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582Y1 -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 Google Patents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582Y1
KR200353582Y1 KR20-2004-0006111U KR20040006111U KR200353582Y1 KR 200353582 Y1 KR200353582 Y1 KR 200353582Y1 KR 20040006111 U KR20040006111 U KR 20040006111U KR 200353582 Y1 KR200353582 Y1 KR 200353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receptor
playback device
opening
waterproof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라테크
Priority to KR20-2004-0006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5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11B33/025Portable ca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46Reducing contamination, e.g. by dust, debris
    • G11B33/1453Reducing contamination, e.g. by dust, debris by mois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원재생기기를 신체의 일부에 간편하게 착용하여 사용할 뿐만 아니라 완전하게 방수가 되도록 한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소정 형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부를 제외한 둘레부분이 밀봉처리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음원재생기기가 삽출되며, 상기 수용공간내에는 소정 형태의 오디오 출력수단 및 상기 오디오 출력수단과 상기 음원재생기기를 연결시키는 오디오 전달수단이 수용되며, 상기 개구부에 접하는 부위에 밀폐부재가 설치된 제 1 수용체; 및 상기 제 1 수용체가 삽출되고,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되는 제 2 수용체를 구비하여, 방수재질의 제 1 수용체에 음원재생기기를 수납시킨 후에 그 제 1 수용체를 제 2 수용체내에 수용시켜서 그 제 2 수용체를 희망하는 신체의 일부(예컨대, 머리 등)에 착용하게 되면 방수도 되면서 간편하게 음악 등을 청취하면서 운동을 병행하게 된다.

Description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A waterproof case for an audio source replay device}
본 고안은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의 MP3 플레이어와 같은 음원재생기기를 수납하여 신체 어느 부위이든 마음대로 장착가능하도록 된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크맨이나 휴대형 CD 플레이어 등은 그 크기가 소형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휴대하면서 음악을 즐기기에 용이한 음원재생기기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휴대형 음원재생기기의 제조기술이 발전하면서 더욱 소형화되고 경량화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MP3 플레이어라고 불리우는 소형 디지털 오디오기기는 본체의 내부에 음악 파일을 저장하였다가 이를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게 하는 기기로서, 그 크기와 무게가 더욱 소형화되어 작은 포켓에 담거나 허리에 차서 휴대하기가 용이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휴대형 음원재생기기들은 본체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유선 이어폰을 이용하여 청취하기 때문에, 음원재생기기의 본체에서 사람의 귀로 연결되는 이어폰의 전선이 길게 늘어지는 관계로 음악을 들으면서 동적인 일이나 운동을 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에 따라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1999년 10월 4일자로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10-1999-0042555호(발명의 명칭 : 휴대용 오디오를 지지하는 헤어밴드)에서는, 소형 오디오를 머리에 둘러 휴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동적인 일이나 운동을 하면서도 음악을 즐길 수 있게 하였다.
