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461A -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461A
KR20050022461A KR1020030060899A KR20030060899A KR20050022461A KR 20050022461 A KR20050022461 A KR 20050022461A KR 1020030060899 A KR1020030060899 A KR 1020030060899A KR 20030060899 A KR20030060899 A KR 20030060899A KR 20050022461 A KR20050022461 A KR 2005002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ye
light
recognition system
cold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7037B1 (ko
Inventor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037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1Control of illu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3Sensing or illuminating at different waveleng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Input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에 대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는, 지시문형의 LED를 구비하여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에서 발광된 지시 문형을 사용자의 반사된 눈의 허상과 같게 위치시키는 프레넬 렌즈부와; 상기 프레넬 렌즈부에서 통과된 빛의 가시광선중 LED의 파장을 제외한 파장대는 반사하고, 적외선은 통과시키는 콜드 미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는, 콜드 미러를 통해 보여지는 눈위치 지시 문형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눈의 초점거리와 같게 허상을 만듦으로써 사용자가 콜드 미러를 통해 자신의 눈을 보면서 편하게 눈위치 지시 문형을 볼 수 있다.

Description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INDICATED DEVICE OF IRIS LOCATION FOR IRIS RECOGNITION SYSTEM}
본 발명은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콜드 미러를 통해 보여지는 눈위치 지시 문형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눈의 초점거리와 같게 허상을 만듦으로써 사용자가 콜드 미러를 통해 자신의 눈을 보면서 편하게 눈위치 지시 문형을 볼 수 있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보안이나 방범, 신분 인증을 위한 시스템으로 기존의 접촉식 혹은 비접촉식 카드 시스템에서 더 나아가 사람의 지문을 인식하거나, 또는 홍채인식을 통해서 신분을 인증하고 특정 장소의 출입이나 특정 정보에의 접근 등을 허용하거나 거부하는 시스템이 보급되어 왔다.
이 중에서 홍채인식 시스템은 지문인식에 비해서 인식률이 높고, 보다 정확한 인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홍채 인식 시스템은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한 홍채 영상에서 홍채의 특징적인 패턴을 이미지 처리 기술을 이용해서 데이터화한 후,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홍채 데이터와 대조하여 개인을 인증하는 시스템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홍채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홍채인식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홍채 인식 시스템에 접근하면, 거리 측정 센서(109)가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렇게 구한 거리 측정값을 드라이버(107)를 통해 제어장치(105)가 받아들여서 상기 거리 측정값이 동작 범위 안에 있는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동작 범위 안에 있는 경우에 드라이버(107)로 제어 신호를 보내서 홍채 이미지를 추출할 준비를 하도록 한다. 드라이버(107)는 외부 지시기(108)에 액티브 신호를 보내서 사용자에게 시스템이 동작함을 알리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광학 윈도우(101)를 통하여 카메라(103)의 광축에 눈을 위치시키면, 콜드미러(102)가 가시광선은 차단하고 적외선을 통과시킨다.
그리고 홍채가 위치해야할 부분을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카메라(103)의 광축에 눈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제어장치(105)가 거리 측정 센서(109)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 측정값을 받아들이고, 이 거리 측정값을 이용해서 오토 줌 포커스 카메라인 경우 카메라(103)의 줌 및 포커스 값을 산출하여 줌인/줌아웃 및 포커싱 제어를 수행한다.
단초점 카메라인 경우 사용자가 거리를 알맞게 위치하였으면 바로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후에 제어장치(105)는 거리 측정값에 따라 드라이버(107)를 통해 홍채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하며, 촬영된 홍채 이미지는 프레임 그레버(104)에서 홍채 이미지 분석에 맞게 신호 처리되고, 처리된 홍채 이미지 정보를 DB(110)(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그 저장된 정보를 가지고 제어장치(105)에서 홍채 인식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는 얼마나 빠른 시간 안에, 얼마나 정확하게 홍채 인식을 해내는가의 여부가 그 성능을 좌우하게 된다. 