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068Y1 - 페트병 압착기 - Google Patents

페트병 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068Y1
KR200353068Y1 KR20-2004-0006580U KR20040006580U KR200353068Y1 KR 200353068 Y1 KR200353068 Y1 KR 200353068Y1 KR 20040006580 U KR20040006580 U KR 20040006580U KR 200353068 Y1 KR200353068 Y1 KR 200353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et bottle
pressing
pedal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식
Original Assignee
김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식 filed Critical 김민식
Priority to KR20-2004-0006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0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0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3/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 B30B3/02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co-operating with a fixed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페트병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페트병을 압착롤러 둘레면의 가이드 핀 또는 사이 틈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압착롤러 위쪽에 편심 설치된 1쌍의 푸시롤러에 의해 밀어 1쌍의 압착롤러 사이로 강제로 넣는 방식으로 압착하기 때문에 페트병이 압착롤러 사이로 말려들지 못하고 미끄러지거나 튕겨져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롤러 구동페달을 밟음 조작하면 그 운동력이 동력 전달수단을 매개로 하여 압착롤러에 전달되어 이 압착롤러를 서로 반대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기계식이라 사용 중 잔고장이 없고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전원이 불필요한 이유 등으로 어느 곳에나 간편히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 핀의 끝이 뾰족하도록 형성되므로 페트병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자연히 페트병에 구멍을 뚫리기 때문에 뚜껑이 닫힌 페트병의 경우 내부 공기압을 제거할 수 있어 뚜껑 개폐 여부에 관계없이 완전 압착할 수 있는 페트병 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페트병 압착기{Press for PET bottle}
본 고안은 페트병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가 단순하므로 사용 중 고장이 없는 한편 저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압착작업이 신속하여 그 효율이 우수하며, 뚜껑의 개폐 여부에 관계없이 완전하게 압착할 수 있도록 한 페트병 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주로 음료를 담는 데에 쓰이는 페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병은 내용물을 완전히 비운 뒤에도 처음 부피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이 상태로는 재활용하고자 재활용플랜트로 운반할 때 많은 분량을 적재하지 못해 적재효율이 떨어지기 마련이므로 운반하기에 앞서 납작해지도록 발로 밟아 부피를 축소시키는 작업을 해왔다.
하지만 이처럼 발로 직접 밟는 페트병 압착작업은 오랜 작업시간과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때문에 페트병을 투입하면 이 페트병을 자동으로 압착하는 페트병 자동압착기가 개발되기에 이르렀고, 현재 널리 보급되어 사용하고들 있다.
이 페트병 자동압착기는 1쌍의 롤러와, 이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모터를 작동시켜 롤러를 회전시킨 다음 롤러 사이의 틈에 페트병을 넣으면 롤러는 그 압력으로 페트병을 압착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페트병 자동압착기는 구조가 복잡하므로 사용 중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등 사용상의 애로점이 많은 한편 가격 또한 상당히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복잡한 구조로 인해 부피가 크고, 아울러 반드시 모터의 작동을 위한 전원이 필요함에 따라 설치장소에 구애를 받아 한정된 장소에만 설치가 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표면이 매끄럽고 무게가 가볍다는 페트병의 특성으로 종종 롤러에서 미끄러지거나 튕겨져 롤러 사이로 말려들지 못하고 롤러 위에 그대로 쌓여 다른 페트병의 진로를 방해하므로 이에 작업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작업자는 손으로 직접 또는 기타 도구를 사용하여 롤러 사이로 페트병을 밀어 넣고는 했고, 이 과정에서 작업자 손이나 도구가 롤러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가 번번이 발생되거나 압착기에 무리가 생겨 고장이 유발되고는 했다.
