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987Y1 - 실리콘 수지 도포 캡 중공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실리콘 수지 도포 캡 중공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987Y1
KR200350987Y1 KR20-2004-0000341U KR20040000341U KR200350987Y1 KR 200350987 Y1 KR200350987 Y1 KR 200350987Y1 KR 20040000341 U KR20040000341 U KR 20040000341U KR 200350987 Y1 KR200350987 Y1 KR 200350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low molding
mold
female screw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석호
안명호
Original Assignee
안석호
안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석호, 안명호 filed Critical 안석호
Priority to KR20-2004-0000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9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9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5/00Use of polymers having element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Abstract

본 고안은 실리콘 용기에 결합되어 실리콘 수지를 도포 할 수 있도록 한 실리콘 수지 도포 캡을 중공 성형법(blow molding, 中空成形法)에 의해 성형하더라도 실리콘 용기와 결합되는 연결관의 내주면으로 체결용의 암나사가 동시에 직접 형성되도록 한 실리콘 수지 도포 캡 중공 성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위를 위하여, 타원형으로 납작하게 눌러진 형태의 캡 본체(110)와, 이 캡 본체(110)의 입구부 후방으로 일체 성형되는 연결관(120)의 내주면으로 암나사(130)를 직접 형성하기 위한 도포 캡(100)을 중공 성형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도포 캡(100)의 중공 성형을 위하여 일정 길이로 연속 공급 절단되는 성형튜브(210)를 잡아주기 위하여 형개 및 이동 조작되고, 그 내주면으로는 상기 도포 캡(100)의 중공 성형을 위한 동일한 형태의 성형공간(220)이 대향되게 형성된 한조의 형틀(200) 및; 상기 형틀(200)의 직 하부로 위치됨과 동시에 실린더(310)의 피스톤(320) 작용에 의해 상기 도포 캡(100)을 구성하는 캡 본체(110)의 연결관(120) 내주면으로 암나사(122)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하여 피스톤 로드(322)의 단부로 구비된 암나사 성형부(330)를 상기 도포 캡(100)의 중공 성형 전후에 테이블(340)의 상부로 위치되는 형틀(200)의 내부로 출몰 조작가능하게 설치되고, 또 도포 캡(100)의 중공 성형을 위하여 상기 형틀(200)의 내부로 개재된 성형튜브(210)속으로 공기를 강제로 불어넣기 위한 공기 공급통로(350)가 구비된 암나사 성형장치(300)를 포함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실리콘 수지 도포 캡 중공 성형장치{Do silicone balance application cap blow molding a device}
본 고안은 실리콘 수지 도포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 수지 도포 캡을 중공 성형법(blow molding, 中空成形法)에 의해 성형하더라도 실리콘 용기와 결합되는 연결관의 내주면으로 체결용의 암나사가 동시에 직접 형성되도록 한 실리콘 수지 도포 캡 중공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리콘 수지 도포 캡은 실리콘 수지가 담겨진 용기에 결합되어 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실리콘 수지를 도포 대상물에 대하여 균일하게 방출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며, 이 실리콘 수지의 방출은 잘알려진 바와 같이 실리콘 주입기라고하는 도구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 수지 도포 캡으로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에 의해 제작되는 원추형 도포 캡(10)을 들 수 있다. 이 원추형 도포 캡(10)은 캡 본체(12)의 내부가 실리콘 수지의 방출 도포가 가능하도록 중공상의 원추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직경이 큰 입구부의 일방으로부터 그 타방단부를 향해 직경이 가늘어지게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직경이 큰 일방단부의 내주면으로는 실리콘 용기(1)의 배출관(2) 외주면으로 형성된 숫나사(3)에 대하여 상호 체결하기 위한 암나사(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직경이 적은 타방단부는 통상 막혀 있는 상태로 성형 제작되며, 실리콘 도포시에 적정한 형태로 절단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원추형 도포 캡(10)은 그 형태가 원추형이기 때문에 도포 캡(10)을 사출 성형하더라도 직경이 큰 일방단부의 내주면으로 암나사(14)가 직접 형성되는 상태로 성형이 가능하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원추형 도포 캡(10)은 그 구조상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더라도 실리콘 용기와의 결합을 위한 암나사(14)가 캡 본체(12)의 내주면에 직접 성형 가능한 제작상의 이점은 충분히 있으나, 그 형태가 원추형이기 때문에 체면적이 일률적이고 토출부위의 지름 또한 일률적이이라 캡 본체(12)의 토출단부 지름보다 넓거나 좁은곳의 도포에는 적절한 도포가 가능하지 않다는 형태상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형태상의 문제로 인해 실제 작업 현장에서는 원추형의 도포 캡(10)을 필요에 따라 편의적으로 납작하게 눌러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던 것이다.