더구나, 이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홍채 인식 시스템에 접근하여, 홍채가 카메라의 광축에 정확하게 위치되었는지 여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콜드 미러에 표시해줌으로써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홍채 인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종래에 따른 콜드 미러를 구비한 눈위치 표시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위치 표시장치는, 지시문형의 LED를 구비하여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수단(201)과; 상기 발광수단(201)에서 지시문형으로 발광된 빛의 가시광선중 LED의 파장을 제외한 파장대는 반사하고, 적외선은 통과시키는 콜드 미러(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수단(201)은 상기 콜드 미러(202)의 뒷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콜드미러(202)를 통해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에 따른 콜드 미러를 구비한 눈위치 표시장치에서 상이 맺히는 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눈의 상이 맺힌 위치(302)와 상기 발광 수단(201)의 상이 맺히는 위치(301)가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콜드 미러를 구비한 눈위치 표시장치에 있어, 사용자가 콜드미러(202)에 표시되는 발광 수단의 표시(301)에 초점을 맞추면, 사용자 자신의 눈이 희미하게 보이고, 콜드 미러(202)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눈(302)에 초점을 맞추면 상기 발광 수단(301)의 표시가 희미하게 보이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콜드 미러를 통해 보여지는 눈위치 지시 문형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눈의 초점거리와 같게 허상을 만듦으로써 사용자가 콜드 미러를 통해 자신의 눈을 보면서 편하게 눈위치 지시 문형을 볼 수 있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 위치 표시장치는,
지시 문형의 LED를 구비하여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에서 발광된 지시 문형을 사용자의 반사된 눈의 허상과 같게 위치시키는 프레넬 렌즈부와;
상기 프레넬 렌즈부에서 통과된 빛의 가시광선중 LED의 파장을 제외한 파장대는 반사하고, 적외선은 통과시키는 콜드 미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특히 상기 발광 수단의 지시 문형은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빛의 문형에 따라 거리를 지시해 주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발광 수단의 지시 문형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프레넬 렌즈부는 볼록 렌즈로 형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콜드 미러는 90mm x 30mm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콜드 미러를 통해 보여지는 눈위치 지시 문형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눈의 초점거리와 같게 허상을 만듦으로써 사용자가 콜드 미러를 통해 자신의 눈을 보면서 편하게 눈위치 지시 문형을 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위치 표시장치는, 지시 문형의 LED를 구비하여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수단(401)과; 상기 발광수단(401)에서 발광된 지시 문형을 사용자의 반사된 눈의 허상과 같게 위치시키는 프레넬 렌즈부(402)와; 상기 프레넬 렌즈부(402)에서 통과된 빛의 가시광선중 LED의 파장을 제외한 파장대는 반사하고, 적외선은 통과시키는 콜드 미러(4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광 수단(401)은 LED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홍채 인식 거리 내로 접근할 수 있도록 빛을 발광시켜 사용자에게 가까이 접근하거나 멀리 가도록 지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광 수단(401)의 지시 문형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프레넬 렌즈부(402)는 상기 콜드 미러(403)의 후면에 구비하게 되며, 상기 발광 수단(401)과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발광 수단(401)의 지시 문형의 허상을 만들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넬 렌즈부(402)는 볼록 렌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콜드 미러(403)는 상기 발광 수단(401)에서 발광된 LED 빛의 지시 문형을 통과하여 보여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콜드 미러(403)는 통과된 빛의 가시광선중 LED의 파장을 제외한 파장대는 반사하고, 적외선은 통과시킨다.
또한, 상기 콜드 미러(403)는 90mm x 30mm 정도의 크기로 사용자의 양쪽 눈이 보이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LED의 점등 여부에 의해 콜드 미러(403)에 보여지는 지시 문형의 모양을 달라지게 하여 사용자에게 거리 지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콜드 미러를 구비한 눈위치 표시장치에서 상이 맺히는 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 수단(401)에 지시 문형이 형성되어 있고, 이 문형은 상기 프레넬 렌즈(402)를 통해 F 방향으로 볼 경우 허상(501)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상기 허상(501)은 G거리 만큼 뒤에 상이 맺히는 걸 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 수단(401)의 지시 문형은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빛의 문형에 따라 거리를 지시해 주며, 그 지시 문형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허상의 위치(501)에 사용자 자신의 눈의 허상(501)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콜드 미러(403)에 반사된 사용자 자신의 눈과 상기 발광 수단의 지시 문형의 허상(501)이 같은 거리(G)에 위치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눈과 지시 문형을 편안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는, 콜드 미러를 통해 보여지는 눈위치 지시 문형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눈의 초점거리와 같게 허상을 만듦으로써 사용자가 콜드 미러를 통해 자신의 눈을 보면서 편하게 눈위치 지시 문형을 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홍채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에 따른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에 따른 콜드 미러를 구비한 눈위치 표시장치에서 상이 맺히는 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콜드 미러를 구비한 눈위치 표시장치에서 상이 맺히는 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1 --- 발광 수단 402 --- 프레넬 렌즈부
403 --- 콜드 미러
501 --- 발광 수단과 사용자의 눈의 허상 위치

