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733Y1 - 다양한 형상의 향을 피울 수 있는 향꽂이 - Google Patents

다양한 형상의 향을 피울 수 있는 향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733Y1
KR200354733Y1 KR20-2004-0009119U KR20040009119U KR200354733Y1 KR 200354733 Y1 KR200354733 Y1 KR 200354733Y1 KR 20040009119 U KR20040009119 U KR 20040009119U KR 200354733 Y1 KR200354733 Y1 KR 200354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ense
net
seated
shap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민식
Original Assignee
설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민식 filed Critical 설민식
Priority to KR20-2004-0009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7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7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향이나 모기향을 선택적으로 꽂을 수 있는 향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기 형상이 다른 봉형상의 향이나 동심원상의 모기향을 을 하나의 향꽂이에 선택적으로 얹혀놓거나 꽂아서 사용하는 것으로, 특히 향을 꽂을 때에는 내부에 향을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바닥면에 재나 쌀 등을 담을 필요가 없으며 사용 후에는 본체에서 재나 향 토막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그 구조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일측이 개방되어 서로 지름이 다른 반구형의 본체와 받침부를 서로 대칭되게 일체로 고정하고, 상기 개방된 본체 상면을 통해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원통형형상에 내부가 통공된 몸체는 테이퍼지며 상면에는 그물망이 몸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끼워져 결합된 2차지지부가 바닥면에 안착되고, 그 위에 상기 본체 상면 끝단에 안착되도록 원통형 형상에 하단이 수직으로 절곡된 "

