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129Y1 - 발판지지대 - Google Patents

발판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129Y1
KR200355129Y1 KR20-2004-0009246U KR20040009246U KR200355129Y1 KR 200355129 Y1 KR200355129 Y1 KR 200355129Y1 KR 20040009246 U KR20040009246 U KR 20040009246U KR 200355129 Y1 KR200355129 Y1 KR 200355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footrest
support
foo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강호
Original Assignee
권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강호 filed Critical 권강호
Priority to KR20-2004-0009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1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1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2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 A47C16/025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adjustable, swivelling, rocking

Landscapes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발판 지지대는 발을 지지하고 좌우측에 연결홈(21)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발판(20) 및, 1쌍의 다리(11)로 구성되어 연결부재(30)에 의하여 좌우측면에 발판(20)이 장착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구(15)와 연결구의 하단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16)를 구비한 몸체(10)와, 몸체(10)의 일측면에 일면이 개방된 사각 육면체 형상으로 장착된 발판수용부(40) 및, 발판수용부(40)의 내부에 구비된 쿠션재(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발판 지지대는 발판(20)이 위치되는 플레이트(31)를 구비하고, 플레이트(31)의 좌우측에 각각 직각 형성되어 소정위치에 연결공(36)을 구비한 지지대(35)가 장착되어 연결부재(30)에 의하여 몸체(10)의 연결구(15)에 탈부착 가능한 발판보조대(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발판 지지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을 다양한 높이로 제공하여 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발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보다 안락한 자세로 발을 지탱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발판을 수용하는 발판을 용이하게 보관을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발판 수용부를 오침용 보조기구로 사용하여 오침 시에 보다 편안한 자세로 잠을 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판지지대{FOOTING SUPPORT DEVICE}
본 고안은 발판지지대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실 책상 등의 공간에서 사용자의 발을 안락하게 지지하고 또한 오침 시에 보조기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 발판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사무직 종사자는 근무 시간 내내 책상에 앉아 근무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사무직 종사자는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으면 허리가 아프기도 하고, 다리의 불편함을 호소하기도 한다, 특히, 대부분의 사무직 종사자는 의자 등의 불편함마저 있어 종아리 하부의 발 부분의 통증을 느낀다는 통계 자료가 있다. 또한, 여름에는 신고 있는 신발로 인해 발 부위가 답답하여 신발을 벗은 맨발 상태 또는 신발 위에 발을 올려놓아 발이 쉽사리 더러워진다는 위생상의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해, 책상 밑의 공간에 방석이나 일반 쿠션재 등의 보조기구를 구비하여 이에 발을 지탱하는 방법을 쓰기도 하는데, 방석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고 방석 등의 보조기구가 발의 움직임에 의하여 자주 이동될 뿐 아니라 발의 높이 조절이 원활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더불어, 점심시간을 이용하여 사무직 종사자는 잠시 오침의 시간을 갖기도 하는데 보통 책상에 웅크린 자세로 잠을 청하거나 수건을 하나 깔아놓고 잠을 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잠이 잘 오지 않거나 자고나서도 목이 아프다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사무직 종사자가 보다 안락한 자세로 발을 지지하고 위치되는 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동시에 오침 시에 보다 편안한 자세로 오침을 취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책상 밑에 발을 지지할 수 있는 발판이 구비된 지지대를 제공하여 보다 편안한 자세로 사용자가 발을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지대에 오침 보조 기구를 구비하여 오침 시에 이를 사용함으로서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오침을 청할 수 있도록 하며 발판의 다양한 재질을 구비하고 또한 발판의 원활한 높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판 지지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판 지지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판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판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판 지지대의 사용 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35: 지지대
20: 발판 40: 발판 수용부
21: 연결홈 45: 돌출부
30: 발판보조대 50: 쿠션재
31: 플레이트 55: 연결고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발판 지지대는 발을 지지하고 좌우측에 연결홈(21)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발판(20) 및, 1쌍의 다리(11)로 구성되어 연결부재(30)에 의하여 좌우측면에 발판(20)이 장착 고정되는 적어도 1쌍의 연결구(15)와 연결구의 하단에 형성된 적어도 1쌍의 스토퍼(16)를 구비한 몸체(10)와, 몸체(10)의 일측면에 일면이 개방된 사각 육면체 형상으로 장착된 발판수용부(40) 및, 발판수용부(40)의 내부에 구비된 쿠션재(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발판 지지대는 발판(20)이 위치되는 플레이트(31)를 구비하고, 플레이트(31)의 좌우측에 각각 직각 형성되어 소정위치에 연결공(36)을 구비한 지지대(35)가 장착되어 연결부재(30)에 의하여 몸체(10)의 연결구(15)에 탈부착 가능한 발판보조대(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발판수용부(40)의 좌우측면에는 적어도 1쌍의 돌출부(4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쿠션재(50)의 좌우측면에는 적어도 1쌍의 연결고리(55)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해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발판 지지대는 발판(20)을 수용하는 몸체(10) 및 발판(2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몸체(10)는 일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제작이 가능하며, 사각 형상의 일반 합판 재질로 몸체의 좌우면을 봉입하는 것도 가능하나, 금속재를 사용하여 봉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제작비용 절감을 위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몸체(10)는 주로 사무실, 가정의 책상 아래에 두어 오랜 시간 의자에 앉아 있을 때 호소할 수 있는 발의 불편함을 방지하도록 한다.
