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811Y1 - Cage for frog - Google Patents

Cage for fro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811Y1
KR200353811Y1 KR20-2004-0009188U KR20040009188U KR200353811Y1 KR 200353811 Y1 KR200353811 Y1 KR 200353811Y1 KR 20040009188 U KR20040009188 U KR 20040009188U KR 200353811 Y1 KR200353811 Y1 KR 200353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g
soil
breeding
present
z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18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광진
Original Assignee
전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광진 filed Critical 전광진
Priority to KR20-2004-0009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81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811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구리 사육함에 관한 것으로, 개구리 사육함은 사육함 본체, 사육함 내면과 분리 가능한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2개 이상의 분리함 및 덮개로 이루어져 있고, 사육함의 내부는 상기 분리함에 의하여 3구역 이상으로 분획되어 있으며, 상기 분획된 구역들 중에서 2 이상의 구역들에는 물이 존재하고, 1구역 이상에는 흙이 존재하며, 상기 개구리 사육함의 측면 및 덮개에는 다수의 환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g breeder, the frog breeder is composed of two or more separators and the cover is fixed to the breeding body, the inner surface of the breeding box in a detachable form, the interior of the breeding box is more than three zones by the separation Among the divided zones, water is present in at least two of the divided zones, soil is present in at least one zone,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at the sides and the cover of the frog breeder.

Description

개구리 사육함{CAGE FOR FROG}Frog breeding {CAGE FOR FROG}

본 고안은 개구리 사육함에 관한 것으로, 개구리 사육함은 사육함 본체, 사육함 내면과 분리 가능한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2개 이상의 분리함 및 덮개로 이루어져 있고, 사육함의 내부는 상기 분리함에 의하여 3구역 이상으로 분획되어 있으며, 상기 분획된 구역들 중에서 2 이상의 구역들에는 물이 존재하고, 1구역 이상에는 흙이 존재하며, 상기 개구리 사육함의 측면 및 덮개에는 다수의 환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g breeder, the frog breeder is composed of two or more separators and the cover is fixed to the breeding body, the inner surface of the breeding box in a detachable form, the interior of the breeding box is more than three zones by the separation Among the divided zones, water is present in at least two of the divided zones, soil is present in at least one zone,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at the sides and the cover of the frog breeder.

현재 수 많은 가정에서 애완동물을 기르고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개 또는 고양이와 같은 동물들이 사육되지만, 햄스터, 토끼, 카나리아 또는 금붕어 등과 같은 포유류, 조류 및 어류 등 뿐만 아니라, 최근에 와서는 뱀, 도마뱀, 악어, 거북, 개구리 또는 도롱뇽 등과 같은 파충류와 양서류도 애완동물로 사육되고 있다.Many families now have pets, typically animals such as dogs or cats, but not only mammals such as hamsters, rabbits, canaries or goldfish, birds and fish, but also snakes, lizards, Reptiles and amphibians such as crocodiles, turtles, frogs or salamanders are also raised as pets.

이처럼 사람들이 사육하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종류가 점차 늘어나고,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애완동물을 사육하는데 필요한 사료, 사육함과 같은 제품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각 동물들 중에는 생태학적 특성이 인간과 달라서 자연계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각각의 독특한 생태학적 환경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동물들을 애완동물로서 사육하기 위해서는 각 동물의 종류 및 생태학적 특성에 따라 생활환경을 맞추어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애완동물로 사용되는 동물들 각각의 생태학적인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사육함이 충분히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애완동물을 사육하고자 하는 사람들 각자가 사육하고자 하는 동물의 생태학적 특성을 반영하여 사육환경을 직접 꾸며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As the kind of pets that people want to raise gradually increases, and interest in pets increases, products such as feeds and breeders necessary for raising pets are provided. However, among the animals, there are cases wher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humans, and therefore, each of them requires a unique ecological environment. Therefore, in order to breed these animals as pet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iv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yp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animal. However, up to now, there is not enough feeding box to meet the ecological needs of each animal used as a pe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each of those who intend to raise a pet must directly decorate a breeding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imal to be kept.