물론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롤러의 둘레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을 형성한 압착기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홈의 폭에 비례하여 페트병을 롤러 사이로 밀어 넣는 작용력이 결정되므로 폭이 좁으면 당연히 밀어 넣는 작용력이 미비하고, 반대로 폭이 넓으면 밀어 넣는 작용력은 뛰어난 반면 압착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페트병의 뚜껑이 닫혀 있는 경우 그 내부에 차 있는 공기압으로 페트병을 완전히 압착시키기가 곤란한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페트병을 롤러 사이로 강제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압착함으로써 페트병의 압착작업을 신속히 이룰 수 있고, 아울러 페달을 밟으면 그 운동력을 롤러가 전달을 받아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 발생률 낮음은 물론 제조비용이 저렴한 한편 전원이 불필요하므로 설치장소에 구애가 없어 어느 곳에나 설치할 수 있는 페트병 압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압착과정 중 페트병을 천공함으로써 페트병에 뚜껑이 닫혀 있더라도 이와 관계없이 페트병을 완전히 압착할 수 있는 페트병 압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 압착기가 도시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 압착기가 도시된 배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 압착기의 압착롤러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 압착기가 도시된 작동상태도,
도 6은 상기 압착롤러의 다른 예가 도시된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 압착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정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 압착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배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 압착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 5' : 자루 10, 10' : 압착기 보디
11, 11' : 투입구 13, 13' : 배출구
20, 20' : 받침대 21 : 받침판
22 : 받침다리 22a : 고리
30, 30' : 압착롤러 30a, 30a' : 힌지축
31 : 요홈 32 : 가이드 핀
40, 40' : 롤러 구동페달 50, 50' : 페달 하우징
60, 60' : 탄성부재 70 : 동력 전달수단
71 : 전동기어 72 : 커넥팅로드
80, 80' : 분리판 81 : 가이드부
90 : 푸시롤러 90a : 힌지축
91 : 요홈 92 : 가이드 핀
100 : 동력 전달수단 101 : 제1전동기어
102 : 제2전동기어 103 : 커넥팅로드
104 : 스프로킷 휠 105 : 체인
상기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측면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압착기 보디와, 상기 압착기 보디를 지지하는 받침대와,상기 압착기 보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페트병을 압착하는 1쌍의 압착롤러와, 작업자가 발로 밟아 조작하는 롤러 구동페달과, 상기 롤러 구동페달이 상하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페달 하우징과, 상기 페달 하우징과 롤러 구동페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밟음 조작된 롤러 구동페달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롤러 구동페달의 직선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압착롤러를 회전시키는 전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착롤러는 둘레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홈이 서로 짝을 이루는 압착롤러의 요홈과 교호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요홈 사이에는 상기 압착롤러 사이로 페트병을 밀어 넣는 다수의 가이드 핀이 서로 짝을 이루는 압착롤러의 요홈에 수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된다.
또는 상측면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압착기 보디와, 상기 압착기 보디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압착기 보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로 넣은 페트병을 압착하는 1쌍의 압착롤러와, 상기 압착롤러의 상측에 편심 설치되어 상기 압착롤러 사이로 페트병을 밀어 넣는 1쌍의 푸시롤러와, 작업자가 발로 밟아 조작하는 롤러 구동페달과, 상기 롤러 구동페달이 상하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페달 하우징과, 상기 페달 하우징과 롤러 구동페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밟음 조작된 롤러 구동페달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롤러 구동페달의 직선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압착롤러 및 푸시롤러를 회전시키는 전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푸시롤러는 둘레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홈이 서로 짝을 이루는 푸시롤러의 요홈과 교호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요홈 사이에는 상기 푸시롤러 사이로 페트병을 밀어 넣는 다수의 가이드 핀이 서로 짝을 이루는 푸시롤러의 요홈에 수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핀은 페트병에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하게 형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 압착기의 일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 압착기의 일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압착기 보디(10) 및 받침대(20)와, 압착기 보디(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페트병 부피를 축소시켜 납작해지도록 하는 1쌍의 압착롤러(30)와, 이 압착롤러(3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이로 페트병이 말려들도록 하는 페달식의 롤러 구동기구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착기 보디(10)는 내부로 페트병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가 상측면에 형성되어 이 투입구(11)에 호퍼(12)가 설치되고, 압착롤러(20)로 압착된 페트병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3)가 하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20)는 압착기 보디(10)를 떠받친 상태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직사각형 모양의 받침판(21)과, 이 받침판(21) 상에 세워져 압착기 보디(10)를 받침판(21)에서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다수 개의 받침다리(22)로 구성된다.
이때 받침다리(22)에는 압착된 후 배출구(13)를 통해 낙하하는 페트병을 담아 수집하기 위한 자루(5) 등의 입구를 벌린 상태로 걸거나 끈으로 묶어 고정할 수있도록 된 고리(22a)가 형성된다.
