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968Y1 -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레벨러 - Google Patents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레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968Y1
KR200349968Y1 KR20-2004-0003870U KR20040003870U KR200349968Y1 KR 200349968 Y1 KR200349968 Y1 KR 200349968Y1 KR 20040003870 U KR20040003870 U KR 20040003870U KR 200349968 Y1 KR200349968 Y1 KR 200349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crete
height
retaining wall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중
Original Assignee
강선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중 filed Critical 강선중
Priority to KR20-2004-0003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9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콘크리트 수평 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 레벨러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상부에 결합되는 캡에 의해 높이 설정 및 시야확보가 쉽고 수평, 수직, 두께를 미리 설정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시 종래보다 더욱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방법으로 정밀하게 타설시공 함으로써 옹벽거푸집 콘크리트 바닥 및 일반바닥공사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동시에 줄여 자재비,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 레벨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레이저레벨장치(80)로 그 높이를 셋팅하여 건축물의 바닥이나 옹벽거푸집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결정해주는 레벨러에 있어서, 거푸집에 부착시켜 놓은 레벨베이스(40)와, 단면이 사각형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레벨베이스에 끼워지고, 각 모서리부가 내부로 라운드되어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부(14)를 형성하고 꼭지점이 외측으로 라운드되어 돌출부(12)를 형성하되, 돌출부(12)의 외면으로 다수의 걸림턱(13)을 구비한 몸체(10)와, 바닥면에 몸체(1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받침부(2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로 끼워지도록 삽입부(32)가 형성되고, 삽입부(32)의 내부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그 외면으로 걸림턱(35)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고정돌기(33)를 구비한 캡(30)으로 구성되어, 몸체(10)의 가이드부(14)에 회전고정돌기(33)가 가이드 되도록 하여 캡(30)을 삽입하고, 레이저레벨장치(80)로 설계 높이에 맞게 캡(30)을 위치시킨 후 캡(30)을 회전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높이를 결정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 레벨러{leveler for a smoothing of floor concrete and retaining wall formwork installation}
본 고안은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 레벨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에 부착시켜 놓은 레벨베이스에 끼워져 바닥에 고정됨에 따라 바닥에 고정시 고정못을 계속 사용하면서 고정할 필요가 없어 골조공사 완료때까지 전용자재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의 능률성이 향상되고, 몸체에 캡을 씌움으로써 콘크리트 평탄화작업시 매끈한 작업이 가능하여 정확한 설계 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 레벨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축물의 기본적인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바닥공사를 한 후 그 가장자리에 옹벽 콘크리트를 타설 하게 되며 콘크리트 타설 면이 일정하게 시공되도록 하는 것이 공정상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정밀부품공장이나, 병원, 대형매장 등의 바닥시공시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 바닥 구배의 오차 허용범위가 매우적기 때문에 평활도가 정밀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건축물의 시공함에 있어 옹벽이나 외벽의 축조시에는 먼저, 바닥공사부분의 가장자리에 타설 되는 옹벽이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서 유로폼일 경우 그 가장자리에 합판조각, 모르타르 등으로 일정한 높이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평형을 유지한 상태로 수평조절목재, 고임목 등을 올려놓은 다음 수평조절장치로 수평조절목재와 고임목의 수평을 확인 한 후, 그 상측에 패널이나 폼 등의 가설물을 설치하게 된다.
