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443B1 -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 Google Patents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443B1
KR101918443B1 KR1020180015629A KR20180015629A KR101918443B1 KR 101918443 B1 KR101918443 B1 KR 101918443B1 KR 1020180015629 A KR1020180015629 A KR 1020180015629A KR 20180015629 A KR20180015629 A KR 20180015629A KR 101918443 B1 KR101918443 B1 KR 101918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crew
body cover
cover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근
최명우
Original Assignee
최민근
최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근, 최명우 filed Critical 최민근
Priority to KR1020180015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2010/0074Vaginal or cervical secre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세포를 채취하기 위해 전후진 나선운동을 수행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를 보호하고 입출방향을 가이드하는 브러쉬 캡; 전단이 상기 브러쉬와 연결되고, 상기 브러쉬가 전후진 나선운동을 하도록 몸체에 스크류가 형성된 스크류 로드; 상기 스크류 로드의 나선운동을 가이드하는 몸통 커버; 및 상기 스크류 로드에 연결되되, 전후진 직선운동을 하는 손잡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는자궁경부질환 검사에 필요한 시료를 스스로 채취할 수 있으므로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 타인에게 신체의 민감한 부위를 노출하지 않아도 되며, 멸균 등 처리후에 개별포장하므로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비위생적인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그로 인한 질 내부에 이물질의 잔존 또는 채취자의 실수로 인한 상처 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 사용자가 자가채취기구를 질 내부로 삽입하고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여 불편함 또는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고, 여타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안전하게 자궁경부세포를 채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Self-sampling device of cervix uteri cell}
본 발명은 자궁경부질환을 판단하기 위한 자궁경부세포를 자가로 채취하기 위한 기구로써, 더 자세하게는 타인에 의해 수치심을 느끼지 않고 용이하게 자궁경부세포를 자가 채취하여, 이를 통해 자궁경부질환을 검사해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여성의 생식기 질환 중 하나인 자궁경부 질환의 진단을 위해서는 자궁경부의 세포를 직접 채취하여 검사를 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방법은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 여성들은 시간을 할당하여 의료기관을 방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할 뿐만 아니라, 타인에게 신체의 민감한 부위를 보여주어야 하므로, 이 검사를 꺼려하여 검사를 미루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료기관에서 널리 사용하는 자궁경부세포 채취장비의 경우, 질을 통해 검경(Speculum)을 삽입하고 면봉 또는 부드러운 브러쉬로 자궁경부를 문질러서 자궁경부의 시료를 채취하는데, 검사를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 장비의 위생에 대해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면봉 사용 시에 면봉을 구성하고 있는 솜과 같은 이물질이 여성의 질 속에 남아있을 수 있어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자궁경부세포를 자가채취할 수 있는 기구가 개발되어 있지만, 종래의 자가채취기구는 삽입부부터 조작부까지 일자형으로 형성되거나, 기구의 부피가 크므로 스스로 삽입하여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과 불쾌감을 유발한다.
또한, 종래의 자가채취기구는 삽입 후 세포를 채취하기 위해 기구를 조작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채취 브러쉬의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각각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불편한 조작방법과 서툰 조작으로 인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이 원활하지 않아 시료 채취량이 너무 적거나, 자궁경부 쪽에 출혈을 야기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자가채취기구의 브러쉬는 자궁경부세포를 채취한 후, 질 내부를 통해서 그대로 빠져나오기 때문에, 자궁경부세포와 질 내 이물질이 섞일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혈액 또는 질 내 이물질이 포함된 자궁경부세포 시료로 자궁경부질환을 검사하게 되면, 세포 판독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가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07554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422호
본 발명은 위의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궁경부 질환 검사 대상자들이 직접 시간을 내어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아도 되고, 타인에게 신체의 민감한 부위를 노출하지 않아도 되며, 멸균 등 처리후에 개별포장하므로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장비의 청결도에 대한 걱정없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스스로 삽입 시 불편함 없이 삽입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사용자의 불편함과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고 자궁경부세포를 채취할 수 있으며, 여타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안전하게 자궁경부세포를 채취 및 보호할 수 있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는,
