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000Y1 - 모터베이스 - Google Patents

모터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000Y1
KR200353000Y1 KR20-2004-0008849U KR20040008849U KR200353000Y1 KR 200353000 Y1 KR200353000 Y1 KR 200353000Y1 KR 20040008849 U KR20040008849 U KR 20040008849U KR 200353000 Y1 KR200353000 Y1 KR 2003530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base
belt
present
fixin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환
Original Assignee
두용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용기업(주) filed Critical 두용기업(주)
Priority to KR20-2004-0008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0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0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 H02K7/10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machine rotor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의 풀리에 걸리는 동력전달벨트를 자동으로 팽팽하게 유지하여 줄 수 있는 모터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모터베이스는, 기면(5)에 고정되는 베이스(10), 베이스(10)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모터(2)가 고정되는 모터고정대(20), 및 벨트(4)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하는 쪽으로 모터고정대(2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모터베이스(1)는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벨트(4)가 느슨해지는 쪽으로 상기 모터고정대(20)를 강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압부재(40)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모터베이스는 상기 벨트(4)가 느슨해지는 쪽으로 상기 모터고정대(20)가 이동되는 한계를 규정하는 제한부재(50)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한부재(50)는, 상기 모터고정대(20)에 형성된 다단의 계단식 단차(23A, 23B, 23C)의 어느 하나의 단차(23)에 걸리는 걸림편(51)과, 상기 걸림편(51)을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편(51)이 상기 단차(23)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5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터베이스{Motor Base}
(기술분야)
본 고안은 모터가 장착되는 모터베이스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풀리에 걸리는 동력전달벨트를 자동으로 팽팽하게 유지하여 줄 수 있는 모터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모터의 회전력을 다른 기계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는 풀리와 풀리 사이에 걸어서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피동풀리로 전달하는 벨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런 벨트는 두 회전축 사이의 거리가 멀어서 기어 등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어려운 경우에 널리 사용된다.
회전축의 풀리 사이에 걸어서 장착하는 벨트는 벨트와 풀리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며, 형태적인 구분으로는 평띠형의 평벨트와 단면 V형의 V벨트 등이 있고, 소재의 구분으로는 가죽벨트, 고무벨트, 직물벨트, 강판벨트 등이 있다.
벨트로 동력을 전달함에 있어서는 벨트가 풀리와 풀리 사이에 적절한 장력으로 걸려야 할 필요가 있으며, 장력의 적절한 정도는 전달되는 동력의 크기, 풀리 및 벨트의 특성 등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벨트에 가해지는 장력이 적당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동력전달에 있어서의에너지손실이 유발되고, 벨트를 포함한 동력전달에 관련된 장치들의 수명단축 등의 문제를 일으키며,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모터가 설치되는 모터베이스에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되기도 한다.
도4는 벨트장력조절장치가 구비된 종래의 모터베이스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베이스(100)는, 주변 구조물(101)에 고정되는 베이스(110), 베이스(110)에 장착된 가이드(120), 가이드(120)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모터(102)가 고정되는 모터고정대(130), 및 베이스(110)에 부착된 브래킷(141)과 브래킷(141)과 모터고정대(130) 사이에 장착된 조절볼트(142), 및 한쌍의 너트(143)를 구비하는 벨트장력조절장치(140)가 구비되어 있다.
모터(102)의 풀리(103)에는 벨트(104)가 걸려 있으며, 모터(102)가 구동됨에 따라 모터의 회전력은 벨트(104)를 통해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장치(예, 냉각 팬 등: 도시생략)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모터베이스(100)의 구조에서 벨트(104)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벨트장력조절장치(140)의 조절볼트(142)에 체결된 너트(143)의 위치를 좌우로 조절한다. 즉, 예를 들어 벨트(104)의 장력이 커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장치(예, 냉각팬)로부터 모터(102)가 멀어지는 방향(도면에서 좌측으로)으로 모터고정대(130)를 가이드(120)를 따라 이동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한쌍의 너트(143)를 순서대로 조이고 풀어서 조절볼트(142)가 좌로 이동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벨트장력조절장치(140)를 구비한 모터베이스(100)는, 그 사용상에 다음과 같은 불편한 점이 있다.
