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277Y1 - 자석장식 - Google Patents

자석장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277Y1
KR200351277Y1 KR20-2004-0003983U KR20040003983U KR200351277Y1 KR 200351277 Y1 KR200351277 Y1 KR 200351277Y1 KR 20040003983 U KR20040003983 U KR 20040003983U KR 200351277 Y1 KR200351277 Y1 KR 200351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ame
magnet
decorativ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만호
Original Assignee
송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만호 filed Critical 송만호
Priority to KR20-2004-0003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2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제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본체에 있어서, 액자 또는 시계, 온도계, 습도계의 편리한 사용과 장식적인 효용을 극대화한 자석장식에 관한 것으로서, 장식적 효과를 갖는 입체구조와 수직면 위에서 부착의 안전성을 갖는 구조의 자석장식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자석액자에서 장식적 효용성을 갖기 어려웠던 문제와 배면의 열악한 자석구성으로 철제의 수직면 위에서 안전성이 결여된 문제, 종래의 자석시계에서 시계의 셋팅과 전지의 교환 시에 수반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 등을 해결한 것으로서, 내용물이 놓여지는 안치면과 주위의 여백면이 장식적 입체관계로 설정되도록 본체 정면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볼록플레이트 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오목플레이트 위에 액자틀이 끼워져 착탈되도록 구성하여 장식적인 효과가 구현되도록 구조화한 것으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석장식{.}
본 고안은 철제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본체에 있어서, 액자 또는 시계, 온도계, 습도계의 편리한 사용과 장식적인 효용을 극대화한 자석장식에 관한 것으로서, 장식적 효과를 갖는 입체구조와 수직면 위에서 부착의 안전성을 갖는 구조의 자석장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자석액자에서 장식적 효용성을 갖기 어려웠던 문제와 배면의 열악한 자석구성으로 철제의 수직면 위에서 안전성이 결여된 문제, 종래의 자석시계에서 시계의 셋팅과 전지의 교환 시에 수반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 등을 해결한 자석장식에 관한 것이다.
액자란 사진 등을 넣어 장식적으로 사용하는 물품이어서 액자가 내용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이것은 액자에 의해 장식적인 역할이 주도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액자는 단순히 내용물을 담는 수단이 되어서는 안되고, 장식적으로 효용될 수 있는 구조 위에 있어야 한다.
종래의 자석액자는 구조나 모양이 매우 단순하고 조잡한데, 이것은 장식적인 효용보다는 광고나 판촉물을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 위에서는 장식적인 효과를 구현시키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종래 자석액자가 지니고 있는 단순한 구조에서 찾을 수 있다.
종래의 자석액자는 내용물이 놓여지는 면과 본체의 면, 즉, 안치면과 여백면의 관계가 일정한 범위로 제한되는데, 이것은 안치면과 여백면이 수평을 이루거나 안치면이 여백면보다 조금 낮은 상태의 진부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통상의 구조가 갖는 안치면과 여백면의 관계로는 장식적인 효용을 이루기 어려운데, 일예로서 공개실용 94-21864의 냉장고에 부착되는 액자나 공개실용 95-32093의 자석이 부착된 일체형 액자가 있으며, 예시 외의 경우에도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은 통상의 범위를 갖는다.
자석액자에 있어서, 구조가 갖는 장식적인 효용성이란 단순히 내용물을 담는 수단이나 의장이 아니며, 구조자체가 장식적인 효용에 기여되거나 장식적인 효과를 갖는 구조를 의미한다.
왜냐하면, 자석액자는 궁극적으로 내용물을 장식적으로 표현하는 일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상의 자석액자가 지니는 구조, 즉, 내용물이 놓여지는 안치면과 주위의 여백면 관계가 일정한 범위로 제한되는 종래의 구조로는 장식적인 효용성을갖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석액자의 목적은 사진을 수납하여 철제의 수직면 위에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데에 있으며, 이러한 편리함이 제공되려면 구조적으로 결함이 없어야 한다.
