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670Y1 - 홍채 촬영카메라의 홍채 초점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홍채 촬영카메라의 홍채 초점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670Y1
KR200352670Y1 KR20-2004-0008305U KR20040008305U KR200352670Y1 KR 200352670 Y1 KR200352670 Y1 KR 200352670Y1 KR 20040008305 U KR20040008305 U KR 20040008305U KR 200352670 Y1 KR200352670 Y1 KR 200352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is
camera
reflector
light
fo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호
Original Assignee
김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호 filed Critical 김신호
Priority to KR20-2004-0008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14Depth or shape recovery from specular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홍채 촬영카메라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홍채의 초점이 맞도록 유도하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초점을 맞추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카메라 렌즈(11)의 외곽에 링 램프(1a)와, 카메라 렌즈와 외곽 링 램프 사이에 반사판(2a)을 설치하여 구성하였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반사판에 반사된 링 모양의 빛의 선명도를 보고 초점을 맞추도록 유도하였다.
광 경로(100)는 링 램프에서 발광된 빛이 홍채의 동공부분에 1차 반사(200)되고, 이어서 동공부분의 반사된 빛이 카메라 렌즈와 링 램프 사이에 있는 반사부의 반사판에 반사(300)된 후 수정체를 통과해 망막(3c)에 이르게 된다.
또한 반사부는 볼록형 렌즈(2b)와 거울(2a)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초점이 맞을 경우에만 링형 빛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구성함으로서 초점거리가 정확하게 유도되도록 고안하였다.

Description

홍채 촬영카메라의 홍채 초점 유도장치{A Guidance Contrivance for focus of the Iris Camera}
본 고안은 홍채 촬영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선명한 이미지를 사용자가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홍채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초점이 맞는 선명한 홍채영상은 홍채보안, 홍채를 통한 건강검진, 홍채를 통한 개성 파악 등 그 응용 사용처가 날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홍채의 선명한 영상을 입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장치로는 유도 발광체를 렌즈 입사축과 동일하도록 렌즈 내부에 적색 LED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상기 적색 LED를 바라보면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매 순간에 입력되는 영상은 카메라에 내장된 초점영상 검출 프로세서에 의해 초점여부를 검출하게 하게하고, 초점이 맞을 경우, 적색 LED 대신 녹색 LED를 사용자에게 점등하여 줌으로서, 사용자의 동작을 종료시키는 동시에 입력된 영상을 저장하여 선명한 홍채영상을 입수하여 왔다.
상기와 같은 방법의 홍채 입수 방법은 사용자가 정확한 전후방의 위치를 알 수 없으므로 카메라의 프로세서가 녹색 LED를 점등할 때 까지 카메라의 전후방으로 홍채를 이동해 주어야 하는 매우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 다른 홍채 촬영 방법으로는 적외선만이 통과하는 콜드미러를 오목경의 형상으로 하여 카메라 렌즈 전방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콜드미러에 비친 자신의 눈을 선명하게 바라보게 함으로 홍채를 유도하는 장치가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홍채를 직접 바라봄으로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고, 또한 선명한 홍채 상을 식별하기 위하여 매우 신경을 써야하는 단점이 있다 하겠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홍채카메라의 선명한 홍채의 입수 방법의 단점들을 보안하기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홍채를 접근시킬 수 있도록 유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카메라 렌즈(11) 외곽에 링 모양으로 된 링 유도램프(1a, 1b)와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유도램프 사이에 링 모양의 반사판(2a)을 두어 사용자가 반사판에 비친 유도램프의 빛을 바라보게 함으로서 상기의 과제를 해결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았다.
