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970Y1 - 개량 쑥찜질 장치 - Google Patents

개량 쑥찜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970Y1
KR200318970Y1 KR20-2003-0010499U KR20030010499U KR200318970Y1 KR 200318970 Y1 KR200318970 Y1 KR 200318970Y1 KR 20030010499 U KR20030010499 U KR 20030010499U KR 200318970 Y1 KR200318970 Y1 KR 200318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migation
mugwort
coupling
pipes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김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규 filed Critical 김영규
Priority to KR20-2003-0010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61B2018/06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one of the reactants being oxygen
    • A61B2018/064Moxa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의 욕실이나 방에서 편안한 자세로 않아서 쑥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훈증(熏蒸)이 여성들의 항문이나 질에 집중되도록 하여 여성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개량 쑥찜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앉은상태에서 쑥찜질이 가능하도록 일정높이로 구비되는 찜질바디(32)와; 상기 찜질바디(32)의 상측에 결합 뚜껑을 겸하면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중앙부위를 하방으로 요입시킨 좌판(40)과; 상기 좌판(40)의 중앙부위에는 하방으로 일체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결합관(41,42)과; 상기 결합관(41,42)에 결합하여 쑥(31)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훈증(熏蒸)이 좌판(40)의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훈증토출관(43,44)과; 상기 훈증토출관(43,44)의 상측부위에는 걸림돌기(45)를 형성하여 결합관(41,42)의 상측에 형성되는 걸림턱(46)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결합관(41,42)의 하단에 나사결합되는 마감캡(47)과; 상기 훈증토출관(43,44)과 마감캡(47)상간에 개재되어 사용자들의 신체조건에 맞게 훈증토출관(43,44)이 승,강하도록 하는 스프링(48)을 포함하고; 상기 찜질바디(32)의 내부 하측에 형성하는 유지림(36)에는 쑥(31)을 연소시켜 훈증(熏蒸)을 결합관(41,42)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훈증수단(50)을 구비하는 통상적인 쑥찜질 장치(30)에 있어서;
상기 훈증수단(50)은, 유지림(36)의 중앙에 판상의 베이스(51)의 상방으로 세워지는 서포트(52)의 상측에 컬링(Curling)으로 내측방향에 형성하는 열선링(53)과; 상기 열선링(53)에 내장되어 훈증 초기부터 훈증이 끝날 때까지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열선(55)과; 상기 유지림(36)의 하방에서 찜질바디(32)의 하단부 내측에 고정되는 하판(56)에 구비되어 열선(55)을 제어하는 컨트롤기판(57)과; 상기 찜질바디(32)의 외측면에 설치되되 컨트롤기판(57)과 연결되는 작동스위치(58)와; 상기 작동스위치(58)와 함께 구비되어 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만큼만 열선(55)을 가열 작동하도록 하여 항상 일정한 수준의 온도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온도스위치(59)와; 상기 열선링(53)에 쑥(31)을 연소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연소공(60,61)을 형성하여 안치되는 쑥용기(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량 쑥찜질 장치{Poulticing device for mugwort}
본 고안은 개량 쑥찜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쑥을 이용하여 여성질의 냉(冷)으로 인하여 발병하거나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용이하게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쑥찜질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채취하여 말린 쑥이 복통, 토사(吐瀉), 지혈제로 사용되고 특히 여성들의 냉으로 인한 생리불순이나 자궁출혈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쑥을 이용한 다양한 치료와 예방을 위한 방법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쑥을 보다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분말화 하여 응집시켜 원추형상으로 만들어 환부(통증부위)에 부착한 후 쑥이 연소되도록 함으로서 연소되는 열에 의하여 환부의 기를 통하도록 함으로서 혈액순환이 용이하도록하는 것은 물론, 인체에 유익한 쑥성분이 인체내로 흡수되도록 하는 뜸재료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뜸으로 할 경우에는 국소적인 환부에만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여성질병의 경우에는 뜸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본원 출원인이 실용신안을 선등록(제0308642호)한 바 있으며, 그 내용을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등록의 쑥찜질 장치(30)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쑥찜질이 가능하도록앉은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쑥(31)을 훈증할 수 있도록 찜질바디(32)를 구비하고, 상기 찜질바디(32)의 하단부와 하측부위에는 쑥찜질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기개구(33,34)와 통기공(35)을 형성한다.
