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359Y1 - Vehicle locker for the manless public parking lot - Google Patents

Vehicle locker for the manless public parking l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359Y1
KR200350359Y1 KR20-2004-0004119U KR20040004119U KR200350359Y1 KR 200350359 Y1 KR200350359 Y1 KR 200350359Y1 KR 20040004119 U KR20040004119 U KR 20040004119U KR 200350359 Y1 KR200350359 Y1 KR 200350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am
rack
piece
c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11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호순
Original Assignee
황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호순 filed Critical 황호순
Priority to KR20-2004-0004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35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359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인주차장용 차량이동 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피니언이 장착된 주축과; 상기 주축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본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로킹판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래크 및 상기 래크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주축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림휠과; 상기 걸림휠과 맞물리도록 걸림휠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걸림편 지지체와; 일단이 상기 주축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걸림휠에 고정되는 탄성수단과; 상기 래크의 측면에 고정되어 래크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걸림편 지지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캠과; 상기 걸림편 지지체의 하부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장착되며, 상기 캠의 이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편을 상승시키는 캠 팔로워를 포함하며, 상기 캠 팔로워는 상기 로킹판이 최대로 상승하는 경우에 최대로 하강하며 로킹판의 하강에 따라서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ovement limiting device for an unmanned parking lot, the main body; A main shaft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having a pinion mounted at one side thereof; A locking plate mounted to one end of the main shaft and positioned outside the main body; A rack engaged with the pinion and an actuator for advancing or retracting the rack; A locking wheel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shaft; A catching piece disposed adjacent to the catching wheel to engage with the catching wheel; A catching piece supporter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catching piece in a vertical direction; An elastic mean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main shaf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locking wheel; A cam fixed to the side of the rack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rack, the cam being located below the locking piece support; A cam follower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piece supporter via a spring and moving up and down by the movement of the cam to raise the locking piece, and the cam follower is maximum when the locking plate is raised to the maximum. As it descend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ise in accordance with the falling of the locking plate.

본 고안에 의하면, 로킹판을 상승시키는 래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함께 이동하는 캠 기구를 설치하여 이를 통해 걸림편과 걸림휠이 서로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되므로, 하나의 액추에이터만으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편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액추에이터가 불필요해지므로 제품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화된 구조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고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cam mechanism to move together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ack to raise the locking plate through the engaging piece and the locking wheel is engaged with each other or the release is released, it is possible to operate with only one actuator. Therefore, since a separate actuator for the movement of the engaging piece is unnecessary, the configuration of the product can be simplified, thereby lower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and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increasing the service life due to the simplified structure.

Description

무인주차장용 차량이동 제한장치{Vehicle locker for the manless public parking lot}Vehicle movement limiter for unmanned parking lot {Vehicle locker for the manless public parking lot}

본 고안은 무인주차장용 차량이동 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량의 하부에 로킹판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차량이동 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ovement limiting device for an unmanned parking l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movement limiting device fixed in a state in which a locking plate is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so that a vehicle parked in an unmanned parking lot cannot move.

무인주차장의 운영에 있어서 주차장 내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차량을 통제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데 이러한 차량이동 제한장치로서는 종래부터 여러가지 형태의 기술들이 제안되고 사용되어져 왔다.In the operation of an unmanned parking lot, a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entering or leaving a parking lot is required. Various types of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and used in the past as a vehicle movement limiting device.

이러한 차량이동 제한장치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1-0070494호에 기재된 기술을 들 수 있다. 상기 출원에서는 주차된 차량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한장치 중 로킹판을 차량의 하부면쪽으로 상승시키는 방법에 의해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 즉, 로킹판을 상승시켜 차량의 앞뒤 바퀴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차량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An example of such a vehicle movement limiting device may be a technique describ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1-0070494. The above application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y a method of raising the locking plate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among the limiting devices located under the parked vehicle. That is, by raising the locking plate to be locat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vehic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moving.

