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188Y1 - 출입구용 탈취액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출입구용 탈취액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188Y1
KR200355188Y1 KR20-2004-0007856U KR20040007856U KR200355188Y1 KR 200355188 Y1 KR200355188 Y1 KR 200355188Y1 KR 20040007856 U KR20040007856 U KR 20040007856U KR 200355188 Y1 KR200355188 Y1 KR 2003551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ance
deodorizing
deodorizing liquid
deodorant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완용
Original Assignee
나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현주 filed Critical 나현주
Priority to KR20-2004-0007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1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1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나 인체에 배어있는 냄새를 탈취시키는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며, 출입구 출입시 자동으로 탈취제를 살포하는 탈취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등간격 설치된 복수개의 분무노즐(10)을 가지며, 출입구(D)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탈취액을 분무하는 탈취액분무관(10)과; 탈취액이 저장된 탈취액탱크(20)와; 이 탈취액탱크(20) 및 탈취액분무관(10)에 연결되어, 탈취액탱크(20)의 탈취액을 탈취액분무관(10)으로 공급하는 펌프(30)와; 출입구(D)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출입감지센서(40) 및; 이 출입감지센서(40)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으면, 펌프(30)를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탈취액분무관의 분무노즐이 안개상태의 탈취액커튼을 출입구에 형성하면서, 출입자에게 탈취액을 제공하므로, 탈취액이 출입자가 출입구를 통과하는 즉시 탈취를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출입구용 탈취액 분무장치 {DEODORANT VAPORIZER FOR DOOR}
본 고안은 냄새를 탈취시키는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류나 인체에 배어있는 냄새를 탈취액으로 탈취시키는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을 이용할 경우 머리와 의류에 음식 냄새가 배게되며, 특히 생선이나 육류를 구워먹는 음식점을 이용할 경우에는, 그 육류의 구이냄새가 의류에 무척 강하게 밴다.
따라서, 육류구이 음식점을 이용한 후에는, 그 냄새를 주위에 오랫 동안 풍기게 되며, 이로 인하여 주변사람들을 불쾌하게 만들곤 한다.
그래서, 육류구이 음식점을 이용한 사람들은, 의류에 강하게 배어있는 냄새를 없에고자 의류를 세탁을 한다.
그러나, 이렇게 의류에 냄새가 밸때 마다 의류를 세탁한다는 것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세탁시 의류를 마모시켜 의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람의 출입시 안개상태의 냄새탈취용 탈취액커튼을 출입구에 자동으로 형성하는, 출입구용 탈취액 분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용 탈취액 분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취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탈취액분무관 12 : 분무노즐
20 : 탈취액탱크 30 : 펌프
40 : 출입감지센서 50 : 제어부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의류나 인체에 배어있는 냄새를 탈취시키는 탈취장치에 있어서, 등간격 설치된 복수개의 분무노즐을 가지며, 출입구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탈취액을 분무하는 탈취액분무관과; 탈취액이 저장된 탈취액탱크와; 이 탈취액탱크 및 탈취액분무관에 연결되어, 탈취액탱크의 탈취액을 탈취액분무관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출입감지센서 및; 이 출입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으면, 펌프를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탈취액 분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때, 제어부는 출입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출입감지신호에 따라,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펌프를 작동시키는 릴레이 및; 이 릴레이에 연결되어, 펌프의 설정된 작동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탈취액은 냄새에 대하여 중화작용을 하는 물이나, 인체에 무해한 액상의 방향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시중에 유통되는 통상의 탈취액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펌프의 작동시간은 출입자의 출입시간을 고려하여, 3 내지 10초로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탈취장치는 출입자의 출입구 출입시 탈취제를 출입자에게 자동으로 제공하므로, 탈취액이 출입자가 출입구를 통과하는 즉시 탈취를 실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출입구용 탈취액 분사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용 탈취액 분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취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용 탈취액 분사장치는, 탈취액분무관(10)과, 탈취액탱크(20) 및 펌프(30), 그리고 출입감지센서(40) 및, 펌프(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탈취액분무관(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D)에 수직으로 설치하되, 양측에 수직으로 대향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양측으로 탈취액분무관(10)이 설치되도록, 탈취액분무관(10)을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의 'U'모양으로 절곡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액분무관(10)에는 탈취액을 분무시키면서, 안개상태의 탈취액커튼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12)이 종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된다.
탈취액분무관(10)의 분사노즐(12)에서 분사되는 탈취액은, 탈취액탱크(20)으로부터 제공된 탈취액이며, 이러한 탈취액은 냄새에 대하여 중화작용을 하는 물이나, 인체에 무해한 액상의 방향제, 또는 시중에 유통되는 통상의 탈취액을 적용할 수 있다.
탈취액이 저장된 탈취액탱크(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30)에 연결되며, 이러한 펌프(30)는 배출측이 전술된 탈취액분무관(10)에 연결된다.
그리고, 펌프(3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제어부(50)에도 연결되어, 제어부(50)에 의하여 그 작동이 제어되며, 제어부(50)는 출입구(D)의 상단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출입감지센서(40)와 연결되어 연동된다.
