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006Y1 -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 - Google Patents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006Y1
KR200356006Y1 KR20-2004-0009577U KR20040009577U KR200356006Y1 KR 200356006 Y1 KR200356006 Y1 KR 200356006Y1 KR 20040009577 U KR20040009577 U KR 20040009577U KR 200356006 Y1 KR200356006 Y1 KR 200356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nding
wing
box body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엽
우명성
Original Assignee
(주)대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테크 filed Critical (주)대호테크
Priority to KR20-2004-0009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0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7Feeding sheets or blanks by air pressure or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5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0/00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made from tubular webs or blanks, including by tube or bottom forming operation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혀진 다수의 박스를 적층 수납하는 박스 수납대, 적층된 박스를 흡착 이송시켜 이송수단으로 로딩하는 로딩수단, 로딩된 박스를 출구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몸체의 측면날개를 안쪽으로 접어주면서 하부본딩날개를 상측으로 세워주는 날개 접이수단, 상측으로 세워진 하부본딩날개에 본드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본딩노즐, 박스몸체의 상부날개를 하측으로 접어 하부본딩날개의 본드도포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마감날개 접이수단으로 구성하므로서, 다양한 크기의 박스를 포밍할 수 있고, 빠른 속도로 박스를 접어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Bonding and forming device for box}
본 고안은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크기의 박스를 포밍할 수 있고, 빠른 속도로 박스를 접어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출의 고도화 품목을 반영하고 있는 휴대폰 단말기, 컴퓨터, 노트북 등 기술 집약적 제품의 수출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나 제품의 생산에 비례하는 포장공정용 자동화 기계는 개발이 늦춰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포장속도와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one end open box(한쪽면이 본딩 처리된 carton box)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 공정을 자동화하는 기계가 제공되지 않아서 박스 포밍속도가 늦고, 포장박스의 생산속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접혀진 다수의 박스를 적층 수납하는 박스 수납대, 적층된 박스를 흡착 이송시켜 이송수단으로 로딩하는 로딩수단, 로딩된 박스를 출구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몸체의 측면날개를 안쪽으로 접어주면서 하부본딩날개를 상측으로 세워주는 날개 접이수단, 상측으로 세워진 하부본딩날개에 본드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본딩노즐, 박스몸체의 상부날개를 하측으로 접어 하부본딩날개의 본드도포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마감날개 접이수단으로 구성하므로서, 다양한 크기의 박스를 포밍할 수 있고, 빠른 속도로 박스를 접어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커버 상에 박스의 적층 수납을 위해 길게 유선형으로 연장 설치되는 박스 수납대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바닥판에 서브모타가 설치되고, 그 바닥판으로부터 박스 수납대의 하부를 향하도록 수직가이드를 형성하며, 상기 서브모타에 의해 수직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박스수납대에 적층된 박스를 흡착하여 박스몸체가 사각형모양으로 세워진 상태로 이송수단으로 로딩시키는 흡착 로딩수단과;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가이더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이송판이 형성되고, 박스몸체가 올려진 상기 이송판을 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서브모타로 구성된 이송수단과;
상기 가이더의 중간부 측면에 설치된 회전실린더에 상하로 회동하는 접이다리를 형성하여 이송판을 타고 이동한 박스몸체의 양측면날개를 접어주도록 하고, 상기 가이더의 측면 하단에 설치된 상하실린더에 상승바를 형성하여 측면 날개가 접어진 상태에서 하부본딩 날개를 밀어올리도록 구성된 날개 접이수단과;
상기 날개 접이수단의 후단에 위치하면서 접어진 하부본딩날개의 표면에 본드를 분사하는 본딩노즐과;
상기 가이더의 최후단 상부에 설치된 작동실린더에 상하이송부재를 형성하고, 그 상하이송부재의 일측에 에어실린더에 링크 결합된 접이판을 형성하여 박스몸체의 상부날개를 하측으로 접어주어 상부날개가 하부본딩날개의 본딩부분에 부착되도록 하는 마감날개 접이수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송부재의 하단에 누름판을 형성하여 상하이송부재의 하강시 박스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누름판이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를 전체적으로 보인 도면.
도 2 는 본체의 상면을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흡착 로딩수단을 보인 도면.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이송수단을 보인 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이송수단을 보인 평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적용된 날개 접이수단을 보인 도면.
