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670Y1 - 쑥 찜질 장치 - Google Patents

쑥 찜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670Y1
KR200350670Y1 KR20-2004-0002637U KR20040002637U KR200350670Y1 KR 200350670 Y1 KR200350670 Y1 KR 200350670Y1 KR 20040002637 U KR20040002637 U KR 20040002637U KR 200350670 Y1 KR200350670 Y1 KR 200350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migation
mugwort
steaming
lid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김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규 filed Critical 김영규
Priority to KR20-2004-0002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9Chemotherapy developing h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든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양한 신체부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쑥 찜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손잡이(101)를 일체로 형성하여 돌출되는 플랜지(102)와; 상기 플랜지(102)의 내측에는 뚜껑(103)을 닫을 수 있도록 단턱(104)를 형성하여 구비되는 찜질바디(105)와; 상기 찜질바디(105)의 내부에 형성되는 바닥면(110)에 훈증부위의 신체에 열기와 훈증(熏蒸)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향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훈증관(111)과; 상기 훈중관(111)의 중간위치와 상측에는 크기가 다른 훈증쑥(112)을 안치할 수 있도록 걸림망(113)이나 걸림턱(114)을 더 형성하고;
상기 찜질바디(105)의 하측에는 훈증관(111)과 찜질바디(105) 상간의 빈 공간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하부커버(115)와;
상기 하부커버(115)의 상면에는 훈증쑥(112)과 함께 찜질 부위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선하는 열선(116)을 포함하고; 상기 찜질바디(105)의 하단부에는 신체부위와의 밀착성을 높여 열기와 훈증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밀착패드(1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쑥 찜질 장치{Poulticing device for mugwort}
본 고안은 쑥 찜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나 등부위를 찜질하여 질병의 치료와 함께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쑥 찜질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쑥은 쌍떡잎식물의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이른 봄부터 싹이 돋아나 7-9월경에 꽃이피고 10월경부터 열매가 익으면서 한해살이를 마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쑥은 이른 봄에 성장하는 어린순은 떡이나 된장국 및 쑥국과 같은 음식용 재료로 많이 사용하고, 약재로 사용하기 위한 쑥은 통상 5월경에 채취하여 말린것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채취하여 말린 쑥은 복통, 토사(吐瀉), 지혈제로 쓰고 특히 여성들의 냉으로 인한 생리불순이나 자궁출혈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옛부터 전해저 내려오고 있다.
근자에 들어서도 이러한 쑥을 보다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분말화 하여 응집시켜 원추형상으로 만들어 환부(통증부위)에 부착한 후 쑥이 연소되도록 함으로서 연소되는 열에 의하여 환부의 기를 통하도록 함으로서 혈액순환이 용이하도록하는 것은 물론, 인체에 유익한 쑥성분이 인체내로 흡수되도록 하는 뜸재료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쑥의 효능을 이용하여 찜질하기 위한 쑥 찜질 장치를 본원 출원인이 선행하여 여러 건 출원한 바 있으며, 이를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 출원된 쑥 찜질 장치(30)는 사용자가 앉은상태에서 쑥찜질이 가능하도록 앉은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쑥(31)을 훈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찜질바디(32)와;
상기 찜질바디(32)의 하단부와 하측부위에는 쑥찜질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통기개구(33,34)와 통기공(35)과;
상기 찜질바디(32)의 내부 하측에 형성하는 유지림(36)의 중앙위치에는 전,후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한 쌍의 훈증관(37,38)과;
상기 훈증관(37,38)의 상단에 훈증(熏蒸)할 쑥(31)을 담을 수 있도록 착탈가능케 구비되는 쑥용기(39)와;
상기 찜질바디(32)의 상측에는 뚜껑을 겸하면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중앙부위를 하방으로 요입시켜 결합되는 좌판(40)과;
상기 좌판(40)의 중앙부위에는 하방으로 일체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결합관(41,42)과;
상기 결합관(41,42)에 훈증(熏蒸)이 좌판(40)의 상방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훈증토출관(43,44)을 포함하여 여성들이 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생리불순이나 자궁출혈과 같은 여성병을 치료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선출원의 경우에는 특히 여성질병을 용이하게 치료할 수 있도록 좌욕타입으로 구비됨으로서 여성질병 외의 신체부위나 남성들의 찜질 용도로는 사용하기 불편한 단점을 가지고 있어 범용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쑥 찜질 장치를 개선하여 모든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부위 또한 배는 물론 등과 같이 다양한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쑥의 효능을 이용한 찜질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의 편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쑥 찜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쑥 찜질 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쑥 찜질 장치의 뚜껑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쑥 찜질 장치의 A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쑥 찜질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쑥 찜질 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쑥 찜질 장치
103; 뚜껑
105; 찜질바디
111; 훈증관
115; 하부커버
120; 밀착패드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쑥 찜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쑥 찜질 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쑥 찜질 장치의 뚜껑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쑥 찜질 장치의 A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쑥 찜질 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쑥 찜질 장치(100)는, 양측에 손잡이(101)를 일체로 형성하여 돌출되는 플랜지(102)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102)의 내측에는 뚜껑(103)을 닫을 수 있도록 단턱(104)를 형성한 찜질바디(105)를 구비한다.
