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044Y1 - 콘센트 커버 - Google Patents

콘센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044Y1
KR200353044Y1 KR20-2004-0006059U KR20040006059U KR200353044Y1 KR 200353044 Y1 KR200353044 Y1 KR 200353044Y1 KR 20040006059 U KR20040006059 U KR 20040006059U KR 200353044 Y1 KR200353044 Y1 KR 2003530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utlet
frame
cover body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찬
Original Assignee
세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홍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6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0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0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0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독립적이거나 혹은 집합적인 연속하는 콘센트들의 접속공을 커버하기 위한 콘센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 콘센트 커버는 매립 콘센트박스의 외측에 고정되는 커버본체(110)와;상기 커버본체(110)의 내측 접속공(111)들과 연통되는 개구부(121)를 형성하여 커버본체(110)위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커버후레임(120)과;상기 커버후레임(120)의 내측에 이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130)와;
상기 커버후레임(120)이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커버본체(110)에는 삽지홈부(112)를 형성하고, 커버후레임(120)의 양측에는 삽지턱부(124)을 각각 형성하여 삽지홈부(112)와 삽지턱부(124)사이에 걸쳐 삽착/연결되는 연결부재(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센트 커버{Concent cover}
본 고안은 콘센트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콘센트의 노출된 접속공을 커버하기 위한 콘센트커버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수단으로는 콘센트(concent,wall plugsocket로 통칭하며, 매입되어 있는 아웃렛박스;outlet box로 부터 실내 가전제품들의 플러그를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접속구로서 아웃렛소켓;outlet socket, 혹은 리셉터클;receptacle등으로 표현함, 이하 콘센트로 약함)가 사용되며, 각종 통신라인과의 접속,전원공급등을 위한 여러 타입의 플러그들을 꽂기 위한 접속공들이 노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콘센트는 통상 플러그 삽지용 접속공들이 노출되어 있어서 이들을 통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고, 혹은 외관상의 접속공들을 노출을 방지하여 보다 깔끔한 벽면을 이루기 위하여 콘센트 커버들이 강구되고 있다. 예를들면, 실용신안등록 제0160494호로 알려진 플러그와 함께 콘센트를 커버하는 타입이 있다. 이것은 오로지 한 모델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한 상태에서 플러그를 포함한 외부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콘센트 커버는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벽면등에 실시할 경우 불필요하게 벽면으로 돌출되어 벽과의 간격이 크게 되어 가구의 밀착이 어려워 공간 활용면에서 약점이 있고, 급증하는 인터넷라인 혹은 유선,위성방송용 안테나선,특히,홈시어터(home theater)장비를 시설할 경우 영상 및 음향을 전송하기 위한 접속기구들이 설치되므로 이를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콘센트커버수단도 설계되어 그야말로 여러 형태의 콘센트 커버가 난무하여 외관이 복잡하고 지저분한 단점이 있다.
최근에 신축되는 건물의 경우 각종 인터넷통신선,컴퓨터 전원공급선,안테나선, 유선방송용라인외에도 홈시어터용 스피커라인과, 컴퓨터와 프린터,모니터등의 라인까지도 벽면에 내설된 라인을 이용하여 스피커선, 프린터선,모니터라인,텔레비젼라인,안테나선 등의 각종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전선시공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다수의 다양한 기능의 콘센트들을 실내벽면 여러곳에 분산/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위치에 집합설치함이 편리하다. 이러한 집합/콘센트 설비구조에서 필요한 것은 이들중 사용하지 않는 콘센트의 커버링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뿐만아니라 여러사정에 의하여 장기간 콘센트의 사용이 없을 경우 콘센트의 노출된 접속공을 커버하기 위한 구조는 안전성은 물론 심플한 실내장식면에서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 각종 콘센트들이 갖는 문제점들을 개선한 편리하고도 안전한 면을 고려한 콘센트에 대한 커버의 필요성을 감안하고,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콘센트 접속공의 커버는 특히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과 필요성들을 감안하여 집합되거나 독립적인 각종 기능의 콘센트들을 독립적으로 혹은 연속하여 커버할 수 있는 커버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콘센트 커버가 실시된 건물내 설치예시도,
도 2a,2b,2c는 본 고안 콘센트 커버들 각각의 사시도,
도 3a,3b,3c는 본 고안 콘센트 커버들 각각의 분해사시도,
도 4a,4b는 본 고안 콘센트 커버들의 결합단면도 및 분해단면도,
도 5a,5b는 본 고안 콘센트 커버들 각각의 설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콘센트 커버, 110,210:커버본체, 111:접속공, 112:삽지홈부,
120,220:커버후레임,121:개구부,122:걸림턱,124:삽지턱부,130,230:커버,
132:걸림편,140;중간 연결부재,141:측면 연결부재,142:장홈부,143:홈부,
144:턱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콘센트커버는 매립 콘센트박스의 외측에 고정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 접속공들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커버본체위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커버후레임; 및 상기 커버후레임의 내측에 이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상기 커버본체와 커버후레임의 고정은 커버본체에 형성된 삽지홈부와, 커버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삽지턱부사이에 걸쳐 삽착/연결되도록 연결부재로서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기 연결부재는 저면에는 장홈부를 형성하고,상면에는 턱부를 돌설하여서 되며,특히, 커버본체를 연속연결하는 경우 중간 연결용으로 두줄의 턱부를 형성한 중간 연결부재와, 양측단에서 연결되며 장식용 홈부를 형성한 측면 연결부재로 구분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기 콘센트 커버들의 커버본체와,커버후레임은 각각 직사각형이고, 커버는 타원형이며, 상기 커버본체, 커버후레임이 정사각형이고,커버는 원형으로도 실시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실내 예시도이다.