상기와 같은 차량이동 제한장치를 사용하면 원격지에서도 스위치조작을 통해 차량의 이동을 손쉽게 제한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Using the vehicle movement limi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 convenience that can easily limit or releas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hrough a switch operation in a remote location, but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차량의 경우 승객이 탑승하거나 하차할 때 최저지상고에 변화가 오게 되는데, 상기 제한장치의 경우 이러한 최저지상고의 변화를 수용할 수 없다. 즉, 상기 로킹판이 피니언축의 회전에 의해 상승되고 걸림편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면 로킹판은 고정된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지만, 주차 후에 주차 전보다 더 많은 수의 인원 또는 짐을 싣게 되면 최저지상고는 더 낮아지므로 로킹판에 의해 차량의 하부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으며, 로킹판이 손상되기도 한다. 더욱이, 로킹판이 차량하부에 끼여서 해제가 불가능하게 되기도 한다.In the case of a vehicle, when the passenger boards or disembarks, there is a change in the minimum elevation, and the limiting device cannot accommodate such a change in the minimum elevation. In other words, if the locking plate is lifted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shaft and its position is fixed by the locking piece, the locking plate will not move in the fixed position, but if a larger number of people or luggage is loaded after parking, the minimum ground height will be higher. Because of the lowering, the locking plate may damage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and the locking plate may be damaged. Moreover, the locking plate may become stuck in the underside of the vehicle, making it impossible to release.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57227호에서는 상기와 같이 최저지상고가 변화하여도 기기 및 차체의 손상을 주지 않는 무인 주차장용 차량이동 제한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즉, 상기 걸림휠이 주축에 유격을 갖도록 고정됨으로써 차량의 최저지상고의 변화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drawback,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3-0057227 discloses a vehicle movement limiting device for an unmanned parking lot that does not damage the device and the body even if the minimum ground elevation is changed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locking wheel is fixed to have a play on the main shaft to absorb a change in the minimum ground height of the vehicle.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주축과는 별도로 밀대를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피니언축과 밀대를 구동하기 위한 각각의 액추에이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해야 하므로 제어계통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서 제조 비용이 상승하며, 다수의 부품이 사용되는 관계로 내구성에도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 technique, since the actuator is required to drive the push rod separately from the main shaft, the apparatus is complicated and the control system is complicated because each actuator for driving the pinion shaft and the push rod must be individually controlled. . Due to this,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there is a problem in durability because a large number of parts are used.

또한, 두 개의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해서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게 되는 데 이는 설치비 및 유지비의 증가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parate power source is required to drive the two actuators,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액추에이터만을 사용하여 주축과 밀대를 연동하여 동작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무인주차장용 차량이동 제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vehicle movement limiting device for an unmanned parking lot having a structure that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main shaft and the push rod using only one actuator. I'm taking it.

또한, 본 고안은 제품에 소요되는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기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무인주차장용 차량이동 제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movement limiting device for an unmanned parking lo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for a product,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improving the life of the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이동 제한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vehicle movement limi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중 로킹판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late is raised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중 일부에 대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ome of the embodiments shown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중 캠 기구 부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showing the vicinity of the cam mechanism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5는 도 4 중 캠이 최대로 전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m is fully advanced in FIG. 4.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피니언이 장착된 주축과; 상기 주축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본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로킹판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래크 및 상기 래크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주축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림휠과; 상기 걸림휠과 맞물리도록 걸림휠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걸림편과;상기 걸림편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걸림편 지지체와; 일단이 상기 주축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걸림휠에 고정되는 탄성수단과; 상기 래크의 측면에 고정되어 래크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걸림편 지지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캠과; 상기 걸림편 지지체의 하부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장착되며, 상기 캠의 이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편을 상승시키는 캠 팔로워를 포함하며, 상기 캠 팔로워는 상기 로킹판이 최대로 상승하는 경우에 최대로 하강하며 로킹판의 하강에 따라서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main body; A main shaft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having a pinion mounted at one side thereof; A locking plate mounted to one end of the main shaft and positioned outside the main body; A rack engaged with the pinion and an actuator for advancing or retracting the rack; A locking wheel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shaft; A catching piece disposed adjacent to the catching wheel so as to engage with the catching wheel; a catching piece supporter rotatably supporting the catching piece in a vertical direction; An elastic mean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main shaf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locking wheel; A cam fixed to the side of the rack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rack, the cam being located below the locking piece support; A cam follower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piece supporter via a spring and moving up and down by the movement of the cam to raise the locking piece, and the cam follower is maximum when the locking plate is raised to the maximum. As it descend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ise in accordance with the falling of the locking plate.

