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078Y1 - 분리장착이 가능한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 - Google Patents

분리장착이 가능한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078Y1
KR200354078Y1 KR20-2004-0009354U KR20040009354U KR200354078Y1 KR 200354078 Y1 KR200354078 Y1 KR 200354078Y1 KR 20040009354 U KR20040009354 U KR 20040009354U KR 200354078 Y1 KR200354078 Y1 KR 2003540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ner tube
support plate
bolt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화
Original Assignee
홍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화 filed Critical 홍종화
Priority to KR20-2004-0009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0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0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0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장착이 가능한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 다수조의 높이조절용관통홀(11)과, 일측상단에 받침판(12)을 갖추는 내관(10)과; 이 내관을 내측에 수용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높이조절용장공(23)과, 받침판(24)을 갖추는 외관(20)과; 상기 수나사부(22)에 나사결합되되, 회전이 용이하도록 고정너트핸들(41)을 갖춘 고정너트(40)와; 상기 내관(10)과 외관(20)을 연결,고정하는 연결지지핀(50)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내관(10)의 받침판(12)에 연결되어 멍에를 수용하게 되는 상단걸이구(70)을 더 갖추게 되며, 상기 외관(20)의 받침판(24)과 볼트로 연결되어 경사각에 따라 선택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재(80)를 통해 연결되되 다수의 연결부재(80)를 수용할 수 있는 힌지형받침대(60)를 더 갖추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분리되어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통해 기존의 지지대에도 적용되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힌지연결구가 형성된 힌지형받침대를 통해 지지각에 따라 선택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여러개의 파이프지지대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으면서, 견고한 구조로 어떤 외력에도 넘어지는 않고 충분히 견딜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되며, 또한 다양한 상단지지구를 통해 어떠한 재질 및 형상의 멍에도 흔들림이나 이탈 없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장착이 가능한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slab pipe support for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파이프 지지대(동바리)에 다양한 현장여건에 따라 파이프 지지대의 상,하단 받침대에 부착철물을 적절하게 선택,적용하여 사용함으로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하중을 바닥면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 분리장착이 가능한 건축물용 슬라브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나 옹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슬라브 거푸집이나 옹벽거푸집을 설치하는데, 상기 거푸집은 하중의 지지와 슬라브의 수평유지, 옹벽의 기울어짐 방지 및 콘크리트의 타설하중(동하중), 양생중의 고정하중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상기 거푸집을 지탱하는 멍에를 파이프 지지대(동바리)로 지지하여 주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지지대(Support)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 다수조의 높이조절용관통홀(101)과, 일측상단에 못구멍(102-1)과 볼트구멍(102-2) 및 관통홀(102-3)이 형성된 받침판(102)을 갖추는 내관(100)과; 이 내관을 내측에 수용하면서, 상단외주면에 수나사부(202)와, 이 수나사부내에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높이조절용장공(203)과, 하단에 못구멍(201-1)과 볼트구멍(201-2) 및 관통홀(201-3)이 형성된 받침판(201)을 갖추는 외관(200)과; 상기 수나사부(202)에 나사결합되되, 회전이 용이하도록 고정너트핸들을 갖춘 고정너트(300)와; 상기 내관(100)과 외관(200)을 연결,고정하는 연결지지핀(40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03은 멍에이고, 104는 장선이고, 105는 슬라브거푸집이다.
한편 상기 고정너트(300)는 연결지지핀(400)을 지지하는 기능외에, 수나사부(202)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해 내관(100)과 외관(200)의 결합높이를 조절하는 기능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지지핀(400)은 높이조절용장공(203)내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기존의 파이프 지지대(동바리)는 슬라브(S)가 수평인 경우 독자적으로 사용하나, 기울기를 가진 계단, 헌치(Hunchy), 교량의 박스구조물(둔각), 경사재 및 수직부재의 축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도 1b에 도시된 쐐기(500)를 사용하여 기울기를 보상하여 지지하였다.
