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749Y1 -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 Google Patents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749Y1
KR200354749Y1 KR20-2004-0009709U KR20040009709U KR200354749Y1 KR 200354749 Y1 KR200354749 Y1 KR 200354749Y1 KR 20040009709 U KR20040009709 U KR 20040009709U KR 200354749 Y1 KR200354749 Y1 KR 200354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cervical cell
insertion member
collection
vagi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일
Original Assignee
바이오코아 주식회사
이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코아 주식회사, 이병일 filed Critical 바이오코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9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7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91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for ute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16Sampling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성의 자궁경부세포의 채취를 위한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 관한 것으로, 여성의 질 내부에 삽입 가능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의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 내에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실장되고, 자궁경부세포 채취를 위한 브러쉬가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자궁경부세포 채취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는 종래의 채취기구와는 달리, 자궁경부세포의 자가채취가 가능하며 세포 채취시 필요하던 질경(speculum) 등의 별도의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Device for self-picking a cervix uterine cell}
본 고안은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궁경부세포의 채취를 위하여 질경(specculum)등의 별도의 기구가 필요하던 기존의 자궁경부세포 채취기구와는 달리 별도의 기구 없이 자가채취가 가능한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궁경부암은 1년에 5000명이 넘는 것으로 보고될 정도로 우리나라의 여성암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자궁경부암은 암으로 진행되기 전에 암 전단계의 병변을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이 시기에 발견될 경우 완치가 가능하므로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알려져 왔다. 종래에는 이러한 조기 진단을 위하여 여러가지 도구을 이용하여 세포진 검사(pap smear)를 수행하여 왔는데 이에 사용된 도구들은 면봉 또는 싸이토브러쉬(cyto-brush)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 도구들을 여성의 질속으로 삽입하여 세포진 검사를 수행하여 왔다.
이 중 현재 세포진 검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면봉의 경우, 세포채취에 있어 비용은 절감할 수 있으나, 검체량의 부족 및 면봉을 구성하고 있는 솜 등의 잔해가 여성의 질속에 남을 경우가 있어 비위생적인 경향이 있었다.
다른 하나인 싸이토브러쉬(cyto-brush)의 경우 채취자의 숙련정도에 따라 필요한 검체량 및 적정검체의 확보에 있어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봉 및 싸이토브러쉬(cyto-brush)를 이용하여 세포진 검사를 할 경우에는 반드시 본인 이외의 채취자가 필요하게 되며 이 채취자의 시야확보 및 도구의 통로 확보를 위해 질경(speculum)등의 별도의 도구를 필요로 한다. 이 경우 여성이 어쩔 수 없이 타인에게 자신의 은밀한 부분을 보여주어야 하므로 어느 정도의 수치심을 느낄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포 채취 후 상기 도구들을 질 외부로 인출할 경우, 질 내부의 다른 부위의 분비물에 의해 애써 채취한 자궁경부세포가 오염되어 오진 및 자궁경부세포를 다시 채취 하여야 하는 경우도 존재하여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자궁경부세포를 본인 스스로 채취할 수 있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궁경부세포 채취시 요구되던 질경(speculum) 등의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세포를 채취할 수 있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을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삽입부재의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캡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삽입부재가 질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채취구의 브러쉬가 자궁경부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에 대한 설명>
10... 삽입부재 12... 삽입부
14... 플랜지부 20... 채취구
22... 브러쉬 24... 지지부
26... 풀림 방지턱 30... 캡
32... 장공 34... 걸림홈
40... 탄성부재 62... 질
64... 자궁경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는, 여성의 질 내부에 삽입 가능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의 삽입부재; 및상기 삽입부재 내에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실장되고, 자궁경부세포 채취를 위한 브러쉬가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자궁경부세포 채취구;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는, 삽입부재가 소정의 길이 이상 질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질 입구보다 외경이 큰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 부터 연장되어 질 내부로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외경이 작아지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뿔형태의 삽입부; 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채취구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장공이 형성된 캡; 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장공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채취구을 가이드할 수만 있다면 어떤 형태라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채취구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으며, 상기 브러쉬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채취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가 더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채취구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캡에 형성된 장공에서 연장되어 상기 채취구의 걸림턱이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홈; 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 따르면, 종래에는 세포 를 채취할 경우 본인 외에 반드시 채취자 및 질경(speculum)등을 필요로 하였으나, 본 고안의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사용시 상기와 같은 채취자나 별도의 도구가 필요 않게 되므로, 여성이 타인에게 자신의 은밀한 부분을 보여주므로서 생길수 있는 수치감이 감소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삽입부재의 구비로 인해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구분없이 세포검사을 위한 충분한 검체량을 확보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 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100)는 여성의 질(도4의 62 참조) 내부로 삽입 가능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의 삽입부재(10) 및 상기 삽입부재(10)의 내부에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실장되고, 자궁경부세포 채취를 위한 브러쉬(22)가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자궁경부세포 채취구(20)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재(10)는 상기 채취구(20)가 자궁경부(도 4의 64 참조)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질(62) 내부의 통로 확보 및 세포 채취시 세포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채취구의 브러쉬(22)에 자궁경부(64) 외의 다른 부위의 분비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다.