즉, 본 고안은 로킹판을 상승시키는 래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함께 이동하는 캠 기구를 설치하여 이를 통해 걸림편과 걸림휠이 서로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걸림편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액추에이터가 불필요해지므로 제품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cam mechanism to move together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ack to raise the locking plate through which the engaging piece and the locking wheel is engaged with each other or the engagement is released. Therefore, since a separate actuator for the movement of the engaging piece is unnecessary,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product.

바람직하게는, 상기 캠의 표면의 높이는 액추에이터 측에서 멀어질수록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래크가 액추에이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로킹판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캠 팔로워는 캠 표면이 높아지므로 상승하게 되고, 캠 팔로워의 단부가 걸림편을 들어올리므로 걸림편이 걸림휠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반대로 래크가 액추에이터로부터 멀어지는 경우(로킹판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캠 팔로워는 캠 표면이 낮아지므로 하강하게 되고, 캠 팔로워의 단부가 걸림편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걸림편과 걸림휠이 서로 결합하여 한 방향의 회전만이 가능하도록 주축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게 된다.Preferably, the height of the surface of the cam is higher so as to move away from the actuator side. That is, when the rack moves to the actuator side (when the locking plate is lowered), the cam follower rises because the cam surface becomes high, and the end of the cam follower lifts up the catching piece so that the catching piece is separated from the catching wheel. On the contrary, when the rack moves away from the actuator (the locking plate is raised), the cam follower is lowered because the cam surface is lowered, and the end of the cam follower is pulled away from the engaging piece, so that the engaging piece and the engaging wheel engage with each other to rotate in on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interrupt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so that only.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캠의 표면은 최저 높이를 갖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1 경사부 보다 완만한 경사도를 갖는 제2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는 캠 팔로워가 래크의 이동 초기에 신속하게 이동하도록 하여 기기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More preferably, the surface of the cam has a flat portion having the lowest height; A first inclined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plane portion; The second inclined portio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may have a second inclined portion having a gentler inclination than the first inclined portion. This is to allow the cam follower to move quickly at the beginning of the movement of the rack to prevent overloading the device.

아울러, 상기 캠은 상기 걸림편 지지체의 하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슬라이드 홈이 이동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cam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support. Therefore, the slide groove serves as a movement guide, so that a more stable operation is possibl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이동 제한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a vehicle movement limi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제품의 외형을 유지하고 내부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본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의 표면에는 타이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body 100 is shown to maintain the appearance of a product and to protect internal component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02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prevent the tire from slipping,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is ope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상기 본체(100)의 앞쪽에는 상승 또는 하강하여 차량이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로킹판(110)이 위치한다. 상기 로킹판(110)은 전체적으로 U자 형태를 가지며 양단부가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주축(120)에 고정되어 있어, 주축(120)의 회전에 따라서 상승 및 하강하게 된다. 상기 주축(120)은 본체(100)의 내부 양단부에 설치된 축 수용부(122)에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도 1에서 좌측 부분에는 피니언(124)이 장착되어 있어, 후술할 래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is located on the locking plate 110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y raising or lowering. The locking plate 110 has a U-shape as a whole,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the main shaft 12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locking plate 110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120. The main shaft 120 is fixed to the shaft receiving portion 122 provided on the inner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via a bearing (not shown), the pinion 124 is mounted on the left side in FIG. Power is received from the rack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피니언(124)의 우측에는 걸림휠(126)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휠(126)은 주축(120)에 고정된 것이 아니어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걸림휠(126)과 주축(120)의 사이에는 토션 스프링(128)이 위치하는 데 상기 토션 스프링(128)의 양단은 각각 상기 걸림휠(126) 및 주축(120)에 고정되어 있어 양자가 이탈되지 않고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 locking wheel 126 is mounted on the right side of the pinion 124. Here, the locking wheel 126 is not fixed to the main shaft 120 is mounted to be freely rotatable, the torsion spring 128 is located between the locking wheel 126 and the main shaft 120 Both ends of the torsion spring 128 are fixed to the locking wheel 126 and the main shaft 120, respectively, so that the two can be held without being separated.