상기 찜질바디(32)의 내부 하측에 형성하는 유지림(36)의 중앙위치에는 전,후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돌출시킨 한 쌍의 훈증관(37,38)을 형성하고, 상기 훈증관(37,38)의 상단에 훈증(熏蒸)할 쑥(31)을 담을 수 있도록 쑥용기(39)를 착탈가능케 구비한다.
상기 찜질바디(32)의 상측에는 뚜껑을 겸하면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중앙부위를 하방으로 요입시킨 좌판(40)을 결합하고, 상기 좌판(40)의 중앙부위에는 하방으로 일체로 돌출되는 결합관(41,42)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관(41,42)에는 훈증(熏蒸)이 좌판(40)의 상방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훈증토출관(43,44)을 결합하고, 상기 훈증토출관(43,44)의 상측부위에는 걸림돌기(45)를 형성하여 결합관(41,42)의 상측에 형성되는 걸림턱(46)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결합관(41,42)의 하단에는 마감캡(47)을 나사 결합하고, 상기 훈증토출관(43,44)과 마감캡(47)상간에는 스프링(48)을 개재하여 사용자들의 신체조건에 맞게 훈증토출관(43,44)이 승,강하여 최적의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선등록의 경우 쑥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훈증이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야 치료 및 약효가 있게되나, 쑥이 연소하기 시작하는 초기와 끝나는 말기에는 그 온도가 높지않고, 쑥이 완전히 연소되는 중간부위에서 급격하게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쑥이 완전히 연소되는 중간부위에서 급격하게 온도가 상승하게 될 경우에는 높은 온도로 인한 치료보다는 고온으로 인한 신체적 손상이나 가려움을 유발하는 부작용의 우려가 있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가정의 욕실이나 방에서 편안한 자세로 않아서 쑥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훈증이 여성들의 항문이나 질에 집중되도록 하는 쑥찜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쑥찜질시 항상 일정한 수준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쑥찜질 장치를 개선하여 훈증의 효과를 극대화 하여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개량 쑥찜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개량 쑥찜질 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개량 쑥찜질 장치의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파절 사시도.
도 4는 도 2에 적용된 개량 쑥찜질 장치의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쑥찜질 장치를 도시한 단면상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쑥찜질장치
32; 찜질바디
50; 훈증수단
53; 열선링
55; 열선
57; 컨트롤기판
58; 작동스위치
62; 쑥용기
63; 훈증배출구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개량 쑥찜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개량 쑥찜질 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개량 쑥찜질 장치의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파절 사시도, 도 4는 도 2에 적용된 개량 쑥찜질 장치의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쑥찜질 장치(30)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쑥찜질이 가능하도록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쑥(31)을 훈증할 수 있도록 찜질바디(32)를 구비한다.
상기 찜질바디(32)의 상측에는 뚜껑을 겸하면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중앙부위를 하방으로 요입시킨 좌판(40)을 결합하고, 상기 좌판(40)의 중앙부위에는 하방으로 일체로 돌출되는 결합관(41,42)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관(41,42)에는 쑥(31)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훈증(熏蒸)이 좌판(40)의 상방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훈증토출관(43,44)을 결합하고, 상기 훈증토출관(43,44)의 상측부위에는 걸림돌기(45)를 형성하여 결합관(41,42)의 상측에 형성되는 걸림턱(46)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결합관(41,42)의 하단에는 마감캡(47)을 나사 결합하고, 상기 훈증토출관(43,44)과 마감캡(47)상간에는 스프링(48)을 개재하여 사용자들의 신체조건에 맞게 훈증토출관(43,44)이 승,강하여 최적의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찜질바디(32)의 내부 하측에 형성하는 유지림(36)에는 쑥(31)을 연소시켜 훈증(熏蒸)을 결합관(41,42)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훈증수단(50)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훈증수단(50)을 개선하여 훈증 초기부터 훈증이 끝날 때까지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찜질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훈증수단(50)은, 상기 유지림(36)의 중앙에 판상의 베이스(51)의 상방으로 관체타입으로 세워지는 서포트(52)의 상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컬링(Curling)으로 형성한 열선링(53)에 열선(55)을 내장한다.