한편, 도2는 종래 원추형 도포 캡(10)의 형태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실리콘 수지의 방출 도포가 가능하도록 중공상으로 성형되는 캡 본체(22)가 전체적으로 납작하게 타원형태로 눌러진 형태이고, 또한 방출 부위를 향해 좁아지는 형태의 타원형 도포 캡(20)의 구조를 보인 분리 단면도이다.
하지만, 도2에 도시된 타원형 도포 캡(20)은, 중공상의 캡 본체(22)에 있어서, 연결관(24)이 형성된 일방단부는 확장된 형태이고, 그 타방단부는 좁아지는 형태이며, 타방단부로 형성된 연결관(24) 역시 적은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단차 성형되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의 타원형 도포 캡(20)은 그 형태상 사출성형에 의한 제작은 전혀 불가능하고, 반드시 중공성형법, 예컨대 블로워 성형법(blow molding)을 통해서만 제조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2에 도시된 타원형 도포 캡(20)은, 블로워 성형되는 성형 구조상, 연결관(24)의 내주면으로는 실리콘 용기(1)의 배출관(2)에 형성된 숫나사(3)와 직접 체결하기 위한 암나사의 성형이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타원형 도포 캡(20)은, 캡 본체(22)를 블로워 성형으로 제작하되 연결관(24)의 외주면으로 숫나사(25)를 형성할 수 밖에 없고, 그 대신에 도포 캡(20)을 실리톤 용기(1)에 연결하기 위한 별도 부재로서, 그 내주면으로 암나사(27)가 형성된 원통형 연결구(26)를 별도로 사출 성형하여 캡 본체(22)를 실리콘 용기(1)의 배출관(2)에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하지만, 도2의 도포 캡(20) 구조에 의하면, 종래 도1의 원추형 도포 캡(10)에 비하여 캡 본체(22)를 전체적으로 납작하게 형성하여 실리콘 수지의 도포에 따른 이점은 얻을 수 있으나, 캡 본체(22)는 블로워 성형(blow molding)하고, 또한 원통형 연결구(26)는 별도로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하여야 하는 제조 공정상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원통형 연결구(26)를 반드시 사용하여 캡 본체(22)를 실리콘 용기(1)의 배출관(2)에 결합하여야 하는 사용 조립상의 불편이 있음은 물론 다중 나사 체결에 따른 나사 체결력의 약화 현상 발생 우려 및 부품수의 증가에 따른 제조 단가의 상승과 더불어 원통형 연결구(26)의 분실 우려 등 사용상의 여러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포 캡을 실리콘 수지의 도포 방출이 용이한 형태로 블로워 성형하더라도 연결관의 내주면으로 암나사를 단일 공정에서 직접 형성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도포 캡의 제작 공정 단축 및 부품수의 절감을 통한 제조 코스트의 현저한 절감이 가능하도록 한 실리콘 수지 도포 캡 중공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 고안에 따른 원추형 도포 캡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2는 종래 고안에 따른 타원형 도포 캡의 일부 절개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중공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 완료된 도포 캡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도포 캡의 성형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도포 캡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장치의 측 단면도;
도6 내지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도포 캡의 중공 성형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성형상태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실리콘 용기 2: 배출관
3: 숫나사 100: 도포 캡
110: 캡 본체 120: 연결관
130: 암나사 200: 한조의 형틀
210: 성형튜브 220: 성형공간
300: 암나사 성형장치 310: 실린더
320: 피스톤 322: 피스톤 로드
330: 암나사 성형부 340: 테이블