첫째, 너트를 조이고 푸는 작업에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며, 특히 벨트에 많은 장력이 가해지는 대형 기계장비의 경우에 상당한 노동력이 소요된다.
둘째, 벨트의 내구수명 동안에 벨트가 점차 늘어짐에 따라 수시로 벨트장력조절장치(140)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셋째, 하우징 등의 안에 모터베이스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공구가 잘 닿지 않는 하우징의 좁은 공간으로 들어가서 벨트장력조절장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벨트장력조절장치에 관련된 종래 모터베이스로부터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수시로 벨트장력을 조절하는 작업을 하지 아니하여도 자동적으로 벨트장력이 적당한 정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모터베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벨트장력조절에 투입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모터베이스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모터베이스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모터베이스의 작동도,
도4는 벨트장력조절장치가 구비된 종래의 모터베이스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모터베이스 2: 모터
3: 풀리 4: 벨트
5: 기면 10: 베이스
11: 가이드홈 12: 스프링실
20: 모터고정대 21: 삽입돌기
22: 받침대 23, 23A, 23B, 23C: 단차
30(30A): 탄성부재(스프링) 40(40A): 가압부재(볼트)
50: 제한부재 51: 걸림편
52: 스프링
본 고안에 따라 벨트로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장착되는 모터베이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모터베이스는, 기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모터가 고정되는 모터고정대, 및 상기 벨트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하는 쪽으로 상기 모터고정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모터베이스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벨트가 느슨해지는 쪽으로 상기 모터고정대를 강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압부재가 더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모터베이스에는, 상기 벨트가 느슨해지는 쪽으로 상기 모터고정대가 이동되는 한계를 규정하는 제한부재가 더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모터고정대에 형성된 다단의 계단식 단차의 어느 하나의 단차에 걸리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을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편이 상기 단차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터베이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베이스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모터베이스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모터베이스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모터베이스의 작동도이다.
본 고안에 따라, 벨트(4)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가 장착되는 모터베이스(1)가 제공되며, 본 고안에 따른 모터베이스(1)는, 베이스(10), 모터고정대(20), 및 탄성부재(3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베이스(10)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베이스(1)의 기초를 이루는 부재로서, 예를 들어 지면이나 하우징 바닥과 같은 기면(5)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기면(5)에 대한 베이스(10)의 고정은 예를 들어 볼트체결이나 콘크리트타설 등에 의할 수 있다.
모터고정대(20)는 베이스(10)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모터(2)가 실질적으로 고정되는 부재이다. 여기에서 좌우 방향이란 도2의 평면도에서의 화살표 방향을 의미하고, 도1의 정면도에서는 전후방향이며, 이하 좌우방향이라 설정하여 설명한다.
베이스(10)에 대한 모터고정대(20)의 좌우이동 가능한 장착은, 바람직하게 모터고정대(2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외하고 전후와 상하 등 모든 다른 방향으로의 요동이 최소화되도록 장착하는 것이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베이스(10)의 양측으로 가이드홈(11)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에 대응하여 모터고정대(20)의 양측으로 상기 가이드홈(11)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꼭 끼워맞춤되는 삽입돌기(21)를 형성함으로써, 가이드홈(11)에 삽입돌기(21)가 꼭 맞게 삽입된 상태로 모터고정대(20)가 베이스(10)의 가이드홈(1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예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모터(2)를 바로 모터고정대(20)에 고정시키지 아니하고 모터고정대(20) 위에 설치한 받침대(22)에 모터(2)를 고정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변형은 다양하게 가능하다.
