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102Y1 - 사물함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102Y1
KR200351102Y1 KR20-2004-0005777U KR20040005777U KR200351102Y1 KR 200351102 Y1 KR200351102 Y1 KR 200351102Y1 KR 20040005777 U KR20040005777 U KR 20040005777U KR 200351102 Y1 KR200351102 Y1 KR 200351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ece
block
door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형
Original Assignee
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5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1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1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Landscapes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조립이 간편하고 부품관리가 편리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사물함 록킹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사물함은 사물이 수용되는 본체의 수용공간을 개폐시키도록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20)를 구비하고, 도어의 자유단부와 접하는 본체(110)에는 걸림턱(112)이 형성되어 있다. 록킹장치는 도어에 관통하여 결합고정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132)이 형성된 고정부(131)와, 고정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체결공(134)이 형성된 고정편(133)을 가지는 고정블럭(130)과; 고정부의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41)과, 회전축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고정편(133)의 체결공(134)과 대응되는 체결공(143)이 형성된 회동편(142)을 가지는 회동블럭(140)과; 일단이 회전축의 타단부에 결합고정되며 그 타단이 걸림턱(112)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킹편(150);과 체결공에 결합되어서 고정블럭(130)에 대해 회동블럭을 록킹시키는 자물쇠(20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록킹장치는 고정블럭에 대하여 회동블럭과 록킹편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간편하고 부품관리가 편리해진다. 또한, 고정블럭과 회동블럭이 동축으로 결합되어서 각 체결공이 회전경로상에서 일치되므로 설치가 간편하다.

