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737Y1 -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737Y1
KR200351737Y1 KR20-2004-0004171U KR20040004171U KR200351737Y1 KR 200351737 Y1 KR200351737 Y1 KR 200351737Y1 KR 20040004171 U KR20040004171 U KR 20040004171U KR 200351737 Y1 KR200351737 Y1 KR 200351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el bar
slab
bridge
urethane foam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경
Original Assignee
(주)다산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산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다산컨설턴트
Priority to KR20-2004-0004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7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7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8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with extending protrusions, e.g. discs, segments, ridges, fingers or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2013/0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시공중 접속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한 다웰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 보강재를 설치후 우레탄 발포재와 외부 캡만 설치하는 간단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기존 시설과 같이 양생 기간이 필요없으며, 외부 원형 띠철근과 바닥 철근의 제작이 필요없어 시공이 간단하고 공사 기간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교대의 후방에 접속 슬래브를 시공시 사용되는 다웰바에 있어서, 상기 교대에는, 후방면에 접속 슬래브가 설치되는 경우 접속판이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다웰바(700)는, 접속판(250)이 교대의 후방과 바닥면(100)에 설치되고, 그 바닥면(100)에 내부 보강재(200)가 입설되며, 그 내부 보강재(200)의 외측에 2개 1조로 구성된 우레탄 발포제(300)가 밀착되며, 그 우레탄 발포제(300)의 외측에 외부 캡(400)이 씌어지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DOWEL BAR ASSEMBLY STRUCTURE OF CONNECT CONCRETE FOR BRIDGE}
본 고안은 교량의 시공중 접속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한 다웰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 보강재를 설치후 우레탄 발포재와 외부 캡만 설치하는 간단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기존 시설과 같이 양생 기간이 필요없으며, 외부 원형 띠철근과 바닥 철근의 제작이 필요없어 시공이 간단하고 공사 기간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웰바(40)는, 도 1에 도시되듯이, 교대(10)에 상판 슬래브(20)가 교좌 장치(30)를 매개로 안착될 때, 그 후방에 접속 슬래브(50)를 형성할 때 설치되는 바, 접속 슬래브(50)가 없는 경우, 상판 슬래브(20)와 연접되는 도로면이 하부로 침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다웰바(40)는, 내부 강봉(42)을 설치후 외부 커버(44)를 씌우고 내부에 아스팔트 충진홀(45)을 통해 아스팔트(46)를 충진하며, 외부에 바닥 철근(48)과 원형 띠철근(47)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 다웰바(40)는, 자재의 제작이 어렵고, 아스팔트 충진의 양생 기간으로 인해 공사 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내부 보강재를 설치후 우레탄 발포재와 외부 캡만 설치하는 간단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기존 시설과 같이 양생 기간이 필요없으며, 외부 원형 띠철근과 바닥 철근의 제작이 필요없어 시공이 간단하고 공사 기간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교량의 접속 슬래브와 다웰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웰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다웰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웰바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바닥면 200: 내부 보강재
250: 접속판 300: 우레탄 발포제
400: 외부 캡 700: 다웰바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교대의 후방에 접속 슬래브를 시공시 사용되는 다웰바에 있어서, 상기 교대에는, 후방면에 접속 슬래브가 설치되는 경우 접속판이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다웰바는, 접속판이 교대의 후방과 바닥면에 설치되고, 그 바닥면에 내부 보강재가 입설되며, 그 내부 보강재의 외측에 2개 1조로 구성된 우레탄 발포제가 밀착되며, 그 우레탄 발포제의 외측에 외부 캡이 씌어지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웰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웰바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웰바(700)는, 접속판(250)이 교대의 후방과 바닥면(100)에 설치되고, 그 바닥면(100)에 내부 보강재(200)가 입설되며, 그 내부 보강재(200)의 외측에 2개 1조로 구성된 우레탄 발포제(300)가 밀착되며, 그 우레탄 발포제(300)의 외측에 외부 캡(400)이 씌어지면서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내부 보강재(200)는, 상단에 3단으로 원형틀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우레탄 발포제(300)는, 2개 1조로 형성되고, 내측에 내부 부력방지 홈부(310)가 형성되어 원형틀부(210)에 밀착되며, 또한 상기 외부 캡(400)은, 하부에 슬라이딩 플레이트(410)가 형성되고, 외부에 원형 돌기(420)가 다수개 형성되어 접속 슬래브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된다.