몸체(10)는 1쌍의 다리(11)가 연장되어 지면과 접촉을 하며, 상기 몸체(10)를 지면에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10)의 다리(11) 하단에는 고무 재질의 완충재(1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는 또한 좌우 측면에 발판(20)과의 연결을 돕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구(15)가 좌우 1쌍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 연결구(15)에 발판(20)이 연결될 수 있다. 연결구(15)는 몸체(10)의 양 측면에 소정 높이를 형성하여 각각 좌우 1쌍으로 상, 중, 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발판(20)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요망하는 발판(20)의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고, 이를 위해 상, 중, 하의 연결구(15)는 몸체(10)의 일측면에 적절한 거리를 두어 형성될 수가 있다.
연결구(15)는 몸체(10)의 측면 상에 일반 관통홀로 구성되기도 하나,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10)에 돌출부(17)를 형성하여 돌출부(17) 상에 관통홀을 만들어 연결구(15)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구(15)의 하단에는 스토퍼(16)가 형성된다. 연결구(15)에 고정된 발판(20)은 이 스토퍼(16)에 지지되어 더 이상 하방으로 회동되지 않으며 스토퍼(16)에는 완충부재를 더 구비하여 발판(20)의 회동 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발판(20)은 상술한 몸체(10)의 연결구(15)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곳이다. 발판(20)은 쿠션소재로 되어 안락감을 높일 수가 있으며, 상, 중, 하의 연결구(15)에 모두 고정되어 최대 3개의 발판(20)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3개의 발판(20)은 각각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발판은 고무재, 제 2발판은 방향재가 도포된 소재, 제 3 발판은 일반 합성수지재 또는 가죽재 등으로 구성이 될 수 있으며 이 모든 발판(20)은 모두 쿠션이 있는 소재가 기본이 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발판의 양 측면에는 연결홈(21)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연결홈(21)의 내부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에 볼트, 너트 조합의 연결부재(30)에 의하여 상기 연결구(15)와 조립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판(20)은 몸체(10)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탈부착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발판(20)의 길이는 몸체(10)의 좌우 길이보다 약간 짧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길이의 차이를 볼트, 너트 등의 연결부재(30)로 조절할 수가 있다. 즉, 발판(20)의 연결홈(21) 및 몸체(10)의 연결구(15)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이에 볼트가 삽입가능하며 이를 너트로 조임 고정할 수가 있다.
또한, 연결부재(30)의 조임의 강도에 따라 발판(20)은 몸체(10) 상에서 다양한 각도로 회동될 수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발판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는 발판(20)이 안착될 수 있는 발판 보조대(30)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판보조대(30)는 발판이 위치, 안착되는 플레이트(31)를 구비하는데, 이 플레이트(31)는 발판(20)이 위치되는 부분에 발판(20)의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의 홈을 형성하여 발판(20)이 함입되도록 한다. 발판(20)이 플레이트(31)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발판(20)과 플레이트(31)의 소정위치에 홈을 형성하여 볼트, 너트와 같은 연결부재에 의하여 결합 고정될 수가 있다.(미도시)
발판보조대(30)는 플레이트(31)의 좌우측에 각각 직각 형성되어 소정위치에연결공(36)을 구비한 지지대(35)가 장착된다. 이 지지대(35)는 발판보조대(30)와 몸체(10)와의 연결을 돕는 수단이며, 연결공(36)은 몸체(10)의 연결구(15)와 힌지핀(미도시)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연결이 된다.
이 발판보조대(30) 역시 몸체(10)에 형성된 스토퍼(16)에 의하여 필요 이상의 회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기본적으로 스토퍼(16)는 지지대(35)를 압박하는 마찰력에 의해 발판보조대(30)를 고정시키기도 하지만, 발판보조대(30)의 지지대(35)에 형성된 홈에 스토퍼(16)가 끼워 맞춤 결합됨으로써 발판보조대(30)의 회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스토퍼(16)는 연결구(15)아래 형성된 가이드라인(미도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라인에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여 스토퍼(16)가 발판보조대(30)의 결합시 탄성력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이 될 수도 있다. 스토퍼(16)가 가이드라인을 따라 바깥쪽으로 이동되면 발판보조대(30)는 몸체(10) 상에서 회동이 가능할 수가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발판(20) 자체의 각도 조절을 위해서라기보다는 몸체(10)에 고정된 발판(20)의 높이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힌지핀에 탄성부재의 연결 수단을 더 이용하여 원위치에서 사용자가 발판보조대(30)를 누르면 하방으로 회동되고 다시 발을 떼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구성도 물론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발판 지지대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몸체(10)의 일 측면에 사용되지 않는 발판(20)을 수용할 수 있는 발판수용부(40)를 구비하는 것이다.