상기 피니언(124)의 하부에는 래크(130)가 위치하며, 상기 래크(130)는 본체(100) 내부의 뒤쪽에 위치하는 공압 실린더(132)의 피스톤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이 전진하면 래크(130)가 함께 전진하면서 피니언(124)을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서 주축(120)이 회전하여 최종적으로 로킹판(110)이 상승하게 되며(도 2 참조), 피스톤이 후퇴하면 로킹판(110)이 하강하게 된다.A rack 130 is positioned below the pinion 124, and the rack 130 is connected to the piston of the pneumatic cylinder 132 locat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Therefore, when the piston moves forward, the rack 130 rotates together while the pinion 124 rotates, and thus the main shaft 120 rotates to finally raise the locking plate 110 (see FIG. 2). If this retreat, the locking plate 110 is lowered.

한편, 상기 걸림휠(126)의 인접부에는 걸림편(140)이 걸림휠(126)의 이 사이에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걸림편(140)은 걸림편 지지체(142)에 힌지결합되어 있어서, 평상시에는 걸림편(140)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걸림휠(126)과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주축(120)이 도 1에서 위쪽 방향, 즉 로킹판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주축은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지만, 반대방향, 즉 로킹판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걸림휠(126)에 걸림편(140)이 맞물리게 되어 회전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ngaging portion 140 is disposed in the adjacent portion of the locking wheel 126 to be engaged between the teeth of the locking wheel 126. The locking piece 140 is hinged to the locking piece supporter 142, and is normally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locking piece 140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wheel 126. Accordingly, when the main shaft 120 rotates in the upward direction in FIG. 1,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late is raised, the main shaft can be freely rotated. The engaging piece 140 is engaged with the is to limit the rotation.

이는 요금정산이 되지 않은 차량이 강제로 로킹판(110)을 하강시켜 차량을 이동시키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지만, 정상적으로 요금정산이 된 경우 상기 걸림편(140)을 걸림휠(126)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데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is is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y forcibly lowering the locking plate 110 to move the vehicle, which is not settled, but when the charge is settled normally to separate the locking piece 140 from the locking wheel 126 An apparatus is needed,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편 지지체(142)의 상부에는 걸림편(140)을 수용하기 위한 걸림편 수용부(1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편(140)은 걸림편 수용부(143) 내에서 회전축(141)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걸림편 수용부(143)의 바닥면에는 후술할 캠 팔로워의 단부가 수용되는 홀(144)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걸림편 지지체(14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슬라이드 홈(146)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a locking piece receiving portion 143 for receiving the locking piece 14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piece support 142, and the locking piece 140 has a locking piece receiving part 143. Is coupled by a rotation shaft 141 within.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receiving portion 143 is formed with a hole 144 is accommodated in the end of the cam follower to be described later,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gaging piece support 142,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slide groove 146 is formed.