그 출원번호 10-1999-0042555호의 헤어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머리에 두를 수 있도록 띠 형상으로 마련된 내측 밴드(1)의 전면에 외측 밴드(2)가 결합되고, 외측 밴드(2)는 내측 밴드(1)의 외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그 양단부가 내측 밴드(1)의 양측 외면에 재봉 등을 통하여 고정되며, 내측 밴드(1)와 외측 밴드(2)의 하단에는 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하부를 막아주는 바닥면(3)이 결합되고, 내측밴드(1)와 외측 밴드(2) 사이의 공간 내부에는 이 공간을 세개로 구획하는 두개의 구획면(4a, 4b)이 결합된다. 그 두 구획면(4a, 4b)은 상호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두 구획면(4a, 4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휴대용 오디오(20)가 수용되는 오디오 수용부(5)를 이루고, 오디오 수용부(5)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공간이 이어폰(30)의 전선(31)이 수용되는 전선 수용부(6)를 이룬다. 또한, 양측 전선 수용부(6)의 하면, 즉 바닥면(3)의 일측에는 이어폰(30)의 스피커부(32)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7)가 형성되고, 전선 수용부(6)의 내부 일측에는 인출구(7)로 인출되는 전선(31)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조절수단(8)이 마련된다. 그리고, 내측 밴드(1)의 상단에는 오디오 수용부(5) 및 전선 수용부(6)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9)가 마련되는데, 이 덮개(9)는 일단이 내측 밴드(1)의 상단에 재봉을 통하여 고정되고, 타단이 오디오 수용부(5) 및 전선 수용부(6)의 상부와 외측 밴드(2)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덮개(1)의 내면과 외측 밴드(2)의 외면에는 덮개(9)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매직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부착수단(10a, 10b)이 마련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출원번호 10-1999-0042555호의 헤어밴드는 소형 오디오를 머리에 둘러 휴대할 수 있는 효과는 있지만, 오디오 수용부(5)에 오디오 본체(20)를 집어 넣고 전선(31)은 수회 권선하여 전선 수용부(6)에 넣은 다음에 인출구(7)를 통해 이어폰(30)의 스피커부(32)를 외부로 인출시켜야 되므로 사용자의 측면에서는 매우 번거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헤어밴드를 사용할 때마다 전선(31)의 길이를 조절하여야 되는 번거러움이 발생된다.
그리고, 그 출원번호 10-1999-0042555호의 헤어밴드는 구성상에서 복잡할 뿐만 아니라 우천시에 운동하거나 수영 또는 수중에서의 운동의 경우에는 사용상 불편하다는 점과 물의 침입으로 인한 오디오 본체(20)의 손상이 우려된다.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응용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대한민국 특허청에 2000년 4월 10일자로 실용신안출원된 출원번호 20-2000-0010144호(고안의 명칭 : 방수용 카세트 케이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삽입부(42)를 가지는 제 1비닐지(41)와 상부에 제 1공기구멍(46)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제 1비닐지(41)의 삽입부(42)에 대향되는 다른 삽입부(44)를 가지는 제 2비닐지(44)로 이루어지고, 제 1비닐지(41) 및 제 2비닐지(44)의 둘레 및 중앙부분이 고주파가열처리되어 내부에 제 1밀폐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밀폐공간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 1비닐지(41)에 공기주입밸브(43)가 구비되는 전면케이스(49)와; 상부에 제 2공기구멍(52)이 형성된 제 3비닐지(51)와 상단에 고리(54)가 형성된 제 4비닐지(53)로 이루어지고, 제 3비닐지(51) 및 제 4비닐지(53)의 둘레 및 중앙부분이 고주파가열처리되어 내부에 제 2밀폐공간이 형성되며 제 2공기구멍(52) 둘레가 상기 제 1공기구멍(46) 둘레에 열융착되는 후면케이스(60)와; 상기 삽입부(42, 45)가 끼워지도록 상기 후면케이스(60)의 제 3비닐지(51) 하부에 부착되는 포켓(5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42, 45) 둘레를 제외한 전면케이스(49) 둘레와 후면케이스(60)의 대응 둘레가 고주파가열처리되어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출원번호 20-2000-0010144호의 방수용 카세트 케이스는 케이스 내부가 방수처리되어 카세트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카세트의 오디오를 재생하여 청취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이어폰을 연결하여야 되고 그 이어폰 연결을 위해서는 케이스에 구멍을 내거나 케이스의 삽입부를 통해 이어폰을 연결시켜야 되므로 결국에는 완전한 방수라고 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음원재생기기를 신체의 일부에 간편하게 착용하여 사용할 뿐만 아니라 완전하게 방수가 되도록 한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채용된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채용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수용체의 전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수용체에 음원재생기기가 삽입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수용체와 제 2 수용체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제 2 수용체의 외측 밴드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변형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음원재생기기 110 : 이어폰 잭