브러쉬(15); 및
상기 브러쉬(15)와 연결되고, 몸체에 스크류가 형성된 스크류 로드(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 로드(10)는 축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전후진 직선운동을 나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상기 브러쉬(15)가 전후진 나선운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서,
상기 브러쉬(15)는 전단 및 후단이 개방된 중공의 브러쉬 캡(20)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 로드(10)는 전단 및 후단이 개방된 중공의 몸통 커버(21)에 구비되되, 손잡이 커버(24)에 연결되며,
상기 브러쉬 캡(20)의 후단은 상기 몸통 커버(21)의 전단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몸통 커버(21)의 후단에는 상기 손잡이 커버(24)가 상기 몸통 커버(21)의 내외측으로 전후진 직선운동을 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서,
상기 브러쉬 캡(20)은 상기 몸통 커버(21)의 전단에 고정결합되되, 상기 몸통 커버(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몸통 커버(21)의 길이방향과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서,
상기 스크류 로드(10)는,
상기 브러쉬(15)와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브러쉬 연결부(11);
전단이 상기 브러쉬 연결부(11)와 연결되고, 전후진 직선운동을 전후진 나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스크류가 형성된 스크류부(12); 및
상기 스크류부(12)의 후단에 연결된 회동로드(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서,
상기 몸통 커버(21)의 내측에는, 스크류 거치돌기(22)를 구비하여 상기 스크류부(12)의 나선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몸통 커버(21)의 후단과 상기 스크류 거치돌기(22)의 사이에 스프링 거치돌기(23)를 구비하여 삽입되는 스프링(16)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몸통 커버(21)의 후단의 내측 테두리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서,
상기 손잡이 커버(24)는, 전단에 삽입구가 형성된 중공의 통형상이며,
상기 삽입구의 내측으로는 내측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 로드(10)의 회동로드(13)가 삽입되어 회전은 하되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삽입구의 외측으로는 외측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통 커버(21)의 후단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서,
상기 스프링(16)은, 상기 손잡이 커버(24)의 전단에 밀착되어, 상기 손잡이 커버(24)의 전진 직선운동에 의해 압축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 커버(24)를 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서,
상기 브러쉬 연결부(11)는 연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서,
상기 브러쉬 연결부(11), 상기 스크류부(12), 및 상기 회동로드(13)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개로 형성된 후 고정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부(12)의 나선운동에 따라 상기 브러쉬(15), 상기 브러쉬 연결부(11) 및 상기 회동로드(13)는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에서,
상기 자가채취기구는,
상기 손잡이 커버(24)에 힘을 가해 전진시키면, 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 로드(10)가 상기 몸통 커버(21)의 스크류 거치돌기에 의해 전진 나선운동을 하고, 전진 나선운동을 하는 상기 스크류 로드(10)를 따라 상기 브러쉬(15)가 전진 나선운동을 하여 브러쉬 캡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손잡이 커버(24)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 커버(24)가 후진하면서 상기 스크류 로드(10)는 후진 나선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브러쉬(15)는 브러쉬 캡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스스로 자궁경부질환 검사에 필요한 시료를 스스로 채취할 수 있으므로,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 타인에게 신체의 민감한 부위를 노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치심을 느끼지 않아도 되며, 멸균 등 처리후에 개별포장하므로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비위생적인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그로 인한 질 내부에 이물질의 잔존 또는 채취자의 실수로 인한 상처 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며, 사용자가 좀 더 용이하게 자가채취기구를 질 내부로 삽입하고 기구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불편함 또는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고, 여타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안전하게 자궁경부세포를 채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미작동 시의 외부을 표현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미작동 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미작동 시의 측면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작동 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작동 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작동 시의 측면단면도.
도8a는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사용예시도.