상기 뚜껑(103)은 찜질 시 발생하는 열기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내부뚜껑(106)과 외부뚜껑(107)으로 이중 구성하고, 내부뚜껑(106)의 상부 중앙에는 열기와 훈증(熏蒸)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108)을 외부뚜껑(107)을 통과하도록돌출시켜 형성한다.
상기 찜질바디(105)의 내부에 형성되는 바닥면(110)에는 훈증부위의 신체에 열기와 훈증(熏蒸)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수개의 훈증관(111)을 하향 돌출시키고, 상기 훈중관(111)의 중간위치와 상측에는 크기가 다른 훈증쑥(112)을 안치할 수 있도록 걸림망(113)이나 걸림턱(114)을 형성한다.
상기 찜질바디(105)의 하측에는 훈증관(111)과 찜질바디(105) 상간의 빈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하부커버(115)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부커버(115)에는 상향 돌출되는 고정관을 통하여 바닥면(110)으로 부터 하향돌출되는 고정관과 나사고정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커버(115)의 상면에는 훈증쑥(112)과 함께 찜질 부위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 열선(116)을 배선한다.
상기 찜질바디(105)의 하단부에는 신체부위와의 밀착성을 높여 열기와 훈증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찜질바디(105)가 신체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재질의 밀착패드(1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찜질바디(105)의 일측방에는 바닥면(110)위로 훈증쑥(112)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기공급홀(121)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공급홀(121)의 내부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홴(122)과 바닥면(110)의 상부로 연통되는 공급관(123)을 형성한다.
상기 열선(116)과 흡입홴(122)은 찜질바디(105)에 구비되는 전원공급 유무를 선택하는 스위치(124)와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기판(125)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먼저, 찜질바디(105)의 상부를 덮고있는 뚜껑(103)을 개방한 후 바닥면(1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훈증관(111)에 훈증쑥(112)을 안치하여 찜질준비를 한다.
이때, 사용하고자 하는 훈증쑥(112)의 크기가 작으면 훈증관(111)의 중간위치에 형성되는 걸림망(113)에 안치시키고, 훈증쑥(112)의 크기가 크면 훈증관(111)의 상측에 형성되는 걸림턱(114)에 안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위치(124)를 작동시켜 흡입홴(122)을 가동시켜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찜질바디(105)의 외부에서 흡입하여 공급관(123)을 통하여 바닥면(110)의 상부로 공급하도록 하고, 동시에 하부커버(115)에 배선된 열선(116)에서 전원을 공급하야 발열토록 한다.
상기와 같은 준비과정이 끝난 후에는 개방하였던 뚜껑(103)을 닫고 찜질바디(105)를 신체의 찜질할 부위(배나 등과 같이 비교적 넓은 부위)에 안치시킨다.
그러면, 찜질바디(105)의 하단에 결합된 밀착패드(120)에 의하여 쑥 찜질 장치(100)가 신체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줌으로서 훈증쑥(112)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열기와 훈증은 훈증관(111)을 통하여 찜질바디(105)가 안치된 신체부위에 전도된다.
