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859Y1 - 여닫이 동작이 가능한 자동수문 - Google Patents

여닫이 동작이 가능한 자동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859Y1
KR200355859Y1 KR20-2004-0010074U KR20040010074U KR200355859Y1 KR 200355859 Y1 KR200355859 Y1 KR 200355859Y1 KR 20040010074 U KR20040010074 U KR 20040010074U KR 200355859 Y1 KR200355859 Y1 KR 200355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ice
closing
opening
g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보부
Original Assignee
최보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보부 filed Critical 최보부
Priority to KR20-2004-0010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8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8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5Y2600/322Rotary motion around a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하천이나 바닷가의 방조제 등에 설치되어 유입된 물이 한방향으로 유출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동수문의 외측부위에 오물이나 퇴적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키 위해 필요시 혹은 주기적으로 수문을 여닫이 하여 자동수문이 원활하게 동작되고 이로인해 파도나 수압에 의해 수문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자동수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 하천이나 바닷가의 방조제 등에 설치되어 유입된 물이 한방향으로 유출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동수문주위에 오물이 끼이거나 그 외측에 퇴적물이 쌓여 수문의 여닫이 동작을 방해하거나 수문의 닫힘 동작이 원활치 못하는 것을 방지키 위해 필요시 혹은 주기적으로 수문을 여닫이할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퇴적물이나 오물에 의해 수문의 닫힘 동작이 원활치 못해 수문이 파도나 수압에 의해 왜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입된 물을 바닷가 등으로 방출하는 자동수문에 있어서, 상기 자동수문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개/폐버턴(11)의 누름동작에 따라 정/역회전되어지는 구동모터(12)와 상기 구동모터(12)의 회전동력을 받아 와이어로프(20)를 감거나 풀어줄수 있는 와이어드럼으로 이루어진 권양부(10)와, 상기 권양부(10)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와이어로프(20)가 권취되도록 그끝단부에 롤러(21)가 형성된 지지바(30)와, 수문(50)의 하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로프(20)가 가이드 지지되어 구동모터(12)의 구동에 따라 수문(50)이 여닫이 동작 가능케 하는 수문견인부재(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양부(10)에 수문(50)의 여닫이 정도를 조절할수 있도록 멈춤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여닫이 동작이 가능한 자동수문{THE AUTO FLOODGATE ABLE TO OPENING AND CLOSING}
본 고안은 자동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하천이나 바닷가의 방조제 등에 설치되어 유입된 물이 한방향으로 유출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동수문의 외측부위에 오물이나 퇴적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키 위해 필요시 혹은주기적으로 수문을 여닫이 하여 자동수문이 원활하게 동작되고 이로인해 파도나 수압에 의해 수문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자동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수문은 하천이나 바닷가 등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을 바닷가 등으로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같은 자동수문은 저수된 물이 방류되는 과정에서 수문 외측으로 이물질(토사포함)등이 퇴적되어 자동수문의 정상적인 개폐동작이 이루어 지지 못하여 자동수문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될 뿐만 아니라 수문에 가해지는 수압이나 파도등에 의한 외압으로 인해 수문이 왜형되거나 심지어는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자동수문의 변형이나 파손으로 인해 개폐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불필요하게 물이 누수되는 문제점도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 하천이나 바닷가의 방조제 등에 설치되어 유입된 물이 한방향으로 유출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동수문주위에 오물이 끼이거나 그 외측에 퇴적물이 쌓여 수문의 여닫이 동작을 방해하거나 수문의 닫힘 동작이 원활치 못하는 것을 방지키 위해 필요시 혹은 주기적으로 수문을 여닫이할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퇴적물이나 오물에 의해 수문의 닫힘 동작이 원활치 못해 수문이 파도나 수압에 의해 왜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입된 물을 바닷가 등으로 방출하는 자동수문에 있어서, 상기 자동수문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개/폐버턴(11)의 누름동작에 따라 정/역회전되어지는 구동모터(12)와 상기 구동모터(12)의 회전동력을 받아 와이어로프(20)를 감거나 풀어줄수 있는 와이어드럼으로 이루어진 권양부(10)와, 상기 권양부(10)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와이어로프(20)가 권취되도록 그 끝단부에 롤러(21)가 형성된 지지바(30)와, 수문(50)의 하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로프(20)가 가이드 지지되어 구동모터(12)의 구동에 따라 수문(50)이 여닫이 동작 가능케 하는 수문견인부재(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양부(10)에 수문(50)의 여닫이 정도를 조절할수 있도록 멈춤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여닫이 동작이 가능한 자동수문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 수문 앞/뒷면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여닫이 동작이 가능한 자동수문의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권양부 11: 개폐버턴
12: 구동모터 20: 와이어로프
21: 롤러 30: 지지바
40: 수문견인부재 50: 수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여닫이 동작이 가능한 자동수문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 수문 앞/뒷면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여닫이 동작이 가능한 자동수문의 제어블럭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입된 물을 바닷가 등으로 방출하는 자동수문에 있어서, 상기 자동수문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개/폐버턴(11)의 누름동작에 따라 정/역회전되어지는 구동모터(12)와 상기 구동모터(12)의 회전동력을 받아 와이어로프(20)를 감거나 풀어줄수 있는 와이어드럼(미도시)으로 이루어진 권양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권양부(10)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와이어로프(20)가 권취되도록 그 끝단부에 롤러(21)가 형성된 지지바(30)가 구비되며, 수문(50)의 하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로프(20)가 가이드 지지되어 구동모터(12)의 구동에 따라 수문(30)이 여닫이 동작 가능케 하는 수문견인부재(4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문의 여닫이를 위해 구동모터(12) 대신 수동으로 회전레버(미도시)를 동작시켜 와이어로프(20)를 와이어드럼(13)에 권취시킬수 있다.
또한, 상기 권양부(10)에 수문(30)의 여닫이 정도를 조절할수 있도록 멈춤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멈춤부재는 좌/우측으로 조임레버를 이동동작시켜 와이어로프(20)를 밀착고정(멈춤동작)하거나 해제(풀림)시킬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수문에 이물질이 끼거나 그 외측에 퇴적물이 쌓인 경우에는 구동모터(12)를 정회전 동작시키게 되면, 외이어로프(20)는 와이어드럼에 권취되면서 수문(50)을 들어올려지게 된다.
수문(50)이 들어올려지면 저수된 물이 수문(50)밖으로 토출되면서 유속이 발생하여 수문(50) 외측에 쌓여진 퇴적물을 수월하게 제거할수 있게 된다.
퇴적물이 일정량 제거되어지면 구동모터(12)를 역회전 동작시켜 와이어드럼에 권취된 와이어로프(20)를 풀어주게 되는데, 이에따라 수문(50)이 하강동작되어 원위치하게 된다.
이와같은 동작은 퇴적물의 쌓인 정도에 따라 임의적으로 구동모터를 동작시켜 퇴적물을 제거할수 있으며 구동모터(12)를 주기적으로 구동시켜 퇴적물을 제거시킬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반 하천이나 바닷가의 방조제 등에 설치되어 유입된 물이 한방향으로 유출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동수문주위에 오물이 끼이거나 그 외측에 퇴적물이 쌓여 수문의 여닫이 동작을 방해하거나 수문의 닫힘 동작이 원활치 못하는 것을 방지키 위해 필요시 혹은 주기적으로 수문을 여닫이할수 있음으로 자동수문이 파도나 수압으로 인해 왜형되거나 파손되는 일이 발생치 않아 제품의 내구성과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Claims (2)