도8b는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사용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미작동 시의 외부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미작동 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1의 A-A'를 따라 형성된 단면을 도시한 측면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작동 시의 외부을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작동 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도5의 B-B'를 따라 형성된 단면을 도시한 측면단면도, 도8a는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사용예시도, 도8b는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사용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는, 브러쉬(15); 및 브러쉬(15)와 연결되고, 몸체에 스크류가 형성된 스크류 로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스크류 로드(10)는 축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전후진 직선운동을 나선운동으로 전환시켜, 브러쉬가 전후진 나선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브러쉬(15)는 전단 및 후단이 개방된 중공의 브러쉬 캡(20)에 구비되고, 스크류 로드(10)는 전단 및 후단이 개방된 중공의 몸통 커버(21)에 구비되되, 손잡이 커버(24)에 연결되며, 브러쉬 캡(20)의 후단은 몸통 커버(21)의 전단에 고정결합되고, 몸통 커버(21)의 후단에는 손잡이 커버(24)가 몸통 커버(21)의 내외측으로 전후진 직선운동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는, 세포를 채취하기 위해 전후진 나선운동을 수행하는 브러쉬(15); 브러쉬(15)를 보호하고, 입출방향을 가이드하되, 자가채취기구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임의의 각도만큼 사선으로 배치된 관형상의 브러쉬 캡(20); 전단이 상기 브러쉬(15)와 연결되고, 상기 브러쉬(15)가 전후진 나선운동을 하도록 몸체에 스크류가 형성된 스크류 로드(10); 상기 스크류 로드(10)의 나선운동을 가이드하는 몸통 커버(21); 및 상기 스크류 로드(10)에 연결되되, 전후진 직선운동을 하는 손잡이 커버(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브러쉬(15)는 질 내벽 또는 자궁경부 내벽에 상처를 내지 않고, 세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섬유, 폴리프로필렌 폴리머(polypropylene polymer), 또는 실리콘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구비하며, 브러쉬 헤드 부분은 곡면 형태로 구성하여 질 내벽 또는 자궁경부 내벽에 자극을 가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브러쉬(15)는 자궁경부세포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전후진 직선운동을 수행할 뿐만 하니라, 회전운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나선운동을 하여, 단순 전후진 직선운동만으로는 부족한 세포채취방법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회전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자궁경부의 전방위의 세포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어 좀 더 신뢰성이 높은 검사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브러쉬 캡(20)은 브러쉬(15)를 보호할 뿐만아니라 브러쉬의 입출방향을 가이드하면서 질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스크류 로드(10)의 장축방향, 즉, 자가채취기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임의의 각도만큼 사선으로 배치되며, 전단 및 후단이 개방된 중공의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러쉬 캡(20)을 스크류 로드(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형성한 것은 사용자가 자가채취기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브러쉬 캡(20)부분을 질 내부로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브러쉬 캡(20)이 외부직경이 일정한 폭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브러쉬 출입구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브러쉬 캡(20)의 내부 직경은 브러쉬(15)의 직경보다 크고, 브러쉬 캡(20)의 내부 관의 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브러쉬(15)가 나선운동하면서 전후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채취한 세포를 이동시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브러쉬 캡의 내부 단면은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브러쉬 캡(20)의 후단은 몸통 커버(21)의 전단에 고정결합된다. 이때, 브러쉬 캡(20)은 몸통 커버(21)의 전단에 몸통 커버(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몸통 커버(21)의 길이방향과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에서는 브러쉬 캡(20)의 후단이 몸통 커버(21)의 사선 각도로 휘어진 전단부에 밀착 고정되는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브러쉬 캡의 후단을 길이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브러쉬 캡(20)의 장축의 길이는 브러쉬(15)의 장축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미사용 시 및 사용 이후에 브러쉬(15)가 브러쉬 캡(2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자궁경부세포가 채취된 브러쉬(15)에 질 내부의 여타 세포 또는 이물질이 브러쉬에 흡착되어 자궁경부세포가 오염되거나, 브러쉬(15)가 질 내벽에 부딪힘으로 인하여 자궁경부세포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채취기구의 사용 전후에 브러쉬 캡(20) 내부로 외부로부터 기타 세균들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 브러쉬(15)를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브러쉬 캡(20)의 출입구에는 착탈가능한 뚜껑 또는 자동개폐가 가능한 뚜껑이 설치될 수 있다.