Description

다양한 형상의 향을 피울 수 있는 향꽂이{The incense case}
본 고안은 향이나 모기향을 선택적으로 꽂을 수 있는 향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기 형상이 다른 향이나 모기향을 하나의 향꽂이에 얹혀놓거나 꽂아서 사용하는 것으로 특히 향을 꽂을 때에는 내부에 향을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바닥면에 재나 쌀 등을 담을 필요가 없으며 사용 후에는 본체의 재받 침대에서 쉽게 다 탄 재나 향 토막을 버릴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형상의 향을 피울 수 있는 향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향꽂이는 사찰 등에서 종교적인 행사나 또는 제사를 지낼 때에 향에서 발생되는 향내로 부정함을 제거하고 정신을 맑게 함으로써 신과 통함을 물론 종교적인 엄숙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향로에 향가루를 뿌리거나 향꽂이에 향을 꽂아 피운다.
상기 향꽂이에 꽂는 향은 길다란 봉형상으로 이를 수직방향으로 꽂기 위하여 내부에는 향이 타고 발생된 재, 모래, 쌀 등을 담아놓은 상태에서 그 위에 향을 꽂아 장시간 사용 하다보면 쌓아놓은 재, 모래, 쌀속에 꽂은 끝부분이 타지 않고 남은 향 토막이 내부에 가득 채워져 더이상 향을 꽂아서 피울 수 없는 상태가 되면 향꽂이를 가지고 외부에서 재, 모래 등을 채로 걸러서 타다 남은 향토막은 폐기하고 재, 모래 등은 다시 향꽂이에 담아서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향꽂이 내부에 담겨지는 잿가루의 무게가 극히 가벼워 가벼운 바람이나 조그만 이동에도 재가 날리게되고 타다 남은 향과 재가 함께 썩이기 때문에 떨어진 재를 청소할 때 내용물도 함께 버려야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향꽂이는 한가지 특히 봉형상의 향만을 꽂을 수 있도록 하여 그 형상이 다른 향을 꽂아 사용할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일반 가정에서는 향꽂이를 1년에 한 두번 정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 빈도를 높이기 위해서 여름철에는 동심원형태의 모기향 등을 얹혀놓고 사용하여야 하나 그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달라 다양한 형상의 향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향꽂이 내부에 향을 수직으로 꽂고 태울 때 별도로 재, 쌀, 모래 등을 수북히 담지 않고 사용하는 것은 물론 하나의 향꽂이로 크기와 길이가 다른 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향을 피울 수 있는 향꽂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도시해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도시해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도시해 보인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모기향 연소기로 도시해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을 모기향 연소기로 도시해 보인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향꽂이 2: 본체
3: 받침부 4: 바닥면
5, 5', 5": 그물망 6: 1차 지지부
7: 2차 지지부 8: 수직절곡부
9: 보호캡 10: 모기향
11: 재받이대 12: 향
13: 수직단턱부 14: 공간부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향꽂이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일측이 개방되어 서로 지름이 다른 반구형의 본체와 받침부를 서로 대칭되게 일체로 고정하고, 상기 개방된 본체 상면을 통해 내주면에 밀착 되도록 원통형형상에 내부가 통공된 몸체는 테이퍼지며 상면에는 그물망이 몸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끼워져 결합된 2차지지부가 바닥면에 안착되고, 그 위에 상기 본체 상면 끝단에 안착되도록 원통형 형상에 하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상을 갖으며 몸체 내주면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끝단이 결합된 그물망을 갖는 1차지 지부와 2차지지부가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그물망 사이로 향을 꽂아 향을 태우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도시해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도시해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을 도시해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향꽂이(1) 내부에 재, 쌀 등을 담아놓지않고 그물망(5) 사이로 향(12)을 수직으로 세워서 끝까지 다 타도록 하는 구조는 본체(2)와 받침부(3), 1 차지지부(6), 2차지지부(7), 그물망(5,5',5")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2)와 받침부(3)는 고온에 녹지 않도록 금속재을 사용하여 구를 반쪽으로 절단한 반구형상으로 내부는 공간부(14)를 형성하며 일측은 개방된다.
상기 반구형상의 본체(2)와 받침부(3)는 서로 지름의 크기를 달리하여 본체(2)의 개방부는 상측을 향하고, 받침부(3)의 개방부는 하측을 향해 서로 대칭 되게 밀착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리벳팅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3)에 고정된 본체(2)의 내측 공간부(14) 바닥면(4)에는 봉형상의 향(12)을 지지할 수 있도록 2차지지부(7)는 테이퍼진 외주면을 따라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원통형상에 중앙이 통공되어 몸체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그물망(5') 끝단이 결합되고 상측으로는 그 중앙이 약간 돌출된 형상으로 그물망(5') 사이로 삽입된 향(12)의 하단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본체(2) 바닥면(4)에 안착된 2차지지부(7) 상측으로 향(12)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1차 지지부(6)가 안착되는데, 그 구조는 원통형형상으로 중앙이 통공되고 하단에는 본체(2) 상면 내측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하단이 ""형상으로 수직절곡부(8)로 이루어져 끼워지고, 몸체 내주면 가장자리를 따라 끝단이 결합된 그물망(5)을 갖는 1차 지지부(6)가 순차적으로 안착된다.
상기 안착된 1차 지지부(6) 그물망(5) 사이로 향(12)을 꽂으면 상단은 1차지지부(6) 그물망(5)에 지지 간섭되며 하단은 2차지지부(7) 그물망(5')에 간섭되어 향(12)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끝까지 다 타기 때문에 2차 지지부(7) 내부에 수북히 쌓인 재가 가득차면 청소할 때 재를 깨끗이 폐기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가 있는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다른 실시예로 봉형상의 향(12) 뿐만 아니라 크기나 형상이 다른 모기향(10) 등을 손쉽게 피울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 4는 본 고안 모기향 꽂이로 도시해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모기향 꽂이로 도시해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동심원형태의 모기향(10)을 선택적으로 피우기 위해서는 본체(2)의 상면에 안착된 1차 지지부(6) 몸체 상단에 접시 형상으로 통공된 중앙을 감싸는 수직단턱부(13)와 외주면이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 재받이대(11)는 상기 1차 지지부(6) 몸체 상단에 수직단턱부(13)가 안착되며, 그 위에 동심원 형태의 모기향(10)을 얹혀놓고, 상기 재받이대(11) 가장자리 상단에는 원통형형상으로 중앙은 통공되고 가장자리 내측으로 그물망(5") 끝단이 압착 결합된 보호캡(9)을 끼움 결합한다.
따라서 모기향(10)은 1차 지지부(6) 그물망(5) 위에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재는 재받이대(11)와 본체(2) 내측으로 떨어져 모이기 때문에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보호캡(9)은 그물망(5)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연기가 잘 배출되고 부주위로인해 인체에 화상을 입을 수 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구조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면에서 미도시되었으나 향꽂이(1)를 사용안할경우에는 별도의 뚜껑을 구비 보호캡(9) 상단에 체결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가 향의 종류에 따라 향꽂이(1)를 자유롭게 조립 및 분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향꽂이를 사용하여 향의 종류에 따라 손쉽게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길이가 긴 향이나 부피가 큰 모기향 등을 손쉽게 꽂아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향을 꽂을 때 향꽂이 내부에 향을 꽂기 위하여 별도의 재, 쌀, 모래 등을 담을 필요가 없어 청소가 용이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향꽂이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일측이 개방되어 서로 지름이 다른 반구형의 본체와 받침부를 서로 대칭되게 일체로 고정하고, 상기 개방된 본체 상면을 통해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원통형형상에 내부가 통공된 몸체는 테이퍼지며 상면에는 그물망이 몸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끼워져 결합된 2차지지부가 바닥면에 안착되고, 그 위에 상기 본체 상면 끝단에 안착되도록 원통형 형상에 하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상을 갖으며 몸체 내주면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끝단이 결합된 그물망을 갖는 1차지지부와 2차지지부가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그물망 사이로 향을 꽂아 향을 태우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상의 향을 피울 수 있는 향꽂이.
  2. 제 1항에 있어서,
    본체 상면에 순차적으로 안착된 1차지지부 몸체 상단을 따라 접시 형상으로 통공된 중앙을 감싸는 수직단턱부와 외주면이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 재받이대는 상기 1차지지부 몸체 상단에 수직단턱부가 안착되며, 그 위에 동심원 형태의 모기향을 얹혀놓고, 상기 재받이대 가장자리 상단에는 원통형형상으로 중앙은 통공되고 가장자리 내측으로 그물망 끝단이 압착결합된 보호캡이 안착 결합된 구조를 특징으로하는 다양한 형상의 향을 피울 수 있는 향꽂이.
KR20-2004-0009119U 2004-04-01 2004-04-01 다양한 형상의 향을 피울 수 있는 향꽂이 KR200354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119U KR200354733Y1 (ko) 2004-04-01 2004-04-01 다양한 형상의 향을 피울 수 있는 향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119U KR200354733Y1 (ko) 2004-04-01 2004-04-01 다양한 형상의 향을 피울 수 있는 향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733Y1 true KR200354733Y1 (ko) 2004-06-30