개구리는 파충류와 비슷한 양서류로서, 유생 때에는 아가미로 수중 호흡을 하면서 물에서 살고, 성체가 되면 폐로 공기호흡을 하면서 육상에서 살게 된다. 개구리의 몸 표면은 매끈하고 피부에 점액선과 과립선이 분포하고 있어 축축하며, 과립선은 독액을 분비하는 색소포를 가진다. 보통 비늘이나 털이 없으며, 체형에 변화가 많고 대부분 4개의 다리를 가지며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진 종류가 많다. 입은 크고 위턱 또는 양턱에 작은 이빨들이 나 있으며, 2개의 콧구멍은 입속 천장의 앞부분에서 열린다. 호흡기로서 아가미, 폐가 있으며 피부로도 호흡한다. 심장은 2심방 1심실로 되어있다. 신장은 성체에서는 중신형이다. 경골성 내골격을 가지며, 어떤 것은 갈비뼈를 가지나 없는 것도 있다.Frogs are reptile-like amphibians that live in water, breathing underwater with gills during larvae, and breathing air into the lungs when adults. The surface of the frog's body is smooth and mucous glands and granules are distributed in the skin and are moist. The granule glands have pigments that secrete venom. Usually there are no scales or hairs, and there are many changes in body shape, most of which have four legs and webbed feet. The mouth is large and has small teeth on the upper or both jaws, and the two nostrils open in front of the oral cavity. As a respiratory organ, there are gills and lungs, and the skin also breathes. The heart is composed of two atriums and one atrium. Kidneys are gentility in adults. It has a tibial endoskeleton, some with or without ribs.

개구리는 예로부터 노래에 등장하기도 하고, 기생개구리와 같이 사육되어 울음소리로 인간을 즐겁게 해주는 등 인간생활과 가까운 동물이다. 올챙이는 자연 학습용으로 사육을 통해 관찰하기도 할 뿐 아니라 학생들의 해부 실습에 없어서는 안 될 재료이기도 하다. 미국에서는 식용개구리를 도약시켜 그 기록을 가지고 경쟁하기도 한다. 특히 발생학의 연구에는 중요한 동물로서, 근육·신경의 생리학·생화학·색소세포·내분비에 관한 연구에도 적지 않은 공헌을 하고 있다.Frogs are animals that are close to human life, such as appearing in songs from ancient times, and breeding like parasitic frogs to entertain people with crying sounds. Tadpoles are not only observed through breeding for natural learning but also an indispensable material for students' anatomy exercises. In the United States, edible frogs leap and compete with the record. In particular, as an important animal for developmental research, he has contributed a lot to the research on muscle, nerve physiology, biochemistry, pigment cells, and endocrine.

최근들어 많은 사람들이 개구리를 교육, 관찰 또는 애완용으로 사육하고 있다. 그러나, 개구리는 양서류로서 파충류에 비하여 고온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기 때문에 약 15~2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60% 이상의 습도를 유지시켜야 하고, 이산화탄소는 1000ppm 이하가 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육상 및 물에서도 생활하기 때문에 물과 흙을 동시에 필요로 한다는 생태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함의 형태인 기존의 사육함을 이용해서는 상기와 같은 개구리의 생태학적 요구를 충족시키기가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다.Recently, many people have been breeding frogs for education, observation, or pets. However, since frogs are less resistant to high temperature than reptiles as amphibians, they must maintain a humidity of about 15 to 25 ° C and maintain a humidity of 60% or more, and carbon dioxide should not be more than 1000 ppm, but also on land and water. It has an ecological feature that it requires water and soil at the same time because it live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eet the ecological needs of the frog using the existing breeder in the form of a simple ship.

또한, 개구리가 육상과 물에서 동시에 생활하기 때문에, 상기 환경을 동시에 제공해주면 물이 금방 지저분해지는 등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지 않아 실내에서 개구리를 사육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frog lives on land and in water at the same time, if the environment is provided at the same time, the water is not easily maintained and maintained, such as wat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breed the frog indoor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에서 개구리를 사육할 수 있는 개구리 사육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frog breeding box that can breed a frog indoor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또한, 개구리는 육상 및 물에서도 생활하기 때문에 물과 흙이 동시에 필요하다는 개구리의 생태학적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개구리의 생활을 보다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는 개구리 사육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frog to provide a frog farming that can more accurately observe the life of the frog by meeting the frog's ecological requirements that water and soil are needed at the same time because they live on land and water.

