)는 회전축이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0)과 헹거레일(8)은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창(6)을 닫을 경우 이동창(6)의 일측면 외측단 부분이 먼저 프레임(2)의 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10) 및 헹거레일(8)에 형성된 곡률부는 각각 다른 곡률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미서기 창호는, 이동창(6)을 닫으면 이동창(6)의 상하부에 설치된 롤러(12)와 가이드 핀(14)이 프레임(2)에 형성된 헹거레일(8)의 곡률부(미도시)와 가이드 레일(10)의 곡률부(16)를 따라서 이동창(6)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일자형태의 커튼월 방식으로 닫혀 고정창(4)과 동일한 면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창(4)의 일측면과 이동창(6)의 일측면은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18)(20)으로 각각 형성되어 이동창(6)의 개폐시 창문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개폐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면(18)(20)은 고정창(4)과 이동창(6)의 끝단면에서 5°이상의 각도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사용상태도로서, 미서기창이 열려있을 때에는 도 4a에서와 같이 이동창(6)은 고정창(4)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히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창문을 닫으려면, 이동창(6)을 고정창(4)의 반대방향으로 밀면이동창(6)에 설치된 롤러(12)와 가이드 핀(14)이 프레임(2)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된 헹거레일(8) 및 가이드 레일(1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한다(도 4b 참조).
이렇게 이동창(6)이 고정창(4)과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며 일정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되면, 도 4c에서와 같이 이동창(6)의 일측 롤러(12) 및 가이드 핀(14)이 헹거레일(8) 및 가이드 레일(10)의 곡률부(16)와 접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창(6)을 이동하던 방향으로 더욱 밀면, 이동창(6)의 롤러(12) 및 가이드 핀(14)이 헹거레일(8)의 곡률부(미도시)와 가이드 레일(10)의 곡률부(16)를 따라서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일자형태의 커튼월 방식으로 닫혀 고정창(4)과 동일한 면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시 고정창(4)의 일측면과 이동창(6)의 일측면은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18)(20)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창(6)을 닫을 때 창문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닫혀진다.
이와 같이 이동창(6)이 고정창(4)과 교차하지 않고 일자로 닫히면 창문의 틈새가 없어지므로 외부의 소음 및 먼지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실내의 공간을 그만큼 더 확보할 수 있다.
닫힌 이동창(6)을 열려면 상기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창(6)을 밀면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이동창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창문이 열린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헹거레일(8)과 가이드 레일(10)의 일측 단부는 곡률부(16)로 이루어져, 이동창(6)을 닫으면 롤러(12) 및 가이드 핀(14)이 헹거레일(8) 및 가이드 레일(10)의 곡률부(16)를 따라서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일자형태로 닫혀지도록 구성되지만,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고정창(4)과 이동창(6)이 서로 접촉되며 닫히는 부분의 가이드 레일(10)의 일부분을 탄성힌지부(22)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회전부(24)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창(6)이 열려있을 때에는 회전부(24)는 탄성힌지부(22)의 탄력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10)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자형태로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이동창(6)을 닫으려면, 이동창(6)을 고정창(4)의 반대방향으로 밀어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이동창(6)의 일측 롤러(12) 및 가이드 핀(14)이 헹거레일(8) 및 가이드 레일(10)의 곡률부(16)와 접촉되면, 이동창(6)을 외측으로 밀어준다.