탄성부재(30)는 모터(2)에 걸린 벨트(4)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하는 쪽으로 모터고정대(20)에 탄성력을 가하는 부재이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베이스(10)의 양쪽에 각각 스프링실(12)을 마련하고 모터고정대(20)의 일단이 접하도록 상기 스프링실들(12)에 각각 스프링(30A)을 장착하여 스프링(30A)이 모터고정대(20)를 화살표A 방향으로 밀도록 한 예이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30)의 적용에 따라, 모터고정대(20)는 베이스(10) 상에서 벨트(4)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는 쪽(좌측: 도2의 화살표A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게 되고, 모터고정대(20)는 탄성부재(30)의 탄성력과 벨트(4)의 장력이 평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자리잡게 되며, 이런 상태에서 벨트(4)는 그 특성에 맞는 적당한 장력을 가지도록 선택된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최적의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모터고정대(20)는 베이스(10)에 의하여 좌우방향이동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의 이동이 제한되는 한편, 벨트(4)의 장력과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의 균형으로 인하여 좌우방향의 이동도 상기 균형의 흐트러짐 정도의 범위 내에서만 약간의 이동이 허용되면서 실질적으로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모터베이스(1)에 의하면, 여기에 장착된 모터(2)는, 벨트(4)가 충분하게 팽팽해진 바람직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함으로써 그 동력을 동력을 전달받는 다른 장치로 전달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스프링실(12)을 다른 장치가 있는 쪽인 베이스(10)의 우측에 마련하고 탄성부재(30)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예를 들어 스프링실(12)을 베이스(10)의 좌측에 마련하고 인장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모터베이스(1)에 의하면, 탄성부재(30)가 모터고정대(20)를 밀어내어서 모터와 다른 장치 사이의 거리가 벨트(4)를 걸 수 있는 거리보다 멀리 떨어져 있게 된다. 따라서 최초에 벨트(4)를 풀리(3)에 걸기 위해서는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모터고정대(20)를 다른 장치 쪽으로 밀어 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본 고안의 모터베이스(1)에는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벨트(4)가 느슨해지는 쪽으로 모터고정대(20)를 다른 장치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압부재(40)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모터고정대(20)를 향하도록 베이스(10)의 좌측에 볼트(40A)를 나사 체결하여, 상기 볼트(40A)를 조여줌에 따라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모터고정대(20)를 다른 장치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벨트(4)를 모터(2)와 다른 장치 사이에 걸고자 할 때에는, 베이스(10)의 가이드홈(11)에 모터고정대(20)의 삽입돌기(21)를 끼워 베이스(10)에 모터고정대(20)를 삽입 장착하고, 상기 볼트(40A)를 과도하게 조여서 스프링(30A)이 압축되도록 함으로써 모터(2)의 풀리(3)와 동력을 전달받는 장치의 풀리 사이를 가깝게 하여 벨트(4)를 건다(도3의 A).
벨트(4)를 건 후에는 다시 볼트(40A)를 충분히 풀어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모터고정대(20)가 다른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최대한 이동되게 한다(도3의 B).
이로써 벨트(4)는 동력전달에 바람직한 상태로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로 모터와 다른 장치 사이에 걸리게 되며, 이후 모터를 가동하면 벨트(4)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다른 장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사용기간이 지속되어 벨트(4)의 탄성력이 약해져서 점차 늘러지게 되는 경우, 벨트(4)가 늘어짐만큼 탄성부재(30)가 모터고정대(20)를 탄성적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벨트(4)는 별도의 조치 없이 항상 적당한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탄성부재(30)가 모터고정대(20)를 다른 장치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쪽(즉, 벨트가 팽팽해지는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있지만, 반대로 벨트(4)는 동력을 전달받는 다른 장치 쪽으로 모터고정대(20, 즉, 모터)를 당기도록 하는 힘을 가하게 되므로, 모터고정대(20)가 다른 장치 쪽으로 어느 한도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모터베이스(1)는 제한부재(50)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한부재(50)는 걸림편(51)과 스프링(52)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걸림편(51)은 모터고정대(20)에 형성된 다단의 계단식 단차(23A, 23B, 23C)의 어느 하나의 단차(23)에 걸리는 부재이고, 스프링(52)은 걸림편(51)을 가압하여 걸림편(51)이 단차(23)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재이다.
