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821B1 - 가구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821B1
KR102658821B1 KR1020240035480A KR20240035480A KR102658821B1 KR 102658821 B1 KR102658821 B1 KR 102658821B1 KR 1020240035480 A KR1020240035480 A KR 1020240035480A KR 20240035480 A KR20240035480 A KR 20240035480A KR 102658821 B1 KR102658821 B1 KR 102658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ing
cylinder
locking device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원
Original Assignee
장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원 filed Critical 장대원
Priority to KR1020240035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03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57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with increased picking re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2017/0095Means preventing wrong operation, e.g. preventing damaging contact between extended bolt and striker or bolt and fram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용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 잠금장치를 잠금(또는 해제)했을 때 잠금장치가 수행한 결과를 사용자가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갖춘 가구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고, 또한 사용자가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또는 해제)을 설정하기 위해 잠금장치를 조작할 때 사용자가 무리하게 잠금장치를 조작하지 않도록 잠금장치의 설정조작에 따른 잠금장치의 동작상황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응답기(transponder)를 갖춘 가구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구용 잠금장치{FURNITURE LOCKS}
본 발명은 가구(사물함, 캐비넷, 책상서랍, 기타) 류의 도어(또는 서랍, 이를 "도어"로 통칭함)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용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 잠금장치를 잠금(또는 해제)했을 때 잠금장치가 수행한 결과를 사용자가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갖춘 가구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고, 또한 사용자가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또는 해제)을 설정하기 위해 잠금장치를 조작할 때 사용자가 무리하게 잠금장치를 조작하지 않도록 잠금장치의 설정조작에 따른 잠금장치의 동작상황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응답기(transponder)를 갖춘 가구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술한 류의 가구는 서랍(또는 함체) 내에 보관중인 물품(또는 문서)의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어에 잠금장치가 설치되기도 한다.
이 경우, 사용되는 가구용 잠금장치는 다이얼을 정역방향으로 차례로 돌려 복수의 키 홈이 동일 선상으로 순차적으로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다이얼식 잠금장치나 전용 열쇠를 통해 복수의 잠금 핀들을 해제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실린더형 잠금장치가 통용된다.
다만, 본 발명은 전용 열쇠를 사용하여 잠금 핀을 해제하는 실린더식 잠금장치와 관련되므로 전술한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실린더형 잠금장치는, 잠금장치를 사용하여 도어가 열리지 않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서랍을 거내보거나 도어를 열어 보는 방식으로 잠금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잠금장치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4947-0000(2013.01.16)에서 실린더형 잠금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전술한 등록특허 10-1224947-0000는 전용 열쇠를 열쇠구멍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복수의 잠금 핀들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실린더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되고, 그와 연동되는 걸림뭉치를 갖춘 가구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잠금장치를 잠금상태로 설정한 후 도어가 열리는지 다시 확인할 필요 없이 시각적으로 잠금장치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실린더형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등록특허는 잠금장치의 잠금(또는 해제) 상태를 표시창을 통해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른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예측되지만 그에 구현하기 위한 상세구성[상태전환작동부(160), 회전체(120)와 개폐작동부(140)]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와 조립(또는 수리)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잠금장치의 잠금 및 해제 설정시 잦은 사용에 따라 수지재 탄성돌기(173)의 탄성이 약화되어 본연의 목적기능을 명확하게 수행하기 어려운 뚜렷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하기에 이르렀고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어 이를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용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 잠금장치를 잠금(또는 해제)했을 때 잠금장치가 수행한 결과를 사용자가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인디케이터를 갖춘 가구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또는 해제)을 설정하기 위해 잠금장치를 조작할 때, 사용자가 무리하게 잠금장치를 조작하지 않도록 잠금장치의 설정에 따른 작동상황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응답기를 갖춘 가구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잠금장치(100)의 일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 어셈블리(110), 실린더 몸체(120), 인디케이터(140), 반응기(150) 및 걸림부재 