도면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콘센트의 기능에 따라 벽걸이형 텔레비젼 설치시의 콘센트 커버는 벽중간정도에 설치되며, 하나 또는 둘 정도의 직사각형 콘센트 커버(100)가 설치되고, 대부분 벽걸이형 TV에 의하여 가려지게 되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아울러 실내 설치용 음향기기 혹은 컴퓨터들에 전원 및 통신라인들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벽면 하방의 적당한 위치에 연속하여 집합/구성되므로서 배선상태가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 직사각형 콘센트 커버(100)들은 연속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전제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 2a,2b는 본 고안 콘센트 커버들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도 3a,3b는 본 고안 콘센트 커버들의 각각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콘센트 커버(100)는 대략 커버본체(110)와,커버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직사각형이고, 커버후레임(120)내에는 타원형의 커버(130)가 삽탈되는 구조로 된다.
먼저 커버본체(110)는, 벽체내에 매립된 콘센트박스의 외측에 고정되며, 종래에는 대부분 그대로 노출상태로 플러그등을 꽂아 사용해 왔다.
이러한 커버본체(110)에 고정되는 커버후레임(120)은 커버본체(110)의 내측 접속공(111)들과 연통되는 개구부(121)를 형성하며, 그 위에 조립/고정된다.
이 커버본체(110)와 커버후레임(120)의 고정은 볼트체결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외관상 노출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립/체착구조로 실시된다.
즉, 커버본체(110)의 양측연부에는 삽지홈부(112)를 형성하고, 커버후레임(120)의 양측 연부에는 하방으로 삽지턱부(124)를 길게 형성하여 삽지홈부(112)와 삽지턱부(124)사이에 걸쳐 연결부재(140)가 삽착/연결되게 한다.
이때, 연결부재(140)는 그 저면에 장홈부(142)를 형성하고,상면에는 턱부(144)가 돌설된다.
이러한 연결부재(140)는 중간 연결용으로 두 줄의 턱부(144)를 형성한 중간 연결부재(140)와, 양측단에서 연결되며 장식용 홈부(143)를 형성한 측면 연결부재(141)로 구분되어 연속연결시 각각 중간 또는 측면에 개재되어 조립된다.
다만, 콘센트 커버(100)가 하나의 독립적인 형태를 위하는 경우에는 양측면에 측면 연결부재(141)이 모두 사용될 것이다.
이렇게 조립된 커버후레임(120)의 내측 개구부(121)내측에는 걸림턱(122)을 형성하고, 상기한 커버(130)에 형성된 걸림편(132)에 의하여 탄착된다.
커버(130)의 인출/개폐는 걸림편(132)를 중심으로 앞,뒤에 각각 지렛점용 돌부(134)를 병설하여 커버(130)일측을 누르면 타측이 올라오는 구조로 이루어지나,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 도면중 도 4a,4b는 본 고안 콘센트 커버의 결합단면도 및 분해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고안 콘센트 커버들의 설치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의 조립을 설명한다.
먼저,커버본체(110)와,커버후레임(120)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140)(141)을 사용하여 조립/고정된다.
즉, 커버본체(110)의 양측연부에 형성된 삽지홈부(112)에 연결부재(140)(141)의 장홈부(142)를 사이에 걸쳐 삽착하고, 상면 두개의 턱부(144)중 하나에는 일측 커버후레임(120)의 일측면 삽지턱부(124)를 끼우고, 다른 하나에는 타측 커버후레임(120)의 삽지턱부(124)를 끼우면 두 커버후레임이 연속연결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두개 이상의 커버후레임(120)들의 연속연결시에는 두 종류의 연결부재(140)(141)가 적절히 조립된다.
즉, 중간 연결부재(140)는 중간 연결용으로 두줄의 턱부(144)를 형성하고, 측면 연결부재(141)는 한줄의 턱부(144)를 형성하여 연속연결된 콘센트 커버들의양측단부를 연결하며, 장식용 홈부(143)가 노출된다.