한편, 상기 래크(130)의 좌측면에는 캠(150)이 결합된다. 상기 캠(150)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가지며 캠(150)의 우측면이 래크(130)와 결합되어 있어 래크(13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캠(150)의 좌측은 상술한 슬라이드 홈(146)의 내부에 삽입되게 되는 데, 가장 낮은 높이를 갖는 수평면(152), 상기 수평면(152)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경사면(154) 및 상기 제1 경사면(154)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경사면(156)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 경사면(154)은 제2 경사면(156)에 비해서 큰 경사각을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m 150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rack 130. The cam 150 has a 'c' shape as a whole and the right side of the cam 150 is coupled with the rack 130 to move together with the rack 130. The left side of the cam 150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146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surface 152 having the lowest height, the first inclined surface 154 and adjacent to the horizontal surface 152 and the A second inclined surface 156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54. Here, the first inclined surface 154 has a larger inclination angle tha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56.

상기 캠(150)과 상기 슬라이드 홈(146)의 사이에는 캠 팔로워(160)가 개재된다. 상기 캠 팔로워(160)의 단부는 탄성 스프링(164)을 개재하여 상술한 홀(144)에 삽입된다.A cam follower 160 is interposed between the cam 150 and the slide groove 146. The end of the cam follower 160 is inserted into the hole 144 described above via the elastic spring 164.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래크(130)가 최대로 후퇴한 상태(즉, 로킹판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래크(130)는 도시하지 않았으며, 걸림편 지지체의 한쪽 벽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였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rack 130 is retracted to the maximum (ie, the locking plate is lowered). The rack 130 is not shown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and shows a state in which one wall of the latching support is removed.

상기 래크(130)가 최대로 후퇴한 상태에서는 상기 캠 팔로워(160)는 캠(150)의 제2 경사면(156)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캠 팔로워(160)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걸림편(140) 역시 상부를 향하여 회전한 상태이기 때문에 걸림휠과 걸림편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 있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rack 130 is retracted to the maximum, the cam follower 160 is positioned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56 of the cam 150. Therefore, the cam follower 160 is raised, and because of this, the locking piece 140 is also rotated upwards, so that the locking wheel and the locking piec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때, 래크(130)가 전진하여 로킹판이 최대로 상승한 상태(도 5 참조)에서는 상기 캠 팔로워(160)는 수평면(152)에 위치하며 걸림편(140)은 자중으로 인해서 아랫쪽으로 내려가게 되므로 걸림편과 걸림휠이 서로 맞물려 로킹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rack 130 is advanced and the locking plate is raised to the maximum (see FIG. 5), the cam follower 160 is positioned on the horizontal surface 152 and the locking piece 140 is lowered due to its own weight. The lock is engaged with the piece and the locking wheel.

한편, 요금 정산이 이루어져서 로킹판을 하강시키기 위해 래크를 다시 후퇴시키면 캠 팔로워(160)는 수평면(152)에서 제1 경사면(154) 위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승하고, 이로 인해 상기 걸림편(140)이 상향으로 회전하여 로킹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제1 경사면의 경사각이 제2 경사면에 비해 크므로, 캠 팔로워(160)가 신속하게 상승하여 로킹 해제가 지연되어 기기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when the rack is retracted to lower the locking plate due to the fare settlement, the cam follower 160 rises while being position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54 on the horizontal surface 152, thereby causing the locking piece 140 to move. The locking is released by rotating upward. At this time, sinc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he cam follower 160 quickly rises, and the unlocking is delayed, thereby preventing the device from becoming excessiv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로킹판을 상승시키는 래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함께 이동하는 캠 기구를 설치하여 이를 통해 걸림편과 걸림휠이 서로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되므로, 하나의 액추에이터만으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편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액추에이터가 불필요해지므로 제품의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화된 구조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고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the cam mechanism to move together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ack to raise the locking plate through this, the engaging piece and the locking wheel is engaged with each other or the engagement is released, only with one actuator Operation is possible. Therefore, since a separate actuator for moving the engaging pieces is unnecessary, the configuration of the product can be simplified, thereby lower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and also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increasing the service life due to the simplified structure.