스크류 로드(10)는, 브러쉬(15)와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브러쉬 연결부(11); 전단이 브러쉬 연결부(11)와 연결되고, 전후진 직선운동을 전후진 나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스크류가 형성된 스크류부(12); 및 스크류부(12)의 후단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동로드(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러쉬 연결부(11)는 전단은 브러쉬(15)와 착탈식으로 연결되고, 후단은 스크류부(12)의 전단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연성재질의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어, 스크류 로드(10)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임의의 각도만큼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브러쉬 캡(20)으로 유연하게 휘어져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브러쉬 연결부(11)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연성재질의 폴리머 이외에도 유연하게 휘는 재질이면 어느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브러쉬 연결부(11)는 스크류부(1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구비한 후 고정결합될 수 있다. 브러쉬 연결부(11)는 스크류부(12)와 함께 전후진 나선운동을 수행하므로, 브러쉬 연결부(11)와 연결된 브러쉬(15) 또한 전후진 나선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스크류부(12)는 전후진 직선운동을 전후진 나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몸체에 스크류가 형성된 것으로, 스크류부(12)의 축을 기준으로 임의의 각도로 나선형의 날이 형성된다. 여기서, 스크류부(12)는 마모 또는 취성에 견딜 정도의 안정성을 가져야 하므로, 나일론과 같이 높은 경도와 내마모성을 가진 폴리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같은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동로드(13)는 스크류부(12) 후단에 형성되어 스크류부(12)의 나선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스크류부(12)와의 결합부위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중공의 손잡이 커버(24)에 내포되되 분리되지 않도록 손잡이 커버(24)와 결합된다.
여기서, 회동로드(13)는 스크류부(1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개로 형성된 뒤 고정결합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부(12)의 축방향과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동로드와 결합한 손잡이커버에 의한 전후진 직선운동이 스크류부의 전후진 나선운동을 원할하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몸통 커버(21)는 스크류 로드(10)의 나선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몸통 커버의 전단에는 브러쉬 캡(20)의 후단이 고정결합되고, 몸통 커버(21)의 후단의 내측 테두리에는 절곡되어 형성된 환형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손잡이커버(24)가 몸통 커버(21)의 후단으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몸통 커버(21)의 내외측으로 전후진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한다.
몸통 커버(21)는 단면이 반원이며, 서로 대응되어 결착되는 제1몸통 커버(21a) 및 제2몸통 커버(21b)로 구성되며, 제1몸통 커버(21a) 및 제2몸통 커버(21b) 각각의 내측면 일정위치에는 스크류부(12)의 나선형 날의 각도와 수직하도록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스크류 거치돌기(22)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스크류부(12)와 접촉하는 스크류 거치돌기(22)의 접촉면은 스크류부(12)의 중심축과 나선형 날이 이루는 만곡된 곡면과 부합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1몸통 커버(21a) 및 제2몸통 커버(21b) 각각의 내측면에 형성된 스크류 거치돌기(22)가 한쌍을 이루어 스크류부(12)의 나선형 날이 나선으로 회전하면서 전후진하도록 하는 나선운동을 가이드 하는 것이다.
또한, 몸통 커버(21)의 후단과 스크류 거치돌기(22)의 사이에는 삽입되는 스프링(16)을 거치시키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 거치돌기(23)가 환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스프링 거치돌기(23)의 내직경은 스크류부(12)의 외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크류부(12)의 전후진 이동시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스프링 거치돌기(23)는 스크류 거치돌기(22)에 인접하되 몸통 커버(21)의 후방쪽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 커버(24)는 중공의 통형상으로, 전단에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후단은 밀폐되며, 스크류부(12)의 회동로드(13)가 삽입되어 회동은 하되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구에는 내측으로 회동로드(13)의 걸림홈에 대응되는 내측돌출부가 형성되고, 삽입구 외측으로는 몸통 커버(21)의 후단의 테두리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외측돌출부가 형성되어, 몸통 커버(21)의 후단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손잡이 커버(24)는 몸통 커버(21)의 후방부에서 몸통 커버(21)의 내외측으로 전후진 직선운동을 하게된다.