제어부(50)는 릴레이(52) 및 이와 연동되는 타이머(54)를 포함하며, 릴레이(52)는 출입감지센서(40)로부터 인가되는 출입감지신호에 따라, 무접점식(스마트릴레이 타입)으로 스위칭작용을 하면서 펌프(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펌프(30)를 작동시키며, 타이머(54)는 릴레이(52)에 연결되어, 펌프(30)의 설정된 작동시간을 카운팅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미도시된 온/오프(ON/OFF)스위치를 조작하여 온(ON)시키면, 제어부(50) 및 출입감지센서(40)에 전원이 공급되며, 출입감지센서(40)는 출입구(D)에 사람이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50)의 릴레이(52)는 이 감지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되면서, 펌프(30)가 작동되도록 펌프(30)에 전원을 인가하며, 타이머(54)는 릴레이(52)의 스위칭과 동시에 펌프(30)의 설정된 작동시간을 카운팅한다.
따라서, 펌프(30)는 펌핑하면서 탈취액저장탱크(20)의 탈취액을 탈취액분무관(10)으로 공급하며, 탈취액분무관(10)은 노즐(12)을 통해 탈취액을 분무하여, 안개상태의 탈취액커튼을 출입구(D)에 형성한다.
이렇게, 탈취액커튼이 출입구(D)에 형성됨에 따라, 출입자는 탈취액커튼을 자연스럽게 통과하면서 탈취액으로 샤워한다.
한편, 타이머(54)는 펌프(30)의 작동시간 카운팅이 완료되면, 이 완료신호를 릴레이(52)에 인가하고, 릴레이(52)는 이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작용을 하면서 펌프(30)의 공급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타이머(54)에 설정된 카운팅 시간은 대략, 3 내지 5초가 적당하다. 이는 출입자의 출입구(D) 통과시간을 고려한 것이다.
하지만, 제어부(50)는 타이머(54)의 설정시간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탈취액분무관(10)의 분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펌프(30)의 펌핑압력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구성 및 작동되는 본 고안은, 출입자의 출입구(D) 출입시 탈취제를 자동으로 제공하므로, 출입구(D)를 통과하는 출입자의 의류에는 반드시 탈취제가 도포되어 흡수된다.
따라서, 출입자의 의류에 배어있는 냄새는 이러한 탈취제에 의하여 신속하게탈취된다.
한편, 도2의 미설명 부호 C는, 전술된 탈취액탱크(20)와 펌프(30) 및 제어부(50)를 일체식으로 구성할 경우, 이들을 차폐시키는 케이스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용 탈취액 분사장치는, 탈취액분무관의 분무노즐이 안개상태의 탈취액커튼을 출입구에 형성하면서, 출입자에게 탈취액을 제공하므로, 탈취액이 출입자가 출입구를 통과하는 즉시 탈취를 실시할 수 있어, 출입자의 의류에 배어있는 냄새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취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될 뿐만 아니라, 출입자의 출입시 탈취액을 제공하므로, 의류에 배어있는 냄새를 편리하게 탈취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의류나 인체에 배어있는 냄새를 탈취시키는 탈취장치에 있어서,
    등간격 설치된 복수개의 분무노즐(12)을 가지며, 출입구(D)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탈취액을 분무하는 탈취액분무관(10)과;
    탈취액이 저장된 탈취액탱크(20)와;
    상기 탈취액탱크(20) 및 상기 탈취액분무관(10)에 연결되어, 탈취액탱크(20)의 탈취액을 탈취액분무관(10)으로 공급하는 펌프(30)와;
    출입구(D)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출입감지센서(40) 및;
    상기 출입감지센서(40)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으면, 상기 펌프(30)를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탈취액 분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출입감지센서(40)로부터 인가되는 출입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펌프(30)를 작동시키는 릴레이(52) 및;
    상기 릴레이(52)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30)의 설정된 작동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탈취액 분무장치.
KR20-2004-0007856U 2004-03-22 2004-03-22 출입구용 탈취액 분무장치 KR2003551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856U KR200355188Y1 (ko) 2004-03-22 2004-03-22 출입구용 탈취액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856U KR200355188Y1 (ko) 2004-03-22 2004-03-22 출입구용 탈취액 분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188Y1 true KR200355188Y1 (ko) 2004-07-06

Family

ID=4943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856U KR200355188Y1 (ko) 2004-03-22 2004-03-22 출입구용 탈취액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1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439B1 (ko) 2007-01-22 2008-08-14 한국과학기술원 탈취용 스탠딩 거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439B1 (ko) 2007-01-22 2008-08-14 한국과학기술원 탈취용 스탠딩 거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80745A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及び除菌・消臭方法
KR20100041572A (ko) 살균장치와 살균비데시스템
KR100585485B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JP2007016360A (ja) かつら洗浄殺菌消臭乾燥装置
JP2006333909A (ja) 浴室自動洗浄装置
KR200355188Y1 (ko) 출입구용 탈취액 분무장치
CN205677009U (zh) 一种生物除臭蹲便装置
KR100496882B1 (ko) 에어 샤워 시스템
CN206591589U (zh) 一种智能马桶
KR100614876B1 (ko) 발냄새 제거용 발판
CN217907513U (zh) 一种智能足浴器
KR200294524Y1 (ko) 냄새 탈취장치
KR20020048668A (ko) 탈취 장치
KR200357835Y1 (ko) 애완동물의 세척장치
KR200390516Y1 (ko) 비데용 분(파우더) 분사 장치
JPH08110074A (ja) エアーシャワー室
KR200364237Y1 (ko) 자동차 내부 청소기
KR20060016231A (ko) 다기능 비데
KR200375279Y1 (ko) 다기능 비데
KR200447923Y1 (ko)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
KR101181525B1 (ko) 좌변기
KR20090098184A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비데시트
JPH11192180A (ja) 殺菌水噴霧装置
KR101593063B1 (ko) 탈취 기능이 구비된 변기
KR960006859Y1 (ko) 한증탕(사우나)내의 액즙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