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232Y1 - 턴오프너 - Google Patents

턴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232Y1
KR200352232Y1 KR20-2004-0007519U KR20040007519U KR200352232Y1 KR 200352232 Y1 KR200352232 Y1 KR 200352232Y1 KR 20040007519 U KR20040007519 U KR 20040007519U KR 200352232 Y1 KR200352232 Y1 KR 200352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opener
turn
hole
c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
Original Assignee
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 filed Critical 박호
Priority to KR20-2004-0007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2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2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8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44Combination tools, e.g. comprising cork-screws, can piercers, crowncap rem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턴오프너에 있어서, 바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그 내주면이 용기뚜껑에 밀착되는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통공; 및 상기 통공의 외주연에서 상기 몸체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통공의 개방부를 탄성에 의해 개폐하는 조임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의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을 간단한 구성 및 작동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턴오프너{Turn opener}
본 고안은 턴오프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식으로 개폐되는용기의 뚜껑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턴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 등 액체를 담을 수 있는 병과 같은 용기의 뚜껑은 왕관형태로 압착끼움되는 크라운형 용기뚜껑과, 용기의 입구와 용기뚜껑이 나사결합되어 있는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으로 구분될 수 있다. 크라운형 용기뚜껑의 경우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용기뚜껑을 개방하는 크라운오프너가 개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에 반해, 합성수지재나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는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은, 통상 용기에 고정된 환테와 용기뚜껑의 하단부가 등간격으로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용기뚜껑의 회전시 환테와 용기뚜껑의 연결부분이 파손되어 용기뚜껑이 분리되어 별도의 도구 없이 개방되는 형태이다.
그런데, 상기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의 개방시에는 일정한 악력이 필요한데, 악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에게는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의 개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을 일반 성인이 개방하는 경우에도 손에 물이나 기름기 등 이물질이 묻어 있거나 용기뚜껑과 환테의 연결이 불량하면 상기 용기뚜껑이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을 회전시켜 개방하는 오프너(이하, 턴오프너(turn opener)라고 함)들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초기의 턴오프너의 경우 특정 직경의 용기뚜껑에 억지끼움될 수 있는 원형부를 구비하여 특정 직경의 나사결합식 용기뚜껑만을 개방할 수 있는 구성이 대부분이다.
최근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직경의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을 개방하기 위한 턴오프너들이 고안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 제0286317호의 다목적 페트병따개가 이에 속한다. 상기 다목적 페트병따개(10)는 제1,2 몸체(11,11a) 내주면이 실리콘으로 형성되어지고 이 실리콘 표면에 페트병 마개(30)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되는 요홈(13)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1,2 몸체(11,11a) 전면에 페트병 마개(30)의 크기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16)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1,2 몸체(11,11a) 저면 외주 각각에 톱니바퀴(14)와 이 톱니바퀴(14)에 걸어지는 걸쇠고리(15)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제1몸체(11) 측면에 통상의 왕관식 병마개를 딸 수 있는 왕관식 병따개부(17)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2 몸체(11,11a) 저면에 각각 자석(18)과 멜로디 칩(19)이 내장되어지되 이 멜로디 칩(19)을 작동시킬 수 있게 제2몸체(11a) 내주 일면에 작동버튼(20)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5 참조).
그런데, 상기 구조의 다용도 병따개는 구조가 복잡하고 손으로 병따개의 외주연을 잡고 돌리는 방식으로 개방할 수 있는 용기뚜껑의 직경은 손으로 병따개의 외주연을 잡을 수 있는 범위로 한정되며, 손이 작은 어린이나 여성의 경우 이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조의 병따개는 뚜껑과의 압착력을 극대화시켜 미끄럼을 방지하는 원리로 뚜껑을 회전시키는 모멘트의 증가가 적은 편이며, 톱니바퀴에 걸쇠고리를 결합시켜 뚜껑과 밀착시킬 때 힘이 필요하고 작동방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을 개방할 수 있으며 구조 및 작동방법이 간단하며 적은 힘으로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을 개방하는 턴오프너에 대한 요구가 계속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을 간단한 구성 및 작동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턴오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크라운형 용기뚜껑도 같이 개폐할 수 있고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턴오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턴오프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턴오프너를 이용하여 뚜껑을 여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턴오프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턴오프너 110 : 몸체
112 : 인쇄표시면 120 : 턴오프너부
122 : 통공 124 : 조임바
126 : 요철 130 : 크라운오프너부
132 : 끼움부 140 : 자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턴오프너에 있어서, 바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그 내주면이 용기뚜껑에 밀착되는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통공; 및 상기 통공의 외주연에서 상기 몸체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통공의 개방부를 탄성에 의해 조이는 조임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의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을 간단한 구성 및 작동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는 크라운형 용기뚜껑을 개방하는 크라운오프너가 형성되고 자석이 부설된다.
상기 통공의 내주면은 고무재와 합성수지재의 혼합재로 성형제조되고 요철이더 구비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오프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턴오프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턴오프너(100)는 크게 바형의 몸체(110) 및 상기 몸체(110)의 일단부에 형성된 턴오프너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턴오프너부(120)는 그 내주면이 용기뚜껑에 밀착되며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통공(122)과 상기 통공(122)의 외주연에서 상기 몸체(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통공(122)의 개방부를 탄성에 의해 조이는 조임바(124)로 구성된다.
상기 턴오프너부(120)는 탄성에 의해 개방부를 조일 수 있는 재질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PA), ABS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턴오프너부(120)는 개방부를 구비한 원형의 통공(122)을 조임바(124)의 탄성에 의해 조여 용기뚜껑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개방부가 없는 통상의 원형 턴오프너에 비해 다향한 직경의 용기뚜껑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직경의 용기뚜껑을 개폐할 수 있는 반면에 구성 및 작동방법이 간단하여 손이 작은 어린이나 여성들이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회전되는 용기뚜껑이 밀착되는 통공(122)에서 이격된 조임바(124) 하단부를 몸체(110) 측으로 근접시켜 회전하는 방식으로, 턴오프너의 외주연을 잡고 돌리는 방식에 비해 손이 작은 어린이나 여성들도 적은 힘으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통공(122)의 내주면은 밀착력을 극대화하고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와 합성수지재의 혼합재로 성형제조되고 요철(1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126)은 일부 나사결합식 뚜껑의 외주면에 형성된 널(Knurl)에 결합되어 뚜껑의 개방을 더욱 용이하게 해 준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타단부에는 크라운형 용기뚜껑을 개방하는 크라운 오프너부(130)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크라운형 용기뚜껑도 개방할 수 있어 다용도 오프너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미설명부호 132는 크라운형 용기뚜껑이 끼워지는 끼움부이다. 크라운오프너부(130)는 통상 크라운오프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상기 몸체(110)의 상면 및/또는 하면 일측에 홈을 형성하고 자석(140)을 부설하면 냉장고 등 철제류에 부착해 둘 수 있어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며 메모지 홀더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의 종류나 형상은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크기에 비해 자력이 강력한 엔디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상면 및/또는 하면은 스티커나 에폭시 등을 이용하여 인쇄표시면(112)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턴오프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하고자 하는 페트병(P)과 같은 나사결합식 용기뚜껑(PL)을 턴오프너부(120)의 통공(122)으로 삽입시킨 후 통공(122)의 내주면에 용기뚜껑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조임바(124) 하단부를 몸체(110) 쪽으로 근접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임바(124) 및 몸체(110)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용이하게 용기뚜껑(PL)을 개방할 수 있다. 이처럼, 용기뚜껑이 용이하게 개방되는 것은 회전중심에서 힘이 작용되는 작용점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모멘트의 크기가 커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통공(122)의 내주면은 고무재와 합성수지재의 혼합재로 제조성형되고 요철(126)이 형성되어 있어 용기뚜껑(PL)과의 밀착력이 극대화되어 용기뚜껑(PL)이 보다 용이하게 개방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턴오프너는 용기의 음료 등을 마신 후 다시 단단하게 밀폐시킬 때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턴오프너는 다양한 크기의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을 간단한 구성 및 작동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크라운형 용기뚜껑도 같이 개폐할 수 있고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턴오프너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3)