도면 1은 본 고안에 의한 장치 구성도
도면 2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 정면도
도면 3는 본 고안 장치의 발광부의 부분 구조도
도면 4은 본 고안 장치의 반사부의 부분 구조도
도면 5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한 사용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광부
2 : 반사부
3 : 안구
10 : 카메라부
11 : 렌즈
100 : 광 경로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고안의 기본 구성도로서 홍채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된 카메라부(10)와, 사용자의 홍채를 유도하기 위하여 유도램프(1a,1b)가 설치된 발광부(1)와, 상기 유도램프의 빛이 반사되어 사용자가 유도램프의 빛이 선명한지 식별하도록 하는 반사부(2)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도면 2는 본 고안의 정면도로서, 최 외곽에 상기 유도램프(1a, 1b)가 위치하여 있고, 맨 안쪽에는 렌즈(11)가, 사이에는 반사판(2a)이 위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면 2의 반사판에는 홍채 혹은 동공 표면에 반사된 유도램프의 링 형 빛이 반사된 모습(200)을 볼 수 있다.
상기의 유도램프와 반사판은 그 형상이 둥근 링 모양으로 되어 있어 홍채의 형상과 일치 되도록 하여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도면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유도램프의 형상을 링형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LED(1a) 표면에 링 모양의 플라스틱(1b)를 설치하였다.
상기의 반사부(2)은 도면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되는 빛의 초점 영역을 좁이기 위해 평면거울(2a)과 볼록렌즈(2b)로 구성하였다.
도면 5는 본 고안 장치를 실시하는 예시도로서 상기 유도램프(1a, 1b)의 링 모양의 빛이 동공표면에 1차 반사된 후 상기 반사판(2a, 2b)에 다시 반사되어 안구(3)의 수정체를 통해 링 모양의 상이 망막(3c)에 맺히는 것(400)을 보여준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구성의 작용을 도면 5와 함께 설명한다.
먼저, 홍채카메라가 촬영을 위해 상기 유도램프(1a, 1b)를 점등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홍채를 접근시킨다.
사용자가 카메라 측으로 일정거리에 접근하면 반사판(2a, 2b)에 링 모양의 빛이 흐릿하게 맺히게 된다. 상기 반사판에 맺힌 링 형의 빛(300)은 자신의 동공에 1차 반사(200)된 유도램프(1a, 1b)의 빛이다. 계속하여 사용자는 이 링 형의 빛을 선명하게 보기 위해 전후방으로 초점을 맞춘다.
여기에서 초점이 맞는 영역은 일정영역에만 맞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반사판에 있는 볼록형 렌즈(2b)가 상을 한 지점으로 모아주기 때문이다.
또한 카메라에 설치된 렌즈(11)의 심도는 상기의 일정영역과 일치하거나 그보다 넓게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의 일정영역은 사용자가 링 형의 빛이 선명하다고 인식하는 영역과 일치하거나 근접하여야 한다.
한편 사용자가 초점을 맞추는 동안 카메라 내의 제어부는 입력되는 영상이 선명할 경우 영상을 캡쳐하여 저장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여기에서는 램프의 빛이 소등된다.
이하, 광원 측에서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카메라 측에 접근하여 유도램프(1a, 1b)의 불빛은 직접 보면 초점이 맞지 않는다. 이는 램프와 홍채의 거리가 너무 가깝기 때문이다.
카메라 측에 설치된 상기의 (1a, 1b)유도램프의 빛의 경로(100)는 1차적으로 사용자 측의 홍채표면(3b)이나 동공표면(3a)에 반사(200)되고, 이어서 다시 카메라 측의 상기 반사판(2a, 2b)에 반사(300)된다. 여기에서 반사판은 함께 설치된 볼록렌즈(2b)에 의해 빛을 모아주고 따라서 이렇게 반사된 빛은 사용자의 홍채의 수정체를 통과하여 망막(3c)에 맺(400)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장치는 카메라와 사용자간의 거리가 10cm 이내의 근접한 상태에서 초점을 유도하는 장치로서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10cm 이내에서의 빛이나 상은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다.
