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689Y1 - 휴대용 전자제품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689Y1
KR200355689Y1 KR20-2004-0009293U KR20040009293U KR200355689Y1 KR 200355689 Y1 KR200355689 Y1 KR 200355689Y1 KR 20040009293 U KR20040009293 U KR 20040009293U KR 200355689 Y1 KR200355689 Y1 KR 200355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electronic product
coupled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경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Dm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Dm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Dm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4-0009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6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6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제품의 이용자가 원하는 시각으로 전자제품을 테이블에 세워 놓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제품에 대해 개시한다. 이는 전자제품 본체(20)의 표면에 복수의 지지공(21)(2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공(21)(22)에 일부가 결합되어 전자제품을 일정각도로 지지시키는 지지대(30)를 구비한다. 또한, 전자제품 본체(20) 내측 즉, 지지공(21)(22)의 내측에는 본체(20)에 고정설치되는 판스프링(50)이 마련되고, 지지대(30)에 지지공(21)(22)에 결합되며 판스프링(50)이 탄성력으로 밀착되는 결합돌기(31)(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전자제품은 본체(20)에 지지공(21)(22)을 형성하고 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30)를 구비함으로써, 테이블에 소망하는 각도로 전자제품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또한, 지지대(30)를 연결띠(40)로 본체(20)에 연결 고정시킴으로써 지지대의 분실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제품{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제품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전자제품의 이용자가 원하는 시각으로 전자제품을 테이블에 세워 놓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디스플레이를 위한 액정화면을 가지고 있는 개인휴대 정보단말기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또는 휴대용 AV(Audio Video) 장치와 같은 전자제품은 이용자가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며, 통상 본체(10)에는 연결띠(15)가 연결되어서 휴대시 분실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한손으로 단말기 본체(10)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디스플레이부(11)를 조작하여 사용하게 되며, 또한 테이블에서 사용시에는 단말기(10) 본체를 테이블 상에 놓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를 조작하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의 휴대용 전자제품은 테이블에 놓은 상태로 사용시에 디스플레이부(11)가 외부조명으로 반사되어서 이용이 불편하며,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앉아서 사용시에 테이블에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부(11)를 보기 위하여는 자세를 교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사용자가 소망하는 각도로 테이블에 세워서 보관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제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전자제품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휴대용 전자제품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 요부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채용되는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전자제품 본체 21,22...지지공
30...지지대 31,32...결합돌기
40...연결띠 50...판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제품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품 본체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에 일부가 결합되어 전자제품을 일정각도로 지지시키는 지지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전자제품에는 상기 지지공의 내측에 상기 본체에 고정설치되는 판스프링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대에 상기 지지공에 결합되며 상기 판스프링이 탄성력으로 밀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 전자제품은 상기 결합돌기에 상기 판스프링이 밀착되어 이탈을 방지시키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를 상기 전자제품 본체에 연결고정시키는 연결띠를 구비하여서 분실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전자제품은 지지대에 의해서 일정각도로 지지가 가능해지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이용을 편리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제품을 나타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예컨대 전면에 디스플레이부인 액정화면을 가지고 있는 개인휴대 정보단말기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또는 휴대용 AV(Audio Video) 장치와 같은 전자제품을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전자제품 본체(20)의 배면에 복수의 지지공(21)(2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공(21)(22)에 일부가 결합되어 전자제품을 일정각도로 테이블에 지지시키는 지지대(30)를 구비한다.
또한, 전자제품 본체(20) 내측 즉, 상기 지지공(21)(22)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20)에 고정설치되는 판스프링(50)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대(30)에 상기 지지공(21)(22)에 결합되며 상기 판스프링(50)이 탄성력으로 밀착되는 결합돌기(31)(32)가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31)(32)에 상기 판스프링(50)이 밀착되어 이탈을 방지시키는 오목홈(31a)(3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자제품에는 상기 지지대(30)를 상기 전자제품 본체(20)에 연결고정시키는 연결띠(40)를 구비하여서 분실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 휴대용 전자제품은 한손으로 본체(20)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조작패널을 조작하는 등으로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0)를 이용하여 테이블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이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외부광의 입사각도에 따라 본체(20)의 기울기를 달리하여 지지시킬 수 있다. 지지대(30)는 연결띠(40)에 의해서 본체(20)에 연결됨으로써 분실을 방지시킬 수 있으며, 일정각도로 형성된 지지공(21)(22)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서 본체(20)의 지지각도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지지공들 중 상부에 위치한 지지공(21)에 지지대(30)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경우 본체(20)는 지지면과 약 30도의 각도를 가지게 되며, 지지대(30)를 하부에 위치한 지지공(22)에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경우 본체(20)는 지지면으로부터 약 60도의 각도를 가지게 된다.
한편, 지지대(30)의 결합돌기(31)(32)가 지지공(21)(22)에 결합될 때, 내부의 판스프링(50)이 탄력적으로 결합돌기(31)(32)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며, 더욱이 결합돌기(31)(32)에 오목홈(31a)(32a)이 형성됨으로써 지지대(30)의 결합상태를 더욱 안정하게 한다.
또한, 휴대하여 사용시 본체(20)를 파지한 손의 손가락을 지지대(30)에 걸은상태로 본체(20)를 파지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 중 본체(20)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정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본체(20)에 지지공(21)(22)을 형성하고 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30)를 구비함으로써, 테이블에 소망하는 각도로 전자제품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둘째, 지지대(30)를 연결띠(40)로 본체(20)에 연결고정시킴으로써 지지대의 분실을 방지한다.