그리고, 하부커버(115)에 배선된 열선(116)이 발열하는 열 또한 훈증관(111)주위의 신체를 온화하게 줌으로서 더욱 더 찜질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훈증쑥(112)이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훈증의 일부는 뚜껑(103)에 구비되는 배출공(108)을 통하여 쑥 찜질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서 불필요하게 뜨거운 상태의 열기나 훈증이 신체에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엎드리거나 누운 상태에서 신체의 일부위를 찜질함으로서 법용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쑥 찜질 장치를 개선하여 모든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부위 또한 배는 물론 등과 같이 다양한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쑥의 효능을 이용한 찜질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의 편익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쑥 찜질 장치(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측에 손잡이(101)를 일체로 형성하여 돌출되는 플랜지(102)와;
    상기 플랜지(102)의 내측에는 뚜껑(103)을 닫을 수 있도록 단턱(104)를 형성하여 구비되는 찜질바디(105)와;
    상기 찜질바디(105)의 내부에 형성되는 바닥면(110)에 훈증부위의 신체에 열기와 훈증(熏蒸)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향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훈증관(111)과;
    상기 훈중관(111)의 중간위치와 상측에는 크기가 다른 훈증쑥(112)을 안치할 수 있도록 걸림망(113)이나 걸림턱(114)을 더 형성하고;
    상기 찜질바디(105)의 하측에는 훈증관(111)과 찜질바디(105) 상간의 빈 공간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하부커버(115)와;
    상기 하부커버(115)의 상면에는 훈증쑥(112)과 함께 찜질 부위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선하는 열선(116)을 포함하고;
    상기 찜질바디(105)의 하단부에는 신체부위와의 밀착성을 높여 열기와 훈증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밀착패드(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찜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찜질바디(105)의 일측방에는 바닥면(110)위로 훈증쑥(112)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기공급홀(121)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공급홀(121)의 내부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홴(122)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홴(122)과 바닥면(110)의 상부로는 공급관(123)을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찜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03)은 찜질 시 발생하는 열기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내부뚜껑(106)과 외부뚜껑(107)으로 이중 구성하고;
    상기 내부뚜껑(106)의 상부 중앙에는 열기와 훈증(熏蒸)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108)을 외부뚜껑(107)을 통과하도록 돌출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찜질 장치.
KR20-2004-0002637U 2004-02-04 2004-02-04 쑥 찜질 장치 KR200350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637U KR200350670Y1 (ko) 2004-02-04 2004-02-04 쑥 찜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637U KR200350670Y1 (ko) 2004-02-04 2004-02-04 쑥 찜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670Y1 true KR200350670Y1 (ko) 2004-05-13

Family

ID=4943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637U KR200350670Y1 (ko) 2004-02-04 2004-02-04 쑥 찜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6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756B1 (ko) 2012-12-11 2014-08-29 엄대훈 쑥 찜질기
KR200474997Y1 (ko) * 2012-12-03 2014-11-04 김택호 열기 조절 가능한 뜸기
KR101501082B1 (ko) * 2013-05-09 2015-03-16 김택호 뜸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97Y1 (ko) * 2012-12-03 2014-11-04 김택호 열기 조절 가능한 뜸기
KR101434756B1 (ko) 2012-12-11 2014-08-29 엄대훈 쑥 찜질기
KR101501082B1 (ko) * 2013-05-09 2015-03-16 김택호 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08247B (zh) 一种温灸器
CN103948499B (zh) 一种中药熏蒸医疗椅
JP2006513810A (ja) 漢方医料補助用附缸ヨモギ灸器
CN202950608U (zh) 带熏蒸功能的新型马桶盖
CN209059761U (zh) 妇产科用护理床
KR200350670Y1 (ko) 쑥 찜질 장치
CN102908095A (zh) 带熏蒸功能的新型马桶盖
CN2925464Y (zh) 坐浴熏疗器
KR200441374Y1 (ko) 전신훈증기
KR200400379Y1 (ko) 쑥뜸 장치
KR20110008282U (ko) 황토 용기 온구기
CN201642804U (zh) 全自动中药熏蒸治疗床
CN2885232Y (zh) 一种治疗肛肠疾病的药液熏蒸器
KR200455420Y1 (ko) 훈증기
KR200424452Y1 (ko) 온열쑥찜방석
KR20110005936U (ko) 대용량 쑥뜸기
KR200308642Y1 (ko) 쑥찜질 장치
CN209204002U (zh) 肛肠疾病的药液熏洗器
CN207412525U (zh) 便于痔疮治疗的新型座椅
KR100336315B1 (ko) 의자를 이용한 쑥찜장치
KR20170003228U (ko) 이중덮개를 갖는 쑥뜸기구
KR100625178B1 (ko) 쑥뜸기
KR200318970Y1 (ko) 개량 쑥찜질 장치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CN210872926U (zh) 一种中医妇科熏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