111 : 개구부 120 : 제 1 수용체
121, 122, 221, 222 : 밀폐부재
123, 124, 223, 224 : 결합부
131, 132, 231, 232 : 스피커 유니트 133, 233 : 오디오 플러그
134, 234 : 오디오 전선 140 : 제 2 수용체
141 : 내측 밴드 142 : 외측 밴드
143 : 오디오 출력 구멍 144, 250, 251, 260 : 착용부
145, 146 : 고정부 220 : 몸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는, 소정 형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부를 제외한 둘레부분이 밀봉처리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음원재생기기가 삽출되며, 상기 수용공간내에는 소정 형태의 오디오 출력수단 및 상기 오디오 출력수단과 상기 음원재생기기를 연결시키는 오디오 전달수단이 수용되며, 상기 개구부에 접하는 부위에 밀폐부재가 설치된 제 1 수용체; 및 상기 제 1 수용체가 삽출되고,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되는 제 2 수용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는, 소정 형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부를 제외한 둘레부분이 밀봉처리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음원재생기기가 삽출되며, 상기 수용공간내에는 소정 형태의 오디오 출력수단 및 상기 오디오 출력수단과 상기 음원재생기기를 연결시키는 오디오 전달수단이 수용되며, 상기 개구부에 접하는 부위에 밀폐부재가 설치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를 신체의 일부에 착용시키는 착용부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수용체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수용체에 음원재생기기가 삽입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수용체와 제 2 수용체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제 2 수용체의 외측 밴드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는, 사람의 머리 또는 팔 또는 허리 등과 같이 신체의 일부에 착용할 수 있는 제 2 수용체(140)내에 방수재질의 제 1 수용체(120)가 삽출(즉, 삽입 및 배출)가능하게 수용된다.
즉, 상기 제 1 수용체(120)는 마치 두 장의 비닐이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 맞대어진 것처럼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부(111)를 제외한 둘레부분(가장자리 부분)이 고주파가열처리 등에 의해 열융착되어 밀봉처리된다. 상기 수용공간내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는 스피커 유니트(131, 132)와 같은 오디오 출력수단이 수용된다. 그리고, 그 개구부(111)를 통해서는 소형의 MP3 플레이어와 같은 음원재생기기(100)가 삽출되고, 상기 스피커 유니트(131, 132)와 상기 음원재생기기(100)를 연결시키는 오디오 전달수단(133, 134)이 수용공간내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111)에 접하는 부위에는 지퍼락과 같은 복수개의 밀폐부재(121, 122)가 상호 수평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 전달수단(133, 134)은 음원재생기기(100)의 이어폰 잭(또는 헤드폰 잭)(110)에 삽입되거나 그 이어폰 잭(110)에서 뽑혀지는 오디오 플러그(133) 및, 그 오디오 플러그(133)와 상기 스피커 유니트(131, 132)에 연결된 오디오 전선(134)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스피커 유니트(131, 132)와 오디오 전달수단(133, 134)을 통칭하여 이어폰(또는 헤드폰)이라고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 스피커 유니트(131, 132)와는 별도로 방수처리한 이어폰 스피커를 그 오디오 전선(134)에 연결시켜서 그 제 1 수용체(120)의 밖으로 배출시켜 두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수용체(120)는 티(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그 제 1 수용체(120)는 티(T)자 형상 뿐만 아니라 일자 형상과 같이 내부에 스피커 유니트(131, 132)와 오디오 전달수단(133, 134) 및 음원재생기기(100)를 수용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형상(예컨대, 반원호 형상과 유사하게 만곡된 형상, 브이(V)자 형상 및 그와 유사한 형상 등)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그 제 1 수용체(120)내에는 음원재생기기(100)와 같은 전자제품이 수용되기 때문에 그 제 1 수용체(120)의 재질은 비닐이어도 되고, 연질의 튜브와 같이 방수가 가능한 것이면 된다. 그리고, 그 제 1 수용체(120)는 물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포를 이용하여 제작하여도 되고 비닐 재질에 방수피막이 코팅되어도 좋다.