상기 열선(55)은 유지림(36)의 하방에서 찜질바디(32)의 하단부 내측에 고정되는 하판(56)에 구비되는 컨트롤기판(57)과 연결되어 찜질바디(3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58)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컨트롤기판(57)에는 작동스위치(58)와 함께 구비되는 온도스위치(59)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만큼만 가열 작동하도록 하여 항상 일정한 수준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열선링(53)에는 건조하여 압축한 봉타입의 쑥(31)을 안치하여 연소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연소공(60,61)을 형성한 쑥용기(62)를 안치한다.
상기 찜질바디(32)의 상부 일측에는 훈증배출구(63)를 더 형성하여 신체와 접촉한 훈증(熏蒸)이 찜질바디(32)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배출되는 훈증은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훈증배출구(63)에 배출호스(64)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좌판(40)을 찜질바디(32)로 부터 이탈시킨 후 건조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여 압축한 봉타입의 쑥(31)을 열선링(53)에 안치된 쑥용기(62)에 수용한 후 불을 붙인 후 좌판(40)을 찜질바디(32)와 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훈증토출관(43,44)을 막고 있던 뚜껑(100)을 이탈시킨 후 사용자가 좌판(40)에 낮음으로서 쑥(31)이 연소(타면서)하면서 발생하는 훈증(熏蒸)이 찜질바디(32)내부를 충진한 상태에서 결합관(41,42)과 훈증토출관(43,44)을통하여 질과 항문에 집중된다.
이는 훈증토출관(43,44) 중 전측의 훈증토출관(43)은 질의 위치에, 후측의 훈증토출관(44)은 항문의 위치에 맞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이며, 특히 훈증토출관(43,44)은 스프링(48)에 의하여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쑥(31)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훈증(熏蒸)이 여성의 항문이나 질에 집중되어 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생리불순이나 자궁출혈과 같은 여성질병을 용이하게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게된다.
특히 본 고안의 쑥찜질 장치(30)의 경우에는 쑥(31)을 안치한 쑥용기(62)를 받치고 있는 서포트(52)의 열선링(53)에 내장되는 열선(55)에 의하여 쑥(31)이 처음 연소하기 시작하는 초기와 연소가 끝나가는 말기에 가열되어 적정한(최적의)온도로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쑥(31)의 연소가 활발하여 상당한 온도를 유지하는 중간부위에서는 열선(55)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서 찜질 시작부터 끝까지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찜질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훈증(熏蒸)이 상승하여 훈증토출관(43,44)으로 공급되어 신체와 접촉한 후에는 반사되어 훈증토출관(43,44)의 외측방향으로 분산되는 데, 이를 찜질바디(32)의 상측에 더 구비하는 훈증배출구(6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서 찜질의 효율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게된다.