왜냐하면, 구조적인 결함은 액자의 수납방법이 어떠하든 편리성의 존재를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충격에 약한 재료로 되어 있어 낙하나 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물품 중의 하나이다.
만약, 자석액자가 배면의 열악한 자석구성으로 인한 안전성의 결여로 쉽게 떨어져 파손의 문제가 발생된다면, 그 고안의 목적과 편리성은 더 이상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된다.
자석액자란 자석의 힘에 의존되고 그것에 의해 문제발생이 좌우되는 물품이기 때문에 배면에서 자석이 어떤 구조로 어떻게 구성되는가 하는 문제는 가장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철제의 수직면 위에 부착되는 자석액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구성이어야 비로소 고안의 의미와 목적이 달성된다고 해야 할 것이다.
자석액자의 낙하문제는 배면에 자석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에 달려 있는데, 이러한 자력과 부착의 관계는 작은 면적의 자석이 지니는 자력에 의해 부착의 안전이 지배되는 것이 아니라, 자석의 면적에 의해 지배된다는 사실이다.
왜냐하면, 자석이 지니고 있는 자력은 대체로 일정한 범위 안에 놓여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력과 부착의 관계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배면의 면적과 자석면적이 동일할 때에 부착의 안전성이 가장 보장된다는 사실이며, 배면의 면적으로부터 자석면적이 작으면 작을 수록 부착의 안전성이 상실되어 낙하문제의 발생이 커진다는 사실이다.
철제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종래 자석액자의 일예로는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73658호의 부착식 액자,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58068호의 사진의 결합이 용이한 액자,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14219호의 액자,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70217호의 사진교환이 간편한 자석부착식 액자 등 있는데, 명세서를 비롯한 도면, 청구범위를 통해 배면의 자석구성을 살펴보면, 배면의 면적으로부터 자석면적이 1/10도 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자석이 배면의 일부에만 착설되는 구조임을 명확히 알 수 있는데, 예시된 외의 경우에서도 이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자석이 배면의 일부에만 착설되는 종래 자석액자는 부착의 안전성이 결여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석이 작은 면적으로 배면 일부에 구성되는 종래 구조에서는 부착의 안전성 결여로 인해 낙하문제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를 피할 수 없고, 그로인해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것은 당연하다 해야 할 것이다.
특히, 냉장고와 같이 수시로 여닫는 철제품의 수직면 위에서 사용되는 조건과 낙하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는 물품의 특성을 주지하여 볼 때에, 종래의 자석액자는 낙하나 파손의 우려가 매우 높아 근본적으로 개량되어야 할 문제들을 안고 있다.
시계나 온도계 또는 습도계란 주어진 공간에서 시간이나 온도 또는 습도를 체크하기 위한 물품이다.
통상의 경우, 시계나 온도계 또는 습도계는 다수의 사람이 자유롭게 볼 수 있도록 벽에 걸어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흔들림이 없는 육상공간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한다.
왜냐하면, 해상에서와 같이 흔들림이 심한 선박에서 사용하는 경우 낙하나 파손 등의 문제로 벽에 거는 구조로는 사용이 어렵기 때문이다.
육상의 공간일지라도 빈번하게 이동이 요구되는 조건에서는 사용시마다 벽에 못을 박아 설치할 수는 없으며, 공간이 매우 협소하고 열악한 환경의 주방과 같은 곳에서는 벽에 거는 통상의 구조가 사용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어려운 특수조건이나 특정공간에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매우 유익하고 효용성을 갖는 물품이 될 것이다.
시계는 셋팅과 전지의 교환이 요구되는 물품이다.
만약, 시계의 셋팅이나 전지의 교환 시마다 불합리한 구조로 인해 번거로운 과정이 수반된다면 매우 불편한 일이 될 것이다.
따라서, 시계는 무엇보다 편리한 사용이 전제되어야 하고, 또한 그러한 구조 위에 있어야 한다.