즉 상기 파이프 지지대(동바리)는 상하단 받침대가 수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제품으로, 바닥이나 슬라브에 기울기가 있는 축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부득이하게 쇄기(주로 나무를 사용)를 보조로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쇄기는 주로 목재가 사용되어 겨울철 현장 화목으로 전용되는 등 건축물(구조체)이 고층화, 대형화됨에 따라 전용율이 크게 떨어지고, 분실 등으로 인해 생략되는 경우도 있고, 상기 쇄기를 설치하였다 하여도 지지각도에 따른 각도보정을 할 수 없어 완전한 하중 전달이 되지 않아 쇄기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파이프 지지대의 위치 이탈 등으로 슬라브가 붕괴되는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설치되는 경사각도에 따라 쇄기를 별도제작(쇄기의 형상)하여야 함에 따라 번거로운 뿐만아니라 작업성이 떨어지고, 상기 경사각도를 오차없이 쐐기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함에 따라 시공 안전성면에서 확연히 뒤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지지대인데, 그 구조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 다수조의 높이조절용관통홀(11)과, 일측상단에 받침판(12)을 갖추는 내관(10)과; 이 내관을 내측에 수용하면서, 상단외주면에 수나사부(22)와, 이 수나사부내에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높이조절용장공(23)과, 하단에 연결홀(21-1)이 형성된 연결대(21)을 갖추는 외관(20)과; 상기 연결대에 고정부재(34)를 매개로 설치되되, 두개의 브라켓이 평행되게 'ㄷ'자 단면으로 형성된 몸체부(31)와, 이 몸체부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돌기(32)와, 상기 고정부재(34)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형성된 연결홀(33)을 갖추는 경사면지지부재(30)와; 상기 수나사부(22)에 나사결합되되, 회전이 용이하도록 고정너트핸들(41)을 갖춘 고정너트(40)와; 상기 내관(10)과 외관(20)을 연결,고정하는 연결지지핀(5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는 다양한 각도의 경사재에도 경사면지지부재(30)를 통하여 지지대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별도의 쇄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대는 기존에 널리 보급,사용되는 파이프 지지대에 적용할 수 없고 파이프 지지대의 하부구조를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경제성이나 시장성 측면에서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부의 멍에를 받치는 받침대(102)의 경우 주로 멍에의 재질이 목재(산승각재)인 경우에 적용하도록 고안되어 있어 멍에를 철재재질의 각파이프나 원형파이프로 사용시 상기 받침대(102)의 형상으로는 멍에와의 결속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성에서 이미 대중화된 기존의 지지대(동바리)의 기본틀을 변형하지도 않고서도 사용할 수 있으면서 현장여건에 따라 탈,부착 사용케 함으로서, 하중을 정확히 하부에 전달하여 슬라브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도록 된 분리장착이 가능한 건축물용 파이프 지지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로서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의 사용상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기술로서 또다른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의 사용상태도,
도 5a 및 5c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중 상단걸이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관, 11 --- 높이조절용관통홀,
12 --- 받침판, 20 --- 외관,
24 --- 받침판, 40 --- 고정너트,
50 --- 연결지지핀, 60 --- 힌지형받침대,
70 --- 상단걸이구, 80 --- 연결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 다수조의 높이조절용관통홀과, 일측상단에 받침판을 갖추는 내관과; 이 내관을 내측에 수용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높이조절용장공과, 받침판을 갖추는 외관과;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되, 회전이 용이하도록 고정너트핸들을 갖춘 고정너트와; 상기 내관과 외관을 연결,고정하는 연결지지핀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받침판에 연결되어 멍에를 수용하게 되는 상단걸이구를 더 갖추게 되며, 상기 외관의 받침판과 볼트로 연결되어 경사각에 따라 선택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되 다수의 연결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힌지형받침대를 더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 다수조의 높이조절용관통홀(11)과, 일측상단에 받침판(12)을 갖추는 내관(10)과; 이 내관을 내측에 수용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높이조절용장공(23)과, 받침판(24)을 갖추는 외관(20)과; 상기 수나사부(22)에 나사결합되되, 회전이 용이하도록 고정너트핸들(41)을 갖춘 고정너트(40)와; 상기 내관(10)과 외관(20)을 연결,고정하는 연결지지핀(50)으로 이루어지는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내관(10)의 받침판(12)에 연결되어 멍에를 수용하게 되는 상단걸이구(70)를 더 갖추게 되며, 상기 외관(20)의 받침판(24)과 볼트로 연결되어 경사각에 따라 선택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재(80)를 통해 연결되되 다수의 연결부재(80)를 수용할 수 있는 힌지형받침대(60)를 더 갖추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힌지형받침대(60)는 볼트(B) 및 나비형너트(N)를 통해 연결부재(80)를 고정하도록 하는 힌지연결구(61)와, 이 받침대를 콘크리트못 또는 철근을 통해 바닥에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연결홀(62)과, 바닥에 고정된 받침대가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부(63)를 갖추게 된다.
