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891Y1 - 젖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젖병. - Google Patents

젖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891Y1
KR200353891Y1 KR20-2004-0007073U KR20040007073U KR200353891Y1 KR 200353891 Y1 KR200353891 Y1 KR 200353891Y1 KR 20040007073 U KR20040007073 U KR 20040007073U KR 200353891 Y1 KR200353891 Y1 KR 200353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length
body portion
present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화목
Original Assignee
차화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화목 filed Critical 차화목
Priority to KR20-2004-0007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8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8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젖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젖병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입구가 좁고 깊이가 깊은 젖병의 경우에는 젖병의 밑바닥(14)을 세척을 하려면 반드시 세척봉을 사용하여 세척을 하여야만 하였고, 그나마 젖병 밑바닥에 눌러붙은 찌거기는 잘 세척이 되지 않아 여러 번 세척을 되풀이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젖병의 아래에 뚜껑을 제공하거나 젖병의 몸체를 둘로 나눈 젖병(출20-2002-0037400)이 나왔다. 하지만 기존의 모든 젖병들은 젖병의 몸통부분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없어 유아의 수유량이 많아짐에 따라 새로이 큰 젖병을 구입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젖병(11)의 몸통부분(12)이 나사선(32,33,34,35,36,37,38)을 가진 여러 개의 작은 몸통부분들(21,22,23,24)로 완전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젖병의 안(13)과 밑바닥(14) 세척을 수월하게 하는 효과 뿐 아니라 수유량에 따라 젖병의 길이를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일부분만 교체가 가능한 젖병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젖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젖병.{A nursing bottle that can control in length.}
본 고안은 젖병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젖병은 젖병뚜껑(3)과 젖병마개(1)와 젖병몸통(12)으로 분리된다. 이때 기존의 젖병은 몸통부분(12)이 하나로 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젖병의 몸통부분(12)이 긴 젖병의 경우엔 적은 양의 분유를 수유할 때에는 분유의 양에 비하여 지나치게 큰 젖병을 사용하는 불편이 있었고, 수유한 후 젖병의 안(13)과 밑바닥(14)을 세척을 하려면 반드시 젖병입구(5)를 통하여 세척봉을 사용하여 세척을 하여야만 하였다. 게다가 기존의 젖병은 분유를 제 때 씻지 않은 경우엔 세척봉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젖병 밑바닥에 눌러붙은 찌거기가 잘 세척되지 않아서 세척봉으로 여러 번 세척을 되풀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세척봉이 낡으면 그나마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의 젖병보다 젖병의 둘레는 커지고 속이 깊지 않는 젖병이 나왔지만, 이러한 젖병은 젖병의 둘레가 너무 커서 손이 작은 유아들이 젖병을 손에 쥐고 먹기에는 불편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젖병의 둘레는 기존의 젖병과 같으면서 젖병의 깊이가 깊지 않은 젖병이 나왔지만, 이러한 젖병은 수유량이 많은 아기들에게는 두 개의 젖병을 준비하거나 새로이 큰 젖병으로 교체해야하는 불편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젖병의 아래에 뚜껑을 제공하거나 젖병의 몸체를 둘로 나눈 젖병(출20-2002-0037400)이 나왔으나 젖병의 몸통부분의 길이조절이 임의로 되지 않아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더 큰 용량의 젖병으로 바꾸어야 하는 구조적인 단점을 내포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첫 째, 기존의 젖병처럼 젖병의 모양은 그대로 유지하되 유아들의 손크기를 배려하여 유아들이 젖병을 쥐기에 편리한 젖병을 제공하고,
둘 째, 세척봉을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손쉽게 손가락이 젖병 밑바닥에 닿도록 구성하여 세척 시 기존의 젖병들보다 청결하게 세척이 가능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젖병을 제공하고,
셋 째, 젖병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조절함으로 분유의 섭취량이 적은 유아는 젖병의 길이를 줄여서 수유하고, 분유의 수유량이 많은 아기에게는 젖병의 길이를 늘여서 수유하여, 아기들이 성장하면 젖병도 자연스럽게 길게 하여 굳이 용량이 큰새로운 젖병을 구입하는 불편을 근본적으로 제거한 젖병을 제공하고,