종래의 자석시계로는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09469호의 장식홀더가 있는데, 이것은 시계본체가 홈 안에 삽입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이 시계의 셋팅이나 전지의 교환 시마다 시계본체를 홈 밖으로 꺼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수반되고 있으며, 시계본체가 홈 안에 꽉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밖으로 빼내는 일도 어려운 과정 속에 있다.
또한, 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부가 홈 안에 위치되는 구조적 제한으로 넓은 표시부를 갖지 못하게 되는데, 이것은 정면에 넓은 표시부를 요구하는 시계의 구현을 어렵게 한다.
본 고안은 종래 자석액자가 지니고 있는 상기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체를 입체구조로 갖추어 장식적으로 효용되도록 하였는데,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종래 자석액자의 안치면과 여백면의 관계가 일정한 범위로 제한되는 문제, 즉, 안치면과 여백면이 수평을 이루거나 안치면이 여백면보다 조금 낮은 상태의 진부한 구조를, 본 고안은 철제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본체에 있어서, 본체 정면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볼록플레이트 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오목플레이트 위에 액자틀이 끼워져 착탈되도록 구성하여 내용물이 놓여지는 안치면(A)과 주위의 여백면(B)이 장식적 입체관계로 설정되도록 하여 해결하였다.
이것은 상이한 두께를 갖는 다수의 볼록플레이트 또는 상이한 깊이를 갖는 다수의 오목플레이트에 의해 안치면(A, A1, A2, A3)과 여백면(B)이 다양한 입체관계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입체구성은 본체 위에서 각각 대응되는 안치면과 여백면의 관계는 물론이고, 상이한 두께 또는 상이한 깊이를 갖는 각각의 안치면 상호간에도 입체적인 장식효과로 구현된다.
여기에 상이한 형태로 된 다수의 볼록플레이트나 다수의 오목플레이트 구성은 이러한 장식적인 효용을 배가시키게 되는데, 이것은 내용물이 놓여지는 안치면이 단일의 형태와 위치를 갖게 되는 통상의 자석액자구조와 비교해 볼 때에 본 고안의 장식적인 효용범위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래 자석액자가 가지는 통상적인 개념은 냉장고 등의 철제품 위에 부착시키는 수단의 범위에 한정되어 있다.
즉, 냉장고 등의 철제품 위에서 자석액자의 이동은 단순한 이동일 뿐, 그것이 어떤 장식적인 효과로 구현되거나 장식적으로 재창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장식적인 요소의 범위가 액자자체로 한정되어 있어 액자의 이동이나 배치로 변화되는 장식적인 효과가 본체로 수용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장식적인 효과가 본체에 수용되도록 본체 위의 볼록플레이트를 분리시켜 자유로운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본체 위에서 다양한 장식적인 효과를 갖게 하였는데, 이러한 볼록플레이트의 이동이나 배치는 장식적 입체설정에 변화를 주게 되어 본체 위에 새로운 입체로 재구성되어 장식적인 효과로 수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체의 정면을 철로 형성하고 볼록플레이트 또는 프레임의 배면을 자석으로 구성하여 볼록플레이트 또는 프레임이 본체 정면에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하여 장식적으로 효용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수직면 위에서 부착의 안전성 결여로 인해 발생되는 종래 자석액자의 낙하나 파손 등의 문제를 해결하였는데, 즉, 배면의 면적으로부터 자석면적이 1/10도 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자석이 배면의 일부에만 착설되는 종래 자석액자의구조를, 배면의 자석을 배면의 면적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수직면 위에서 부착의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 자석시계가 지니고 있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체의 정면을 넓은 표시부로 구성하고 배면에 시계본체를 형성하여 시계의 셋팅과 전지의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는데,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시계본체가 홈 안에 위치되어 시계의 셋팅과 전지의 교환 시마다 시계본체를 홈 밖으로 빼내야 하는 종래의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와 시계본체가 홈 안에 꽉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어 밖으로 빼내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 그리고 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부가 홈 안에 위치되는 구조적 제한으로 넓은 표시부를 갖지 못하는 문제를, 본 고안은 철제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본체에 있어서, 본체 정면에 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부를 형성하고, 시계축이 삽입되도록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고, 홀 안으로 시계축이 삽입되는 시계본체를 배면에 구성하여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것은 본체의 배면에 시계본체가 구성되어 시계의 셋팅과 전지의 교환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시계본체를 홈 밖으로 빼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해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본체 정면에 넓은 표시부를 갖게 되어 표시부의 다양한 디자인과 표현이 가능한 장점을 아울러 가지게 된다.