Claims (6)

  1. 휴대용 전자제품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품 본체(20)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공(21)(2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21)(22)에 결합되어 전자제품을 일정각도로 지지시키는 지지대(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공(21)(22)의 내측에 상기 본체(20)에 고정설치되는 판스프링(50)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대(30)에 상기 지지공(21)(22)에 결합되며 상기 판스프링(50)이 탄성력으로 밀착되는 결합돌기(3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제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31)(32)에 상기 판스프링(50)이 밀착되어 이탈을 방지시키는 오목홈(31a)(3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제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를 상기 전자제품 본체(20)에 연결고정시키는 연결띠(4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전제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공(21)(22)의 내측에 상기 본체(20)에 고정설치되는 판스프링(50)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대(30)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중공의 홈이 형성된 고리와, 상기 고리의 일측면에 상기 지지공(21)(22)에 결합될 때 상기 판스프링(50)이 탄성력으로 밀착되는 결합돌기(3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제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31)(32)에 상기 판스프링(50)이 밀착되어 이탈을 방지시키는 오목홈(31a)(3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제품.
KR20-2004-0009293U 2004-04-03 2004-04-03 휴대용 전자제품 KR200355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293U KR200355689Y1 (ko) 2004-04-03 2004-04-03 휴대용 전자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293U KR200355689Y1 (ko) 2004-04-03 2004-04-03 휴대용 전자제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865A Division KR100487662B1 (ko) 2004-04-02 2004-04-02 휴대용 전자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689Y1 true KR200355689Y1 (ko) 2004-07-07

Family

ID=49433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293U KR200355689Y1 (ko) 2004-04-03 2004-04-03 휴대용 전자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6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6930B (zh) 保护壳
US6994575B1 (en) Desktop charger with adjustable connector module
US8300388B2 (en) Accessory strap securing mechanism
US20030193773A1 (en) Portable computer
US20070211415A1 (en) Holding case usable with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30155586A1 (en) Suppor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7197345B2 (en) Replaceable sliding cover unit for folder in folder-type portable phone
US20020181189A1 (en) Notebook computer with a small display panel
JP2011035810A (ja) 携帯端末のホルダー
US20230389684A1 (en) Attachment for a mobile phone case
JP2012227794A (j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KR20170060805A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010069646A (ko) 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355689Y1 (ko) 휴대용 전자제품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100487662B1 (ko) 휴대용 전자제품
KR1010414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케이스의 결합구조
KR101346572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KR200457661Y1 (ko)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KR100563152B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지지구조
JP2008131154A (ja) 携帯電話機
WO2006096031A2 (en)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330219Y1 (ko) 휴대폰 거치대
JP2000184911A (ja) ノートパソコン等に対する携帯電話ホルダ
KR1006547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