넷 째, 기존의 젖병은 몸통부분이 금이 가면 젖병전체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개선하여 젖병의 깨어진 몸통부분만을 교체하거나, 온전히 남은 부분들끼리 상호 결합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젖병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의 분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의 일부 절개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의 결합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의 두 개의 몸통부분의 결합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의 네 개의 몸통부분의 결합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젖병마개 2. 젖꼭지
3. 젖병뚜껑 4. 젖병의 나사선
5. 젖병의 입구
11. 젖병 12. 젖병의 몸통부분
13. 젖병의 몸통부분의 안 14. 젖병의 몸통부분의 밑바닥
15. 젖병의 몸통부분의 구멍
21. 첫 번째 몸통부분 22. 두 번째 몸통부분
23. 세 번째 몸통부분 24. 네 번째 몸통부분
31. 젖병마개 내부의 나사부분
32. 첫 번째 몸통부분의 위쪽의 나사부분
33. 첫 번째 몸통부분의 아래쪽의 나사부분
34. 두 번째 몸통부분의 위쪽의 나사부분
35. 두 번째 몸통부분의 아래쪽의 나사부분
36. 세 번째 몸통부분의 위쪽의 나사부분
37. 네 번째 몸통부분의 위쪽의 나사부분
38. 네 번째 몸통부분의 아래쪽의 나사부분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젖병(11)의 몸통부분(12)을 여러 개의 작은 몸통부분들(21,22,23,24)로 구성하여 젖병의 몸통부분을 분리와 결합을 할 수 있는 젖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은 도3에서와 같이 기존의 젖병과 그 모양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그러나 젖병의 구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의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도2를 통하여 젖병의 구조를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은 젖병(11)의 몸통부분(12)이 여러 개의 작은 몸통부분들(21,22,23,24)로 구성이 되어 있고, 젖병(11)의 여러 개의 작은 몸통부분들(21,22,23,24)은 상호 결합되어 젖병(11)의 몸통부분(12)을 구성되는 젖병(11)의 작은 몸통부분들(21,22,23,24)의 내외측면에 있는 나사선들(32,33,34,35,36,37,38)에 의하여 젖병(11)의 몸통부분(12)은 두 개 이상의 작은 몸통부분들(21,22,23,24)로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젖병의 입구(15)가 제공된 첫번째 몸통부분(21)은 젖병의 아래쪽에 구멍(3)이 있고, 젖병(11)의 밑바닥(14)이 있는 세 번째 몸통부분(23)은 젖병(11)의 위쪽에 구멍(3)이 있고, 첫번째 몸통부분(21)과 세 번째 몸통부분(23)의 중간에서 상호 분리되고 결합되도록 구성된 두 번째 몸통부분(22)은 아래쪽과 위쪽 모두에 구멍(3)이 있고, 동일한 구조의 네 번째 몸통부분(24)은 첫 번째 몸통부분(21)과 세 번째 몸통부분(23) 사이에 추가제공하거나 제거하여 젖병(11)의 몸통부분(12)을 분리할 수 있고, 몸통부분(12)의 길이조절을 할 수 있는 젖병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의 결합사시도로서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결합된 젖병의 모습이다.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의 두 개의 몸통부분의 결합사시도이다. 그리고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의 네 개의 몸통부분의 결합사시도이다.
그러므로 도4와 도5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은 젖병(11)의 작은 몸통부분들(21,22,23,24)의 내외측면에 제공된 나사선(2)에 의하여 몸통부분을 분리할 수 있고, 몸통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젖병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의 분해도이다. 도5의 젖병(11)의 나사부분(31,32,33,34,35,36,37,38)을 모두 풀었을 경우 분리된 젖병의 모습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은 젖병(11)의 몸통부분(12)을 2개 이상의 작은 몸통부분들(21,22,23,24)의 상호 분리와 결합을 통해 젖병(11)의 몸통부분(12)을 분리하고, 길이조절을 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이 된 젖병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젖병(11)의 몸통부분(12)을 구성하는 작은 몸통부분들(21,22,23,24)의 내외측면에 제공된 젖병의 나사선(2)에 의하여 상호분리결합을 하면서 젖병(11)의 길이조절이 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첫 째,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의 몸통부분을 기존의 젖병의 몸통부분의 둘레보다 작게 하고,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의 몸통부분들을 여러 개 결합하여 젖병을 제공할 경우엔 기존의 젖병보다 손쉽게 어린 유아들이 젖병을 쥐고 먹을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젖병보다 넉넉한 용량의 분유를 먹을 수 있는 젖병을 제공할 수 있으며,