본 고안을 도면과 함께 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안치면이 여백면보다 돌출된 장식적 입체관계를 갖도록 볼록플레이트가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1 사시도
도2는 볼록플레이트 위에 액자틀이 끼워지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4 사시도
도3은 상이한 두께를 갖는 다수의 볼록플레이트가 본체 정면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9 사시도
도4는 상이한 두께와 상이한 형태를 갖는 다수의 볼록플레이트가 본체 정면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9 사시도
도5는 본체 정면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볼록플레이트 위에 액자틀이 끼워지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10 사시도
도6은 여백면이 안치면보다 돌출된 장식적 입체관계를 갖도록 일정한 깊이를 갖는 오목플레이트 위로 액자틀이 끼워져 착탈되도록 구성되고, 본체 외곽에 형성된 프레임에 의해 이중액자로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6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실시예6 분해사시도
도8은 여백면이 안치면보다 돌출된 장식적 입체관계를 갖도록 상이한 깊이와 상이한 형태를 갖는 다수의 오목플레이트 위로 액자틀이 끼워져 착탈되도록 구성되고, 본체 외곽에 형성된 프레임에 의해 이중액자로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8 사시도
도9는 배면의 전면에 자석을 갖는 프레임이 본체 정면에서 자력으로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11 사시도
도10은 본체와 프레임이 곡면으로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11 사시도
도11은 프레임 배면의 돌출부가 본체 정면의 홈에 끼워져 착탈되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12 사시도
도12는 본 고안의 실시예12 배면사시도
도13은 본체의 정면 가장자리 지주로 프레임이 결합되어 일측이 개방된 홈 안에 내용물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13 분해사시도
도14는 본체와 프레임을 곡면으로 구성하여 일측이 개방된 곡면의 홈 안으로 내용물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13 사시도
도15는 중앙부가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된 본체의 배면 가장자리 지주에 턱부가 형성되고, 배면의 전면에 자석을 갖는 배면플레이트가 본체의 배면 일측에서 턱부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14 사시도
도16은 본체의 정면에 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부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15 사시도
도17은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홀 안으로 시계축이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15 분해사시도
도18은 배면에 시계본체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15 배면사시도
도19는 본체의 정면에 온도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16 사시도
도20은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홀 안으로 온도계축이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16 분해사시도
도21은 배면에 온도계본체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16 배면사시도
도22는 본체의 정면에 습도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17 사시도
도23은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홀 안으로 습도계축이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17 분해사시도
도24는 배면에 습도계본체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17 배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5 : 자석
20 : 볼록플레이트 25 : 오목플레이트
30a, 30b : 액자틀 35a, 35b, 35c, 35d : 프레임
40a, 40b : 지주 45a, 45b, 45c : 홈
50 : 턱부 55 : 배면플레이트
60 : 돌출부 65 : 철
70 : 시계축 75 : 온도계축
80 : 습도계축 85a, 85b, 85c : 홀
90 : 시계본체 95 : 온도계본체
100 : 습도계본체 105a, 105b, 105c : 표시부
110 : 정면 115 : 배면
A, A1, A2, A3 : 안치면 B : 여백면
C : 내용물삽입방향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1은, 철제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본체에 있어서, 본체(10)는 내용물이 놓여지는 안치면(A)이 주위의 여백면(B)보다 돌출된 장식적 입체관계를 갖도록 정면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볼록플레이트(20)가 구성된다.