또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개구리 사육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og breeding box that is easy to maintain and manag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사육함 본체 11:제1구역1: Body keeper 11: Area 1

2:제1분리함 11-1:토양구역2: segregated first 11-1: soil area

3:제2분리함 11-2:토양구역3: Second Separation 11-2: Soil Zone

4:분리판 12:제2구역4: Separator 12: Zone 2

5:분리함 지지체 13:제3구역5: Separator support 13: Zone 3

6:덮개6: cover

7:환기용 구멍7: Ventilation hole

본 고안의 개구리 사육함은 사육함 본체, 사육함의 내면과 분리 가능한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2개 이상의 분리함 및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내부는 사육함의 상기 분리함에 의하여 3개 구역 이상으로 분획되어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개구리 사육함에 있어서 상기 분획된 구역들 중에 1개 구역 이상에는 흙이 존재하고, 2개 구역 이상에는 물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개구리 사육함에 있어서, 상기 사육함의 측면 및 덮개에 다수의 환기용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g br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breeder main body, two or more separators and a cover which are fixed in a detachable form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reeder,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divided into three or more sections by the separation of the bree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In addition, in the frog bree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il is present in at least one of the fractionated zo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is present in at least two zones. In addition, in the frog bree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on the side and the cover of the breeding box.

본 고안의 개구리 사육함 본체 및 분리함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형태이다.There are no particular limitations on the shape of the frog breeding body and the separat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s shown in FIG. 1.

본 고안의 개구리 사육함에 사용되는 분리함의 높이는 본체의 높이보다 개구리 길이의 1.5배 이상만큼 낮아야 한다. 이는 본 고안의 개구리 사육함의 덮개를 덮었을 때 사육함 내부에서 개구리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개구리 사육함의 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각 분리함간의 높이의 차는 5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분리함의 높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separator used for breeding fro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at least 1.5 times the length of the frog than the height of the body. This is to ensure a space for the frog to move easily inside the cage when the cover of the frog ke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or the convenience of management of the frog br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each separation box is preferably 5cm or l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separation box is the same.

본 고안의 개구리 사육함에 사용되는 분리함은 분리판에 의하여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획될 수 있다. 분리판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분리함 내부에 분리가능한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형태이어도 좋고, 분리불가능하게 일체화된 형태이어도 좋다.Separator used for breeding frog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two or more parts by a separator. The separating plate may be fixed in a detachable form inside the separating box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may be in an unseparably integrated form.

본 고안의 개구리 사육함 본체의 내부면에 분리함은 탈부착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의 정도는 본체와 분리함과의 사이에 빈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켜 고정되어 있는 정도가 바람직하며, 이러한 요건을 만족한다면, 분리함과 사육함 본체의 내부면과의 고정수단 및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수단이 가능하다. 예컨대, 개구리 사육함 본체의 내부면에 분리함을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epara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g breeder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attachment is preferably fixed to close enough to prevent the empty spa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eparation box, If this requirement is met, the means and methods for fix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age and the cage body may be any mean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upport for fixing the separation box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g breeder body.

본 고안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개구리 사육함 본체(1) 내부에 2개의 분리함(2, 3)이 삽입되어 있다. 본체 내부에는 분리함 지지체(5)가 설치되어있어 분리함이 본체 내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개구리의 움직임에 의하여 분리함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Figure 1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separation boxes (2, 3) are inserted into the frog breeding body (1). Separation supporter 5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so that the separation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separation box does not move by the movement of the frog.