그러면, 도 6에서와 같이 이동창(6)의 일측은 롤러(12) 및 가이드 핀(14)이 헹거레일(8)의 곡률부(미도시)와 가이드 레일(10)의 곡률부(16)를 따라서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동창(6)의 타측은 또 다른 롤러(12) 및 가이드 핀(14)이 헹거레일(8)의 곡률부(미도시)와 가이드 레일(10)의 탄성힌지부(22)를 축으로 회전부(24)가 회전하면서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일자형태의 커튼월 방식으로 고정창(4)과 동일한 면을 유지하며 닫힌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미서기 창호는, 창문을 닫았을 때 이동창이 고정창과 교차하지 않고 일자형태의 커튼월 방식으로 닫히므로, 창문의 틈새가 없어져 외부의 소음 및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일자형태로 창문이 닫히면서 종래의 나란히 닫힐 때보다 실내의 공간을 그만큼 더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실내공간의 활용을 더욱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건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창 및 이 고정창과 나란히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개폐되도록 복수의 롤러가 제공된 이동창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이동창의 개폐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헹거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창을 닫았을 경우 이동창이 고정창과 동일한 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 및 헹거레일은 그 끝단부가 고정창 방향으로 완만하게 휘어진 곡률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는 중심축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미서기 창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과 이동창의 접촉단부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이동창의 개폐시 창문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 미서기 창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부분은 탄성힌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부로 구성된 미서기 창호.
KR20-2004-0012477U 2004-05-04 2004-05-04 미서기 창호 KR200356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477U KR200356447Y1 (ko) 2004-05-04 2004-05-04 미서기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477U KR200356447Y1 (ko) 2004-05-04 2004-05-04 미서기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447Y1 true KR200356447Y1 (ko) 2004-07-15

Family

ID=4943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477U KR200356447Y1 (ko) 2004-05-04 2004-05-04 미서기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44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643B1 (ko) 2009-06-25 2012-03-07 김경현 다기능 미닫이 창호
KR101136996B1 (ko) * 2008-11-28 2012-04-19 이용래 미닫이식 도어
KR101254412B1 (ko) 2009-11-16 2013-04-15 (주)엘지하우시스 수평밀착 창호의 창문을 잠금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모듈
KR101261009B1 (ko) 2013-01-03 2013-05-06 올찬건설(주) 지붕 구조물의 갤러리 창호 자동 개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96B1 (ko) * 2008-11-28 2012-04-19 이용래 미닫이식 도어
KR101116643B1 (ko) 2009-06-25 2012-03-07 김경현 다기능 미닫이 창호
KR101254412B1 (ko) 2009-11-16 2013-04-15 (주)엘지하우시스 수평밀착 창호의 창문을 잠금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모듈
KR101261009B1 (ko) 2013-01-03 2013-05-06 올찬건설(주) 지붕 구조물의 갤러리 창호 자동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0851C1 (ru) Оконная система с горизонтальным запиранием
US1693526A (en) Hinge
KR200356447Y1 (ko) 미서기 창호
EP3498963B1 (en) Horizontally sliding window
KR102075071B1 (ko) 완전 개폐 창호 시스템
KR100543792B1 (ko) 공동주택용 창호구조
CN212054323U (zh) 带有隐藏式纱网的断桥铝门窗
CN207363505U (zh) 一种平移窗
CN209780600U (zh) 一种带百叶窗的铝合金窗
KR100328412B1 (ko) 격자식 이중창호용 후레임
KR100929813B1 (ko) 루버 및 그 개폐구조
JP2007063975A (ja) 円形サツシ窓
KR101266844B1 (ko) 완전 개방이 가능한 이중 연동 도어 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KR100691308B1 (ko) 슬라이딩 도어 어셈블리의 밀폐장치
CN218206519U (zh) 一种透光度自动调节的窗户
KR200402301Y1 (ko) 슬라이딩 도어 어셈블리의 밀폐장치
JP6225016B2 (ja) 折戸
CN216921884U (zh) 一种折叠式内开窗
KR200339930Y1 (ko) 미서기창호의 구조
CN219412408U (zh) 一种窗结构
JPH053660Y2 (ko)
KR102179836B1 (ko) 이중 레일 구조의 폴딩 도어 개폐장치
KR200190957Y1 (ko) 시선차단브라인드슬랫
CN221032358U (zh) 一种漂移窗的纱窗结构
KR101876811B1 (ko) 외부로 여닫이 개방과 하측 틸팅이 가능한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