상기 압착롤러(30)는 페트병 투입방향에 수직 설치되는 것으로서, 둘레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요홈(31)이 형성되어 서로 짝을 이룬 압착롤러(30)의 요홈(31)과 교호되도록 배치되고, 각 요홈(31)의 사이에는 함께 회전하며 압착롤러(30) 사이로 페트병을 밀어 넣어 강제로 말려들도록 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 핀(32)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핀(32)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그리고 서로 짝을 이룬 압착롤러(30)의 요홈(31)에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물론 그 길이는 요홈(31)과 간섭이 일지 않도록 요홈(31)의 깊이에 비해 짧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핀(32)은 뚜껑이 닫힌 상태로 투입된 페트병에 구멍을 뚫어 내부의 공기압을 제거할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롤러 구동기구는 발로 밟아 조작하도록 된 롤러 구동페달(40)과, 받침판(21)의 상면에 설치되고 롤러 구동페달(40)이 상하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페달 하우징(50)과, 롤러 구동페달(40)과 페달 하우징(50)의 사이에 설치되어 롤러 구동페달(40)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60)와, 롤러 구동페달(40)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압착롤러(3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수단(7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페달(40)은 상면에 힌지부(43)가 형성된 페달판(41)과, 이 페달판(41)의 하면에 연결되어 페달 하우징(50)의 내부에 끼워진 승강로드(42)로 구성된다.
또 탄성부재(60)는 승강로드(42)의 끝과 페달 하우징(50)의 바닥에 양끝이각각 지지된 상태로 페달 하우징(50) 내부에 배치된 코일스프링으로서, 밟음 조작되어 하강한 롤러 구동페달(40)을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승시킨다.
상기 동력 전달수단(70)은 압착기 보디(10) 외측에 위치되도록 압착롤러(30)의 힌지축(30a)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맞물린 전동기어(71)와, 한쪽 끝은 어느 한 전동기어(71)에 회전 가능하도록 편심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롤러 구동페달(40)의 힌지부(43)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롤러 구동페달(40)의 운동을 압착롤러(30)에 전달하는 커넥팅로드(72)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동기어(71)는 힌지축(30a)에 평행하도록 톱니가 절삭된 스퍼기어이다.
한편 상기 각 압착롤러(30)의 외측에는 가이드 핀(32)이 관통되어 가이드 핀(32)에 꽂힌 페트병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판(80)이 각각 설치된다.
이 분리판(80)은 가이드 핀(32)에 꽂힌 페트병이 압착롤러(30)와 함께 회전하는 중 분리판(80)에 걸리어 분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압착롤러(30)의 둘레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압착롤러(30)에서 분리된 페트병이 배출구(13)로 안내되어 배출되도록 끝이 하향 굴곡져 배출구(13)를 향하는 가이드부(81)가 형성된다.
이상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4는 호퍼(12) 입구를 여닫는 호퍼 덮개이다.
도 5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페트병 압착기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작동상태도로서, 도 5를 참조로 일 실시예의 작동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받침다리(22)의 고리(22a)에 자루(5)의 입구를 벌린 채 고정하고, 이와함께 호퍼 덮개(14)를 열고 빈 페트병을 호퍼(12)에 넣음으로써 투입구(11)를 통해 압착기 보디(10)의 내부로 투입되어 압착롤러(30) 위에 일정 분량이 쌓이면 페트병의 투입을 멈춘 후 롤러 구동페달(40)을 힘껏 밟는다.
그럼 롤러 구동페달(40)은 탄성부재(60)를 압축시키며 하강하게 되어 그 힌지부(43)에 한쪽 끝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커넥팅로드(72)를 하강시키고, 아울러 커넥팅로드(72)를 매개로 이것의 다른 쪽 끝이 회전 가능하도록 편심 연결된 전동기어(71)에 운동력을 전달, 전동기어(71)를 약 180도 회전시킨다.
