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481Y1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0481Y1 KR200350481Y1 KR20-2004-0002925U KR20040002925U KR200350481Y1 KR 200350481 Y1 KR200350481 Y1 KR 200350481Y1 KR 20040002925 U KR20040002925 U KR 20040002925U KR 200350481 Y1 KR200350481 Y1 KR 20035048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body
- water
- lower body
- pot
- drain ho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을 재배하도록 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을 재배하는 흙을 수용하도록 상광하협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 배수공이 형성된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 소정영역을 수용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부본체로 공급되어 배수공으로 낙하하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확보된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하부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상부본체와 연질성 재공급관으로 연결되어 하부본체에 수용된 물을 상부본체로 펌핑하도록 된 펌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분에 물을 줄때, 물받이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뿐만 아니라, 상부본체에 물을 주고 난 후, 하부본체에 수용되는 물을 펌핑하여 상부본체에 재공급하기 때문에 매번 새롭게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는 화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식물을 재배하도록 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분에 물을 줄때, 물받이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뿐만 아니라, 상부본체에 물을 주고 난 후, 하부본체에 수용되는 물을 펌핑하여 상부본체에 재공급하기 때문에 매번 새롭게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는 화분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난초나 꽃 등의 관상용 식물을 건물 내에서 재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화분에 심어진 식물은 각각의 식물특성에 따라 적당한 물의 공급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환경조건을 조성해야 정상적으로 재배가 될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각 가정 및 식물원, 꽃집 등에서는 이들의 상태를 정확히 관찰 분석한 후, 조건에 맞게 물을 공급하는 바, 화분에 물을 공급할 때에는 식물마다 각각 물을 공급하는 방법이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물받이 위에 화분을 올려 놓고 물을 공급한다.
즉, 화분에 공급된 물은 화문의 하단에 형성된 배수공을 따라 자연스럽게 화분에서 배수되며, 이렇게 배수된 물은 바닥에 흘러 바닥을 지저분하게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화분에서 배수되는 물이 바닥을 오염시키지 못하도록 배수되는 물을 물받이에 받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물받이에 물이 고이면 이 물을 별도로 버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다수개의 화분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이들 물받이 위에 화분을 올려 놓지 않고, 배수가 되어도 관계없는 곳 또는 배수시설이 되어 있는 곳에다 모든 화분을 옮겨 놓은 후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만 했다.
즉, 아파트의 경우 다용도실 또는 화장실에 배수시설이 되어 있으므로, 이 곳으로 모든 화분을 옮겨 놓은 후 화분에 불을 공급하면, 화분의 배수공으로 공급된 물이 배수되어지고, 배수된 물은 바닥에 흘러 기존의 배수시설에 의해 처리되며, 일반 주택의 경우 정원이나 뜰에 화분을 옮긴 후, 물을 공급하여 화분의 배수공으로 배수된 물이 지면에 스며들게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하여야 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수시설이 마련된 곳으로 화분을 옮기지 않고도 화분에 물을 공급하면 바닥이 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기 사용되었던 물을 재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 화분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화분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작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화분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1 : 화분 101a : 상부본체
101b : 하부본체 102 : 배수공
103 : 개구부 104 : 재공급관
105 : 펌프 106 : 받침부
107 : 지지부 108 : 걸림턱
109 : 받침턱 110 : 보조배수공
상기한 목적은, 식물을 재배하도록 된 화분에 있어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흙을 수용하도록 상광하협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 배수공(102)이 형성된 상부본체(101a)와; 상기 상부본체(101a)의 하부 소정영역을 수용하도록 개구부(103)가 형성되고, 상부본체(101a)로 공급되어 배수공(102)으로 낙하하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확보된 하부본체(101b)와; 상기 하부본체(101b)의 하부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상부본체(101a)와 연질성 재공급관(104)으로 연결되어 하부본체(101b)에 수용된 물을 상부본체(101a)로 펌핑하도록 된 펌프(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101)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본체(101b)의 내측 하부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설된 다수개의 받침부(106)와; 상기 상부본체(101a)의 하단 외주연부에 소정폭으로 연계형성되어 하부본체(101b)의 받침부(106) 상단에 간섭되어 멈춤유지되는 지지부(107)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101a)의 외주연부 소정위치에 돌설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108)과; 상기 하부본체(101b)에 하향삽입되는 상부본체(101a)의 걸림턱(108)이 간섭되도록 하부본체(101b)의 개구부(103) 외주면에 돌설된 받침턱(109)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101a)에는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토양(흙)을 수용하도록 소정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이 수용공간은 상부본체(101a)의 하부로 향할수록 그 내경이 축경되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급된 물이 하단으로 손쉽게 집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101a)의 하단에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크기의 외경을 갖는 지지부(107)가 연계형성되며, 이 지지부(107)의 중심과 상부본체(101a)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배수공(102)이 형성되어 상부본체(101a)의 하단으로 집결된 물이 배수공(102)을 따라 외부로 흘러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본체(101a)의 외경보다 비교적 큰 내경을 가지는 하부본체(101b)는 상부본체(101a)의 외부를 소정영역 만큼 외감수용하는 바, 즉, 상기 하부본체(101b)의 개부부를 통하여 상부본체(101a)가 하향삽입되어지는 형태를 갖게 되며, 이때, 상부본체(101a)는 하부본체(101b)의 하부 소정위치에서 내측을 향하여 돌설된 다수개의 