도 7 은 본 고안에 적용된 마감날개 접이수단을 보인 도면.
도 8 은 박스몸체의 접이과정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커버,
3: 박스수납대, 4: 엘엠가이드,
5: 레버, 6: 출구,
10: 흡착로딩수단, 11: 바닥판,
12: 서브모타, 13: 수직가이드,
14: 흡착판, 20: 이송수단,
21: 이송서브모타, 22: 이송판,
23: 가이더, 30: 날개 접이수단,
31: 회전실린더, 32: 접이다리,
33: 상승바, 34: 상하실린더,
40: 본딩노즐, 50: 마감날개 접이수단,
51: 작동실린더, 54: 누름판,
55: 에어실린더, 57: 접이판,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 은 박스 포밍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본체를 나타내고, 상기 본체에는 박스수납대(3), 흡착로딩수단(10), 이송수단(20), 날개 접이수단(30), 본딩노즐(40), 마감날개 접이수단(50)등이 설치되어 도 8 의 (a)와같이 접혀져 박스수납대(3)에 적층 수납된 박스(60)를 하나씩 로딩하여 양측 측면날개(61)를 안쪽으로 접어주면서 하부본딩날개(62)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고, 그 하부본딩날개(62)의 표면에 본드를 분사 도포한 후 상부날개(63)를 아래쪽으로 접어서 하부본딩날개(62)와 상부날개(63)가 부착된 상태로 박스가 포밍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1)의 상부 일측에는 개폐 가능하게 커버(2)를 형성하는데, 상기 커버(2)에는 박스몸체(60)가 아래쪽으로 투입될 수 있는 크기의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의 주변으로 복수개의 엘엠가이드(4)가 형성된다.
상기 엘엠가이드(4)에는 일정각도 휘어지도록 복수개의 박스수납대(3)를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는데, 상기 박스수납대(3)는 레버(5)의 조작에 따라 그 설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여러가지 크기의 박스를 박스수납대(3)에 적층시켜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박스수납대(3)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각도 휘어지도록 상측으로 입설하여 그 박스수납대(3)의 사이에 다수의 접혀진 상태의 박스몸체(60)를 적층 수납하는 것이다.
상기 흡착 로딩수단(10)은 박스수납대(3)에 적층 수납된 박스(60)를 하나씩 흡착하여 하측으로 로딩시키는 것으로서, 본체(1)의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바닥판(11)의 일측에 서브모타(12)를 설치하고, 상기 바닥판(11)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의 박스수납대(3)를 향하도록 수직가이드(13)를 형성하며, 그 수직가이드(13)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흡착판(14)을 형성한다.
상기 흡착판(14)은 서브모타(12)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박스수납대(3)에 적층되어있는 박스몸체(60)를 흡착하여 하부의 이송수단(20)으로 이송시키게된다.
상기 흡착판(14)에 부착된 상태로 아래쪽으로 이송되는 박스몸체(60)는 미도시된 별도의 걸림부재에 의해 도 8 의 (b)와 같이 세워져 이송수단으로 로딩되게 된다.
상기 이송수단(20)은 흡착 로딩수단(10)에 의해 로딩된 박스몸체(60)를 본체(1)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출구(6) 측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판(11)의 상부에 출구(6)를 향하도록 가이더(23)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더(23)의 상면에 수평 이송되는 이송판(22)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더(23)의 일측 끝단에는 이송판(22)을 전후진시키기 위한 이송서브모타(21)가 설치된다.
이에따라, 상기 이송서브모타(21)가 작동함에 따라 박스몸체(60)가 로딩된 상태의 이송판(22)이 가이더(23)를 따라 출구측으로 이송하게되는데, 이때 상기 이송서브모타(21)는 이송판(22)을 하나의 작업구간씩 이송시키므로서 측면 및 하부본딩날개의 접이과정, 본딩과정, 상부날개 접이과정 등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날개 접이수단(30)은 이송수단(20)에 의해 이송된 박스몸체(60)의 측면날개(61)와 하부본딩날개(62)를 순차적으로 접어주는 것으로서,
가이더(23)의 측면부에 2개의 회전실린더(31)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실린더(31)에는 상하 회동하면서 측면날개(61)를 안쪽으로 접어주는 접이다리(32)를 형성하여 상기 접이다리(32)가 도 6 과같이 상부로 회동하면서 측면날개(61)를 안쪽으로 접어주게된다.