발판수용부(40)는 일면이 개방된 사각 형상의 육면체로 구성되어 있어,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홈이나 고리 등을 통하여 몸체(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최대 3개의 발판(20)을 제공하는데, 만일 사용자가 하나의 발판(20)만을 사용하고 다른 발판(20)을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되지 않는 발판(20)을 이 발판수용부(40)에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발판수용부(40)의 좌우측에는 각각 적어도 1쌍, 바람직하게는 3쌍의 돌출부(45)가 형성되어 있으며, 빌판수용부(40) 내에는 쿠션재(5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쿠션재(50)의 좌우측면에는 발판수용부(40)의 돌출부(45)에 상응하는 개수로 각각 적어도 좌우측 1쌍, 바람직하게는 3쌍의 연결고리(5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발판수용부(40)를 몸체에서 분리하여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45)에 쿠션재(50)의 연결고리(55)를 걸어 발판수용부(40)를 오침용 보조기구로 사용할 수가 있다. 사무소에서의 사용자는 점심시간 등을 이용하여 발판수용부(40)를 베게와 같은 오침용 보조기구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쿠션재(50)가 발판수용부(55)에 고정이 되어 머리를 움직여도 쉽사리 유동되지 않아 편리하게 오침용 보조기구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쿠션재(50)는 소정 두께의 일반 천 내지 헝겊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이에 발판(20)에 사용된 동일한 재질의 쿠션 소재를 기본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연결고리(55) 및 돌출부(45)는 일반 고무재로 제작이 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판 몸체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판 지지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을 다양한 높이로 제공하여 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발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보다 안락한 자세로 발을 지탱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발판을 수용하는 발판을 용이하게 보관을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발판 수용부를 오침용 보조기구로 사용하여 오침 시에 보다 편안한 자세로 잠을 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발을 지지하고 좌우측에 연결홈(21)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발판(20) 및;
    1쌍의 다리(11)로 구성되어 연결부재(30)에 의하여 좌우측면에 상기 발판(20)이 장착 고정되는 적어도 1 쌍의 연결구(15)와 상기 연결구(15)의 하단에 형성된 적어도 1쌍의 스토퍼(16)를 구비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 일면이 개방된 사각 육면체 형상으로 장착된 발판수용부(40) 및;
    상기 발판수용부(40)의 내부에 구비된 쿠션재(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20)이 위치되는 플레이트(31)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31)의 좌우측에 각각 직각 형성되어 소정위치에 연결공(36)을 구비한 지지대(35)가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재(30)에 의하여 상기 몸체(10)의 상기 연결구(15)에 탈부착 가능한 발판보조대(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지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수용부(40)의 좌우측면에는 적어도 1쌍의 돌출부(4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쿠션재(50)의 좌우측면에는 적어도 1쌍의 연결고리(5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지지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20)은 발의 중량을 지탱하고 흡수하는 쿠션재질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지지대.
KR20-2004-0009246U 2004-04-02 2004-04-02 발판지지대 KR200355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246U KR200355129Y1 (ko) 2004-04-02 2004-04-02 발판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246U KR200355129Y1 (ko) 2004-04-02 2004-04-02 발판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129Y1 true KR200355129Y1 (ko) 2004-07-02

Family

ID=4934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246U KR200355129Y1 (ko) 2004-04-02 2004-04-02 발판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1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240Y1 (ko) 2014-08-20 2015-09-09 김광기 다기능 2단 발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240Y1 (ko) 2014-08-20 2015-09-09 김광기 다기능 2단 발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99715A1 (en) Adjustable seat and leaning apparatus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6298508B1 (en) Kneel cushions
US5707108A (en) Cushioning device
KR200355129Y1 (ko) 발판지지대
GB2575465A (en) A shower seat
KR101468048B1 (ko) 다용도 목욕의자
KR200415432Y1 (ko) 욕조 받침대
KR200275534Y1 (ko) 발 받침대를 갖는 의자
JP3237202U (ja) 高さ調整可能な椅子
CN210493382U (zh) 一种公共卫生间用老年人椅
KR20220138075A (ko) 발 받침대 겸용 발목운동기구
WO2010080025A1 (en) Supporting device
TW201946582A (zh) 坐跪兩用式馬桶
KR200394850Y1 (ko) 장애인용 좌변기에 사용되는 탈부착 가능한 팔걸이대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CN215424362U (zh) 一种简易折叠马桶椅
JP7461657B2 (ja) 傾倒防止具
KR200306659Y1 (ko) 좌변기용 보조의자
CN208403761U (zh) 高安全性老人椅
KR200361362Y1 (ko) 의자용 발받침 기구
JP2007000295A (ja) トイレテーブル
KR200375140Y1 (ko) 척추 및 골반 운동용 테이블
JP2005230134A (ja) クッション座布団
JP4405228B2 (ja) 簡易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