벨트(4)의 수명 초기에는 그 탄성력이 강하므로 모터고정대(20)가 탄성부재(30)를 강하게 가압하게 되므로 모터고정대(20)는 최대한 다른 장치 쪽(도3의 B와 같이 우측)으로 치우쳐 있게 되고, 이때 걸림편(51)은 단차(23A)에 걸려서 더 이상 모터고정대(20)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벨트(4)의 사용이 지속되어 일부 탄성력을 상실하여 늘어질 경우에 모터고정대(20)는 탄성부재(30)의 작용으로 좌로 이동될 수 있으며, 모터고정대(20)가 좌로 밀려간 순간에 걸림편(51)은 그 스프링(51)의 작용으로 상승함으로써 상기단차(23A)를 벗어나 단계적으로 그 위쪽 단차들(23B, 23C)에 걸리게 되고 최종적으로 단차(23C)에 걸리게 된다(도3의 C). 이런 상태에서 모터고정대(20)는 걸림편(51)이 단차(23C)에 걸리는 위치 이상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결국 제한부재(50)가 포함됨에 따라, 벨트(4)의 전체 수명동안, 모터를 처음 시동시킬 때와 같이 벨트(4)가 평상시 보다 강하게 모터(2)를 다른 장치 쪽으로 강하게 당겨서 순간적으로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이 극복되어 모터고정대(20)가 다른 장치 쪽으로 이동하려고 하여도 그 이동은 제한부재(50)에 의해 제한되므로, 벨트(4)가 비정상적으로 모터(2)를 당기는 힘을 가하게 되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여도 벨트(4)에 의한 동력전달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상기 단차(23)가 3단인 것을 예시하였지만 그 보다 많거나 적게 단차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모터베이스에 의하면, 일단 벨트를 모터와 다른 장치 사이에 장착하게 되면 벨트의 전체 수명동안에 점차적으로 벨트가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도, 탄성부재의 작용으로 자동적으로 벨트가 적절한 장력의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벨트의 늘어짐에 따라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벨트장력조절에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벨트(4)로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가 장착되는 모터베이스에 있어서,
    기면(5)에 고정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모터(2)가 고정되는 모터고정대(20), 및 상기 벨트(4)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하는 쪽으로 상기 모터고정대(2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모터베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벨트(4)가 느슨해지는 쪽으로 상기 모터고정대(20)를 강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압부재(4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베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4)가 느슨해지는 쪽으로 상기 모터고정대(20)가 이동되는 한계를 규정하는 제한부재(5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베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재(50)는, 상기 모터고정대(20)에 형성된 다단의 계단식 단차(23A, 23B, 23C)의 어느 하나의 단차(23)에 걸리는 걸림편(51)과, 상기 걸림편(51)을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편(51)이 상기 단차(23)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베이스.
KR20-2004-0008849U 2004-03-31 2004-03-31 모터베이스 KR200353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849U KR200353000Y1 (ko) 2004-03-31 2004-03-31 모터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849U KR200353000Y1 (ko) 2004-03-31 2004-03-31 모터베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000Y1 true KR200353000Y1 (ko) 2004-06-09

Family

ID=4934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849U KR200353000Y1 (ko) 2004-03-31 2004-03-31 모터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0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6101B2 (en) Driving force transmission apparatus and adjustment method thereof
KR100730973B1 (ko) 이니셜 벨트 텐셔너
CA2427637C (en) Belt installation tool
US20090062046A1 (en) Belt tensioner with adjustable slider plate and replaceable pulley
KR100832386B1 (ko) 벨트 설치 장치
KR20060014378A (ko) 자동 조정가능한 이동 제한을 갖는 벨트 인장장치
ATE367544T1 (de) Aktive spannvorrichtung
KR100784212B1 (ko) 조절 가능한 텐셔너
KR20170110652A (ko) 이중 아암 텐셔너
KR200353000Y1 (ko) 모터베이스
CA2490279A1 (en) Belt installation tool
KR200407683Y1 (ko) 자동 슬라이딩 모터 베이스
BR9913022A (pt) Tracionador de correia para tracionar uma correia para um veìculo motorizado, e, processo para instalar o mesmo
US117615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tensioning a belt of a video camera assembly
JP2007001442A (ja) エンジン補機の駆動装置
KR19990003259U (ko) 엔진의 벨트장력조절장치
JP2008101767A (ja) 車両空気調和装置におけるコンプレッサに対する動力伝達ベルトの張力調整機構
KR100423344B1 (ko) 상용차용 동력전달벨트의 장력조정장치
US20220162813A1 (en) Plate compactor
WO2021192741A1 (ja) オートテンショナの取付構造
KR100394591B1 (ko)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벨트용 가변 장력 조절기 구조
KR0132862Y1 (ko) 세탁기의 모터 벨트 장력조절장치
KR100204144B1 (ko)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벨트의 자동 장력조정장치
JPH09324849A (ja) 従動側プーリーの固定装置
JP2004132206A (ja) オルタネータ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