350: 공기 공급통로 360: 보호관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리콘 수지 도포 캡 중공성형 장치의 기술적 특징은, 타원형으로 납작하게 눌러진 형태의 캡 본체와, 이 캡 본체의 입구부 후방으로 일체 성형되는 연결관의 내주면으로 암나사를 직접 형성하기 위한 도포 캡을 중공 성형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도포 캡의 중공 성형을 위하여 일정 길이로 연속 공급 절단되는 성형튜브를 잡아주기 위하여 형개 및 이동 조작되고, 그 내주면으로는 상기 도포 캡의 중공 성형을 위한 동일한 형태의 성형공간이 대향되게 형성된 한조의 형틀 및; 상기 형틀의 직 하부로 위치됨과 동시에 실린더의 피스톤 작용에 의해 상기 도포 캡을 구성하는 캡 본체의 연결관 내주면으로 암나사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하여 피스톤 로드의 단부로 구비된 암나사 성형부를 상기 도포캡의 중공 성형 전후에 테이블의 상부로 위치되는 형틀의 내부로 출몰 조작가능하게 설치되고, 또 도포 캡의 중공 성형을 위하여 상기 형틀의 내부로 개재된성형튜브속으로 공기를 강제로 불어넣기 위한 공기 공급통로가 구비된 암나사 성형장치를 포함하여서 된 구성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형틀의 내부로 출몰 조작되는 암나사 성형부는 테이블에 설치된 보호관체에 의해 보호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중공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도포 캡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도포 캡(100)은, 전체적으로 납잡하게,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입구부와 방출구부가 전체적으로 타원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입구부는 폭이 넓고 방출구부위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중공 성형되는 캡 본체(110)와, 이 캡 본체(110)의 입구부 후방으로 일체 형성되는 원통체의 연결관(120)을 포함하며, 연결관(120)의 내주면으로는 암나사(130)가 직접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도포 캡(100)의 중공 성형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5는 도포 캡(100)의 성형을 위한 성형튜브(210)가 공급된 상태의 측 단면도이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포 캡(100)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장치는, 도포 캡(100)의 중공 성형을 위하여 일정 길이로 연속 공급 절단되는 성형튜브(210)를 잡아주기 위하여 형개 및 이동 조작되는 한조의 형틀(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조의 형틀(200)은 일반적으로 해당 업계에서 제품의 블로워 성형을위해 이미 사용되고 있던 공지의 구성으로서, 이의 형개 조작 및 블로워 성형에 따른 에어 공급 등 관련 기술구성은 도면상 도시를 생략함과 아울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또한 설명 편의상 생략한다.
형틀(200)의 그 내주면으로는 도포 캡(100)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동일한 형태의 성형공간(220)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조의 형틀(200) 직 하부로는 암나사 성형장치(300)가 위치된다. 이 암나사 성형장치(300)는 실린더(310)의 내부로 승강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320) 을 포함한다. 이 피스톤(320)으로는 피스톤 로드(322)가 구비되어 있고, 이 피스톤 로드(322)의 단부로는 피스톤(320)의 승강 작용에 의해 도포 캡(100)을 구성하는 캡 본체(110)의 연결관(120) 내주면으로 암나사(122)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하여 도포 캡(100)의 중공 성형 전후에 테이블(340)의 상부로 위치된 한조의 형틀(200) 내부로 출몰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으로 나사가 형성된 암나사 성형부(33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322)로는 한조의 형틀(200) 사이에 개재된 도포 캡(100)의 중공 성형을 위하여 외부로부터 공기의 공급도는 공기 공급통로(350)가 성형튜브(210) 내부로 공기의 공급이 가능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포캡(100)의 중공 성형 전후에 피스톤(320) 작용으로 테이블(340)의 상부로 위치된 한조의 형틀(200) 내부로 출몰 조작되는 암나사 성형부(330)는 테이블(340)에 고정 설치된 보호관체(360)에 의해 보호 지지된다.
따라서, 암나사 성형부(330)는 피스톤(320)의 승강 작용에 의해 도포캡(100)의 중공 성형전에는 이 보호관체(360)의 외부로 노출 조작되고, 성형 후에는 그 내부로 유입 조작된다.
한편, 암나사 성형부(330)는 그 외주면으로 일정한 피치의 나사가 형성된 것으로서, 나사의 형태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리콘 용기(1)의 배출관(2)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숫나사(3)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짐은 물론이다.