Description

사물함 록킹장치{A locking device for a locker}
본 고안은 사물함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조립이 간편하고 부품관리가 편리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사물함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또는 체육관등에는 개인 사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사물함이 마련되어 있고, 도난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통상 록킹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록킹장치가 설치된 일 예의 사물함이 한국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97-018415호에 개시되어 있고,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사물함이 도시되어 있다.
개시된 사물함은 본체(10)에 대해 한쌍의 도어(40)(40')가 여닫이 형태로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고, 각 도어(40)(40')의 자유단부에는 각각 체결편(20)(30)이 설치되어서 자물쇠(60)로 도어(40)(40')를 잠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사물함의 록킹장치는 각 체결편(20)(30)을 각각의 도어(40)(40')에 설치하여야 하고, 설치시에 각 체결편(20)(30)의 구멍(50)이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설치하여야 하는 설치상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분리된 체결편(20)(30)과 이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못등의 체결요소등의 부품관리가 번거롭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조립이 간편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사물함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품관리가 간편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사물함의록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록킹장치가 채용된 사물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채용된 록킹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 록킹장치가 채용된 사물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채용되는 록킹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록킹장치에 의한 록킹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록킹장치에 의한 록킹해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사물함 110...본체
111...수용공간 112...걸림턱
120...도어 130...고정블럭
131...고정부 132...관통공
133...고정편 134...체결공
140...회동블럭 141...회전축
142...회동편 143...체결공
150...록킹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사물이 수용되는 본체의 수용공간을 개폐시키도록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를 본체에 록킹 및 록킹해제시키는 사물함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자유단부와 접하는 상기 본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 관통하여 결합고정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편을 가지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부의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고정편의 체결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회동편을 가지는 회동블럭과;
일단이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에 결합고정되며 그 타단이 상기 걸림턱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킹편;과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어서 상기 고정블럭에 대해 상기 회동블럭을 록킹시키는 자물쇠;가 구비되며,
상기 자물쇠에 의한 록킹위치에서 상기 록킹편이 상기 걸림턱에 록킹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록킹장치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다각너트 및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편의 단부에 상기 다각너트에 결합되는 다각공이 형성되며, 상기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록킹편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너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블럭, 회동블럭 및 록킹편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부품관리가 편리하고, 또한 고정블럭이 도어에 관통설치된 후에 회동블럭과 록킹편이 고정블럭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조립이 간편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록킹장치가 설치된 사물함(100)을 나타낸 도 3 및 본 고안 실시예의 록킹장치를 나타낸 도 4를 참조하면, 사물함(100)은 사물(私物)이 수용되는 본체(110)의 수용공간(111)을 개폐시키도록 본체(1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20)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120)는 본 고안 실시예의 록킹장치에 의해서 본체(110)에 록킹 및 록킹해제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 실시예의 록킹장치가 적용되는 사물함(100)은 상기 도어(120)의 자유단부와 접하는 상기 본체(110)에 걸림턱(11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본 고안 실시예의 록킹장치는 상기 도어(120)의 자유단부에 인접된 위치에서 관통하여 결합고정되는 고정블럭(130)과, 상기 고정블럭(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블럭(140)과, 상기 회동블럭(140)의 단부에 결합고정되어 회동블럭(140)과 함께 회동되며 상기 걸림턱(112)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킹편(150)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블럭(130)은 상기 도어(120)에 관통하여 결합고정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132)이 형성된 고정부(131)와, 상기 고정부(13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체결공(134)이 형성된 고정편(133)을 구비한다.
상기 회동블럭(140)은 상기 고정부(131)의 관통공(1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41)과, 상기 회전축(14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고정편(133)의 체결공(134)과 대응되는 체결공(143)이 형성된 회동편(142)을 구비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41)의 단부에는 다각너트(144) 및 나사부(14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록킹편(150)의 단부에는 상기 다각너트(144)에 결합되는 다각공(1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부(145)에는 상기 록킹편(150)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너트(153)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록킹편(150)은 회동블럭(140)과 함께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참조번호 152는 와셔이다.
한편, 상기 체결공(134)(143)에 자물쇠(200)를 체결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편(150)은 걸림턱(112)에 록킹되는 위치에 있게 되며, 자물쇠(200)를 해제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럭(130)에 대하여 회동블럭(140)을 회동시키게 되면 록킹편(150)이 걸림턱(112)으로부터 록킹해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록킹장치는, 조립전에는 고정블럭(13)에 회동블럭(140)과 록킹편(150)이 결합된 상태로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하므로 부품의 분실을 방지하며 또한 부품관리가 편리해진다.
또한, 도어(120)에 관통하여 결합고정되는 고정블럭(130)에 회동블럭(140)이동축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체결공(134)(143)을 일치시키기 위한 작업을 간편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록킹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블럭(140)의 체결공(143)을 고정블럭(130)의 체결공(134)에 일치시켜서 자물쇠(200)로 잠금시킬때 회동블럭(140)이 고정블럭(130)에 고정되며, 동시에 록킹편(150)이 걸림턱(112)에 록킹되어 도어(120)의 록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200)를 해제하여 고정블럭(130)에 대하여 회동블럭(140)을 회동시키게 되면 함께 록킹편(150)이 회동되어서 걸림턱(112)으로부터 록킹해제되어 도어(120)를 오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고정블럭(130)에 대하여 회동블럭(140)과 록킹편(150)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간편하고 부품관리가 편리해진다.
또한, 상기 종래 록킹장치에서 각 체결편(20)(30)을 각각의 도어(40)(40')에 설치하여야 하고, 설치시에 각 체결편(20)(30)의 구멍(50)이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설치하여야 하는 설치상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과는 달리, 본 고안 록킹장치는 고정블럭(130)과 회동블럭(140)이 동축으로 결합되어서 각 체결공(134)(143)이 회전경로상에서 일치되므로 설치가 간편하다.