Claims (5)

  1. 지시 문형의 LED를 구비하여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에서 발광된 지시 문형을 사용자의 반사된 눈의 허상과 같게 위치시키는 프레넬 렌즈부와;
    상기 프레넬 렌즈부에서 통과된 빛의 가시광선중 LED의 파장을 제외한 파장대는 반사하고, 적외선은 통과시키는 콜드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의 지시 문형은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빛의 문형에 따라 거리를 지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의 지시 문형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부는 볼록 렌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드 미러는 90mm x 30mm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KR1020030060899A 2003-09-01 2003-09-01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KR100557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899A KR100557037B1 (ko) 2003-09-01 2003-09-01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899A KR100557037B1 (ko) 2003-09-01 2003-09-01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461A true KR20050022461A (ko) 2005-03-08
KR100557037B1 KR100557037B1 (ko) 2006-03-03

Family

ID=3723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899A KR100557037B1 (ko) 2003-09-01 2003-09-01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0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126A (ko) * 2002-03-25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Pc용 홍채 인식 시스템의 안경반사 대처를 위한 장치 및방법
KR20170000023U (ko) * 2015-06-23 2017-01-02 주식회사 이리언스 홍채 촬영에 최적화된 광학필터를 구비한 홍채 인식 장치
CN108780498A (zh) * 2016-01-06 2018-11-09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模块和包括其的虹膜识别摄像机模块以及虹膜识别摄像机系统和包括其的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3204A (zh) * 2017-04-28 2018-09-25 分界线(天津)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人眼瞳孔距离的测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9113B1 (en) * 1998-11-25 2001-09-11 Iridian Technologies, Inc. Handheld iris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842501B1 (ko) * 2002-02-21 2008-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126A (ko) * 2002-03-25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Pc용 홍채 인식 시스템의 안경반사 대처를 위한 장치 및방법
KR20170000023U (ko) * 2015-06-23 2017-01-02 주식회사 이리언스 홍채 촬영에 최적화된 광학필터를 구비한 홍채 인식 장치
CN108780498A (zh) * 2016-01-06 2018-11-09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模块和包括其的虹膜识别摄像机模块以及虹膜识别摄像机系统和包括其的终端
US11151375B2 (en) 2016-01-06 2021-10-19 Lg Innotek Co., Ltd. Lens module and iris recognition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and iris recognition camera system and terminal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7037B1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501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KR100854890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다중 조명을 이용한 홍채 등록 및인식방법
US70959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focus position in iris recognition system
US62993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subjects using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US20020130961A1 (en) Display device of focal angle and focal distance in iris recognition system
EP4033400A1 (en) System for acquiring iris image to enlarge iris recognition range
KR101064621B1 (ko) 홍채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50028430A (ko) 홍채의 포커싱이 자동 조절되는 홍채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57037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KR100447403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초점 각도 및 거리 표시장치
KR100430268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
KR100434370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거리 측정방법과 장치
KR100410972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거리 지시 장치
KR100880466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적목 현상을 이용한 동공 검출방법
KR100547333B1 (ko) 홍채 시스템의 거리 표시 방법
EP4293637A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KR20050103562A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맞춤 장치
KR20050098479A (ko) 모바일용 홍채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KR100885576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슬릿을 이용한 다초점 장치
KR20050094221A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오토 틸트 옵티컬 유닛 및 그 방법
KR20040072822A (ko) 구면형 콜드 미러를 적용한 홍채 인식 시스템
KR20050094215A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위치안내 표시방법
KR20030077126A (ko) Pc용 홍채 인식 시스템의 안경반사 대처를 위한 장치 및방법
KR20050088563A (ko) 가시광을 이용한 홍채인식시스템 및 그 인식방법
KR20140083665A (ko) 휴대용 단안 홍채 이미지 캡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