이때 전동기어(71)는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도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의 것은 시계방향, 우측의 것은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되고, 이 전동기어(71)가 압착롤러(30)의 힌지축(30a)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압착롤러(3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다음 롤러 구동페달(40)을 밟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 롤러 구동페달(40)은 압착되어 있던 탄성부재(60)의 복원력으로 상승하며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면 전동기어(71)는 롤러 구동페달(40)의 운동력을 커넥팅로드(72)를 매개로 전달을 받아 약 180도 더 회전하여 1회전하게 되고, 압착롤러(30) 역시 1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롤러 구동페달(40)을 반복하여 밟았다 떼었다 하면 압착롤러(30)는 연속하여 회전하게 된다.
한편 압착기 보디(10) 내에 투입된 빈 페트병은 압착롤러(30)가 회전되면 이와 함께 회전하는 가이드 핀(32)에 의해 밀려 압착롤러(30) 사이 측으로 밀려 압착롤러(30) 사이로 강제로 넣어지고, 이 과정에서 가이드 핀(32)의 뾰족한 끝이 관통되어 천공된다.
이때 페트병은 압착롤러(30) 사이로 수월히 말려들어 가게 되고, 뚜껑이 닫혀 있는 것의 경우 내부 공기압이 제거된다.
따라서 압착롤러(30) 사이로 말려들은 페트병은 압착롤러(30)의 압력으로 납작하도록 압착이 되고, 압착롤러(30) 사이의 틈을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자중에 의해 배출구(13)를 통해 낙하되어 배출구(13) 직하의 자루(5)에 담기게 된다.
또 한편 압착이 완료되었음에도 가이드 핀(32)에 꽂혀 압착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페트병은 회전 중에 분리판(80)에 걸리어 더 이상 함께 회전하지 못하여 분리된 후 가이드부(81)를 따라 배출구(13) 측으로 이동, 배출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 압착기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30)의 다른 예가 도시된 평단면도로서, 압착롤러(30)의 둘레면을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이 아닌 파형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음은 나타낸다. 이것은 압착롤러(30)가 보다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 압착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 7, 8에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 압착기의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동은 동일한 것에 대해 페트병을 압착롤러 사이로 강제로 밀어 넣기 위한 구조 및 이와 관련된 주변 구조만이 다소 상이하다. 따라서 상이점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 압착기의 다른 실시예는 압착기 보디(10')및 받침대(20')와, 압착기 보디(10') 내부에 설치된 1쌍의 압착롤러(30')와, 이 압착롤러(30')의 상측에 편심 설치되어 압착롤러(30') 사이로 페트병을 강제로 밀어 넣는 1쌍의 푸시롤러(90)와, 롤러 구동페달(40') 및 이 롤러 구동페달(40')이 상하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페달 하우징(50')과, 이 페달 하우징(50')과 롤러 구동페달(40')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60')와, 롤러 구동페달(40')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압착롤러(30') 및 푸시롤러(9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수단(1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푸시롤러(90)는 압착롤러(30')와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편심 설치되어 있어 회전각도에 따라 사이의 틈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게 되는 것으로서, 둘레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요홈(91)이 형성되어 서로 짝을 이룬 압착롤러(90)의 요홈(91)과 교호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각 요홈(91)의 사이에는 함께 회전하며 푸시롤러(90) 사이로 페트병을 안내함과 아울러 압착롤러(30') 사이로 페트병을 밀어 넣기 위한, 끝이 뾰족한 다수 개의 가이드 핀(92)이 돌출 형성되는 바, 이 가이드 핀(92)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울러 서로 짝을 이룬 푸시롤러(90)의 요홈(91)에 간섭 없이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각 푸시롤러(90)의 외측에는 가이드 핀(92)이 관통되어 가이드 핀(92)에 꽂힌 페트병을 걸림 작용으로 분리시키는 분리판(8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전동수단(100)은 압착기 보디(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압착롤러(30')의 힌지축(30a')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맞물린 제1전동기어(101) 및 푸시롤러(90)의 힌지축(90a)에 각각 설치되어 맞물린 제2전동기어(102)와, 한쪽 끝은 어느 한 전동기어(여기서는 도 8에서 보아 왼쪽의 제1전동기어)에 회전 가능하도록 편심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롤러 구동페달(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롤러 구동페달(40')의 운동을 전달하는 커넥팅로드(103)와, 어느 한 압착롤러(30')의 힌지축(30a') 및 푸시롤러(90)의 힌지축(90a)에 각각 설치된 스프로킷 휠(104)과, 이 스프로킷 휠(104)이 서로 연결되도록 감겨져 제1, 2전동기어(101)(102) 간의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10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9에서와 같이 롤러 구동페달(40')을 밟으면 그 운동력이 커넥팅로드(103)를 매개로 어느 한 전동기어(왼쪽의 제1전동기어)로 전달되어 이와 맞물린 전동기어(오른쪽의 제1전동기어)를 서로 반대로 회전시키고, 이 운동력은 스프로킷 휠(104) 및 체인(105)에 의해 제1, 2전동기어(101)(102)간에 전달(제1전동기어에서 제2전동기어로 전달)되어 제1, 2전동기어(101)(102)를 회전시킨다. 물론 제1, 2전동기어(101)(102)가 압착롤러(30')와 푸시롤러(90)의 힌지축(30a')(90a')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압착롤러(30') 및 푸시롤러(90)도 회전하게 된다.