이것은 종래 자석액자가 지니는 통상의 입체장식범위, 즉, 안치면과 여백면의 관계가 일정한 범위로 제한되어 안치면과 여백면이 수평을 이루거나 안치면이 여백면보다 조금 낮은 상태의 진부한 구조를 넘게 되는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플레이트의 구성으로 안치면이 여백면보다 돌출된 입체관계로 설정되어 새로운 장식적인 효과를 갖고 구현되기 때문이다.
내용물은 볼록플레이트 위에서 배면을 접착면으로 하여 붙여지거나 인쇄되어 표현된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2는, 상기 실시예1 구조에 있어서, 안치면(A)과 여백면(B), 안치면(A) 상호간에 다양한 장식적 입체관계가 설정되도록 상이한 두께를 갖는 다수의 볼록플레이트(20)가 구성된다.
이것은 본체 위에서 각각 대응되는 안치면과 여백면의 입체관계는 물론이고, 상이한 두께를 갖는 각각의 안치면 상호간에 입체적인 장식효과가 구현된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3은, 상기 실시예1 구조에 있어서, 안치면(A)과 여백면(B), 안치면(A) 상호간에 다양한 입체 및 형태관계가 장식적으로 설정되도록 상이한 형태와 두께를 갖는 다수의 볼록플레이트(20)가 구성된다.
이것은 종래 자석액자가 지니는, 즉, 내용물이 놓여지는 안치면이 단일의 형태와 위치를 갖는 통상의 자석액자구조의 범위를 넘게 되는데, 본체 위에서 각각 대응되는 안치면과 여백면의 입체 및 형태관계는 물론이고, 각각의 안치면 상호간에 입체 및 형태가 갖는 대비적 장식효과가 구현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4는, 상기 실시예1, 2, 3 구조에 있어서, 볼록플레이트(20) 정면에 액자틀(30a)이 끼워져 구성된다.
이것은 종래 자석액자가 지니는 통상의 액자범위, 즉, 본체의 가장자리 둘레를 프레임으로 한 상태로 된 진부한 구조를 넘게 되는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플레이트 정면에 액자틀이 끼워져 중앙부의 입체장식관계로 설정되어 새로운 장식적인 효과를 갖고 구현되기 때문이다.
내용물은 볼록플레이트와 액자틀 사이에 수납되어 용이하게 교환된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5는, 철제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본체에 있어서, 본체(10)는 주위의 여백면(B)이 내용물이 놓여지는 안치면(A)보다 돌출된 장식적 입체관계를 갖도록 정면에 일정한 깊이를 갖는 오목플레이트(25)가 형성되고, 그 위로 액자틀(30b)이 끼워져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6은, 상기 실시예5 구조에 있어서, 본체 외곽으로 프레임(35a)이 구성된다.
이것은 통상의 자석액자구조 범위를 넘게 되는데, 도6,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플레이트의 구성으로 여백면이 안치면보다 돌출된 입체관계로 설정되고, 오목플레이트 위로 끼워져 착탈되는 액자틀과 본체 외곽에 형성된 프레임에 의해 이중액자로 구성되어 새로운 장식적인 효과로 구현되기 때문이다.
내용물은 오목플레이트와 액자틀 사이에 수납되어 용이하게 교환된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7은, 상기 실시예6 구조에 있어서, 안치면(A)과 여백면(B), 안치면(A) 상호간에 다양한 장식적 입체관계가 설정되도록 상이한 깊이를 갖는 다수의 오목플레이트(25)가 구성된다.
이것은 본체 위에서 각각 대응되는 안치면과 여백면의 입체관계는 물론이고, 상이한 깊이를 갖는 각각의 안치면 상호간에 입체적인 장식효과가 구현된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8은, 상기 실시예6 구조에 있어서, 안치면(A)과 여백면(B), 안치면(A) 상호간에 다양한 입체 및 형태관계가 장식적으로 설정되도록 상이한 형태와 깊이를 갖는 다수의 오목플레이트(25)가 구성된다.
