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070Y1 - 건축용 비계 - Google Patents

건축용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070Y1
KR200354070Y1 KR20-2004-0009095U KR20040009095U KR200354070Y1 KR 200354070 Y1 KR200354070 Y1 KR 200354070Y1 KR 20040009095 U KR20040009095 U KR 20040009095U KR 200354070 Y1 KR200354070 Y1 KR 200354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ember
safety net
horizontal member
horizontal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덕
Original Assignee
김만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덕 filed Critical 김만덕
Priority to KR20-2004-0009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0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0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8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out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비계의 조립 및 분리가 극히 용이하며, 안전망 사이 간격을 보다 좁게 설치할 수 있고, 발판을 수평으로 설치가 가능한 등 다수의 이점을 갖는 건축용 비계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 간격으로 상부로 다단 설치되는 수직부재(2)와, 상기 수직부재(2)를 수평으로 상호 연결수단(4)으로 연결하는 수평부재(3) 및 상기 수평부재(3) 상에 훅(5a)에 의해 걸림 설치되는 발판(5)과, 상기 수직부재(2)상에 클램핑되는 클램프(6)의 훅(6a)상에 아이렛(7a)을 끼움 걸림하여 설치되는 안전망(7)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건축용 비계(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은 수직부재(2)상에 상하 소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조립공(10a)을 갖는 '┴'자형 또는 '└'자형의 조인트(10)와, 상기 조립공(10a)에 쐐기 걸림되는 쐐기형 클램프(11)를 좌우 양단에 갖는 수평부재(3)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를 조인트(10) 및 연결수단(4)에 의해 원터치로 간단히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어 작업 소요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설치 시 견고성이 우수하며, 이웃하여 설치되는 안전망(7)과 안전망(7) 사이의 간격을 좁혀 공사 자재 등이 이웃하는 안전망(7) 상간의 간격 사이로 추락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연결수단(4)에 의해 이웃하는 수평부재(3)가 동일 높이로 설치되므로 발판(5) 역시 수평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자가 발판(5)상을 통행 시 안전사고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비계{A scaffold}
본 고안은 건축용 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조립 및 분리가 극히 용이하며, 안전망 사이 간격을 보다 좁게 설치할 수 있고, 발판을 수평으로 설치가 가능한 등 다수의 이점을 갖는 건축용 비계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각종 건축물을 축조할 시는 공사장 주변으로 통행하는 사람 및 차량 등, 주위 건축물 등에 공사장의 자재 등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계를 설치하고 있다.
기존의 건축용 비계는 알려진 바와 같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 그리고 이들을 상호 클램프로 연결, 축조한 후에 외측에 클램프로 고정되는 안전망 및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수평부재에 지지 고정되는 발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건축용 비계는 설치작업을 위하여 우선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수단을 가진 최하단의 수직부재상에 끼움고정식으로 차기의 수직부재를 결합하고, 이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수직부재를 바닥에 안치하여 수평부재를 상호 나사식으로 고정되는 클램프를 사용하여 연결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직, 수평부재를 조립설치한 후, 외측에 안전망을 고정 설치할 시에는 수직, 수평부재의 연결부에 클램프가 돌출형으로 설치되므로 안전망을 클램프에서 비켜 설치를 하게 된다.