상기 사육함 본체(1)의 내부는 상기 2개의 분리함(2, 3)에 의하여 4구역(11-1, 11-2, 12, 13)으로 구분되어 있다. 즉, 사육함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2개의 분리함(2, 3)이 각각 제1구역(11) 및 제2구역(12)이 되고, 사육함 본체 내부에서 분리함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은 제3구역(13)으로 구분되는데, 이중 제1구역(11)에 해당하는 제1분리함은 그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분리판(4)에 의하여 다시 2개의 구역(11-1, 11-2)으로 구분된다. 제1구역의 2개의 구역(11-1, 11-2)에는 흙이 채워져 있고, 제2구역(12) 및 제3구역(13)에는 물이 채워져 있다. 상기 흙이 채워져 있는 제1구역의 2개의 구역(11-1, 11-2)을 토양구역이라 하고, 상기 물이 채워져 있는 제2구역(12) 및 제3구역(13)을 수생구역이라 한다.The interior of the cage main body 1 is divided into four zones 11-1, 11-2, 12, 13 by the two separation boxes 2, 3. That is, the two separation boxes 2 and 3 installed inside the cage main body become the first zone 11 and the second zone 12, respectively. The first separation box corresponding to the first zone 11 is divided into two zones 11-1 and 11-2 by a separate separator plate 4 installed therein. Separated by. The two zones 11-1 and 11-2 of the first zone are filled with soil, and the second zone 12 and the third zone 13 are filled with water. The two zones 11-1 and 11-2 of the first zone filled with soil are called soil zones, and the second zone 12 and third zone 13 filled with water are called aquatic zones. .

상기 제1구역(11)에서 분리판(4)에 의하여 구분되어 있는 2개의 토양구역(11-1, 11-2)에는 모래흙, 양토, 진흙, 개흙, 붉은 황토, 충적토, 부엽토 및 배양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서로 다른 성질의 흙이 각각 채워진다. 바람직하게는, 모래흙 및 충적토가 사용된다. 본 고안의 개구리 사육함에는 토양구역이 1개 이상이어서 각각 서로 다른 성질의 흙이 사용될 수 있는데, 각각의 흙이 서로 다른 색을 갖기 때문에 개구리의 피부색깔이 흙의 색에 맞추어 변색되어 가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The two soil zones 11-1 and 11-2 divided by the separating plate 4 in the first zone 11 include sandy soil, loam, mud, open soil, red loess, alluvial soil, flounder and culture soil. Each soil is filled with different propert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eferably, sandy soil and alluvial soil are used. The frog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more than one soil zone so that different soils can be used. Since each soil has a different color, the frog's skin color changes to the color of the soil. Can be observed.

토양구역(11-1, 11-2)에 흙을 채울 때에는, 토양구역(11-1, 11-2)에 해당하는 분리함(2)과 이에 인접한 수생구역에 해당하는 분리함(3) 중에서 높은 분리함의벽면의 상부로부터 개구리 길이의 0.3~1.5배 만큼의 깊이까지 흙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리 길이의 0.3배에 미치지 못하는 깊이만큼만 흙을 채우면, 개구리가 몸에 흙이 묻어있는 채로 토양구역(11-1, 11-2)으로부터 도약하여 모든 수생구역(12, 13)까지 도달할 수 있으므로 수생구역(12, 13)의 오염을 최소화하려는 본 고안의 효과를 얻을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개구리 길이의 1.5배를 넘어서는 깊이만큼 흙을 채우면, 개구리가 토양구역(11-1, 11-2)을 벗어날 수 없어 수생구역(12, 13)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해져서 사육하는 개구리가 생존하기 위하여 필요한 환경을 제공할 수 없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When soil is filled in the soil zones 11-1 and 11-2, the separators corresponding to the soil zones 11-1 and 11-2 and the separators corresponding to the aquatic zones adjacent thereto are It is desirable to fill the soil from the top of the wall of the high separator to a depth of 0.3 to 1.5 times the length of the frog. If the soil is filled to a depth less than 0.3 times the length of the frog, the frog can leap from the soil zones (11-1, 11-2) and reach all the aquatic zones (12, 13) with soil on the body.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minimizing the contamination of the aquatic zones 12 and 13 is not obtained, which is undesirable. In addition, if the soil is filled to a depth of more than 1.5 times the length of the frog, the frog cannot escape to the soil zones 11-1 and 11-2, making it impossible to move to the aquatic zones 12 and 13, so that the breeding frog survives.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cannot provide the environment necessary for doing so.