이것은 종래 자석액자가 지니는, 즉, 내용물이 놓여지는 안치면이 단일의 형태와 위치를 갖는 통상의 자석액자구조의 범위를 넘게 되는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위에 각각 대응되는 안치면과 여백면의 입체 및 형태관계는 물론이고, 각각의 안치면 상호간에 입체 및 형태가 갖는 대비적 장식효과가 구현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9는, 상기 실시예1, 2, 3 구조에 있어서, 본체(10)의 정면이 철(65)로 형성되고, 볼록플레이트(20)의 배면이 자석(15)으로 구성되어, 볼록플레이트(20)가 본체 정면에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도3,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와 볼록플레이트를 분리시켜 본체 위에서 자유로운 이동과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로서, 볼록플레이트의 이동과 배치는 장식적 입체설정에 변화를 주고 본체 위에서 새로운 입체로 재구성되어 장식적인 효과로 수용된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10은, 상기 실시예9 구조에 있어서, 볼록플레이트(20) 정면에 액자틀(30a)이 끼워져 구성된다.
이것은 종래 자석액자가 지니는 통상의 액자범위, 즉, 본체의 가장자리 둘레를 프레임으로 한 상태로 된 진부한 구조를 넘게 되는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플레이트 정면에 액자틀이 끼워져 중앙부의 장식관계로 설정되어 새로운 장식적인 효과를 갖고 구현되기 때문이다.
내용물은 볼록플레이트와 액자틀 사이에 수납되어 용이하게 교환된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11은, 철제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본체에 있어서, 본체(10)는 정면에 프레임(35b)이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본체의 정면이 철(65)로 형성되고, 배면의 전면에 자석(15)을 갖는 상기 프레임이 본체 정면에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이 본체 위에 부착되는 구조로서 내용물이 프레임과 본체 사이에 수납되어 용이하게 교환된다.
상기 실시예 구조는 본체 위에 다수의 프레임이 자력으로 부착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와 프레임을 곡면으로 구성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곡면 위에 수납되는 내용물은 곡면으로 표현되어 장식적인 효과로 구현된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12는, 철제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본체에 있어서, 본체(10)는 정면에 프레임(35c)이 착탈되도록 프레임 돌출부가 끼워지는 홈(45a)이 형성되고, 배면에 돌출부(60)를 갖는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돌출부가 본체의 홈에 끼워져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도11,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이 본체 위에 돌출부와 홈의 관계로 끼워져 부착되는 구조로서 내용물이 프레임과 본체 사이에 수납되어 용이하게 교환되며, 내용물이 견고하게 고착되어 흔들림이 심한 조건이나 공간에서 편리하게 사용된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13은, 철제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본체에 있어서, 본체(10)는 정면 가장자리를 지주(40a)로 하여 일측이 개방된 홈(45b)이 형성되고, 지주 정면에 프레임(35d)을 결합시켜 일측에서 내용물이 홈 안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본체 배면의 전면이 자석(15)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번한 내용물 교환 시에도 편리성이 유지되도록 내용물이 일측에서 삽입되는 수납구조를 갖고 있으며, 수납구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내용물이 손쉽게 수납되고 교환된다.
또한,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와 프레임을 곡면으로 구성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곡면 사이의 홈으로 수납되는 내용물은 곡면으로 표현되어 장식적인 효과로 구현된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14는, 본체(10)는 중앙부가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되고, 배면 가장자리를 지주(40b)로 하여 일측이 개방된 홈(45c)이 형성되고, 지주에 턱부(50)가 형성되고, 배면의 전면에 자석(15)을 갖는 배면플레이트(55)가 본체의 배면 일측에서 턱부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의 전면에 자석을 갖는 배면플레이트가 본체의 배면 일측에서 턱부 안의 홈으로 삽입되는 구조로서 배면플레이트의 개폐로 내용물이 용이하게 수납, 교환되며, 내용물이 견고하게 고착되어 흔들림이 심한 조건이나 공간에서 편리하게 사용된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15는, 철제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본체에 있어서, 본체(10)는 정면에 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부(105a)가 형성되고, 시계축(70)이 삽입되도록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는 홀(85a)이 형성되고, 홀 안으로 시계축이 삽입되는 시계본체(90)가 배면에 구성된다.