상기 삽입부재(10)는 질(62) 내부로 소정의 길이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질(62) 입구보다 외경이 큰 플랜지부(14) 및 상기 플랜지부(14)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질(62)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12)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12)는 질(62) 내부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뿔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보편적으로 여성의 질(62)의 길이는 평균 7~10cm(±2~3cm 오차)이고, 자궁경부(64)의 직경은 평균 2~3cm 정도의 편차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브러쉬(22)가 자궁경부(64)에 정확히 도달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12)의 길이는 약 7cm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10)의 플랜지부(14)는 상기 채취구(20)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장공(32)이 형성된 캡(3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장공(32)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채취구(20)을 가이드할 수만 있다면 어떤 형태라도 가능하다.
상기 채취구(20)는, 자궁경부(64)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세포를 채취하는 브러쉬(22), 상기 탄성부재(4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부(2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취구(20)는 사용자가 채취구(20)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50)를 더 구비한다. 이 때 채취구(20)의 손잡이(50)는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22)는 자궁경부세포 채취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의 모(毛)로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의 채취구(20) 조작에 의해 자궁경부(64)에 삽입되어 직접적인 세포 채취에 사용되며 상기 채취구(20)의 일단부에 마련된다.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24)는 후술하는 탄성부재(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채취구(20)의 일측에 마련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채취구(20)의 외주면에는 상기 브러쉬(22)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채취구(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이를 지지하는 탄성부재(40)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40)는 그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24)에 지지되는 동시에, 그 타단은 캡(30)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이들 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한다. 대안으로서, 상기 탄성부재(40)의 타단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재(10)를 질(62) 내부로 삽입시킬 때 상기 브러쉬(22)가 삽입부재(10) 내에 위치하도록 채취구(20)를 후퇴시켜 고정시키는 걸림수단이 마련된다. 만약 이러한 걸림수단이 마련되지 않고 상기 브러쉬(22)가 삽입부재(10)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재(10)를 질(62) 내부로 삽입시킬 경우, 삽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삽입과정에서 상기 브러쉬(22)가 질(62) 내외부의 다른 표피와 접촉함으로써 목적하는 자궁경부세포를 정확하게 채취할 수 없게 된다.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채취구(20)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는 걸림턱(26)과, 상기 캡(30)에 형성된 장공(32)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26)이 선택적으로 걸려서 결합되는 걸림홈(34)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26)은 채취구(20)를 후퇴시켜 상기 걸림턱(26)을 걸림홈(34)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그 채취구(20) 선단에 있는 브러쉬(22)가 삽입부재(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30)에 형성된 장공(32)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장공(32)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홈(34) 보다는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채취구(20)를 장공(32)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장공(32)의 직경이 상기 걸림턱(26) 보다는 크므로 상기 채취구(20)의 전후진이 가능하지만, 채취구(20)를 걸림홈(34) 쪽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걸림홈(34)의 직경이 상기 걸림턱(26) 보다 작으므로 걸림턱(26)은 걸림홈(34)에 안착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장공(32)을 따라 채취구(20)를 이동시켜 전후진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100)를 이용하여 자궁경부세포를 채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10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100)를 질(62) 내부로 삽입하여 세포를 채취하기 위해 먼저 삽입준비단계를 거친다.
여기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채취구(20)를 후퇴시켜 브러쉬(22)가삽입부재(10) 내부에 위치하도록 준비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채취구(20)에 마련된 손잡이(50)를 잡고 캡(30)에 형성된 장공(32)을 통하여 브러쉬(22)의 반대방향으로 채취구(20)를 이동시킨다.
이어서 채취구(20)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턱(26)을 상기 장공(32)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홈(34)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채취구(2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탄성부재(40)는 채취구(20)에 형성된 탄성부재 지지부(24) 및 캡(30)에 의해 양방향으로 부터 힘을 받아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채취구(20)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자궁경부세포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브러쉬(22)는, 삽입부재(10)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질(62) 내부의 분미물 또는 다른 이물질 등과의 접촉없이 자궁경부(64)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삽입부재(10)의 플랜지부(14)를 손으로 파지하고 삽입부(12)를 질(62) 내부로 삽입한다. 이 때 삽입부(12)는 질(62)보다 외경이 큰 플랜지부(14)로 인해 질(62)의 입구에서 걸리게 되므로 소정의 길이 이상 질(62)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다.