상기 사육함 본체(1)의 내부에서 수생구역(12, 13)은 수중에서도 생활하는 개구리에게 수중환경을 제공하고, 또한 이를 통하여 수중에서 개구리의 생활상을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개구리는 토양에서도 생활하기 때문에 토양에서 물로 이동하는 개구리의 몸에 많은 흙이 묻어있어 수생구역에 채워진 물이 쉽게 오염되어 유지, 관리 및 사육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육함 본체(1) 내에서 2개 구역 이상을 수생구역(12, 13)으로 설정한 다음 토양구역(11-1, 11-2)에 근접한 중간 수생구역(12)을 개구리의 세척공간으로 이용하므로써, 토양구역(11-1, 11-2)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쪽의 수생구역(13)의 수질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개구리 사육함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개구리 사육함의 유지 및 관리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수생구역을 3개 구역 이상 만든 다음, 그중 2개 구역 이상을 세척공간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aquatic zones 12 and 13 in the interior of the breeding box body 1 provide an aquatic environment for frogs that live in the water, and also observe the life of the frog in the water. However, since frogs also live in the soil, there is a lot of soil on the body of the frog that moves from the soil to the water, which can easily contaminate the water filled in the aquatic zone, causing problems in maintenance, management and breeding.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resent invention sets two or more zones to the aquatic zones 12 and 13 in the breeding body 1 and then the intermediate aquatic zones 12 adjacent to the soil zones 11-1 and 11-2. To keep the water quality of the aquatic zone 13 far away from the soil zones 11-1 and 11-2 clean, so that the frog breeder can be easily maintained and managed. do. 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frog breeders,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ree or more aquatic zones and then use two or more of them as washing spaces.

상기 개구리 사육함 본체(1)의 측면 및 덮개(6)에는 개구리 폭의 80% 미만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개구리 사육함 내의 환기를 위한 것으로, 형성된 구멍(7)의 크기가 개구리 폭의 80%를 넘어서면 상기 구멍(7)을 통하여 개구리가 상기 사육함 밖으로 이탈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구멍(7)의 갯수 및 분포는 사육하는 개구리의 크기, 수, 종류 및 개구리 사육함 내부의 배치 형태 등에 따라 당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육함 본체(1)의 측면에 구멍을 형성하는 높이는 상기 구멍으로 흙 또는 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당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side and cover 6 of the frog cage main body 1 have a plurality of holes 7 having a diameter of less than 80% of the frog width. This is for ventilation in the frog cage, which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size of the formed hole 7 exceeds 80% of the frog width, since the frog may escape from the cage through the hole 7. The number and distribution of the holes 7 may be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size, number, type, and arrangement of the inside of the frog cage. In addition, the height of forming a hole in the side of the cage main body 1 can be determined by the choic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so that soil or water does not leak into the hole.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덮개(6)는 개구리 사육함 본체(1)와 체결구조를 통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사육함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육함 덮개(6)가 개방되어 개구리가 사육함으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개구리 사육함에 사용가능한 체결구조로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모든 수단이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cover 6 is preferably fixed to the frog breeding body 1 through a fastening structure. This is to avoid the risk that the cage cover 6 is opened so that the frog can easily escape from the cage, even if the user of the cage is not intended. The fastening structure usable in the frog rea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ny means known in the art.

본 고안은 육상 및 물에서도 생활하는 개구리의 생태학적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개구리를 집안에서 사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구리의 생활을 보다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는 개구리 사육함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meets the ecological needs of frogs that live on land and in water, so that not only can frogs be housed, but also frog frogs can more accurately observe frog life.

또한, 본 고안은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개구리 사육함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og breeding box that is easy to maintain and manage.