이것은 도16, 도17,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정면을 넓은 표시부로 구성하고 본체의 배면에 시계본체를 형성하여 시계의 셋팅과 전지의 교환이 배면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16은, 도19, 도20,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제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본체에 있어서, 본체(10)는 정면에 온도를 나타내는 표시부(105b)가 형성되고, 온도계축(75)이 삽입되도록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는 홀(85b)이 형성되고, 홀 안으로 온도계축이 삽입되는 온도계본체(95)가 배면에 구성된다.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실시예17은, 도22, 도23,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제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본체에 있어서, 본체(10)는 정면에 습도를 나타내는 표시부(105c)가 형성되고, 습도계축(80)이 삽입되도록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는 홀(85c)이 형성되고, 홀 안으로 습도계축이 삽입되는 습도계본체(100)가 배면에 구성된다.
본 고안은 철제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본체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지니게 된다.
안치면이 여백면보다 돌출된 본체가 갖는 입체적 장식효과.
상이한 두께로 대응하는 다수의 안치면과 여백면이 갖는 본체의 입체적 장식효과를 포함한 상이한 두께의 안치면 상호간 입체적 장식효과.
상이한 형태 및 두께로 대응하는 다수의 안치면과 여백면이 갖는 본체의 입체 및 형태적 장식효과를 포함한 상이한 형태 및 두께의 안치면 상호간 입체 및 형태가 갖는 대비적 장식효과.
액자틀이 끼워진 볼록플레이트가 갖는 본체의 장식적 효과 및 내용물 수납의 용이성과 교환의 편리성.
여백면이 안치면보다 돌출된 본체가 갖는 입체적 장식효과 및 이중액자의 입체적 장식효과.
상이한 깊이로 대응하는 다수의 안치면과 여백면이 갖는 본체의 입체적 장식효과를 포함한 상이한 깊이의 안치면 상호간 입체적 장식효과.
상이한 형태 및 깊이로 대응하는 다수의 안치면과 여백면이 갖는 본체의 입체 및 형태적 장식효과를 포함한 상이한 형태 및 깊이의 안치면 상호간 입체 및 형태가 갖는 대비적 장식효과.
오목플레이트 위에 끼워져 착탈되는 액자틀이 갖는 본체의 장식적 효과 및 내용물 수납의 용이성과 교환의 편리성.
분리된 볼록플레이트의 자유로운 이동과 배치의 설정으로 본체 위에서 입체적 변화와 재구성되는 장식적 효과.
본체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프레임이 갖는 내용물 수납의 용이성과 교환의 편리성.
곡면의 본체와 프레임이 갖는 곡면 표현의 내용물 장식적 효과.
흔들림이 심한 조건에서도 내용물이 견고하게 고착되는 사용의 편리성.
외부로 노출된 수납구조가 갖는 내용물 교환의 편리성.
시계 셋팅과 전지 교환의 용이성 및 넓은 표시부를 갖는 본체의 장식효과.

Claims (13)

  1. 철제 위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본체에 있어서, 본체(10)는 내용물이 놓여지는 안치면(A)이 주위의 여백면(B)보다 돌출된 장식적 입체관계를 갖도록 정면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볼록플레이트(20)가 형성되고, 본체의 배면이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장식.
  2. 제1항에 있어서, 볼록플레이트(20) 정면에 액자틀(30a)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장식.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는 안치면(A)과 여백면(B), 안치면(A) 상호간에 다양한 장식적 입체관계가 설정되도록 정면에 상이한 두께를 갖는 다수의 볼록플레이트(2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장식.
  4.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의 정면이 철(65)로 형성되고, 볼록플레이트(20)의 배면이 자석(15)으로 구성되어, 상기 볼록플레이트(20)가 본체 정면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장식.