그리고 암나사 성형부(330)는 피스톤 로드(322)에 대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분리 장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도포 캡(100) 중공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연결관(120)의 내주면으로 암나사(130)가 직접 성형되는 상태를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6은 도포 캡(100)의 중공 성형을 위해 형틀(200)이 닫혀짐과 동시에 암나사 성형부(330)가 테이블(340)의 외부로 상승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7은 도포 캡(100)의 중공 성형이 완료된 후 암나사 성형부(330)가 하강 이동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8은 중공 성형이 완료된 도포 캡(100)의 취출을 위해 형틀(200)이 하부의 암나사 성형장치(300)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이동 조작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6을 참조하면, 이는 도3의 상태에서 한조의 형틀(200)이 성형 튜브(210)를 잡아주기 위하여 상호 닫혀져 있고, 이 때 성형튜브(210)는 형틀(200)의 닫힘과 동시에 절단된다. 그리고 형틀(200)의 직 하부로 설치된 암나사 성형장치(300)의 암나사 성형부(330)는 피스톤(320)의 상승 작용에 의해 테이블(340)의 상측 외부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형틀(200)이 닫혀짐과 동시에 그 사이로 개재되는 성형튜브(210)의 하단 내측으로 암나사(130)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정 깊이 만큼 진입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 공급통로(350)를 통해 외부에서 형틀(200)사이에 개재된 성형튜브(210) 내부로 공기를 강제로 불어 넣어면, 이 때 성형튜브(210)는 형틀(200)의 성형공간(220)의 범위내에서 일정한 두께로 불어지면서 캡 본체(110)와 연결관(120)이 일체로 형성되는 도포 캡(100)이 중공 성형되어 짐과 동시에 연결관(120)의 내주면으로 암나사 성형부(330)에 의해 암나사(130)가 직접 형성(도6의 확대 발췌 단면도 참조)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7과 같이 형틀(200)내에서 도 포캡(100)의 중공 성형이 완료된 다음에는 공기 공급통로(350)를 통한 공기의 공급을 중단한 상태에서 피스톤(320)을 하강 이동시켜 암나사(130) 성형을 위한 암나사 성형부(330)를 도포 캡(100)의 연결관(120) 내부로부터,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관(120)의 암나사(130)로 부터 암나사 성형부(330)의 나사를 강제로 분리하여 준다.
즉, 도6에서와 같이 중공 성형된 도포 캡(100)의 냉각이 이루어지기 전에 암나사 성형부(330)를 도포 캡(100)의 연결관(120)으로부터 강제로 빼내어 준다는 것으로서, 이는 도포 캡(100)이 냉각되기 전에는 재질 특성상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연결관(120)으로터 암나사 성형부(330)를 강제로 빼내더라도 암나사(130)의 손상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물론, 연결관(120)의 암나사(130)로부터 암나사 성형부(330)를 강제로 분리하는 경우 물리적으로는 암나사(130)의 손상이 전혀 없다고 할 수는 없겠으나. 그 손상 정도는 실리콘 용기에 대한 나사 체결에는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로 아주 미약한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설계적으로 암나사 성형부(330)의 나사산 형태를 분리가 용이한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도포 캡(100)의 중공 성형 및 연결관(120)에 대한 암나사(130)의 직접 성형이 완료되면, 도8과 같이 중공 성형이 완료된 도포 캡(100)의 취출을 위해 형틀(200)을 하부의 암나사 성형장치(300)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이동 조작하고 형틀(200)을 화살표 방향과 같이 형개 조작함으로서 도포 캡(100)의 취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상기한 중공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도포 캡(100)을 연속적으로 성형함으로서, 도3과 같이 캡 본체(110)에 대하여 연결관(120)이 일체로 중공 성형됨과 동시에 연결관(120)의 내주면으로는 실리콘 용기(1)의 배출관(2)에 직접 체결 가능한 암나사(130)가 한번의 성형 공정을 통해 직접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도포 캡을 중공 성형 하더라도 피스톤 작용을 통해 형틀의 내부로 출몰 조작되는 암나사 성형부에 의해 한번의 성형 공정에서 캡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관의 내주면으로 실리콘 용기의 배출관의 숫나사부와 결합되는 암나사의 직접 형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포 캡의 연결관에 대한 암나사의 직접 형성으로 인해, 종래 도2에 도시된 도포 캡의 성형과 같이 캡 본체와 원통형 연결구를 별도로 중공성형 및 사출성형으로 각각 제작할 필요가 전혀 없기 때문에 그 만큼 도포 캡의 중공 성형에 따른 작업 공정의 단축이 가능하고, 부품의 절감을 통한 제조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암나사가 직접 형성된 도포 캡을 실리콘 용기에 대하여 직접 체결함으로서, 연결 부품의 분실 우려가 전혀 없을 뿐 아니라 나사 체결력의 약화로 인한 도포 캡의 움직임 등 작업 불편성을 현저하게 해소할 수 있는 사용상의 이점을 갖는 것이다.