또한 상기 가이더(23)의 중간부분 하단에는 상하실린더(34)를 형성하고, 상기 상하실린더(34)에 의해 상하로 수직이동하는 상승바(33)를 형성하므로서, 상기 접이다리(32)에 의해 측면날개(61)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상승바(33)가 상승하면서 하부본딩날개(62)를 상측으로 접어주게되는 것이다.(도 8 의 c 참조)
상기와같이 하부본딩날개(62)가 상부로 접어진 상태에서 이송수단(20)이 박스몸체(60)를 후단으로 이송시킬때 미도시된 별도의 누름바가 상기 하부본딩날개(62)에 밀착되어 하부본딩날개(62)가 다시 펴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날개 접이수단(30)의 후단에는 본딩노즐(40)이 별도의 브라켓(33)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딩노즐(40)은 이송수단(20)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몸체(60)의 하부본딩날개(62)에 액화된 고체본드를 분사하여 도포한다.
상기 가이더(23)의 최 후단에는 마지막으로 상부날개(63)를 아래쪽으로 접어주는 마감날개 접이수단(50)이 형성된다.
상기 마감날개 접이수단(50)은 가이더(2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작동실린더(51)를 설치하고, 그 작동실린더(51)의 작동단에 상하 이송부재(52)를 형성하며, 상기 상하 이송부재(52)의 저면에는 클램프(53)에 의해 누름판(5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송부재(52)의 측면부에 접이판(57)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데, 상기 접이판(57)은 상하이송부재(52)의 상면에 설치된 에어실린더(55)의출몰단에 링크(56)로서 결합한다.
이에따라, 본딩노즐(40)을 통과한 박스몸체(60)가 상기 상하이송부재(52)의 하측에 위치하게되면, 작동실린더(51)가 작동하여 상하이송부재(52)를 하강시켜 누름판(54)이 박스몸체(60)의 상부를 눌러주도록 하고, 또한 에어실린더(55)가 작동하여 접이판(57)이 도면상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함에 따라 개방된 상태의 상부날개(63)를 하측으로 접어주어 상부날개(63)가 하부본딩날개(62)의 본딩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누름판(54)이 박스몸체(60)의 상면을 눌러주고 있는 상태에서 접이판(57)이 펴진 상태의 상부날개(63)를 접어서 하부본딩날개(62)의 본딩면에 밀착시킴에 따라 접이판(57)이 상부날개(63)를 접어 눌러주더라도 박스몸체(60)가 밀리거나 움직이지 않게되어 상부날개(63)를 하부본딩날개(62)에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 마감날개 접이수단(50)에 의해 박스몸체(60)의 상부날개(63)가 도 8 의 (d)와같이 최종적으로 접어지게되면 이송수단(20)에 의해 박스몸체(60)가 출구(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서 자동으로 접어진 상태의 박스가 생산되는 것이며, 상기와같은 박스 포밍 및 본딩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은 미도시된 제어장치에 의해 자동 제어되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접혀진 다수의 박스를 적층 수납하는 박스 수납대, 적층된 박스를 흡착 이송시켜 이송수단으로 로딩하는 로딩수단, 로딩된 박스를 출구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몸체의 측면날개를 안쪽으로 접어주면서 하부본딩날개를 상측으로 세워주는 날개 접이수단, 상측으로 세워진 하부본딩날개에 본드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본딩노즐, 박스몸체의 상부날개를 하측으로 접어 하부본딩날개의 본드도포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마감날개 접이수단으로 구성하므로서, 다양한 크기의 박스를 포밍할 수 있고, 빠른 속도로 박스를 접어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커버(2) 상에 박스(60)의 적층 수납을 위해 길게 유선형으로 연장 설치되는 박스 수납대(3)와;
    상기 본체(1)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바닥판(11)에 서브모타(12)가 설치되고, 그 바닥판(11)으로부터 박스 수납대(3)의 하부를 향하도록 수직가이드(13)를 형성하며, 상기 서브모타(12)에 의해 수직가이드(13)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박스수납대(3)에 적층된 박스(60)를 흡착하여 박스몸체(60)가 사각형모양으로 세워진 상태로 이송수단(20)으로 로딩시키는 흡착 로딩수단(10)과;
    상기 바닥판(11)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가이더(23)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이송판(22)이 형성되고, 박스몸체(60)가 올려진 상기 이송판(22)을 출구(6)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서브모타(21)로 구성된 이송수단(20)과;