Family

ID=4943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119U KR200354733Y1 (ko) 2004-04-01 2004-04-01 다양한 형상의 향을 피울 수 있는 향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7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915B1 (ko) 휴대용 훈연식 모기향 연소 케이스
MXPA02008441A (es) Difusor.
KR200354733Y1 (ko) 다양한 형상의 향을 피울 수 있는 향꽂이
US5541824A (en) Chimney assembly for illumination sources
US8435451B2 (en) Portable incense burner and storage device
CA2416364A1 (en) Adjustable burnable coil container
JP3236985U (ja) 焼香台
US7624729B2 (en) Easily lighted grill
US5215719A (en) Incense burner
CN209047286U (zh) 一种带有吸盘的防火蚊香盒
KR101643645B1 (ko) 일회용 구이기 셋트
CN203015718U (zh) 蚊香架
KR20090002569U (ko) 모기향 연소기
JP3245836U (ja) 香炉
US20220275939A1 (en) Candle cup cover
CN217217960U (zh) 蚊香棒支座
JP3072115U (ja) 灰受けつば及び灰篩網付き線香立て
CN210095416U (zh) 一种干泡茶席香灰池
KR20210002431U (ko) 받침대 겸용 모기향 보관 케이스
CN2138395Y (zh) 新型燃蚊香盒
JP3093678U (ja) 線香立て
TWM552318U (zh) 香座結構
JP2004229545A (ja) 線香燻煙器
JP3209158U (ja) 線香立て
KR200329451Y1 (ko) 모기향 연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