결국, 기존 건축용 비계를 축조할 시는 나사식 클램프 사용으로 인한 조립 및 분해 작업에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함께 안전망을 클램프를 비켜 설치하므로 이웃하는 안전망과 안전망 사이에 간격이 많이 발생하여 공사 중 자재가 간격 사이로 추락할 가능성이 많으며, 발판을 수평부재에 의해 설치 시 클램프로 인한 좌우 수평부재의 높이가 상이하여 발판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보행 시 위험도가 따르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 건축용 비계를 축조할 시에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건축용 비계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건축용 비계에 사용되는 수직, 수평부재를 원터치 조립식으로 간단히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어 조립에 따른 소요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망과 안전망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어 공사 자재 등이 이웃하는 안전망 상간의 간격 사이로 추락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발판도 수평으로 설치가 가능토록 한 건축용 비계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건축용 비계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건축용 비계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건축용 비계 중 요부를 발췌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건축용 비계 중 요부를 발췌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건축용 비계 중 요부를 발췌한 일부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건축용 비계 2: 수직부재
3: 수평부재 4: 연결수단
5: 발판 6: 클램프
6a: 훅 7: 안전망
7a: 아이렛 8: 높이조절수단
9: 끼움단턱 10: 조인트
10a: 조립공 11: 클램프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건축용 비계(1)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 구성도, 도 3내지 5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건축용 비계(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바닥면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속 이음설치되는 수직부재(2)와, 상기 이웃하여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수직부재(2)를 수평방향에서 전후 및 좌우로 연결설치되는 수평부재(3),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를 원터치로 연결조립하기 위한 연결수단(4)과, 상기 이웃하여 설치되는 수평부재(3)에 걸림식으로 지지고정되는 발판(5), 상기 수직부재(2) 및 수평부재(3)상에 클램프(6)를 사용하여 사방으로 지지고정되며 망사지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시트지 등으로 제작되는 안전망(7)으로 크게 대분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재(2)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최하단의 수직부재(2)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8)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수직부재(2)의 상단에는 상부에서 조립되는 수직부재(2)가 끼움식으로 조립고정될 수 있는 끼움단턱(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2)의 중도에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개략 '┴'자형 내지는 개략 '└'자형 등으로 형상이 상이하게 구성되는 조인트(10)가 용접고정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10)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조립공(10a)상에 끼움조립식으로 원터치 고정되는 쐐기형 클램프(11)를 좌우 단부에 갖는 수평부재(3)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부재(3)가 수직부재(2)에 의해 사각형으로 배치조립이 이루어지면, 수평부재(3)상에는 양단에 걸림 설치용 훅(5a)을 가진 발판(5)이 걸림식으로 조립된다.
상기 수직부재(2)에는 나사식 클램프(6)를 상하 소정 간격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클램프(6)상에 형성되어 있는 훅(6a)에 안전망(7)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아이렛(7a)을 끼움 걸림되도록 조립하면 건축용 비계(1)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도면중의 부호 12는 각종 건축물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건축용 비계(1)는 조립 및 분해가 극히 신속, 용이하게 수행되어 작업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나사식 클램프를 사용치 않고 원터치 끼움조립식으로 이루어진 조인트(10)와 클램프(11)를 사용하여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를 상호 연속 조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공수 및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바, 이를 먼저 살펴 보면;
본 고안은 바닥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부재(2)에 설치된 높이조절수단(8)을 조절하고, 수직부재(2)를 소정 간격으로 전후로 배치시킨 후 수평부재(3)를 원터치로 끼움조립토록 한다.
즉, 상기 수직부재(2)에 형성된 '┴'자형 내지는 개략 '└'자형의 조인트(10)상의 조립공(10a)을 통하여 수평부재(3)에 형성된 연결수단(4)인 쐐기형 클램프(11)를 도 3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끼움결합시키면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는 간단히 조립이 이루어지고, 상부로 연속 조립하기 위해서는 수직부재(2)의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단턱(9)에 수직부재(2)의 하부가 도 5와 같이 끼움조립되도록 하여 연속적으로 상측으로 비계(1)의 설치를 진행한다.
상기 조인트(10)의 형상 중 '┴'자형 조인트(10)는 좌우 및 전후로 수평부재(3)를 수직부재(2)와 연결하는 부위에 사용하게 되며, '└'자형 조인트(10)는 외측 모서리부에서 수평부재(3)를 수직부재(2)와 연결하는 부위에 사용하게 된다.
수직부재(2)가 1단씩 상측으로 조립되면 상기 수직부재(2)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부재(3) 역시 수평으로 연속하여 전기와 같이 조립을 행하게 되며, 전후로 소정 간격을 갖고 설치되는 수평부재(3) 상간에는 도 2와 같이 훅(5a)을 좌우로 갖는 발판(5)을 수평부재(3) 상부에서 걸림되도록 조립하면 간단히 조립이 이루어져 작업자가 비계(1) 상으로 통행할 시에 편익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발판(5) 좌우를 훅(5a)으로 훅킹할 수 있는 수평부재(3)가 수직부재(2)상에서 연결수단(4)에 의해 동일 높이로 설치되므로 발판(5)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자가 통행 시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상에 조립설치되는 안전망(7)은 수직부재(2)에 소정 간격으로 클램핑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클램프(6)에 형성된 훅(6a)을 사용하여 조립하게 된다.