또한 상기 상단걸이구(70)는 상기 받침판(12)과 연결할 수 있도록 볼트홀(73)이 형성된 연결몸체(71)와, 이 몸체 중앙에 부착되되 사각구조물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일측이 개구된 'ㄴ'자걸이(72)를 갖추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80)는 상기 받침판(24)과 연결되도록 볼트홀(83)이 형성된 상부몸체(81)와, 이 연결몸체로 일체로 형성되되 연결홀(84)이 관통형성되어 볼트(B) 및 너트(N)를 매개로 상기 힌지연결구(61)에 끼워져 힌지형받침대(60)와 외관(20)을 연결,고정하게 되는 하부몸체(82)를 갖추게 된다.
부연설명하자면, 어느각도에서도 회전이 가능한 복수의 힌지형받침대(60)를 파이프 서포트(동바리)의 하부받침대(201)와 연결부재(80)를 이용하여 볼트(B)로 삽입,장착한 후 나비형너트(N)를 조여 각도고정 후 사용할 수 있으며 힌지형받침대(60)는 복수의 힌지연결구를 갖추게 되어 여러개의 지지대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으며, 1개를 설치시는 경사각에 따라 힌지의 선택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단걸이구(70)는 도 5a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멍에의 형상에 적합한 걸이 형태의 부속철물로 이루어진다.
즉 멍에가 목재인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측이 개구된 상단걸이구(70)를 적용하여 사용하고, 멍에가 각파이프인 경우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파이프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E'자형 상단걸이구(70')를 적용하여 사용하며, 멍에가 원형파이프인 경우에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파이프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W'자형 상단걸이구(7'')를 적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파이프 지지대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외관(20)을 고정너트(40)와 연결하고 나서 외관(20)의 상단부에다 내관(10)을 근접시켜 삽입한 후, 내관(10)의 높이조절용관통홀(11)과 외관(20)의 높이조절용장공(23)이 일치되게 위치시키고 나서, 높이조절용장공(23)에 연결지지핀(50)을 삽입하여 원하는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조절용관통홀(11)을 찾아서 끼워넣은 후 고정한다. 그리고 나서 고정너트(40)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하여 지지대의 높이를 맞추어 지지대를 조립한 다음, 경사면에 적용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이프 지지대 하부 받침판(21)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연결부재(80)에 형성된 볼트 구멍의 위치를 맞추고 볼트로 고정한 후 복수의 힌지받침대의 경사각에 맞는 힌지연결구(61)를 선택한 후 나비형 너트(N)를 풀어 지지각도를 조정한 후 상기 나비형너트(N)를 조여 고정한 후, 힌지받침대(60)에 형성된 연결홀(62)을 이용 바닥면과 콘크리트못, 철근 등으로 고정하여 힌지받침대(60)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단걸이철물(70)을 통해 다양한 형태 및 재질의 멍에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 역시 상단걸이철물(70)의 바닥판의 볼트구멍(73)과 파이프지지대 상부 바닥판(12)의 볼트구멍을 통해 볼트로 체결 일체화 시킴으로서 슬라브의 하중을 밑에서 지지하는 멍에를 파이프 지지대(동바리)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으며, 멍에의 형상에 맞는 부속철물을 사용함으로 인해 한번 끼워진 멍에는 이탈 및 흔들림이 없어 쉽게 떨어지거나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파이프지지대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파이프 지지대의 기본 구조를 변형하지 않고 기존 파이프 지지대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어 종래 파이프 지지대보다 경제적으로 현장에 적용시킬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하면, 분리되어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통해 기존의 지지대에도 적용되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힌지연결구가 형성된 힌지형받침대를 통해 여러개의 파이프지지대를 지지할 수 있으면서, 견고한 구조로 어떤 외력에도 넘어지지 않고 충분히 견딜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상단지지구를 통해 어떠한 재질 및 형상의 멍에도 흔들림이나 이탈 없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외주면에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 다수조의 높이조절용관통홀(11)과, 일측상단에 받침판(12)을 갖추는 내관(10)과; 이 내관을 내측에 수용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높이조절용장공(23)과, 받침판(24)을 갖추는 외관(20)과; 상기 수나사부(22)에 나사결합되되, 회전이 용이하도록 고정너트핸들(41)을 갖춘 고정너트(40)와; 상기 내관(10)과 외관(20)을 연결,고정하는 연결지지핀(50)으로 이루어지는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내관(10)의 받침판(12)에 연결되어 멍에를 수용하게 되는 상단걸이구(70)을 더 갖추게 되며, 상기 외관(20)의 받침판(24)과 볼트로 연결되어 경사각에 따라 선택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재(80)를 통해 연결되되 다수의 연결부재(80)를 수용할 수 있는 힌지형받침대(60)를 더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착이 