조립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락 어셈블리(11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핀(113a)과 스프링(113b)이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복수의 핀 가이드 홀(116)과, 전술한 핀(113a)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열쇠구멍(115)과, 상기 열쇠구멍(115)의 타측단에 열쇠구멍(115)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다각형 축(114)을 갖춘 원통형 코어(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린더 몸체(120, 도 5)은, 락 어셈블리(110)의 외경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내부가 빈 실린더(121)를 갖추고, 걸림부재 케이스(131, 도 8, 도 9)와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124, 도 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인디케이터(140, 도 6)는,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마커(marker, 142a,142b, 도 6)를 갖추고 코어(111)의 단턱(112a)과 실린더(121)의 선단부 사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반응기(150)의 일 실시 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다각형 축(114)이 삽입되는 축공(154)과, 상기 축공(154)에 대하여 방사방향 외측으로 탄성이 내재되는 볼(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걸림부재 조립체(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축(114)과 연결되는 요소로, 출입구(133)와 연통된 수납공간(134)을 갖춘 걸림부재 케이스(131)와, 상기 출입구(133)에 출입가능하게 수납공간(134) 내에 위치되는 걸림부재(130a)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잠금장치(100)는, 도어(11)가 아무나 열수 없도록 잠금장치(100)를 잠금 모드로 설정(조작)하는 경우, 전용 열쇠(90)를 열쇠구멍(115)에 삽입하여 돌리면, 락 어셈블리(110)의 복수의 핀(113a, 도 2, 도 3)들이 해제되므로 코어(111)는 실린더(121) 내에서 회전할 수 있고, 그와 연동되는 반응기(150)의 회전에 따라 잠금설정이 완료될 때까지, 볼(151)은 실린더(121)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잠금상태가 완료되는 위치에 마련된 홈(124a, 도 9)에 볼(151, 도 9)이 탄력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볼(151)에 내재된 탄성에 의해 코어(111)의 회전속도와 회전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전용 열쇠(90)를 손으로 돌릴 때 사용자 손에 다소 뻑뻑한 회전 저항감을 느끼게 되고, 홈(124a))에 볼(151)이 위치됨과 동시에 회전이 안되는 걸림현상을 느끼게 된다.
이렇게 되면, 뷰파이더(112)에 양 마커(142a)(142b) 중 어느 하나의 마커 표면이 뷰파이더(112)을 통해 보이게 되므로, 사용자는 도어(11)를 다시 열어 확인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설정한 데로 잠금장치(100)가 동작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잠금장치(100)의 잠금모드나 해제모드 설정시 뷰파인더(112, 도 3, 도 4)를 통해 마커(142a)(142b)에 표시된 색상이나 문자를 통해 잠금장치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도어(11)를 열기 위해 전용 열쇠(90)로 가구용 잠금장치(1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해제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잠금장치(100)의 잠금설정에 따른 전용 열쇠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용 열쇠(90)를 돌리면 잠금설정 방식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장치의 잠금설정 또는 해제설정시 뷰파이더에 양 마커 중 어느 하나의 마커 표면이 보여지므로, 사용자는 도어를 다시 열어 볼 필요도 없이 잠금장치의 잠금설정(도어가 열리지 않음)이 조작한 데로 수행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인디케이터를 갖춘 가구용 잠금장치를 제공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용 열쇠를 사용하여 키의 잠금기능과 해제기능을 수행할 때, 볼에 내재된 탄성에 의해 코어가 자유자재로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하므로 전용 열쇠를 무리하게 돌려 그것이 열쇠구멍속에서 부러지거나 코어가 잠금(또는 해제) 위치 이상으로 무리하게 더 회전되는 일이 전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볼에 내재된 탄성에 의해 코어가 자유자재로 회전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저항을 취급하는 손으로 느킬 수 있고, 볼이 홈에 위치되었을 때 코어의 회전을 차단하는 저항감을 감지하도록 유발하는 응답기를 갖춘 가구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잠금장치를 채용한 가구(사물함)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구에 채용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락 에셈블리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락 어셈블리의 사시도(도 4a), 사시도(도 4a)에 도시된 락 어셈블리의 평면도(도 4b), 배면도(도 4c), 요부 단면도(도 4d), 정면도(도 4e)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린더 몸체, 인디케이터, 반응기, 걸림부재를 순차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가구용 잠금장치의 조립 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 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통상적으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를 갖춘 잠금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정의하는 락(Lock)이라는 말은 도어를 아무나 열 수 없도록 잠금장치의 상태가 잠금된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가 조작한 상태를 말하고, 언락(Un-Lock)이라는 말은 락의 반대의 의미로 사용되며,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잠금작용(이하 잠금설정)과 헤제작용(이하, 해제설정)을 모두 수행하므로, 잠금설정이라는 의미에 해제설정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잠금장치를 채용한 사물함(10)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잠금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함(10)의 도어(11) 표면에 열쇠구멍(115)이 노출되도록 도어(11, 도 1)에 관통되게 설치되는데, 그 설치 예는 도 9를 참조하여 잠금장치(100)의 조립 예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언급하게 될 것이다.