한편 압착기 보디(10') 내에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빈 페트병은 푸시롤러(90) 사이의 틈이 도 7과 같이 벌어지게 되면 자중에 의해 여기로 넣어진 후 도 9와 같이 오므라지게 되면 푸시롤러(90)의 압력으로 1차로 납작해짐과 아울러 가이드 핀(92)에 의해 천공되고, 다음 푸시롤러(90)의 말려들도록 하여 배출하는 힘과 가이드 핀(92)에 의해 하측의 압착롤러(30') 사이 측으로 밀림으로써 압착롤러(30') 사이로 강제로 넣어져 2차로 납작해지며, 그 다음 압착롤러(30') 사이의 틈을 완전히 통과하면 압착기 보디(10')의 배출구(13')를 통해 낙하되어 자루(5')에 담기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페트병을 가이드 핀 또는 푸시롤러로 밀어 압착롤러 사이로 강제로 넣는 방식으로 압착하기 때문에 종래의 페트병을 작업자가 직접 또는 도구를 사용하여 밀어 넣는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이에 따른 안전사고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효율 또한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롤러 구동페달을 밟으면 그 운동력이 동력 전달수단을 매개로 하여 압착롤러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식이라 잔고장이 없는 한편 가격이 저렴하고 전원이 불필요하여 설치장소에 구애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 핀의 끝이 뾰족하므로 페트병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페트병이 천공되기 때문에 뚜껑이 닫힌 페트병의 경우 내부 공기압을 제거할 수 있어 이것을 완전히 압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10)

  1. 상측면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압착기 보디와; 상기 압착기 보디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압착기 보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페트병을 압착하는 1쌍의 압착롤러와; 작업자가 발로 밟아 조작하는 롤러 구동페달과; 상기 롤러 구동페달이 상하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페달 하우징과; 상기 페달 하우징과 롤러 구동페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밟음 조작된 롤러 구동페달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롤러 구동페달의 직선운동을 상기 압착롤러에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착롤러는 둘레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홈이 서로 짝을 이룬 압착롤러의 요홈과 교호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요홈 사이에는 상기 압착롤러 사이로 페트병을 밀어 넣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 핀이 서로 짝을 이룬 압착롤러의 요홈에 수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 압착기.