상기 훈증배출구(63)에는 호스(64)를 연결하여 배출된 훈증을 실외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찜질 과정에서 훈증에 의하여 사용자들이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쑥찜질 장치를 개선하여 가정의 욕실이나 방에서 편안한 자세로 않아서 쑥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훈증(熏蒸)이 여성들의 항문이나 질에 집중되도록 하여 여성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과정에서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찜질의 효율성을 높혀 효과를 배가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사용자가 앉은상태에서 쑥찜질이 가능하도록 일정높이로 구비되는 찜질바디(32)와;
    상기 찜질바디(32)의 상측에 결합 뚜껑을 겸하면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중앙부위를 하방으로 요입시킨 좌판(40)과;
    상기 좌판(40)의 중앙부위에는 하방으로 일체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결합관(41,42)과;
    상기 결합관(41,42)에 결합하여 쑥(31)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훈증(熏蒸)이 좌판(40)의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훈증토출관(43,44)과;
    상기 훈증토출관(43,44)의 상측부위에는 걸림돌기(45)를 형성하여 결합관(41,42)의 상측에 형성되는 걸림턱(46)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결합관(41,42)의 하단에 나사결합되는 마감캡(47)과;
    상기 훈증토출관(43,44)과 마감캡(47)상간에 개재되어 사용자들의 신체조건에 맞게 훈증토출관(43,44)이 승,강하도록 하는 스프링(48)을 포함하고;
    상기 찜질바디(32)의 내부 하측에 형성하는 유지림(36)에는 쑥(31)을 연소시켜 훈증(熏蒸)을 결합관(41,42)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훈증수단(50)을 구비하는 통상적인 쑥찜질 장치(30)에 있어서;
    상기 훈증수단(50)은, 유지림(36)의 중앙에 판상의 베이스(51)의 상방으로 세워지는 서포트(52)의 상측에 컬링(Curling)으로 내측방향에 형성하는 열선링(53)과;
    상기 열선링(53)에 내장되어 훈증 초기부터 훈증이 끝날 때까지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열선(55)과;
    상기 유지림(36)의 하방에서 찜질바디(32)의 하단부 내측에 고정되는 하판(56)에 구비되어 열선(55)을 제어하는 컨트롤기판(57)과;
    상기 찜질바디(32)의 외측면에 설치되되 컨트롤기판(57)과 연결되는 작동스위치(58)와;
    상기 작동스위치(58)와 함께 구비되어 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만큼만 열선(55)을 가열 작동하도록 하여 항상 일정한 수준의 온도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온도스위치(59)와;
    상기 열선링(53)에 쑥(31)을 연소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연소공(60,61)을 형성하여 안치되는 쑥용기(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쑥찜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찜질바디(32)의 상부 일측에는 신체와 접촉한 훈증(熏蒸)이 찜질바디(32)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훈증배출구(63)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쑥찜질 장치.
KR20-2003-0010499U 2003-04-07 2003-04-07 개량 쑥찜질 장치 KR200318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499U KR200318970Y1 (ko) 2003-04-07 2003-04-07 개량 쑥찜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499U KR200318970Y1 (ko) 2003-04-07 2003-04-07 개량 쑥찜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970Y1 true KR200318970Y1 (ko) 2003-07-04

Family

ID=49410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499U KR200318970Y1 (ko) 2003-04-07 2003-04-07 개량 쑥찜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9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027B1 (ko) 진동 및 발열장치가 구비된 회음부 마사지매트
KR101195579B1 (ko) 좌훈기
KR20090003344U (ko) 의자형 좌열좌훈기
KR200318970Y1 (ko) 개량 쑥찜질 장치
KR101426338B1 (ko) 건식 반신욕기
KR200249105Y1 (ko) 의자형 좌욕기
KR20080016208A (ko) 좌훈기
KR200281358Y1 (ko) 척추와 하복부의 온열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의자형좌열좌훈기
KR200350670Y1 (ko) 쑥 찜질 장치
KR200308642Y1 (ko) 쑥찜질 장치
KR200444332Y1 (ko) 좌훈의자
KR200333476Y1 (ko) 쑥뜸기
KR100300770B1 (ko) 뜸치료기
KR100465616B1 (ko) 척추와 하복부의 온열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의자형좌열좌훈기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KR100470408B1 (ko) 여성질환 및 항문질환에 유용한 회음간접구
KR200458692Y1 (ko) 삼구 쑥뜸기 안착대
KR200408933Y1 (ko) 의자형 좌훈기
KR20010060615A (ko) 의자를 이용한 쑥찜장치
KR200360510Y1 (ko) 회음간접구
KR200315880Y1 (ko) 좌욕 훈증기
KR200163274Y1 (ko) 뜸치료기
KR200370088Y1 (ko) 증기 방식의 좌욕기
KR200376052Y1 (ko) 좌욕기
KR101065942B1 (ko) 뜸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