  1. 나사결합식 용기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오프너에 있어서,
    바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그 내주면이 용기뚜껑에 밀착되는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통공; 및
    상기 통공의 외주연에서 상기 몸체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통공의 개방부를 탄성에 의해 조이는 조임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오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는 크라운형 용기뚜껑을 개방하는 크라운오프너가 형성되고 자석이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오프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내주면은 고무재와 합성수지재의 혼합재로 성형제조되고 요철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오프너.
KR20-2004-0007519U 2004-03-18 2004-03-18 턴오프너 KR200352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519U KR200352232Y1 (ko) 2004-03-18 2004-03-18 턴오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519U KR200352232Y1 (ko) 2004-03-18 2004-03-18 턴오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232Y1 true KR200352232Y1 (ko) 2004-06-04

Family

ID=4934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519U KR200352232Y1 (ko) 2004-03-18 2004-03-18 턴오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2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10Y1 (ko) * 2008-04-21 2011-01-13 김태호 오프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10Y1 (ko) * 2008-04-21 2011-01-13 김태호 오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9551A (en) Beverage container dispensing cap
US20110220607A1 (en) Plastic bottle closure, plastic bottle including the same, and plastic bottle closure opener
US20080197101A1 (en) Screw Top Closures
US20120260487A1 (en) Replaceable bottle cap assembly
CA2706756A1 (en) Closure and bottle
US7004049B2 (en) Multi-purpose opener
US8668098B2 (en) Ergonomic bottle cap
KR200352232Y1 (ko) 턴오프너
US20190367345A1 (en) Special bottle cap opening, gripping device called an Easy Grip
KR200270743Y1 (ko) 캐릭터가 설치된 음료수용 페트병의 뚜껑따개
KR200286317Y1 (ko) 다목적 페트병따개
KR200275403Y1 (ko) 병뚜껑 오프너
US20150013823A1 (en) Dispensing Device For Maintaining Carbonation In Container
US11008139B2 (en) Ergonomic cap remover
KR20100004940U (ko) 다기능 오프너
CN220148056U (zh) 一种采用硅橡胶复合结构的酒瓶盖
KR20120001097U (ko) 병뚜껑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음용수 병
JP4088940B2 (ja) 密封容器のネジ蓋開封具
KR200328731Y1 (ko) 음료수병 뚜껑
WO2007135560A2 (en) Stopper for bottles or receptacles of various kind
KR20170001533U (ko) 병뚜껑 개방수단이 구비된 소주잔
JP2004043008A (ja) コップ付ペットボトル
KR200214367Y1 (ko) 병따개
KR200323811Y1 (ko) 다용도 병따개
KR900001166Y1 (ko) 병뚜껑 따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