상기 접속판(250)은, 'ㄴ'자 형태로, 각각 앵커(252)가 다수개 형성되고, 수평한 관통홀(254)이 형성되어, 그 관통홀(254)을 통해 내부 보강재(200)가 삽입고정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다웰바(700)는, 도시된 도 3과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와 같이 원형 띠철근 및 바닥 철근이 불필요하고, 내부에 아스팔트를 충진하지 않는 구조로 설치되는 한편, 내부 보강재(200)의 상부에 우레탄 발포제(300)가 밀착되고, 그 외부에 외부 캡(400)이 설치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바, 그 외부 캡(400)의 원형 돌기(420)에 의하여 접속 슬래브의 콘크리트와 견고하게 밀착되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웰바는, 그 구조상 아스팔트의 시공이 불필요하고, 원형 띠철근과 바닥 철근이 불필요하여 시공이 간단하므로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교대의 후방에 접속 슬래브를 시공시 사용되는 다웰바에 있어서,
    상기 교대에는, 후방면에 접속 슬래브가 설치되는 경우 접속판이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다웰바(700)는, 접속판(250)이 교대의 후방과 바닥면(100)에 설치되고, 그 바닥면(100)에 내부 보강재(200)가 입설되며, 그 내부 보강재(200)의 외측에 2개 1조로 구성된 우레탄 발포제(300)가 밀착되며, 그 우레탄 발포제(300)의 외측에 외부 캡(400)이 씌어지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강재(200)는, 상단에 원형틀부(210)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우레탄 발포제(300)는, 2개 1조로 내측에 내부 부력방지 홈부(310)가 형성되어 원형틀부(210)에 밀착되며,
    또한 상기 외부 캡(400)은, 하부에 슬라이딩 플레이트(410)가 형성되고, 외부에 원형 돌기(420)가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접속판(250)은, 'ㄴ'자 형태로, 각각 앵커(252)가 다수개 형성되고, 수평한 관통홀(254)이 형성되어, 그 관통홀(254)을 통해 내부 보강재(200)가 삽입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
KR20-2004-0004171U 2004-02-18 2004-02-18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 KR200351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71U KR200351737Y1 (ko) 2004-02-18 2004-02-18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71U KR200351737Y1 (ko) 2004-02-18 2004-02-18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628A Division KR100555217B1 (ko) 2004-02-18 2004-02-18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737Y1 true KR200351737Y1 (ko) 2004-06-01

Family

ID=4934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171U KR200351737Y1 (ko) 2004-02-18 2004-02-18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7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695B1 (ko) 조립식 교각
KR101890860B1 (ko) 이중 피씨벽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벽체 시공 방법
KR20080087778A (ko) 교량용 프리캐스트 기초부의 시공 방법
US20140196397A1 (en) Insulated building block and wall structure
KR20060010696A (ko) 조립 후 분할타설 방식의 중공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슬래브 구조물
RU2293162C1 (ru) Блок для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100776774B1 (ko) 강재 덕트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세그먼트의 제작방법
KR200351737Y1 (ko)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
KR100555217B1 (ko)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
KR101142183B1 (ko) 더블티 슬래브 시스템에서 보-슬래브 접합부의 일체성을 강화하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94673A (ko)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40376B1 (ko) 선단부 캡을 이용한 구조물 기초슬래브와 강관말뚝 두부의 결합 구조 및 결합 시공 방법
KR102580530B1 (ko) 소켓식 탄성덕트 커플러를 구비한 조립식 교량 하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42021B1 (ko) 중공슬래브용 프리캐스트 모듈러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중공방식의 프리캐스트 모듈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265397B1 (ko) 현장타설형 조립식 암거
KR100674080B1 (ko) 교량용 교각 설치공법
KR102125808B1 (ko)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
KR102267643B1 (ko)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696910B1 (ko)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옹벽블록제작방법
KR200400855Y1 (ko) 중공 구조를 갖는 하프 슬래브
KR200365445Y1 (ko) 조립 후 분할타설 방식의 중공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슬래브 구조물
KR101059457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090044961A (ko)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JPS5926741B2 (ja) 基礎築造装置
KR100501485B1 (ko) 건축물 콘크리트 바닥 보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