받침부(106) 상단에 상부본체(101a) 하단의 지지부(107)가 올려짐으로써, 하부본체(101b)에 삽입되는 상부본체(101a)가 멈춤유지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본체(101b) 받침부(106) 높이를 증감시킴에 따라 상부본체(101a)의 삽입깊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식물의 크기에 따라 조정되어야 하는 화분(101)의 크기에 따라 하부본체(101b)의 받침부(106)의 높이도 증감될 수 있다는 것으로 본 고안은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하부본체(101b)의 하부 소정위치와 받침부(106)의 외경면 중 어느 하나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05)를 설치하고, 이 펌프(105)로부터 연결되는 재공급관(104)은 상부본체(101a)의 외경면 상부 소정위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펌프(105)의 구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자체내장용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외부전원을 이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를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자체내장되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사용상 안전하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부본체(101a)에 물을 공급하게 되면, 공급된 물은 수용된 흙을 따라 하부로 스며들며, 이 흙으로 스며든 물의 양이 충분할 경우 하부로 스며드는 물은 상부본체(101a)의 하단에 형성된 배수공(102)을 통해서 하부본체(101b)의 하단에 수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본체(101a)의 지지부(107) 상부에 보조배수공(110)을 천공하여 공급된 물이 상부본체(101a)에서 하부본체(101b)로 배수되는 것을 조력하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본체(101a)의 상부 외주면 소정위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108)을 형성하고, 이 걸림턱(108)이 하부본체(101b)의 상단에 간섭되도록 하여 상부본체(101a)에 수용된 흙에 의한 하중이 지지부(107)와 연접된 받침부(106)과 하부본체(101b) 상단과 연접되는 걸림턱(108)으로 분산시켜 안정된 기립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본체(101b)의 상단 외주연부에도 받침턱(109)를 형성하여 보다 안정된 기립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배수공(102) 및 보조배수공(110)을 통해 배수된 물이 하부본체(101b)에 수용되어지고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 상부본체(101a)에 또 다시 물을 공급해야 될 경우, 사용자는 물주전자나 수도로부터 연결된 물호스를 사용할 필요 없이 하부본체(101b)의 펌프(105)를 가동시켜 하부본체(101b)에 수용되어 있던 물이 재공급관(104)을 통해 상부본체(101a)로 재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주기 위해 화분(101)을 옮기거나 물받이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번 공급된 물을 재사용함으로써 물받이 또는 배수시설을 통해서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화분에 물을 주기 위해 물받이를 사용하는 번거로움이나 배수시설이 된 곳으로 화분을 옮기는 번거로움없이 기존에 사용한 물을 간편하게 재활용할 수 있게 되어 화분에 물을 주기 위하여 할애했던시간을 절감하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Claims (3)
- 식물을 재배하도록 된 화분에 있어서,식물을 재배할수 있는 흙을 수용하도록 상광하협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 배수공이 형성된 상부본체와;상기 상부본체의 하부 소정영역을 수용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부본체로 공급되어 배수공으로 낙하하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확보된 하부본체와;상기 하부본체의 하부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상부본체와 연질성 재공급관으로 연결되어 하부본체에 수용된 물을 상부본체로 펌핑하도록 된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하부본체의 내측 하부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설된 다수개의 받침부와;상기 상부본체의 하단 외주연부에 소정폭으로 연계형성되어 하부본체의 받침부 상단에 간섭되어 멈춤유지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상부본체의 외주연부 소정위치에 돌설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과;상기 하부본체에 하향삽입되는 상부본체의 걸림턱이 간섭되도록 하부본체의 개구부 외주면에 돌설된 받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2925U KR200350481Y1 (ko) | 2004-02-06 | 2004-02-06 | 화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2925U KR200350481Y1 (ko) | 2004-02-06 | 2004-02-06 | 화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0481Y1 true KR200350481Y1 (ko) | 2004-05-13 |
Family
ID=4943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2925U KR200350481Y1 (ko) | 2004-02-06 | 2004-02-06 | 화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048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1203B1 (ko) * | 2012-10-30 | 2013-04-12 | 박종필 | 인공광을 이용한 식물 재배기 |
-
2004
- 2004-02-06 KR KR20-2004-0002925U patent/KR20035048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1203B1 (ko) * | 2012-10-30 | 2013-04-12 | 박종필 | 인공광을 이용한 식물 재배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3314B1 (ko) | 화분 | |
KR200214155Y1 (ko) | 화분 | |
US20050166455A1 (en) | Plant pot | |
KR100419903B1 (ko) |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 |
KR200350481Y1 (ko) | 화분 | |
KR20170112660A (ko) | 물받이 일체형 상부 급수식 화분 | |
KR20100034972A (ko) | 급수수단을 구비한 다중 화분 | |
KR101313866B1 (ko) | 시스템 식재 포트 | |
KR100997306B1 (ko) |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 |
KR102346341B1 (ko) | 분리형 화분 | |
KR101040467B1 (ko) | 베란다 타입의 엽채류 재배용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 | |
US20090173003A1 (en) | Plant care device | |
KR100676469B1 (ko) | 공동 주택단지 내에 설치되는 계단식 화단 | |
RU173971U1 (ru) | Моду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ртикального или наклонного размещения растений | |
KR20210001133A (ko) | 적층식 화분 | |
KR101914112B1 (ko) | 화분 | |
KR200266511Y1 (ko) | 콩나물 재배기 | |
KR200246644Y1 (ko) | 화분 | |
KR200220766Y1 (ko) | 자동급수화분 | |
KR200379030Y1 (ko) | 화분 자동급수기 | |
JPH01269435A (ja) | 塀用ブロック利用の裁培方法とその栽培用植木鉢 | |
JPH0965766A (ja) | W 鉢 | |
KR200309841Y1 (ko) | 물과 흙 유출 방지 및 공기 통기공 화분 | |
KR200339654Y1 (ko) | 화분 거치대 | |
JP3035128U (ja) | 壁掛けプランタ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503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