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212Y1 - 컵 회수대 - Google Patents

컵 회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212Y1
KR200351212Y1 KR20-2004-0006285U KR20040006285U KR200351212Y1 KR 200351212 Y1 KR200351212 Y1 KR 200351212Y1 KR 20040006285 U KR20040006285 U KR 20040006285U KR 200351212 Y1 KR200351212 Y1 KR 200351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recovery table
funnel
bas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승
Original Assignee
정회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회승 filed Critical 정회승
Priority to KR20-2004-0006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2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2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3Receptacles adapted to store one or more piles of used stackable containers, e.g. beverage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tacks of articles; for special arrangements of group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20/00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20/106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56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로 만든 일회용 컵은 물론 반복 사용이 가능하게 만들어진 합성수지컵을 간편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컵 회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기대(10)와, 이 기대의 상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구(211)가 형성된 하부테(21)와 하부 외주면의 상기 결합구(211)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구(221)가 형성된 투입테(22)와 상기 결합구(211)(221)들에 하단과 상단부가 가각 결합되는 수개의 지지봉(23)으로 이루어지는 컵의 수용부(20)와, 이 수용부에 부설되며 컵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흘리지 않고 별도의 수거통에 부어 넣을 수 있게 하는 깔때기(50)를 구비하여 된다.

Description

컵 회수대{collect a stand for cup}
본 고안은 컵 회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로 만든 일회용 컵은 물론 반복 사용이 가능하게 만들어진 합성수지컵을 간편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컵 회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나 음료등의 자판기에는 종이로 만든 일회용 컵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일회용 컵은 한번 사용한 후 그대로 폐기를 하였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와 쓰레기의 발생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은 물론 내용물이 남아있는 경우 흘러나와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종이로 만든 일회용 컵 대신에 수명에 비례하여 비교적 장기간 재 사용이 가능도록 만든 합성수지(폴리프로필렌 등)컵이 제안되었는데, 이 러한 합성수지컵은 재 사용을 위해 사용한 컵은 그대로 폐기하지 않고 수거하여 세척 및 살균처리하여야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한 컵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컵 회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컵을 수거할 때 내부에 남아 있는 커피등의 내용물이 흘러나와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한 컵 회수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들은 내용물을 먹은 다음 빈 컵을 투입구에 놓기만 하면 컵이 서로 중첩되게 수거됨은 물론 내용물을 다 먹지 못할 경우에는 남아 있는 내용물을 수거통에 쏟은 다음 컵을 투입구에 놓기만 하면 되도록 한 컵 회수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컵 회수대는 다수의 컵이 중첩되게 적층되며 컵의 투입구를 갖는 수용부와 이 수용부에 부설되며 잔류 내용물을 수거하는 수거통과 컵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상기 수거통에 흘리지 않고 부어 넣을 수 있게 하는 깔대기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컵 회수대의 사시도
도 2는 동 컵 회수대의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대
20 ; 수용부
21 ; 하부테 22 ; 투입테
23 ; 지지봉 211,221 ; 결합구
30 ; 재치부
50 ; 깔때기
51 ; 결합편 511 ; 결합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컵 회수대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컵 회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컵 회수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컵 회수대는, 기대(10)와, 이 기대의 상면 일측에 부설되는 컵(1)의 수용부(20)와, 상기 기대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는 재치부(30)와, 이 재치부에 재치되는 수거통(40)과, 상기 수용부에 부설되어 컵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흘리지 않고 부어 넣을 수 있게 하는 깔때기(50)를 구비하여 된다.
수용부(20)는,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구(211)가 형성된 하부테(21)와, 하부 외주면의 상기 결합구와 일치하는 위치에 결합구(221)가 형성된 투입테(22)와, 상기 결합구들에 하단과 상단부가 결합되는 수개의 지지봉(23)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수용부(20)는 지지봉(23)들의 길이에 비례하여 컵(1)이 수용되는 수량이 조절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서, 투입테(22)를 통해 사용한 컵(1)을 투입하면 자중에 의해 수직으로 낙하되어 기대(10)의 상면, 즉, 하부테(21)의 안쪽에 놓이게 되며, 계속하여 컵(1)을 투입하면 차례로 겹쳐져 수직으로 적층된다.
이때, 지지봉(23)들은 컵(1)들이 수직으로 낙하되게 안내하는 역활도 하는 것이며, 수용부(20)내에 정량의 컵이 수용되면 상기 지지봉들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손으로 수용된 컵을 들어 올려서 투입구를 통해 인출하면 된다.
재치부(30)는 기대(10)의 상면에 소정크기로 요입 형성되며, 컵(1)에 남아있는 커피등의 내용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40)을 그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안정되게 재치할 수 있게 된다.
수거통(40)은 별도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여도 되지만, 콜라나 사이다 등과 같은 음료의 빈 패트병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깔때기(50)는 일반적인 형태로 되는 것으로서, 일측면에는 지지봉(23)의 결합홈(511)이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편(51)이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깔때기(50)는 결합홈(511)을 이용하여 지지봉(23)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설치위치를 수직방향으로 승강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하는 것은 수거통(40)의 크기에 따라 그 높낮이가 다른 것을 사용하여도 상기 깔때기의 하단부를 수거통의 주입구에 삽입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수거통의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함은 물론 교체도 용이토록 한 것이다.
한편, 결합편(51)은 하나만 부설하여도 되지만, 깔때기(50)를 안정되게 결합된 상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쌍으로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컵 회수대는, 사용한 컵(1)을 투입테(22)를 통해 투입하기만 하면 자중에 의해 하락되어 수용부(20)내에 차례로 겹쳐지게 적층되는 것으로서, 하락될 때에는 지지봉(23)들에 의해 컵이 눕혀지지 않고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낙하된다.
그리고, 컵(1)에 내용물이 남아있을 때에는 깔때기(50)에 모두 부어주면 수거통(40)내로 수거되며, 이 후 빈 컵은 투입테(22)를 통해 투입하면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컵(1)이 계속 투입되어 수용부(20)에 적정량이 수용되면,지지봉(23)들 사이의 틈새로 하부 컵을 잡고 들어올려서 투입테(22)를 통해 인출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컵 회수대는 한번 사용한 컵을 그대로 폐기하지 않고 간편 용이하게 수거하여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자원 및 비용의 낭비가 최대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컵에 남아있는 내용물은 부설된 수거통에 간단히 부어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게 되는 장점도 있다.