Claims (7)

사육함 본체, 사육함의 내면과 분리 가능한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2개 이상의 분리함 및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내부는 상기 분리함에 의하여 3개 구역 이상으로 분획되어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리 사육함.Breeding body main body, consisting of two or more separation boxes and covers that are fixed in a detachable form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reeding box, the inside of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divided into three or more areas by the separation Breed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함의 높이는 본체의 높이보다 개구리 길이의 1.5배 이상만큼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리 사육함.The frog breeding fro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ight of the separating box is 1.5 times or mor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된 구역들 중에서, 2개 구역 이상에는 물이 존재하며, 1개 구역 이상에는 흙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리 사육함.The frog breeding frog of claim 1, wherein water is present in at least two zones and soil is present in at least one zon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흙은 모래흙, 양토, 진흙, 개흙, 붉은 황토, 충적토, 부엽토 및 배양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리 사육함.[Claim 4] The frog breeding frog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oil is soi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nd soil, loam, mud, open soil, red loess, alluvial soil, side loam and cultured soil.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흙이 존재하는 각 구역에 따라 다른 종류의 흙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리 사육함.The frog breeding frog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a different kind of soil is present according to each zone in which the soil is presen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흙이 존재하는 구역에는 토양구역에 해당하는 분리함과 이에 인접한 수생구역에 해당하는 분리함 중에서 높은 분리함의 벽면의 상부로부터 개구리 길이의 0.3~1.5배 만큼의 깊이까지 흙이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리 사육함.4. The soil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oil is present in the soil section and the aquatic zone adjacent to the soil from the top of the wall of the high separator to the depth of 0.3 to 1.5 times the length of the frog soil It is filled with frog breed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함 측면 및 덮개에는 개구리 폭의 80% 미만의 직경을 갖는 환기용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리 사육함.The frog rear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side and the cover of the rearing box are formed with ventilation holes having a diameter less than 80% of the frog width.
KR20-2004-0009188U 2004-04-02 2004-04-02 Cage for frog KR20035381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188U KR200353811Y1 (en) 2004-04-02 2004-04-02 Cage for fro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188U KR200353811Y1 (en) 2004-04-02 2004-04-02 Cage for fro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811Y1 true KR200353811Y1 (en) 2004-06-22

Family

ID=4934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188U KR200353811Y1 (en) 2004-04-02 2004-04-02 Cage for fro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81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220A (en) * 2017-04-25 2018-11-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Microhabitat for amphibia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220A (en) * 2017-04-25 2018-11-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Microhabitat for amphibian
KR101968177B1 (en) 2017-04-25 2019-04-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Microhabitat for amphibia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ickman et al. Commonly used animal models
Scott et al. Genetics and the Social Behavior of the Dog
Newberry Environmental enrichment: Increasing the biological relevance of captive environments
Joven et al. Husbandry of Spanish ribbed newts (Pleurodeles waltl)
CN108935140A (en) Bamboo rat aquaculture pond, bamboo rat column home and bamboo rat cultural method
Brandão et al. Behavior of rodents with an emphasis on enrichment
KR20160131452A (en) Medicated edible insect rearing unit
KR200353811Y1 (en) Cage for frog
Batchelder et al. Gerbils
Birkenholz Neofiber alleni
CN105393936B (en) A kind of sylvan life broiler chicken free-ranging hen house
CN208300631U (en) Bamboo rat aquaculture pond and bamboo rat column home with the bamboo rat aquaculture pond
ITEM Food of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Monotremata: Ornithorhynchidae), from various water bodies in New South Wales
KR100701485B1 (en) The ranch for pet possible to be placed indoors
JPH1023836A (en) Movable poultry house and breeding of poultry
Zwart Pathophysiology: Assessment of the husbandry problems of reptiles on the basis of pathophysiological findings: A review
CN207561089U (en) A kind of pigsty convenient for night soil-treatment
De Santo et al. Plumage and behavioral development of nestling white ibises
KR20100000103A (en) A cattle ranch for muskrats
Gee et al. Caring for classroom pets
Sachser Much Like Us: What Science Reveals about the Thoughts, Feelings, and Behaviour of Animals
CN211241229U (en) Ferret food home cage
Holdrege What does it mean to be a sloth?
Verma Chordate zoology
JP2004254645A (en) Rearing chamber of mo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