손잡이 커버(24)는 회동로드와의 결합 및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가능한 제1손잡이 커버(24a)와 제2손잡이 커버(24b)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몸통 커버(21)의 스프링 거치돌기(23)와 손잡이 커버(24)의 전단 사이에는 스프링(16)이 배치된다. 스프링(16)은 손잡이 커버(24)의 전단에 밀착되어, 손잡이 커버(24)에 가해지는 미는 힘에 의한 전진 직선운동에 의해 압축되고, 손잡이 커버에 가해지는 힘이 소멸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로 복귀하면서 손잡이 커버(24)를 후진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 커버(24)를 전진시키면, 전진하는 손잡이 커버(24)의 전단면에 의해 스프링(16)이 압축되고, 사용자가 손잡이 커버(24)에서 힘을 제거하면, 압축된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손잡이 커버(24)가 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손잡이 커버(24)의 전진이동에 따라 스프링은 압축되게 되고, 손잡이 커버와 연결되어 있는 스크류 로드(10)의 스크류부(12)가 나선운동하면서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크류부에 연결되어 있는 브러쉬(15)가 회동하면서 브러쉬 캡(15)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또한, 세포 채취 완료후, 사용자가 손잡이 커버에서 손을떼어 미는 힘을 제거하면, 압축된 스프링(1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스크류 로드(10)가 후진 나선운동을 하게 되어 브러쉬(15)가 브러쉬 캡(20) 내부로 복귀하게 된다.
스프링 거치돌기(23)의 위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거치돌기(22)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위치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가채취기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 커버(24)에 힘을 가해 전진시키면, 스프링(16)이 압축됨과 동시에 스크류부(12)가 몸통 커버(21)의 스크류 거치돌기(22)에 의해 전진 나선운동을 하게 되고, 연질의 브러쉬 연결부(11)에 의해 연결된 브러쉬(15)가 전진 나선운동을 하며 사선으로 휘어진 브러쉬 캡(20)을 통해 배출된다.
브러쉬(15)는 전진 나선운동하면서 자궁경부세포를 채취하게 된다.
채취가 완료되면, 손잡이 커버(24)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한다.
손잡이 커버(24)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었으므로, 압축되었던 스프링(16)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손잡이 커버를 밀어 후진이동시킨다.
손잡이 커버의 후진이동에 따라, 손잡이 커버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로드(10)는 후진력을 받게 되고, 이 후진력에 의해 스크류부(12)가 후진 나선운동을 하게 되어, 연결된 브러쉬 연결부(11)를 통해 브러쉬(15)가 브러쉬 캡(20) 내부로 인입된다.
위와 같은 작동방식을 이용한 자가채취기구를 브러쉬 캡(20) 부분을 위로 향하게 하여 여성의 질에 삽입한 후 손잡이 커버(24) 부분을 엄지 손가락으로 2~3회 천천히 눌렀다 떼는 동작을 반복한 뒤, 손잡이 커버(24)에서 엄지손가락을 떼고, 자가채취기구를 질에서 제거하면 된다.
이렇게 채취한 자궁경부세포시료는 외부에 장시간 방치 시 여러 세균으로 인한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 세포보존액이 포함된 세포보존용기에 자궁경부세포가 부착된 브러쉬(15)만을 탈착시켜 보관할 수 있다.
10 : 스크류 로드 11 : 브러쉬 연결부
12 : 스크류부 13 : 회동로드
15 : 브러쉬 16 : 스프링
20 : 브러쉬 캡 21 : 몸통 커버
21a : 제1몸통 커버 21b : 제2몸통 커버
22 : 스크류 거치돌기 23 : 스프링 거치돌기
24 : 손잡이 커버

Claims (10)

  1. 전단 및 후단이 개방된 중공의 브러쉬 캡(20)에 구비된 브러쉬(15);
    상기 브러쉬(15)와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브러쉬 연결부(11); 전단이 상기 브러쉬 연결부(11)와 연결되고, 전후진 직선운동을 전후진 나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스크류가 형성된 스크류부(12); 및 상기 스크류부(12)의 후단에 연결된 회동로드(13);로 구성되되, 전단 및 후단이 개방된 중공의 몸통 커버(21)에 구비되는 스크류 로드(10); 및
    상기 회동로드(13)가 회전은 하되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되며,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전진하고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후진하는 손잡이 커버(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러쉬 캡(20)의 후단은 상기 몸통 커버(21)의 전단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몸통 커버(21)의 후단에는 상기 손잡이 커버(24)가 상기 몸통 커버(21)의 내외측으로 전후진 직선운동을 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 로드(10)는 축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전후진 직선운동을 나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상기 브러쉬(15)가 전후진 나선운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캡(20)은 상기 몸통 커버(21)의 전단에 고정결합되되, 상기 몸통 커버(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몸통 커버(21)의 길이방향과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커버(21)의 내측에는, 스크류 거치돌기(22)를 구비하여 상기 스크류부(12)의 나선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몸통 커버(21)의 후단과 상기 스크류 거치돌기(22)의 사이에 스프링 거치돌기(23)를 구비하여 삽입되는 스프링(16)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몸통 커버(21)의 후단의 내측 테두리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커버(24)는, 전단에 삽입구가 형성된 중공의 통형상이며,