즉, 개략 사각형으로 구성된 안전망(7)의 4모서리에 형성된 아이렛(7a)을 상기 클램프(6)상의 훅(6a)에 걸림되도록 끼움조립하면 간단히 안전망(7)의 설치가완료되어 견고하면서도 작업성이 신속한 비계(1)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건축용 비계(1)는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를 조인트(10) 및 연결수단(4)에 의해 원터치로 간단히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어 작업 소요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설치 시 견고성이 우수하며, 이웃하여 설치되는 안전망(7)과 안전망(7) 사이의 간격을 좁혀 공사 자재 등이 이웃하는 안전망(7) 상간의 간격 사이로 추락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연결수단(4)에 의해 이웃하는 수평부재(3)가 동일 높이로 설치되므로 발판(5) 역시 수평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자가 발판(5)상을 통행 시 안전사고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소정 간격으로 상부로 다단 설치되는 수직부재(2)와, 상기 수직부재(2)를 수평으로 상호 연결수단(4)으로 연결하는 수평부재(3) 및 상기 수평부재(3) 상에 훅(5a)에 의해 걸림 설치되는 발판(5)과, 상기 수직부재(2)상에 클램핑되는 클램프(6)의 훅(6a)상에 아이렛(7a)을 끼움 걸림하여 설치되는 안전망(7)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건축용 비계(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은 수직부재(2)상에 상하 소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조립공(10a)을 갖는 조인트(10)와, 상기 조립공(10a)에 쐐기 걸림되는 쐐기형 클램프(11)를 좌우 양단에 갖는 수평부재(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10)는 '┴'자형, '└'자형 중 하나를 선택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
KR20-2004-0009095U 2004-04-01 2004-04-01 건축용 비계 KR200354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095U KR200354070Y1 (ko) 2004-04-01 2004-04-01 건축용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095U KR200354070Y1 (ko) 2004-04-01 2004-04-01 건축용 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070Y1 true KR200354070Y1 (ko) 2004-06-24

Family

ID=4943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095U KR200354070Y1 (ko) 2004-04-01 2004-04-01 건축용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0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90Y1 (ko) * 2011-07-12 2013-11-18 유림가설(주) 비계용 발판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비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90Y1 (ko) * 2011-07-12 2013-11-18 유림가설(주) 비계용 발판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183B1 (ko) 조립식 시스템비계
KR100835681B1 (ko) 건축용 비계
JP3878277B2 (ja) 足場ユニット
KR200354070Y1 (ko) 건축용 비계
JP2522751B2 (ja) 枠組足場
KR200424416Y1 (ko) 건축용 비계
JP2010090676A (ja) 床付き布枠及び枠組足場
KR20090007331U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JP2020200639A (ja) 枠組足場用の連結ピン及び枠組足場の巾木取付構造
CA2268946A1 (en) Securing device for a supporting bar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JP6412230B2 (ja) 防音機能付仮設足場部材及び仮設足場構造
JPH1113274A (ja) ベント作業足場
KR200492285Y1 (ko) 조립식 개구부 덮개
JP6276073B2 (ja) 拡幅・狭幅用足場部材及びこの足場部材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KR200162505Y1 (ko) 낙하 방지용 안전망
KR102289940B1 (ko)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KR101896401B1 (ko) 낙하 방지용 가설재
WO2016025984A1 (en) Cantilever bracket
JP6830075B2 (ja) 落下防止装置
KR19990007677A (ko) 건설용 이동작업틀
KR20210000962U (ko) 비계용 발판 연결부재
KR200420095Y1 (ko) 접철식 계단
JP4007757B2 (ja) パネル取付構造
JP3851709B2 (ja) 仮設足場用手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