Claims (2)

  1. 사물이 수용되는 본체의 수용공간을 개폐시키도록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를 본체에 록킹 및 록킹해제시키는 사물함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120)의 자유단부와 접하는 상기 본체(110)에 걸림턱(112)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120)에 관통하여 결합고정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132)이 형성된 고정부(131)와, 상기 고정부(13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체결공(134)이 형성된 고정편(133)을 가지는 고정블럭(130)과;
    상기 고정부(131)의 관통공(1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41)과, 상기 회전축(14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고정편(133)의 체결공(134)과 대응되는 체결공(143)이 형성된 회동편(142)을 가지는 회동블럭(140)과;
    일단이 상기 회전축(141)의 타단부에 결합고정되며 그 타단이 상기 걸림턱(112)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킹편(150);과
    상기 체결공(134)(143)에 결합되어서 상기 고정블럭(130)에 대해 상기 회동블럭(140)을 록킹시키는 자물쇠(200);가 구비되며,
    상기 자물쇠(200)에 의한 록킹위치에서 상기 록킹편(150)이 상기 걸림턱(112)에 록킹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41)의 단부에 다각너트(144) 및 나사부(145)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편(150)의 단부에 상기 다각너트(144)에 결합되는 다각공(151)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145)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록킹편(150)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너트(15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록킹장치.
KR20-2004-0005777U 2004-03-04 2004-03-04 사물함 록킹장치 KR200351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777U KR200351102Y1 (ko) 2004-03-04 2004-03-04 사물함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777U KR200351102Y1 (ko) 2004-03-04 2004-03-04 사물함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102Y1 true KR200351102Y1 (ko) 2004-05-22

Family

ID=4943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777U KR200351102Y1 (ko) 2004-03-04 2004-03-04 사물함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1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095B1 (ko) 2007-12-10 2008-07-09 장선미 사물함용 자물쇠 록킹장치
US20220205292A1 (en) * 2020-12-30 2022-06-30 Ningbo Eudemon Child Protective Equipment Co., Ltd. Unlocking and locking method of cabinet lock and cabinet safety loc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095B1 (ko) 2007-12-10 2008-07-09 장선미 사물함용 자물쇠 록킹장치
US20220205292A1 (en) * 2020-12-30 2022-06-30 Ningbo Eudemon Child Protective Equipment Co., Ltd. Unlocking and locking method of cabinet lock and cabinet safety lock
US11746577B2 (en) * 2020-12-30 2023-09-05 Ningbo Eudemon Child Protective Equipment Co., Ltd. Unlocking and locking method of cabinet lock and cabinet safety 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0427B2 (en) Combination lock with pass-key override
US4030321A (en) Padlock with protected slide bolt and locking means
US6145356A (en) Dual-function locks and sub-assemblies therefor
JPH0733738B2 (ja) 自動販売機用錠前
US20100052339A1 (en) Locker structure
US6742367B2 (en) Inside locking device of flat handle lock
US7222508B2 (en) Door lock unlockable two ways
TWI689656B (zh) 凸輪鎖
JP2002364213A (ja) 2箇錠型ドアロックハンドル装置
WO2004101936A3 (en) Pivotal bar-lock with encased cylinder lock
KR200351102Y1 (ko) 사물함 록킹장치
US3921423A (en) Tamper-proof door lock assembly
US4569545A (en) Laminated hasp
KR100976367B1 (ko) 사물함용 삼방향 도어록킹장치
KR20060043574A (ko) 문짝용 핸들의 로크 장치
US7240526B2 (en) Lock and a two step method to open the lock
US6675616B1 (en) Internal locking device for use on magazine doors
EP0884438A1 (en) Lock, mountable on the top rail of doors, especially sliding doors
SE543487C2 (en) Catch mechanism with a first and a second connector for a bolt and a locking device
KR200334250Y1 (ko) 디지털 도어록
RU2507361C2 (ru) Клиновое разблок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2658821B1 (ko) 가구용 잠금장치
KR980008391U (ko) 도난 방지기능을 구비한 도어의 잠금장치
WO1995025866A1 (en) Anti-tamper device
KR200205795Y1 (ko) 도어용 로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