이어서 사용자는 채취구(20)의 손잡이(50)를 파지한 후 채취구(2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브러쉬(22)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인가하여 걸림홈(34)에 안착된 걸림턱(26)을 장공(32)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걸림홈(34) 보다 외경이 큰 걸림턱(26)으로 인해 전후진이 불가능 했던 채취구(20)는, 걸림턱(26)의 외경보다 큰 장공(32)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채취구(20)의 전후진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지지부(24) 및 걸림턱(26)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고 있던탄성부재(40)는 채취구의 브러쉬(22) 방향으로 반발력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브러쉬(22)는 질(62) 내부로의 이동이 가능해 진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질(62) 내부로 삽입된 삽입부재(10)에 의해 확보된 통로를 통하여 채취구(20)의 일단부에 설치된 브러쉬(22)를 자궁경부(64)로 밀어 넣은 후, 상기 채취구(20)를 상기 캡(30)에 형성된 원형의 장공(32)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브러쉬(22)는 브러쉬(22)가 인출입 되는 상기 삽입부재(10)의 일단부를 축(H)으로 회전하면서, 원형으로 형성된 자궁경부(64) 내부 전체와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검사에 필요한 다량의 자궁경부세포를 질(62) 내부의 다른 분비물로 부터 보호하며, 또한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서 채취할 수 있게 된다.
세포채취가 완료된 후 삽입부재(10)를 빼낼 때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채취구(20)를 후퇴시켜 걸림수단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브러쉬(22)를 삽입부재(10) 내에 위치 시킨 다음에 삽입부재(10)를 빼내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 따르면, 여성의 평균적인 질의 길이를 토대로 형성된 삽입부재의 구비로 인해 비전문가가 시행한다 하더라도 보다 정확하게 자궁경부까지 브러쉬를 삽입하여 검사에 필요한 충분한 자궁경부세포의 채취가 가능하며, 질 내부의 통로 확보로 인해 자궁경부 외의 다른 분비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르면, 본인 외의 채취자 및 별도의 기구인 질경(specurum)의 필요없이 본인 스스로 자궁경부세포의 자가 채취가 가능하여지므로 여성으로서 느낄 수 있었던 수치감 및 비용의 절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Claims (6)

  1. 자궁경부세포의 채취를 위한 채취기구에 있어서,
    여성의 질 내부에 삽입 가능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의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 내에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실장되고, 자궁경부세포 채취를 위한 브러쉬가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자궁경부세포 채취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소정의 길이 이상 질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질 입구보다 외경이 큰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되어 질 내부로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원뿔형태의 삽입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채취구의 선회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장공이 형성된 캡; 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구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브러쉬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자궁경부세포 채취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가 상기 삽입부재 내에 위치하도록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걸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캡에 형성된 장공보다 직경이 작도록 상기 채취구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장공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의 직경보다 작아서 상기 걸림턱이 걸리게 되는 걸림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KR20-2004-0009709U 2004-04-08 2004-04-08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KR200354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709U KR200354749Y1 (ko) 2004-04-08 2004-04-08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709U KR200354749Y1 (ko) 2004-04-08 2004-04-08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202A Division KR100571548B1 (ko) 2004-04-08 2004-04-08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749Y1 true KR200354749Y1 (ko) 2004-06-30

Family

ID=4943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709U KR200354749Y1 (ko) 2004-04-08 2004-04-08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7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81170A1 (en) Self-sampling brush and method for use
US4227537A (en) Endometrial brush with slidable protective sleeve
JP3669705B2 (ja) 子宮組織採取装置
US4877037A (en) Tissue or mucus sampling device
US20080188769A1 (en) Foldable Brush Self-sampling Device
US20120157878A1 (en) Anatomically designed and collapsible intravaginal device for self-sampling and containment of cervical epithelial cells
US20210236099A1 (en) Method of Obtaining Biological Material via Biological Sampling Device
US20080114265A1 (en) Double Core Biopsy Instrumentation Kit
CA2480905C (en) Cellular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11957322B2 (en) Personal cervical cell collection device, kit and method
US20200281572A1 (en) A self-sampling device for vaginal fluid collection
KR200391422Y1 (ko)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JP2005528151A5 (ko)
US20060030786A1 (en) Personal cervical cell collector
US6402700B1 (en) Pap smear apparatus and method
EP3481302B1 (en) Improved vaginal cell or cervical cell collection device
KR100571548B1 (ko)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KR200354749Y1 (ko)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KR101227764B1 (ko) 자궁경부용 세포채취기 구조
CN215349123U (zh) 一种可调节宫颈标本刷
KR101918443B1 (ko)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EP2127603B1 (en) Device for taking cytologic samples of the cervix
CN212679171U (zh) 一种医学检验用宫颈细胞采集装置
US9839413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ducting a pap smear test
CN211243477U (zh) 宫颈刷及宫颈细胞采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