가능한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형받침대(60)가 볼트(B) 및 나비형너트(N)를 통해 연결부재(80)를 고정하도록 하는 힌지연결구(61)와, 이 받침대를 콘크리트못 또는 철근을 통해 바닥에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연결홀(62)과, 바닥에 고정된 받침대가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부(63)를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착이 가능한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걸이구(70)가 상기 받침판(12)과 연결할 수 있도록 볼트홀(73)이 형성된 연결몸체(71)와, 이 몸체 중앙에 부착되되 멍에의 형상에 따른 지지철물을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착이 가능한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80)가 상기 받침판(24)과 연결되도록 볼트홀(83)이 형성된 상부몸체(81)와, 이 연결몸체로 일체로 형성되되 연결홀(84)이 관통형성되어 볼트(B) 및 너트(N)를 매개로 상기 힌지연결구(61)에 끼워져 힌지형받침대(60)와 외관(20)을 연결,고정하게 되는 하부몸체(82)를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착이 가능한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
KR20-2004-0009354U 2004-04-06 2004-04-06 분리장착이 가능한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 KR2003540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354U KR200354078Y1 (ko) 2004-04-06 2004-04-06 분리장착이 가능한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354U KR200354078Y1 (ko) 2004-04-06 2004-04-06 분리장착이 가능한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078Y1 true KR200354078Y1 (ko) 2004-06-23

Family

ID=4934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354U KR200354078Y1 (ko) 2004-04-06 2004-04-06 분리장착이 가능한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0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838B1 (ko) * 2013-12-27 2015-07-09 (주)베네테크 물탱크 받침 장치
KR20150085299A (ko) * 2014-01-15 2015-07-23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건설현장의 수평레벨 측정기능을 갖는 갱폼
KR102365338B1 (ko) * 2021-06-10 2022-02-23 해동이엔씨 주식회사 탄성받침 이동량 측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838B1 (ko) * 2013-12-27 2015-07-09 (주)베네테크 물탱크 받침 장치
KR20150085299A (ko) * 2014-01-15 2015-07-23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건설현장의 수평레벨 측정기능을 갖는 갱폼
KR101580993B1 (ko) 2014-01-15 2015-12-29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건설현장의 수평레벨 측정기능을 갖는 갱폼
KR102365338B1 (ko) * 2021-06-10 2022-02-23 해동이엔씨 주식회사 탄성받침 이동량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31543A1 (en) Adjustable support brace and mounting shoe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2097339B1 (ko) 데크 받침대 시스템
CA2334614A1 (en) Ledger mould for building a ledger
KR200354078Y1 (ko) 분리장착이 가능한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
US20160076262A1 (en) Concrete formwork brace and method of bracing concrete formwork
JPH1150676A (ja) 勾配調節台板付ジャッキベース
KR100697555B1 (ko) 벽체 거푸집 사선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거푸집 설치 구조
KR200354079Y1 (ko)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
KR100758717B1 (ko) 토목 및 건축용 구조물 지지장치
JP3564411B2 (ja) Pc階段からなる傾斜構造物の設置工法
KR200389388Y1 (ko) 경첩식 받이판이 설치된 건축용 서포트
KR200281469Y1 (ko) 건축용 슬라브 지지대
KR200231221Y1 (ko) 철근 배근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철근 받침대
CN210659270U (zh) 一种建筑工程施工模板支护结构
JP4108071B2 (ja) 壁型枠等の建入れサポート方法
KR101875730B1 (ko) 건축공사용 지지 장치
KR200381406Y1 (ko)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KR200381405Y1 (ko) 병렬설치 가능한 합벽 지지대
KR200237659Y1 (ko) 건축용 지지부재
KR200306744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JP3779931B2 (ja) 基礎パッキング材の設置方法
JP2769677B2 (ja) テラス、バルコニー等の構造体
KR200326557Y1 (ko)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KR0119715Y1 (ko) 외부 측벽용 접철식 브라켓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