  1. 유입된 물을 바닷가 등으로 방출하는 자동수문에 있어서, 상기 자동수문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개/폐버턴(11)의 누름동작에 따라 정/역회전되어지는 구동모터(12)와 상기 구동모터(12)의 회전동력을 받아 와이어로프(20)를 감거나 풀어줄수 있는 와이어드럼으로 이루어진 권양부(10)와, 상기 권양부(10)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와이어로프(20)가 권취되도록 그 끝단부에 롤러(21)가 형성된 지지바(30)와, 수문(30)의 하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로프(20)가 가이드 지지되어 구동모터(12)의 구동에 따라 수문(30)이 여닫이 동작 가능케 하는 수문견인부재(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동작이 가능한 자동수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양부(10)에 수문(30)의 여닫이 정도를 조절할수 있도록 멈춤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동작이 가능한 자동수문.
KR20-2004-0010074U 2004-04-12 2004-04-12 여닫이 동작이 가능한 자동수문 KR200355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074U KR200355859Y1 (ko) 2004-04-12 2004-04-12 여닫이 동작이 가능한 자동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074U KR200355859Y1 (ko) 2004-04-12 2004-04-12 여닫이 동작이 가능한 자동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859Y1 true KR200355859Y1 (ko) 2004-07-09

Family

ID=4943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074U KR200355859Y1 (ko) 2004-04-12 2004-04-12 여닫이 동작이 가능한 자동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8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968B1 (ko) * 2007-07-11 2009-02-26 (주)연일 수동수문 및 자동수문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수문권양장치
KR100891175B1 (ko) * 2008-05-26 2009-04-02 주식회사 우승산업 수문의 개폐장치
KR101019795B1 (ko) * 2008-04-17 2011-03-04 동근한 자동수문을 인양하는 수단을 가지는 지수벽 일체형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968B1 (ko) * 2007-07-11 2009-02-26 (주)연일 수동수문 및 자동수문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수문권양장치
KR101019795B1 (ko) * 2008-04-17 2011-03-04 동근한 자동수문을 인양하는 수단을 가지는 지수벽 일체형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KR100891175B1 (ko) * 2008-05-26 2009-04-02 주식회사 우승산업 수문의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795B1 (ko) 자동수문을 인양하는 수단을 가지는 지수벽 일체형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KR100768082B1 (ko)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CN110258486B (zh) 一种河道闸口漂浮垃圾环保清理装置
KR200355859Y1 (ko) 여닫이 동작이 가능한 자동수문
KR101557744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수문
KR100885968B1 (ko) 수동수문 및 자동수문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수문권양장치
KR20050118116A (ko) 권양기 수문의 구성방법
KR20090000991A (ko) 수문
CN109958184B (zh) 排水管道冲刷拦截装置
KR100719495B1 (ko) 하수도용 수문장치
JP2008106461A (ja) フラッシュゲート
KR200413658Y1 (ko) 상하수도용 수문장치
JP4603211B2 (ja) 昇降式越流堰
KR200427611Y1 (ko) 자동비를 갖는 상하수도용 수문장치
KR101587983B1 (ko)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다단형 수문
KR100647352B1 (ko) 다단 전도식 수문시스템
KR102198358B1 (ko) 고정핀을 이용한 스크린 및 수문 훼손방지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문
JP4644171B2 (ja) フラップゲートの構造
CN218492437U (zh) 一种水利启闭闸门
KR200395475Y1 (ko) 수로 개폐장치
KR100690196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권양기 수문
KR200215793Y1 (ko) 수문 개폐장치
KR100702205B1 (ko) 케이블 견인식 수문
KR200364372Y1 (ko) 수압식 수문 구동 장치
CN116180683B (zh) 一种闸门运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