    상기 가이더(23)의 중간부 측면에 설치된 회전실린더(31)에 상하로 회동하는 접이다리(32)를 형성하여 이송판(22)을 타고 이동한 박스몸체(60)의 양측면날개(61)를 접어주도록 하고, 상기 가이더(23)의 측면 하단에 설치된 상하실린더(34)에 상승바(33)를 형성하여 측면 날개(61)가 접어진 상태에서 하부본딩 날개(62)를 밀어올리도록 구성된 날개 접이수단(30)과;
    상기 날개 접이수단(30)의 후단에 위치하면서 접어진 하부본딩날개(62)의 표면에 본드를 분사하는 본딩노즐(40)과;
    상기 가이더(23)의 최후단 상부에 설치된 작동실린더(51)에 상하이송부재(52)를 형성하고, 그 상하이송부재(52)의 일측에 에어실린더(55)에 링크(56) 결합된 접이판(57)을 형성하여 박스몸체(60)의 상부날개(63)를 하측으로 접어주어 상부날개(63)가 하부본딩날개(62)의 본딩부분에 부착되도록 하는 마감날개 접이수단(5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송부재(52)의 하단에 누름판(54)을 형성하여 상하이송부재(52)의 하강시 박스몸체(60)가 흔들리지 않도록 누름판(54)이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
KR20-2004-0009577U 2004-04-07 2004-04-07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 KR200356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577U KR200356006Y1 (ko) 2004-04-07 2004-04-07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577U KR200356006Y1 (ko) 2004-04-07 2004-04-07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006Y1 true KR200356006Y1 (ko) 2004-07-12

Family

ID=4943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577U KR200356006Y1 (ko) 2004-04-07 2004-04-07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0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533B1 (ko) * 2012-12-05 2013-08-07 이성 주식회사 랜덤 제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함방법
KR200468347Y1 (ko) * 2011-11-24 2013-08-16 (주)아모레퍼시픽 핫멜트를 이용한 포장박스 봉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47Y1 (ko) * 2011-11-24 2013-08-16 (주)아모레퍼시픽 핫멜트를 이용한 포장박스 봉인장치
KR101293533B1 (ko) * 2012-12-05 2013-08-07 이성 주식회사 랜덤 제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함방법
WO2014088163A1 (ko) * 2012-12-05 2014-06-12 이성 주식회사 랜덤 제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함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9090B1 (en) Machine for packaging articles into box-like containers
US7828708B2 (en) Case erector and sealer apparatus
CN112644790B (zh) 一种开箱机封底系统
US9701087B2 (en) Methods and machine for forming a container from a blank using a pre-fold mandrel section
US8277367B2 (en) Machine for shaping blanks of cardboard boxes
EP3352980B1 (en) Methods and machine for forming a shipping container with an article retaining web
CN207292595U (zh) 卧式装箱机
JPS63502092A (ja) 荷役装置およびその調節設備への応用
KR102275809B1 (ko)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
CN109178463A (zh) 一种物流纸箱包装自动化合箱装置
CN105236192B (zh) 纸板自动堆放装置
CN111361801A (zh) 双臂协作开箱接料翻转机器人
US20040226270A1 (en) Shuttle packer packaging machine
CN115924175A (zh) 一种洗衣机装箱装置
KR200356006Y1 (ko) 박스 본딩 및 자동 포밍장치
CN210175244U (zh) 一种全自动纸盒开盒机
CN109665157A (zh) 手套装盒机
EP2607070B1 (en) A unit for picking up a tubular container in a flattened configuration, for opening out the tubular container and for transferring the tubular container towards a receiving station of the tubular container
CN109466828A (zh) 一种打印机墨盒自动化生产方法和系统
CN109292156B (zh) 一种装箱产线
CN210708143U (zh) 一种smd物料自动开盒装置
JPH05330528A (ja) ケースの自動開箱・物品取り出し・折畳装置
JP2002144450A (ja) 包装箱の形成装置
JPH07223613A (ja) 箱製函装置
JP2005119730A (ja) ロボット式ケー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