다만,콘센트 커버(100)가 하나의 독립적인 형태를 위하는 경우에는 양측면에 측면 연결부재(141)가 모두 사용될 것이다.
이렇게 조립된 커버후레임(120)의 내측 개구부(121)내측에는 걸림턱(122)을 형성하고, 이 걸림턱(122)에 대응하는 걸림편(132)을 형성한 타원형의 커버(130)가 탄착/조립된다.
커버(130)의 인출/개폐는 걸림편(132)를 중심으로 앞,뒤에 각각 지렛점용 돌부(134)를 병설하였으므로 커버(130)하측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타측이 올라오게 되어 이를 손가락으로 열은 뒤 각종 플러그등을 접속하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2c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콘센트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3c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콘센트 커버의 정면도이다.
상기 커버본체(210), 커버후레임(220)은 정사각형이고,커버(230)는 원형으로써 독립적인 콘센트 커버(200)로서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 콘센트 커버는 종래 콘센트의 접속공을 노출하던 것을 커버하므로서 불필요하게 어린이나 물기로 부터의 접촉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안정성이 향상되며, 특히, 종래 커버구조들에 비하여 외관이 미려한 효과도 있다.
특히, 집합된 다수 콘센트의 접속공들을 일시적으로 혹은 장기간 사용하지않을 경우 콘센트 접속공을 깔끔하게 연속하여 커버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콘센트커버에 있어서,
    매립 콘센트박스의 외측에 고정되는 커버본체(110);
    상기 커버본체(110)의 내측 접속공(111)들과 연통되는 개구부(121)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마주보게 걸림턱(122)를 형성하여 커버본체(110)위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커버후레임(120); 및
    상기 커버후레임(120)의 내측에 이탈가능하게 걸림편(132)를 형성하여 탄착/개폐되는 커버(130)를 포함하는 콘센트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후레임(120)이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커버본체(110)에는 삽지홈부(112)를 형성하고, 커버후레임(120)의 양측에는 삽지턱부(124)을 각각 형성하여 삽지홈부(112)와 삽지턱부(124)사이에 걸쳐 삽착/연결되는 연결부재(140)를 더 포함하는 콘센트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40)는,
    저면에는 장홈부(142)를 형성하고,상면에는 턱부(144)를 돌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연결부재(140)는 중간 연결용으로 두줄의 턱부(144)를 형성한 중간 연결부재(140)와, 양측단에서 연결되며 장식용 홈부(143)를 형성한 측면 연결부재(141)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커버.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110)와,커버후레임(120)은 각각 직사각형이고, 커버(130)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커버.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210), 커버후레임(220)은 정사각형이고,커버(230)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커버.
KR20-2004-0006059U 2004-03-06 2004-03-06 콘센트 커버 KR2003530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059U KR200353044Y1 (ko) 2004-03-06 2004-03-06 콘센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059U KR200353044Y1 (ko) 2004-03-06 2004-03-06 콘센트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044Y1 true KR200353044Y1 (ko) 2004-06-14

Family

ID=4943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059U KR200353044Y1 (ko) 2004-03-06 2004-03-06 콘센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0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87B1 (ko) * 2008-08-08 2011-03-09 신복철 덮개판을 구비하는 콘센트 고정 플레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87B1 (ko) * 2008-08-08 2011-03-09 신복철 덮개판을 구비하는 콘센트 고정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6770B1 (en) Quick connecting universal electrical box and wiring system
EP3059813B1 (en) Smart home electric power connecting system
CA277329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in-wall power
US7645935B1 (en) Outlet assembly
US5179252A (en) Structure of floor junction box
KR100745197B1 (ko) 배선용 덕트
KR200353044Y1 (ko) 콘센트 커버
KR101019978B1 (ko)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CN108306160A (zh) 一种连体插座
KR100564294B1 (ko) 천장 전기 단자함
JPH0210731Y2 (ko)
KR200311227Y1 (ko) 배선 덕트용 연결구
JPH0522099Y2 (ko)
JP3717283B2 (ja) 電子機器の筐体ケース
JP3022783U (ja) 防護されたコンセント
CN210052889U (zh) 具有内置式锁紧功能的地面插座
KR200182211Y1 (ko) 배선덕트
KR200353045Y1 (ko) 콘센트 커버
KR200171330Y1 (ko) 배선덕트용 커버
RU2009135407A (ru) Раздел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для фальшполов
JP2006230060A (ja) 床配線システム
KR200179979Y1 (ko) 전력 분배기
AU2008255170B2 (en) An External Power Point Arrangement
AU2011205067B2 (en) An External Power Point Arrangement
JP3080781U (ja) 延長コード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