가구용 잠금장치(100)의 일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 어셈블리(110), 실린더 몸체(120), 인디케이터(140), 반응기(150) 및 걸림부재 조립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락 어셈블리(110)은 후술하는 실린더(121, 도 5)의 내경에 조립되는 요소로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핀(113a)과 스프링(113b)이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복수의 핀 가이드 홀(116)과, 전술한 핀(113a)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열쇠구멍(115)과, 상기 열쇠구멍(115)의 타측단에 열쇠구멍(115)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다각형 축(114)을 갖춘 원통형 코어(111)를 포함한다.
전술한 핀(113a)과 전용 열쇠의 유기적 결합관계에 따른 잠금장치(100)의 잠금설정과 해제설정에 대해서는 앞서 인용한 등록특허 10-1224947-0000에 상세히 기술(락 어셈블리(110)에 구비되어 열쇠구멍(115)에 삽입되는 전용 열쇠(90, 도 2, 도 9)에 의해 실린더(121)의 내경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핀(113a)에 의해 락 어셈블리(110)의 회전을 단속함)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코어(111, 도 4 , 도 4)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쇠구멍(115)이 마련된 외경이 코어(111)의 외경보다 큰 단턱(112a)를 갖추고 있고, 상기 단턱(112a)의 일부 구간은 임의로 절취된 뷰파이더(112)(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린더 몸체(120, 도 5)은, 코어(111)의 외경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진 실린더(121)와, 후술하는 걸림부재 케이스(131, 도 8, 도 9)와 결합되는 고정부재(124, 도 5)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린더(1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 어셈블리(110)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내부가 빈 공간(123)을 구비하고, 전술한 빈 공간(123)는 그 내주연에 후술하는 인디케이터(140, 도 2, 도 6)를 고정 및 정렬시키기 위한 구멍(121a, 도 5)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122는 볼트나 스크류(도면에는 미도시)가 걸림부재 케이스(131, 도 8)와 나선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멍이다.
전술한 인디케이터(140, 도 6)는, 앞서 설명한 구멍(121a)에 삽입되는 다리(141)를 갖춘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진 마커(marker, 142a,142b, 도 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양 마커(142a)(142b)는 한 쌍의 다리(141)를 전술한 구멍(121a)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실린더에 고정될 수 있다. 그래서 양 마커(142a)(142b)는 실린더(121)의 전면에 위치되는 단턱의 후면사이에 위치되어 분리되는 일이 없고 코어의 회전시 단턱과 접하는 마커 표면에서 마찰현상이 생길 수 있지만 이는 마커(142a)(142b)의 기능을 저해할 만한 사항은 아니므로 무시해도 된다.
전술한 양 마커(142a)(142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에 서로 다른 색상이 페인팅되거나 열림/닫힘과 같은 문자가 표현될 수 있다.
전술한 양 마커(142a)(142b)의 외경은 실린더(121)의 외경과 단턱(112a) 외경과 같고, 그 내경은 락 어셈블리(111)의 외경과 유사하다.
전술한 반응기(150)의 일 실시 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다각형 축(114)이 삽입되는 축공(154)과, 상기 축공(154)에 대하여 방사방향 외측으로 탄성이 내재되는 볼(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152는 스프링이고, 153은 스프링(152)과 볼(151)이 삽입되는 홀이다. 전술한 홀(153)은 축공(154)과 통해지도록 채용해도 무방하다. 그렇게 채용하더라도 스프링(152)의 단부는 홀(153) 내에서 다각형 축(114) 표면에 지지되므로 스프링(152)과 볼(151)이 홀(153)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일은 전혀 없을 뿐 아니라 간소한 구성에 의해 명확하게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적 명확성과 구조적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락 어셈블리(110)가 회전되면 반응기(150)는 그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반응기(150)의 외주면(150a)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볼(151)의 회전 괘적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걸림부재 조립체(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다각형 축(114)과 연결되는 요소로, 출입구(133)와 연통된 수납공간(134)을 갖춘 걸림부재 케이스(131)와, 상기 출입구(133)에 출입가능하게 수납공간(134) 내에 위치되는 걸림부재(130a)를 포함한다.
도 8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134는, 전술한 걸림부재(130a)가 안치되는 수납공간이고, 133은 걸림부재(130a)가 출입하는 출입구이며, 132는 고정부재(124)와 걸림부재 케이스(131)를 결합하기 위해 전술한 체결구멍(122)에 정렬되어 볼트나 스크류가 체결되는 보스이다.