Claims (4)

본체와;A main body;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피니언이 장착된 주축과;A main shaft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having a pinion mounted at one side thereof; 상기 주축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본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로킹판과;A locking plate mounted to one end of the main shaft and positioned outside the main body;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래크 및 상기 래크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액추에이터와;A rack engaged with the pinion and an actuator for advancing or retracting the rack; 상기 주축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림휠과;A locking wheel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shaft; 상기 걸림휠과 맞물리도록 걸림휠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걸림편과;A catching piece disposed adjacent to the catching wheel to engage with the catching wheel; 상기 걸림편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걸림편 지지체와;A catching piece supporter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catching piece in a vertical direction; 일단이 상기 주축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걸림휠에 고정되는 탄성수단과;An elastic mean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main shaf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locking wheel; 상기 래크의 측면에 고정되어 래크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걸림편 지지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캠과;A cam fixed to the side of the rack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rack, the cam being located below the locking piece support; 상기 걸림편 지지체의 하부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장착되며, 상기 캠의 이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편을 상승시키는 캠 팔로워를 포함하며,A cam follower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piece supporter via a spring and moving up and down by the movement of the cam to raise the locking piece; 상기 캠 팔로워는 상기 로킹판이 최대로 상승하는 경우에 최대로 하강하며 로킹판의 하강에 따라서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이동 제한장치.And the cam follower is configured to descend as much as possible when the locking plate rises to the maximum and to rise as the locking plate descend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캠의 표면의 높이는 액추에이터 측에서 멀어질수록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이동 제한장치.And the height of the surface of the cam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actuator side increase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캠의 표면은 최저 높이를 갖는 평면부와;A surface portion of the cam has a lowest height; 상기 평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경사부와;A first inclined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plane portion; 상기 제1 경사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1 경사부 보다 완만한 경사도를 갖는 제2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이동 제한장치.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having a gentler inclination than the first incline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캠은 상기 걸림편 지지체의 하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이동 제한장치.And the cam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support.
KR20-2004-0004119U 2004-02-18 2004-02-18 Vehicle locker for the manless public parking lot KR20035035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19U KR200350359Y1 (en) 2004-02-18 2004-02-18 Vehicle locker for the manless public parking l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19U KR200350359Y1 (en) 2004-02-18 2004-02-18 Vehicle locker for the manless public parking lo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535A Division KR100564689B1 (en) 2004-02-18 2004-02-18 Vehicle locker for the manless public parking l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359Y1 true KR200350359Y1 (en) 2004-05-12

Family

ID=4934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119U KR200350359Y1 (en) 2004-02-18 2004-02-18 Vehicle locker for the manless public parking l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35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689B1 (en) Vehicle locker for the manless public parking lot
KR200350359Y1 (en) Vehicle locker for the manless public parking lot
US5009559A (en) Elevator type parking lot
KR101645804B1 (en) Lifting Type Bicycle Parking Apparatus
JP2019049193A (en) Vehicle lock member, vehicle lock device and parking device
JP4990078B2 (en) Loading / unloading vehicle
CA2913345C (en) Dock leveler safety supports
JP3179052B2 (en) Locking parking device
KR200367647Y1 (en) Remote-controllable vehicle locker for the public parking lot
US20030049108A1 (en) Low-profile vehicle restraint
CN114269606B (en) Mascot retracting mechanism
KR920001419Y1 (en) Mechanism for automatically preventing a motor vehicle from dropping from a wheels support plate of a system for lifting the vehicle for repair thereof
CN210164313U (en) Vehicle support plate for stereo garage
CN110127573B (en) Self-locking device
KR200329557Y1 (en) The rotary parking equipment having the turn-table within
KR100495780B1 (en) Vehicle locker for the manless public parking lot
CN1254430C (en) Lift for repairing vehicle
CA2140743C (en) Vehicle restraint
JP2006144529A (en)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t parking lot
KR200364990Y1 (en) Vehicle locker for the manless public parking lot
KR200361056Y1 (en) Vehicle locker for the manless public parking lot
GB2418445A (en) Retractable speed bump
EP2844521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vehicle access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KR20050059643A (en) Vehicle locker for the manless public parking lot
JP3913050B2 (en) Fall preven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