본 고안의 경우 카메라와 사용자간의 거리가 근접할지라도 1차적으로 홍채나 동공표면을 거울로 이용하여 빛을 반사하도록 함으로서 광로를 연장하여 초점이 맞도록 유도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홍채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선명한 홍채 영상을 취득하는 함에 있어서, 우선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반사판(2a, 2b)에 나타난 빛의 선명도를 즉각적으로 판단하도록 구성함으로서 편리하고 정확하게 선명한 홍채를 입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홍채 촬영카메라의 홍채 초점 유도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 외곽에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유도램프(LED)(1a)를 설치한 발광부(1)와,
    상기 유도램프(1a)에서 발광한 빛이 사용자의 홍채 혹은 동공표면에서 1차 반사된 빛(200)을 재 반사(300)하는 반사판(2a)을 설치하되 카메라 렌즈(11)와 상기 유도램프(1a) 사이에 위치시킨 반사부(2)와,
    상기 렌즈(11)로 입사되는 홍채의 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된 카메라부(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촬영카메라의 홍채 초점 유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는 사용자 측에서 볼 때 둥근 링 모양으로 발광되도록 하기 위하여 유도램프(LED)(1a) 표면에 링 모양의 반투명 플라스틱(1b)을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촬영카메라의 홍채 초점 유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2)는 사용자 측에서 볼 때 둥근 링 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촬영카메라의 홍채 초점 유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2)의 반사판(2a)은 평면거울로 구성하고 특정영역에서만 빛의 초점이 맞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반사판(2a) 위에 볼록렌즈(2b)을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촬영카메라의 홍채 초점 유도장치.
KR20-2004-0008305U 2004-03-25 2004-03-25 홍채 촬영카메라의 홍채 초점 유도장치 KR200352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305U KR200352670Y1 (ko) 2004-03-25 2004-03-25 홍채 촬영카메라의 홍채 초점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305U KR200352670Y1 (ko) 2004-03-25 2004-03-25 홍채 촬영카메라의 홍채 초점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670Y1 true KR200352670Y1 (ko) 2004-06-05

Family

ID=4934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305U KR200352670Y1 (ko) 2004-03-25 2004-03-25 홍채 촬영카메라의 홍채 초점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6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965A (ko) * 2004-10-12 2004-11-17 김신호 홍채초점 유도장치 및 그 유도방법
KR100854889B1 (ko) * 2006-06-01 2008-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채인식 시스템의 사용자 위치 유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965A (ko) * 2004-10-12 2004-11-17 김신호 홍채초점 유도장치 및 그 유도방법
KR100854889B1 (ko) * 2006-06-01 2008-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채인식 시스템의 사용자 위치 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465B1 (ko) 홍채 인식 시스템
US107725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portable eye examination camera
JP4529263B2 (ja) アイリス認識装置
EP1341119B1 (en) Iris recognition system
US8313195B2 (en) Fundus camera
TWI468148B (zh) Auxiliary gaze and imaging focusing device
US20090268160A1 (en) Fundus camera
US20190236355A1 (en) Gaze-tracking system using curved photo-sensitive chip
WO2013142031A2 (en) Compact iris imaging system
JP4018425B2 (ja) 目画像撮像装置
JP2004046451A (ja) 目画像撮像装置および個体認証装置
TWI480021B (zh) Assist in gaze focusing on the fundus detection device
KR200352670Y1 (ko) 홍채 촬영카메라의 홍채 초점 유도장치
KR100293468B1 (ko) 광학이미저
CN108535866A (zh) 虚拟现实眼镜
US10321822B1 (en) Non-mydriatic self-imaging fundus camera
KR20040096965A (ko) 홍채초점 유도장치 및 그 유도방법
KR200371394Y1 (ko) 홍채 촬영카메라의 홍채 초점 유도장치
KR100335279B1 (ko) 안구의 홍채 촬영장치
JP2018051036A (ja) 眼底撮影装置
JP2007209646A (ja) 誘導装置、撮影装置および認証装置ならびに誘導方法
CN105101868A (zh) 用于眼底检查的装置
KR20110134999A (ko) 홍채 인식 시스템을 위한 카메라 시스템
KR101433788B1 (ko) 휴대용 단안 홍채 이미지 캡쳐 장치
KR20050022461A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