또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폐부재(121, 122)를 지퍼락으로 구성시켰으나, 상기 개구부(111)를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면 다른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 1 수용체(120)에는 상기 개구부(111)의 밀폐를 향상시키는 결합부(123, 124)가 추가로 설치되는데, 그 결합부(123, 124)의 전면에는 벨크로 파스너가 설치되어 상호 결합하게 된다. 즉, 상기 결합부(123)는 플렉시블한 재질로서 일단이 상기 제 1 수용체(120)의 개구부(111)쪽 배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타단측에는 벨크로 파스너가 결합된다. 그 개구부(111)쪽 배면에 고정 설치된 결합부(123)는 그 개구부(111)의 배면에서 개구부(111)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124)는 상기 제 1 수용체(120)의 중앙 전면부에 고정 설치되되 전면에 벨크로 파스너가 결합된다.
그에 따라, 상기 결합부(123)가 상기 결합부(124)의 상면을 덮음으로써 그 결합부(123)의 벨크로 파스너가 그 결합부(124)의 벨크로 파스너와 결합하게 된다. 물론, 그 결합부(123, 124)에 설치된 벨크로 파스너를 대신하여 상호 접착 및 분리가 가능한 매직 테이프 또는 스냅 버튼(일명, 똑딱 단추) 등이 채용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 1 수용체(12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수용된 스피커 유니트(131, 132)는 사용자가 격한 운동 등을 하게 되면 수용되어 있던 초기위치에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그 스피커 유니트(131, 132)의 주변의 수용공간내에 움직임 방지턱 등을 형성시키거나 격벽에 의해 구획처리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오디오 전달수단(133, 134) 역시 상기와 같이 적절하게 처리가능하다. 또한, 제 1 수용체(120)의 개구부(111)를 통해 삽출되는 음원재생기기(100)가 그 제 1 수용체(120)내에 제대로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움직임 방지턱을 형성시키거나 격벽에 의해 구획처리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용체(140)는 사람의 머리 또는 팔, 어깨, 허리 등과 같은 신체의 일부에 둘러서 착용할 수 있도록 둥근 띠 형상처럼 구성된다. 그 제 2 수용체(140)는 상기 제 1 수용체(12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45, 146)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내측 밴드(141), 양 끝단이 상기 내측 밴드(141)의 양 끝단과 접하면서 상기 내측 밴드(141)를 외측에서 보호하는 외측 밴드(142), 및 상기 내측 밴드(141) 및 외측 밴드(142)의 양 끝단에 재봉 등에 의해 연결된 착용부(144)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수용체(140)는 일반적으로 가죽재질 또는 천재질로 제작가능하지만, 물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포를 이용하여 제작하여도 된다.
상기 고정부(145, 146)는 상기 제 1 수용체(120)의 양단이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 밴드(141)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는 그 고정부(145, 146)를 내측 밴드(141)에 설치시켰으나, 외측 밴드(142)에 설치시켜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내측 밴드(141)의 양 측면에는 제 1 수용체(120)내의 스피커 유니트(131, 132)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가 사용자에게 잘 들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의 오디오 출력 구멍(143)이 형성된다. 물론, 그 오디오 출력 구멍(143)은 필요에 따라서는 없어도 무방하다.
상기 착용부(14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신축 가능한 띠로 구성시켰으나, 버클이 설치된 길이조절가능한 벨트 등으로 구성시켜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먼저 사용자는 다수의 음원(예컨대, 음악 파일 등)이 다운로드되어 있는 음원재생기기(100)를 제 1 수용체(120)에 삽입시킨다. 즉, 사용자는 제 1 수용체(120)의 개구부(111)를 개방시키고 나서 그 음원재생기기(100)를 개구부(111)를 통해 제 1 수용체(120)의 내부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개구부(111)의 밀폐부재(121, 122)를 조작하여 개구부(111)를 밀폐시키고, 그 밀폐된 개구부(111)측을 제 1 수용체(120)의 중심쪽으로 접은 다음에 결합부(123)의 벨크로 파스너를 결합부(124)의 벨크로 파스너와 결합시킨다.