둘 째, 기존의 젖병은 분리할 수 없어 젖병의 밑바닥을 세척하려면 세척봉을 사용하여야만 세척이 가능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한 젖병은 젖병의 몸통부분의 안부분(21)과 젖병의 몸통부분의 밑바닥(22)을 세척봉을 사용하지 않아도 손가락이 닿게 하여 세척용품으로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어 기존의 젖병보다 청결하게 젖병관리를 할 수 있는 젖병을 제공할 수 있으며,
셋 째, 젖병의 길이를 유아의 수유량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수유량이 작은 유아 때부터 수유량이 많아진 아기에 이르기까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젖병을 제공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아이의 성장에 따라 젖병을 교체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므로 가정경제에 보다 보탬이 되는 젖병을 제공을 할 수 있으며,
넷 째, 젖병의 몸통부분이 일부 파손이 되어도 젖병의 몸통부분을 전부 교체할 필요가 없이 젖병의 몸통부분의 일부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이면서 환경보호에 도움이 되는 젖병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젖꼭지(2)가 제공된 젖병(11)에 있어서 젖병(11)의 몸통부분(12)이 여러 개의 작은 몸통부분들(21,22,23,24)로 구성이 되어 있고, 젖병(11)의 여러 개의 작은 몸통부분들(21,22,23,24)은 상호 결합되어 젖병(11)의 몸통부분(12)을 구성되는 젖병(11)의 작은 몸통부분들(21,22,23,24)의 내외측면에 있는 나사선들(32,33,34,35,36,37,38)에 의하여 젖병(11)의 몸통부분(12)은 세 개 이상의 작은 몸통부분들(21,22,23,24)로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젖병의 입구(15)가 제공된 첫 번째 몸통부분(21)은 젖병의 아래쪽에 구멍(3)이 있고, 젖병(11)의 밑바닥(14)이 있는 세 번째 몸통부분(23)은 젖병(11)의 위쪽에 구멍(3)이 있고, 첫 번째 몸통부분(21)과 세 번째 몸통부분(23)의 중간에서 상호 분리되고 결합되도록 구성된 두 번째 몸통부분(22)은 아래쪽과 위쪽 모두에 구멍(3)이 있고, 동일한 구조의 네 번째 몸통부분(24)은 첫 번째 몸통부분(21)과 세 번째 몸통부분(23) 사이에 추가 제공하거나 제거하여 젖병(11)의 몸통부분(12)을 분리할 수 있고, 몸통부분(12)의 길이조절을 할 수 있는 젖병.
KR20-2004-0007073U 2004-03-15 2004-03-15 젖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젖병. KR200353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073U KR200353891Y1 (ko) 2004-03-15 2004-03-15 젖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073U KR200353891Y1 (ko) 2004-03-15 2004-03-15 젖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891Y1 true KR200353891Y1 (ko) 2004-06-22

Family

ID=4943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073U KR200353891Y1 (ko) 2004-03-15 2004-03-15 젖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8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196B1 (ko) 2010-11-26 2012-12-18 (주)엠이씨 기능성 젖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196B1 (ko) 2010-11-26 2012-12-18 (주)엠이씨 기능성 젖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3050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мления
US7901375B2 (en) Mesh-type feeder
US8146760B1 (en) Baby bottle with tubular gripping sections
KR200353891Y1 (ko) 젖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젖병.
CN202288903U (zh) 新型奶瓶
KR100781663B1 (ko) 수유용 젖병
KR101932346B1 (ko) 빨대를 구비한 스파우트 컵
KR101456798B1 (ko) 이유클립
KR100806760B1 (ko) 분리형 젖병
KR200374998Y1 (ko) 나들이용 우유 젖병
KR200401322Y1 (ko) 젖병 세척용 뚜껑
KR200460859Y1 (ko) 젓가락
KR20070091254A (ko)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한 젖병
KR200307225Y1 (ko) 젖병
CN201888944U (zh) 奶瓶保护套
CN214485088U (zh) 一种新型的安抚奶嘴
CN220002405U (zh) 一种可旋转的奶瓶手柄
KR19990037080U (ko) 다기능우유병
CN218651288U (zh) 一种旋转推进式辅食器
CN214318601U (zh) 奶瓶
KR200370927Y1 (ko) 통기량 조절 및 위생 밸브구조를 갖는 수유용 젖병
CN208741519U (zh) 一种婴幼儿喂药器
KR100768672B1 (ko) 젖병
TWD184982S (zh) 奶瓶
KR200183714Y1 (ko) 유아용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