  5.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주위의 여백면(B)이 내용물이 놓여지는 안치면(A)보다 돌출된 장식적 입체관계를 갖도록 정면에 일정한 깊이를 갖는 오목플레이트(25)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플레이트 위로 액자틀(30b)이 끼워져 착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장식.
  6. 제5항에 있어서, 본체 외곽으로 프레임(35a)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장식.
  7.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정면에 프레임(35b)이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본체의 정면이 철(65)로 형성되고, 배면의 전면에 자석(15)을 갖는 상기 프레임이 본체 정면에서 자력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장식.
  8.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정면에 프레임(35c)이 착탈되도록 프레임 돌출부가 끼워지는 홈(45a)이 형성되고, 배면에 돌출부(60)를 갖는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돌출부가 본체의 홈에 끼워져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장식.
  9.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정면 가장자리를 지주(40a)로 하여 일측이 개방된 홈(45b)이 형성되고, 상기 지주 정면에 프레임(35d)을 결합시켜 일측에서 내용물이 홈 안으로 삽입되도록 형성하고, 본체 배면의 전면이 자석(1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장식.
  10.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중앙부가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되고, 배면 가장자리를 지주(40b)로 하여 일측이 개방된 홈(45c)이 형성되고, 상기 지주에 턱부(50)가 구성되고, 배면의 전면에 자석(15)을 갖는 배면플레이트(55)가 본체의 배면 일측에서 상기 턱부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장식.
  11.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정면에 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부(105a)가 형성되고, 시계축(70)이 삽입되도록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는 홀(85a)이 형성되고, 상기 홀 안으로 시계축이 삽입되는 시계본체(90)가 배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장식.
  1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정면에 온도를 나타내는 표시부(105b)가 형성되고, 온도계축(75)이 삽입되도록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는 홀(85b)이 형성되고, 상기 홀 안으로 온도계축이 삽입되는 온도계본체(95)가 배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장식.
  13.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정면에 습도를 나타내는 표시부(105c)가 형성되고, 습도계축(80)이 삽입되도록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는 홀(85c)이 형성되고, 상기 홀 안으로 습도계축이 삽입되는 습도계본체(100)가 배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장식.
KR20-2004-0003983U 2004-02-17 2004-02-17 자석장식 KR200351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983U KR200351277Y1 (ko) 2004-02-17 2004-02-17 자석장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983U KR200351277Y1 (ko) 2004-02-17 2004-02-17 자석장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277Y1 true KR200351277Y1 (ko) 2004-05-20

Family

ID=4943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983U KR200351277Y1 (ko) 2004-02-17 2004-02-17 자석장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2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1277Y1 (ko) 자석장식
US20100011631A1 (en) Decorative display device
KR200459520Y1 (ko)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JP3145469U (ja) フォトスタンド
US8875430B2 (en) Display frame
JP3076756U (ja) 装飾用の収納ケース
CN202044194U (zh) 一种纸巾盒
CN215264389U (zh) 一种可挂壁或桌上摆放的两用钟
JP7157442B2 (ja) 叙勲用額縁
JP3136971U (ja) 額縁
CN215301747U (zh) 一种可视化花器
CN214016868U (zh) 一种围板可拆装的不锈钢展示柜
CN207707677U (zh) 手表架
KR20120006999U (ko) 액자
US20040257916A1 (en) Clock with an inserted base
JP3123040U (ja) 収納箱付額縁
CA2487972A1 (en) Watch with hidden compartment
JPH06281753A (ja) 交換可能な装飾部材を備えたアラーム時計、壁時計またはナップザック等に装着される時計
CN209932215U (zh) 首饰展示箱
KR200387256Y1 (ko) 장식물 보관케이스
CN211195549U (zh) 一种台历
JP3015462U (ja) 時計バンドのブリスターパッケージ
JPS6337862Y2 (ko)
KR20230000935U (ko) 화폐 보관케이스를 구비한 장식용 액자
KR20230014014A (ko) 귀금속 보관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