그 후, 그 제 1 수용체(120)의 내부에 삽입된 음원재생기기(100)의 오디오 잭(110)에 오디오 플러그(133)를 꽂는다. 여기서, 그 음원재생기기(100)는 미리 재생된 상태(즉, 플레이(play) 동작이 시작된 상태)에서 제 1 수용체(120)내에 수용될 수도 있고, 제 1 수용체(120)내에 수용되고 오디오 잭(110)에 오디오 플러그(133)가 꽂힌 다음에 재생되어도 무방하다. 물론, 순서의 차이는 있겠지만 사용자는 그 제 1 수용체(120)의 내부에 수용된 음원재생기기(100)의 오디오 잭(110)에 오디오 플러그(133)를 꽂은 다음에 상술한 개구부(111)의 밀폐 및 결합부(123, 124)간의 결합을 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그 음원재생기기(100)가 삽입된 제 1 수용체(120)의 양단을 제 2 수용체(140)의 내측 밴드(141)의 고정부(145, 146)에 끼워 고정시킨다.
그 후, 사용자는 그 제 2 수용체(140)를 자신이 착용하고자 하는 신체의 일부(예컨대, 머리, 팔, 어깨, 허리 등)에 착용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경우 그 제 2 수용체(140)는 머리에 착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 경우 그 제 2수용체(140)의 내측 밴드(141)에 형성된 오디오 출력 구멍(143)이 사용자의 귀부분에 위치하게 한다.
만약, 이와 같이 방수 재질의 제 1 수용체(120)가 내장된 제 2 수용체(140)를 머리에 착용하게 되면 수영 등과 같이 물속에서의 운동 또는 빗속에서의 운동 등을 할 때에도 자신이 희망하는 음악을 간편하게 청취하면서 운동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방수 재질의 제 1 수용체(120)가 내장된 제 2 수용체(140)를 팔 또는 허리, 어깨에 착용하게 되면 직접적인 음악 청취가 어려우므로, 방수 이어폰을 이용하여 청취하면 된다. 즉, 그 스피커 유니트(131, 132)와는 별도로 방수처리한 이어폰의 스피커를 그 오디오 전선(134)에 연결시켜서 그 제 1 수용체(120)의 밖으로 배출시켜 두었다면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제 1 실시예는 제 1 수용체(120)와 제 2 수용체(140)로 구성시켰으나,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제 1 수용체(120)와 거의 유사한 형태를 취한다.
즉,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는, 소정 형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부(211)를 제외한 둘레부분이 밀봉처리되고, 상기 수용공간내에 스피커 유니트(231, 232)가 수용되며, 상기 개구부(211)를 통해 음원재생기기(100)가 삽입 및 배출되고, 상기 스피커 유니트(231, 232)와 상기 음원재생기기(100)를 연결시키는 오디오 전달수단(233,234)이 상기 수용공간내에 수용되며, 지퍼락과 같은 복수개의 밀폐부재(221, 222)가 상기 개구부(211)에 접하는 부위에 상호 수평으로 설치된 몸체부(220); 및 상기 몸체부(220)의 소정 부위에 연결된 착용부(250, 251)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착용부(250, 251)를 제외한 몸체부(22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제 1 수용체(120)와 동일하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제 1 수용체(120)의 양 끝단에 착용부(250, 251)를 형성시킨 것과 같다. 그 착용부(250, 251)는 상기 몸체부(220)의 양 끝단에서 각각 소정 길이 연장되되,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호간의 결합부위에 벨크로 파스너(250a, 251a)가 설치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7에 도시된 착용부(250, 251)를 버클이 설치된 길이조절가능한 벨트의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는 다수의 음원(예컨대, 음악 파일 등)이 다운로드되어 있는 음원재생기기(100)를 몸체부(220)에 삽입시킨다. 즉, 사용자는 몸체부(220)의 개구부(211)를 개방시키고 나서 그 음원재생기기(100)를 개구부(211)를 통해 몸체부(220)의 내부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개구부(211)의 밀폐부재(221, 222)를 조작하여 개구부(211)를 밀폐시키고, 그 밀폐된 개구부(211)측을 몸체부(220)의 중심쪽으로 접은 다음에 결합부(223)의 벨크로 파스너를 결합부(224)의 벨크로 파스너와 결합시킨다.