따라서, 전술한 다각형 축(114)이 회전되면, 그와 연동하여 전술한 걸림부재(130a)가 수납공간(134)에서 출입구(133)를 밖으로 돌출되거나 돌출된 걸림부재가 다시 수납공간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걸림부재(130a)는 앞서 인용한 등록특허 10-1224947-0000에 개시된 걸림뭉치(125)로 변경하여 채용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잠금장치의 설치 예와 조립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설치 예로서, 도어(11, 도 1)의 표면에 잠금장치(100)의 실린더의 외경에 상응하는 구멍을 마련하고, 잠금장치(100)의 상세구성을 조립한 후 도어(11, 도 1)의 후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 케이스(131)를 스크류(미도시)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렇게 하면, 열쇠구멍(115)이 도어(11)의 전면에 노출되게 되고, 열쇠구멍(115)를 갖춘 락 어셈블리(110)와 도어(11)에 마련된 구멍(도면부호 미표기) 사이에 링형 마감부재(160, 도 1, 도 9)를 끼우면 잠금장치(100)의 설치가 완성되게 된다.
잠금장치(100)의 상세구성의 조립 예로서, 마커(142a)(142b)의 각 다리(141)를 각각의 구멍(121a, 도 5)에 삽입하고, 실린더(121) 내의 공간속으로 코어(111)를 삽입한다. 코어 삽입시 코어(111)는 실린더(121)의 내경에 마련된 키(도면에는 미도시)를 피해 삽입하고, 삽입한 후에는 코어(111)를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 전술한 전용 열쇠(90)에 의해 실린더(121)에서 코어(111)가 분리되지 않는다.
이어서, 반응기(150)의 축공(154)을 다각형 축(114)에 끼워 맞추면 볼(151)은 내재된 스프링(152, 도 2, 도 7)의 탄성에 의해 실린더(121, 도 9)의 내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된다.
이어서, 수납공간(134, 도 8)에 걸림부재(130a)를 수납한 상태로 고정부재(124)와 걸림부재 케이스(131)를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한 후 스크류를 사용하여 걸림부재 케이스(131)를 도어(11)의 후면에 고정시키면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잠금장치의 잠금 및 해제 설정에 따른 작용 예를 설명한다.
도어(11)가 열리지 않도록 잠금장치(100)를 잠금모드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경우, 전용 열쇠(90)를 열쇠구멍(115)에 삽입한 후 그것을 돌리면 코어(111)에 마련된 복수의 핀(113a, 도 2, 도 3)들의 잠김상태가 해제되므로 코어(111)는 실린더(121) 내에서 회전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그와 연동되는 반응기(150)의 회전에 따라 잠금장치의 잠금상태가 완료될 때까지 볼(151)은 실린더(121)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잠금상태가 완료되는 위치에 마련된 홈(124a, 도 9)에 볼(151, 도 9)이 삽입되면 잠금(또는 해제)설정에 따른 조작행위를 종료하면 된다.
이 과정에서, 볼(151)이 접하는 실린더 내면에 탄성에 의해 가압되므로 코어(111)의 회전운동과 회전속도는 제한을 받게 된다.
즉, 코어가 아무런 저항없이 회전되는 것보다 볼이 실린더 내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회전되는 것이 덜 회전되게 하는 저항감을 손이 느끼게 되고, 홈(124a))에 볼(151)이 위치되면, 홈(124a))에 볼(151)이 위치됨과 동시에 회전이 제지되는 강항 저항감으 손이 감각적으로 느끼게 된다.
이렇게 되면, 뷰파이더(112)에 양 마커(142a)(142b) 중 어느 하나의 마커 표면이 뷰파이더(112)을 통해 보여지므로, 사용자는 도어(11)를 열어보지 않더러도 잠금장치(100)의 잠금상태(도어가 열리지 않음)가 설정한 데로 수행하였음을 직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용 열쇠(90)를 무리하게 돌려 그것이 열쇠구멍속에서 부러지거나 코어(111)가 잠금(또는 해제) 위치 이상으로 무리하게 회전되는 일이 전혀 없기 때문에 그것들이 파손될 염려가 전혀 없고, 또한 코어(111)가 회전될 때 볼에 내재된 탄성에 의해 코어(111)가 무부하상태에서 회전하는 것보다 큰 저항감을 유발하고, 볼이 홈에 위치되었을 때 유발되는 코어(111)의 회전이 제지되는 저항감을 유발하는 반응기를 제공하고, 더하여 양 마커가 지닌 정보가 뷰파인더(112, 도 3, 도 4)에 보여지므로, 사용자가 설정한 잠금장치(100)의 설정완료상태를 사용자가 뷰파인더를 통해 보여지는 마커의 정보에 의해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그래서 도어를 열어 잠금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었는지를 다시 확인할 필요가 전혀 없다.