Claims (3)

  1. 기대(10)와:
    상기 기대(10)의 상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구(211)가 형성된 하부테(21)와, 하부 외주면의 상기 결합구(211)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구(221)가 형성된 투입테(22)와, 상기 결합구(211)(221)들에 하단과 상단부가 가각 결합되는 수개의 지지봉(23)으로 이루어지는 컵의 수용부(20)와;
    상기 수용부(20)에 부설되며, 컵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흘리지 않고 별도의 수거통에 부어 넣을 수 있게 하는 깔때기(50)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컵 회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10)의 상면 타측에는, 컵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수거하는 수거통을 그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안정되게 재치할 수 있는 재치부(30)가 요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컵 회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50)의 일측면에는, 상기 지지봉(23)과 결합되는 결합홈(511)이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편(51)이 수평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컵 회수대.
KR20-2004-0006285U 2004-03-09 2004-03-09 컵 회수대 KR200351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285U KR200351212Y1 (ko) 2004-03-09 2004-03-09 컵 회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285U KR200351212Y1 (ko) 2004-03-09 2004-03-09 컵 회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212Y1 true KR200351212Y1 (ko) 2004-05-20

Family

ID=4943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285U KR200351212Y1 (ko) 2004-03-09 2004-03-09 컵 회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2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2773B (zh) 用於飲料配送機之杯子運送及保持裝置
RU2488335C2 (ru) Приемник использованных капсул или контейнеров машин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жидкой пищи или напитков
RU2010106061A (ru) Подставка для чашек или других емкостей в машинах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CN103781706A (zh) 一次性奶瓶套件
US6745802B2 (en) Bottle drainage coupler
KR200351212Y1 (ko) 컵 회수대
KR200471638Y1 (ko) 일회용 컵용 컵뚜껑
KR200470650Y1 (ko) 칫솔보관이 가능한 치약 공급장치
US20120132651A1 (en) Teacup cover
DE60103220D1 (de) Flüssigkeitsdosier und -füllvorrichtung mit einem Behälterheber
JP4899225B2 (ja) コップ回収ボックス
JP4569890B2 (ja) コップ回収ボックス
KR20110003363U (ko) 원뿔형 종이컵 수거용구
CN206518241U (zh) 一种分体式易装卸收纳盒
JP2012101804A (ja) 飲料ディスペンサ用のカートリッジ容器
RU28018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штабелирования и хранения использованных стаканчиков, а также для сбора трубочек и крышек для стаканчиков и для сбора оставшейся жидкости из стаканчиков
KR200266323Y1 (ko) 종이컵 수거함
KR20150004305U (ko) 편의점용 아이스커피 제조대
KR940007985Y1 (ko) 종이컵 수거함
KR200221798Y1 (ko) 종이컵 회수용기
KR950004623Y1 (ko) 일회용 종이컵 수거함
KR20190041378A (ko)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
CN213338920U (zh) 一种自助饮药机
EP2505107A1 (en) Teacup cover
CN101564270B (zh) 改进的饮料冲泡器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