그 후, 그 몸체부(220)의 내부에 삽입된 음원재생기기(100)의 오디오잭(110)에 오디오 플러그(233)를 꽂는다. 여기서, 그 음원재생기기(100)는 미리 재생된 상태에서 몸체부(220)내에 수용될 수도 있고, 몸체부(220)내에 수용되고 오디오 잭(110)에 오디오 플러그(233)가 꽂힌 다음에 재생되어도 된다. 물론, 순서의 차이는 있겠지만 사용자는 그 몸체부(220)의 내부에 수용된 음원재생기기(100)의 오디오 잭(110)에 오디오 플러그(233)를 꽂은 다음에 상술한 개구부(211)의 밀폐 및 결합부(223, 224)간의 결합을 행할 수도 있다.
그 후, 사용자는 그 몸체부(220)의 일측면을 자신이 착용하고자 하는 신체의 일부(예컨대, 머리, 팔, 어깨, 허리 등)에 대고 착용부(250, 251)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방수케이스 역시 머리에 착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이와 같이 방수 재질의 몸체부(220)를 착용부(250, 251)를 이용하여 머리에 착용하게 되면 수영 등과 같이 물속에서의 운동 또는 빗속에서의 운동 등을 할 때에도 자신이 희망하는 음악을 간편하게 청취하면서 운동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방수 재질의 몸체부(220)를 착용부(250, 251)를 이용하여 팔 또는 허리, 어깨에 착용하게 되면 직접적인 음원 청취가 어려우므로, 방수 이어폰을 이용하여 청취하면 된다. 즉, 그 스피커 유니트(131, 132)와는 별도로 방수처리한 이어폰의 스피커를 그 오디오 전선(134)에 연결시켜서 그 제 1 수용체(120)의 밖으로 배출시켜 두었다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도 8은 도 7의 변형예로서, 도 7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구조와 차이나는 점은 착용부의 구조에서 차이난다. 즉, 도 7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벨크로 파스너(250a, 251a)가 설치된 착용부(250, 251)를 사용하였으나, 도 8에서의 착용부(260)는 상기 몸체부(220)의 양 끝단에 연결된 신축 가능한 환형 형태의 띠 형상으로 구성된다는 점이 차이난다.
그리고,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8에 도시된 착용부(260)를 버클이 설치된 길이조절가능한 벨트의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도 8의 변형예에 따른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를 사용하는 방법은 상술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서의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스피커 유니트와 음원재생기기간을 유선(오디오 전선)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하였으나, FM방식의 무선모듈을 이용하거나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 사용된 스피커 유니트는 통상적인 이어폰(또는 헤드폰)의 스피커라고 할 수 있는데, 음성코일과 진동판 등을 이용하여 공기를 진동시켜서 음향을 발생시키는 공기 진동형 스피커 유니트를 사용하여도 되고, 진동자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두개골을 진동시켜 진동신호를 음성신호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 스피커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의 경우 방수재질의 제 1 수용체에 음원재생기기를 수납시킨 후에 그 제 1 수용체를 제 2 수용체내에 수용시켜서 그 제 2 수용체를 희망하는 신체의 일부(예컨대, 머리 등)에 착용하게 되면 간편하게 음악 등을 청취하면서 운동을 병행하게 된다. 특히, 방수 재질의 제 1 수용체내에 스피커 유니트 및 오디오 전달수단이 고정적으로 내장된 상태에서 음원재생기기만 자유자재로 삽입 또는 배출하면 되기 때문에 종래의 구조와 비교하여 보면 사용측면에서 번잡함을 해소시킬 뿐만 아니라 완전한 방수가 이루어진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수영 또는 빗속에서 운동을 할 경우에도 안전하면서도 편안하게 음악청취 및 운동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예 또는 그 변형예의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를 사용하게 되면 제 1 실시예의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에 비해 보다 손쉽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3)

  1. 소정 형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부를 제외한 둘레부분이 밀봉처리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음원재생기기가 삽출되며, 상기 수용공간내에는 소정 형태의 오디오 출력수단 및 상기 오디오 출력수단과 상기 음원재생기기를 연결시키는 오디오 전달수단이 수용되며, 상기 개구부에 접하는 부위에 밀폐부재가 설치된 제 1 수용체; 및