  2. 상측면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압착기 보디와; 상기 압착기 보디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압착기 보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로 넣은 페트병을 압착하는 1쌍의 압착롤러와; 상기 압착롤러의 상측에 편심 설치되어 상기 압착롤러 사이로 페트병을 밀어 넣는 1쌍의 푸시롤러와; 작업자가 발로 밟아 조작하는 롤러 구동페달과; 상기 롤러 구동페달이 상하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페달 하우징과; 상기 페달 하우징과 롤러 구동페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밟음 조작된 롤러 구동페달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롤러 구동페달의 직선운동을 상기 압착롤러 및 푸시롤러에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푸시롤러는 둘레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홈이 서로 짝을 이룬 푸시롤러의 요홈과 교호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요홈 사이에는 상기 푸시롤러 및 압착롤러 사이로 페트병을 밀어 넣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 핀이 서로 짝을 이룬 푸시롤러의 요홈에 수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 압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세워져 상기 압착기 보디를 상기 받침판과 거리를 두고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다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 압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에는 상기 배출구에서 낙하된 페트병을 담는 자루 등의 입구를 벌린 상태로 걸거나 묶어 고정하기 위한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 압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압착롤러의 힌지축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맞물린 전동기어와; 한쪽 끝은 상기 어느 한 전동기어에 회전 가능하도록 편심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상기 롤러 구동페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운동을 전달하는 커넥팅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 압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압착롤러의 힌지축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맞물린 제1전동기어 및 상기 푸시롤러의 힌지축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맞물린 제2전동기어와; 한쪽 끝은 상기 어느 한 전동기어에 회전 가능하도록 편심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상기 롤러 구동페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운동을 전달하는 커넥팅로드와; 상기 어느 한 압착롤러 및 푸시롤러의 힌지축에 각각 설치된 스프로킷 휠과; 상기 스프로킷 휠이 연결되도록 감겨져 상기 제1, 2전동기어 간에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 압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페트병에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 압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압착롤러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 핀에 꽂힌 페트병이 걸리도록 하여 분리시키는 분리판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 압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리판은 상기 압착롤러에서 분리된 페트병이 상기 배출구로 안내되도록 끝이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 압착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푸시롤러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 핀에 꽂힌 페트병이 걸리도록 하여 분리시키는 분리판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 압착기.
KR20-2004-0006580U 2004-03-11 2004-03-11 페트병 압착기 KR200353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580U KR200353068Y1 (ko) 2004-03-11 2004-03-11 페트병 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580U KR200353068Y1 (ko) 2004-03-11 2004-03-11 페트병 압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374A Division KR100533798B1 (ko) 2004-03-11 2004-03-11 페트병 압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068Y1 true KR200353068Y1 (ko) 2004-06-14

Family

ID=4934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580U KR200353068Y1 (ko) 2004-03-11 2004-03-11 페트병 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0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07B1 (ko) * 2006-06-28 2008-05-06 김종삼 페트병 열 압착기
US20200189223A1 (en) * 2017-03-15 2020-06-18 Hermann Schwelling Device and method for compacting hollow elements by crushing
CN114311408A (zh) * 2021-12-31 2022-04-12 安徽省锦荣新材料科技有限公司 塑料制品回收加工用原料处理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07B1 (ko) * 2006-06-28 2008-05-06 김종삼 페트병 열 압착기
US20200189223A1 (en) * 2017-03-15 2020-06-18 Hermann Schwelling Device and method for compacting hollow elements by crushing
CN114311408A (zh) * 2021-12-31 2022-04-12 安徽省锦荣新材料科技有限公司 塑料制品回收加工用原料处理设备
CN114311408B (zh) * 2021-12-31 2023-10-03 安徽省锦荣新材料科技有限公司 塑料制品回收加工用原料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753046U (zh) 一种压合紧密的废纸打包机
KR100533798B1 (ko) 페트병 압착기
KR200353068Y1 (ko) 페트병 압착기
CN111152468B (zh) 一种用于瓶盖生产的自动涂胶压垫装置
CN112027402A (zh) 一种废电池分类收集储存装置
CN111571654B (zh) 一种卷纸联动切割设备
CN210647698U (zh) 一种印彩包装的边料回收装置
KR102535890B1 (ko) 페트병 압착기
CN209954832U (zh) 一种标签包装设备
CN209813163U (zh) 一种便于清理的压包机
CN210139709U (zh) 一种财会专用票据压平及存放装置
CN207136803U (zh) 厕所用卷纸盒
CN210853060U (zh) 束带机的束带卷筒组件
KR200246987Y1 (ko) 캔 압착기
KR200231997Y1 (ko) 압착기
CN112474753A (zh) 一种废弃塑料自动批量压饼并堆叠存放装置
CN208744119U (zh) 一种乳液瓶装配机
CN219728675U (zh) 瓦楞纸打包装置
CN218614472U (zh) 一种用于药瓶外包装印刷的打孔装置
CN104260951A (zh) 一种样品自动收集封装编码装置及方法
KR101926659B1 (ko) 압축 기능을 갖는 휴지통 및 그 작동방법
KR200268010Y1 (ko) 압착 기능을 갖는 쓰레기통
CN211218460U (zh) 一种手摇带式电阻成型机
CN216375202U (zh) 一种塑料餐盒盖生产设备用收集整理装置
CN220536021U (zh) 一种龙珠的包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