    상기 삽입구의 내측으로는 내측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 로드(10)의 회동로드(13)가 삽입되어 회전은 하되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삽입구의 외측으로는 외측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통 커버(21)의 후단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6)은, 상기 손잡이 커버(24)의 전단에 밀착되어, 상기 손잡이 커버(24)의 전진 직선운동에 의해 압축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 커버(24)를 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연결부(11)는 연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연결부(11), 상기 스크류부(12), 및 상기 회동로드(13)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개로 형성된 후 고정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부(12)의 나선운동에 따라 상기 브러쉬(15), 상기 브러쉬 연결부(11) 및 상기 회동로드(13)는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10. 제 1항, 제 3항, 제5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채취기구는,
    상기 손잡이 커버(24)에 힘을 가해 전진시키면, 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 로드(10)가 상기 몸통 커버(21)의 스크류 거치돌기에 의해 전진 나선운동을 하고, 전진 나선운동을 하는 상기 스크류 로드(10)를 따라 상기 브러쉬(15)가 전진 나선운동을 하여 브러쉬 캡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손잡이 커버(24)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 커버(24)가 후진하면서 상기 스크류 로드(10)는 후진 나선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브러쉬(15)는 브러쉬 캡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KR1020180015629A 2018-02-08 2018-02-08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KR101918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29A KR101918443B1 (ko) 2018-02-08 2018-02-08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29A KR101918443B1 (ko) 2018-02-08 2018-02-08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443B1 true KR101918443B1 (ko) 2018-11-13

Family

ID=6439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629A KR101918443B1 (ko) 2018-02-08 2018-02-08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180A1 (ko) * 2019-01-28 2020-08-06 주식회사 엔도비전 자궁경부조직 채취장치 및 채취조직 수거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422Y1 (ko) * 2005-04-08 2005-08-04 바이오코아 주식회사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JP2016503326A (ja) * 2012-11-30 2016-02-04 イブ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検体収集デバイス及びキ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422Y1 (ko) * 2005-04-08 2005-08-04 바이오코아 주식회사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JP2016503326A (ja) * 2012-11-30 2016-02-04 イブ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検体収集デバイス及びキ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180A1 (ko) * 2019-01-28 2020-08-06 주식회사 엔도비전 자궁경부조직 채취장치 및 채취조직 수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9780B1 (en) Endoscope sheath assemblies having an attached biopsy sampling device
RU2617064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и набор для сбора проб цервикальной ткани
US4227537A (en) Endometrial brush with slidable protective sleeve
US5800362A (en) Cervical biopsy device
US6740049B2 (en) Self-sampling brush and method for use
US7063664B2 (en) Disposable cover to a vaginal speculum
US20110087133A1 (en) Extendable specimen collecting device
WO2011024047A1 (en) Anatomically designed and collapsible intravaginal device for self-sampling and containment of cervical epithelial cells
US20110021950A1 (en) Cell collector
US20190374208A1 (en) Sample collection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GB1604477A (en) Probe and process for obtaining cervical tissue or mucus
JP4643097B2 (ja) 生理学的標本採取装置
US3680543A (en) Urine collection device
US20220409188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lf-collection of biological samples
US11957322B2 (en) Personal cervical cell collection device, kit and method
KR101918443B1 (ko)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WO2020230168A1 (en) A self-operated device for female vaginal and uterine sampling, inspection and performing medical procedure(s) therein
US20040236247A1 (en) Endocervical Curette
KR200391422Y1 (ko)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KR100571548B1 (ko)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CN118139585A (zh) 宫颈检查设备及其控制方法和宫颈取样刷
GB2617789A (en) Cervical sampling brush
GB2611108A (en) Cervical sampling brush, cervical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EP2127603B1 (en) Device for taking cytologic samples of the cervix
CN117357167A (zh) 一种宫颈管搔刮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