    상기 제 1 수용체가 삽출되고,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되는 제 2 수용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지퍼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체는 티(T)자 형상 또는 일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체에는 상기 개구부의 밀폐를 향상시키는 결합부가 추가로 설치되되, 상기 결합부에는 벨크로 파스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용체는 상기 제 1 수용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된 내측 밴드, 양 끝단이 상기 내측 밴드의 양 끝단과 접하면서 상기 내측 밴드를 보호하는 외측 밴드, 및 상기 내측 밴드 및 외측 밴드에 연결된 착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밴드의 양 측면에는 오디오 출력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신축 가능한 띠 또는 버클이 설치된 길이조절가능한 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8. 소정 형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부를 제외한 둘레부분이 밀봉처리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음원재생기기가 삽출되며, 상기 수용공간내에는 소정 형태의 오디오 출력수단 및 상기 오디오 출력수단과 상기 음원재생기기를 연결시키는 오디오 전달수단이 수용되며, 상기 개구부에 접하는 부위에 밀폐부재가 설치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를 신체의 일부에 착용시키는 착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지퍼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티(T)자 형상 또는 일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개구부의 밀폐를 향상시키는 결합부가 추가로 설치되되, 상기 결합부에는 벨크로 파스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 끝단에서 각각 소정 길이 연장되되, 상호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호간의 결합부위에 벨크로 파스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 끝단에 연결된 신축 가능한 띠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KR20-2004-0006111U 2004-03-08 2004-03-08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KR200353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111U KR200353582Y1 (ko) 2004-03-08 2004-03-08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111U KR200353582Y1 (ko) 2004-03-08 2004-03-08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369A Division KR20050090144A (ko) 2004-03-08 2004-03-08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582Y1 true KR200353582Y1 (ko) 2004-06-26

Family

ID=4943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111U KR200353582Y1 (ko) 2004-03-08 2004-03-08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5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1859B2 (en) Headgear and integrated music player
US9723395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US8094858B2 (en) Eyewear retention device
USRE37398E1 (en) Headphone
CA1080844A (en) Personal audio listening system
US4682363A (en) Amphibious personal audio system
US10499138B2 (en) Electronic headphone
US20070036376A1 (en) Earphones
US20200396529A1 (en) Bone conduction headset
US20130064411A1 (en) Listening aid device
CN102625204A (zh) 耳垫
US20150382093A1 (en) Noise reducing memory foam earbuds
WO2021163650A1 (en) Wearable waterproof audio device and smartwatch necklace headphones
JP2013038671A (ja) ヘッドホン収納装置
KR200353582Y1 (ko)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US10602256B1 (en) Earpho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earphone
KR20050090144A (ko) 음원재생기기용 방수케이스
JP2007060274A (ja) イヤホーン及び袋体
JP3950750B2 (ja) ヘッドホン
CN205883578U (zh) 一种骨传导头箍振子的包裹装置
WO2006119702A1 (fr) Systeme de son stereo portable sur le corps
JP3133760U (ja) 拡張機能付きヘッドホン
JP2002125282A (ja) 半導体音響機器保持具
JP3101941U (ja) ピッタリ固定装着できる小物収納携帯バンド
KR100746888B1 (ko)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