Claims (2)

  1. 타원형으로 납작하게 눌러진 형태의 캡 본체(110)와, 이 캡 본체(110)의 입구부 후방으로 일체 성형되는 연결관(120)의 내주면으로 암나사(130)를 직접 형성하기 위한 도포 캡(100)을 중공 성형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도포 캡(100)의 중공 성형을 위하여 일정 길이로 연속 공급 절단되는 성형튜브(210)를 잡아주기 위하여 형개 및 이동 조작되고, 그 내주면으로는 상기 도포 캡(100)의 중공 성형을 위한 동일한 형태의 성형공간(220)이 대향되게 형성된 한조의 형틀(200) 및;
    상기 형틀(200)의 직 하부로 위치됨과 동시에 실린더(310)의 피스톤(320) 작용에 의해 상기 도포 캡(100)을 구성하는 캡 본체(110)의 연결관(120) 내주면으로 암나사(122)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하여 피스톤 로드(322)의 단부로 구비된 암나사 성형부(330)를 상기 도포 캡(100)의 중공 성형 전후에 테이블(340)의 상부로 위치되는 형틀(200)의 내부로 출몰 조작가능하게 설치되고, 또 도포 캡(100)의 중공 성형을 위하여 상기 형틀(200)의 내부로 개재된 성형튜브(210)속으로 공기를 강제로 불어넣기 위한 공기 공급통로(350)가 구비된 암나사 성형장치(3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지 도포캡 중공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200)의 내부로 출몰 조작되는 암나사 성형부(330)는 테이블(340)에 설치된 보호관체(360)에 의해 보호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지 도포 캡 중공 성형장치.
KR20-2004-0000341U 2004-01-07 2004-01-07 실리콘 수지 도포 캡 중공 성형장치 KR200350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341U KR200350987Y1 (ko) 2004-01-07 2004-01-07 실리콘 수지 도포 캡 중공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341U KR200350987Y1 (ko) 2004-01-07 2004-01-07 실리콘 수지 도포 캡 중공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987Y1 true KR200350987Y1 (ko) 2004-05-24

Family

ID=4934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341U KR200350987Y1 (ko) 2004-01-07 2004-01-07 실리콘 수지 도포 캡 중공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9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303B1 (ko) 손잡이가 부착된 병
WO2014103188A1 (ja) ブロー成形装置
JP2000512944A (ja) プラスチック製容器のブロー成形ノズルと、このようなノズルを備えた設備
JPH0834028A (ja) ガス支援射出成形機械及びそのガス噴射装置
CN100532061C (zh) 特别的塑料成形的喷射装置
KR20000075750A (ko) 복수 개의 목을 갖는 스프레이 병 및 그 제조 방법
US8002540B2 (en) Neck block cooling
US7322817B2 (en) Injection molding nozzle for plastic with at least two outlet openings
US20090004324A1 (en)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a tubular element from synthetic material
NO822924L (no)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en tube av plast med tilhoerende lukkekapsel, samt anordning for gjennomfoering av fremgangsmaaten
US5540582A (en) Expandable cavity core element for use in an injection molding system
KR200350987Y1 (ko) 실리콘 수지 도포 캡 중공 성형장치
CN106904365B (zh) 具有配件的容器
US70219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 molding a bottle with a punched hole in a molded neck recess
US20060177537A1 (en) Apparatus for blow molding
US20040000532A1 (en) Molded closure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KR200364183Y1 (ko) 체결용의 암나사가 연결관의 내주면에 직접 형성되는중공 성형의 실리콘 수지 도포 캡 및 이를 성형하기 위한장치
JPH09155933A (ja) 樹脂製伸縮ノズルおよび長尺中空材の射出成型方法
JPS6096434A (ja) 射出吹込成形方法
KR102237599B1 (ko) 밀핀을 이용한 사출금형의 공기 및 탄화가스 배출장치
JPH0839626A (ja) 射出成形金型
US6530770B2 (en) Mold nozzle tip lock
CA2523708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tubular body
JPH0341334B2 (ko)
CN209409171U (zh) 一种眼药水滴头制作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