반대로, 도어(11)를 열기 위해 전용 열쇠(90)로 가구용 잠금장치(1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해제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잠금장치(100)의 잠금상태설정과 반대 방향으로 전용 열쇠(90)를 돌리면 잠금설정 방식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참고로, 전용 열쇠를 사용하여 잠금장치의 잠금설정과 해제설정은, 전용 열쇠를 180도 회전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전술한 양 마커를 실린더의 선단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잠금장치(100)의 잠금설정과 해제설정은 잠금장치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래서, 양 마커(142a)(142b)의 각 원주 길이와 실린더(121)에 대한 마커의 배치 또는 설치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고, 또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통해 다양한 변경 예나 응용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변경 예나 응용 예는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권리범위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100: 잠금장치 110: 락 어셈블리
113a: 핀 113b: 스프린
114: 다각형 축 115: 열쇠구멍
116: 가이드 홀 120: 실린더 몸체
121: 실린더 124: 고정부재
130: 결림부재 조립체 130a: 걸림부재
131: 걸림부재 케이스 132: 보스
133: 출입구 134: 수납공간
140: 인디케이터 142a,142b: 마커
150: 반응기 151: 볼
152: 스프링

Claims (3)

  1. 락 어셈블리(110), 실린더 몸체(120), 인디케이터(140), 반응기(150) 및 걸림부재 조립체(130)를 포함하되,
    락 어셈블리(110)은 복수의 핀(113a)과 스프링(113b)이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복수의 핀 가이드 홀(116)과, 핀(113a)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열쇠구멍(115)과, 열쇠구멍(115)의 타측단에 열쇠구멍(115)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다각형 축(114)을 갖춘 원통형 코어(111)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몸체(120)은,
    락 어셈블리(110)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내부가 빈 실린더(121)를 갖추고, 걸림부재 케이스(131)와 결합되는 고정부재(124)를 포함하며,
    상기 인디케이터(140)는,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마커(142a,142b)를 갖추고, 코어(111)의 단턱(112a)과 실린더(121)의 선단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실린더의 내주연에 고정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기(150)는,
    다각형 축(114)에 결합되는 축공(154)과, 상기 축공(154)에 대하여 방사방향 외측으로 탄성이 내재되는 볼(151)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 조립체(130)는,
    출입구(133)와 연통되는 수납공간(134)을 갖추고, 상기 고정부재(124)와 결합되어 도어의 후면에 결합되는 걸림부재 케이스(131)와, 상기 출입구(133)와 연통된 수납공간(134) 내에 이동가능하게 수납되고, 다각형 축과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걸림부재(13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40035480A 2024-03-13 2024-03-13 가구용 잠금장치 KR102658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5480A KR102658821B1 (ko) 2024-03-13 2024-03-13 가구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5480A KR102658821B1 (ko) 2024-03-13 2024-03-13 가구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821B1 true KR102658821B1 (ko) 2024-04-17

Family

ID=9087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5480A KR102658821B1 (ko) 2024-03-13 2024-03-13 가구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8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559A (ko) * 2011-04-15 2012-10-24 김동엽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559A (ko) * 2011-04-15 2012-10-24 김동엽 도어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8806B2 (en) Electronic locking system with emergency exit feature
CA2783197C (en) Mechanical pushbutton locking arrangements
US8375753B2 (en) Solenoid-operated electromechanical lock
CA3008424C (en) Padlock assembly
US5138856A (en) Anti-pick lock
KR101121669B1 (ko) 나선형 열쇠를 사용하는 자물쇠
US8037724B2 (en) Combination lock
US20050235713A1 (en) Lock cylinder
EP2837755B1 (en) Cylinder lock
KR102658821B1 (ko) 가구용 잠금장치
KR20060015511A (ko) 마그네틱 키로 작동되는 로크
US4761977A (en) Dual function lock/latch device
PL188350B1 (pl) Zamek bębenkowy
GB2263723A (en) Combination lock for windows.
JP4478620B2 (ja) サムターンユニット
RU2507361C2 (ru) Клиновое разблок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210422217U (zh) 转钮锁
JP3992675B2 (ja) 錠前、並びに、サムターン
KR200191537Y1 (ko) 자물쇠의 해정 방지구조
KR200307237Y1 (ko) 도어 손잡이
JP4478619B2 (ja) サムターンユニット
JP2006177091A (ja) 連結シリンダ錠
KR20090085873A (ko) 다이얼 잠금장치
JP2010024830A (ja) サムターン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