알루미늄폼일 경우에는 레벨이 가장 높은 곳을 기준을 맞춘 알루미늄폼을 미리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와, 알루미늄폼의 하부부분(키카)의 빈공간을 우레탄폼 발포 등으로 충진을 하게 되어 옹벽의 골조공사의 부실시공의 우려가 있고 알루미늄폼 철거후 다량의 폐기물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옹벽의 수평조절방법은 타설된 콘크리트상에 합판조각을 쌓아가며 높이를 맞추어야 하므로, 층고상승, 측벽용 가설물에 대해 정확한 수평상태를 보장받기가 어려워 구조물의 품질이 저하되어 부실공사가 우려되고, 후속작업시간 증가로 인해 공기가 연장되어 작업이 매우 비효율적이며 그 공정이 매우 조잡하여 과다한 시공 자재비 및 인건비가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되는 것으로, 상부에 결합되는 캡에 의해 높이 설정 및 시야확보가 쉽고 수평, 수직, 두께를 미리 설정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시 종래보다 더욱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방법으로 정밀하게 타설시공 함으로써 옹벽거푸집 콘크리트 바닥 및 일반바닥공사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동시에 줄여, 정밀 시공 및 자재비,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 레벨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레벨베이스를 유로폼에 부착시켜 놓은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레벨베이스를 알루미늄폼에 부착시켜 놓은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몸체와 캡을 상부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을 몸체와 캡을 하부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5 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는 본 고안의 레이저레벨기장치에 의해 높이가 셋팅되는 개념도,
도 7 은 본 고안의 알루미늄폼의 사용시 적용되는 예시도,
도 8 은 본 고안의 유로폼 사용시 적용되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끼움홈
(12) : 돌출부 (13) : 걸림턱
(14) : 가이드부 (15) : 가이드홈
(16) : 덮개부 (20) : 받침부
(21) : 결합공 (22) : 리브
(30) : 캡 (31) : 리브
(32) : 삽입부 (33) : 회전고정돌기
(34) : 베이스면 (35) : 걸림턱
(36) : 걸림홈 (40) : 레벨베이스
(41) : 고정부재 (50) : 하부층바닥슬래브알루미늄폼
(51) : 상부층옹벽알루미늄폼 (60) : 하부층바닥슬래브유로폼
(61) : 수평각재 (62) : 상부층옹벽유로폼
(70) : 콘크리트 (80) : 레이저레벨장치
(81) : 회전형레이저레벨기 (82) : 수신기
(83) : 인디케이터 (84) : 기준축
(85) : 높이조절기어 (85a) : 손잡이
(100) : 옹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바닥이나 옹벽거푸집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결정하는 레벨러에 있어서, 거푸집에 부착시켜 놓은 레벨베이스와, 단면이 사각형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레벨베이스에 끼워지고, 각 모서리부가 내부로 라운드되어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꼭지점이 외측으로 라운드되어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면으로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바닥면에 몸체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받침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로 끼워지도록 삽입부가 형성되고, 삽입부의 내부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그 외면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고정돌기를 구비한 캡으로 구성되어, 몸체의 가이드부에 회전고정돌기가 가이드 되도록 하여 캡을 삽입하고, 레이저레벨장치로 설계 높이에 맞게 캡을 위치시킨 후 캡을 회전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인 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레벨베이스를 유로폼에 부착시켜 놓은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레벨베이스를 알루미늄폼에 부착시켜 놓은 예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몸체와 캡을 상부에서 본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을 몸체와 캡을 하부에서 본 분리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의 레이저레벨기장치에 의해 높이가 셋팅되는 개념도로서, 본 고안은 건축물의 바닥시공에서 콘크리트 타설 높이에 맞게 바닥에 셋팅한 후 콘크리트 타설시 그 최상부까지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하여 바닥의 수평을 조절하고 옹벽의시공시에 균일한 거푸집설치를 위해 바닥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먼저 콘크리트 타설시 설치되는 거푸집상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부재(41)에 의해 부착된 다수의 레벨베이스(40)와, 상기 거푸집에 부착된 레벨베이스(40)에 끼워지도록 하부에 끼움홈(11)을 구비하고 상부에 걸림턱(13)이 구비된 몸체(10)와, 바닥면에 몸체(1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리브(22)로 연결된 다수의 받침부(2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로 씌워져 그 높이까지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기준을 잡아주는 캡(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벨베이스(40)는 알루미늄폼으로 거푸집 시공을 하는 건축물의 옹벽 시공시에는 하부층바닥슬래브알루미늄폼(50)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되 길이방향(a)이 옹벽(100)을 향해 부착된다.
또한 유로폼으로 거푸집 시공을 하는 건축물의 옹벽시공시에는 하부층바닥슬래브유로폼(50)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되 폭(b)방향이 옹벽(100)을 향하도록 하여 부착된다.
한편 상기 레벨베이스(40)의 고정부재(41)는 알루미늄폼에 레벨베이스를 부착시에는 철판스크류고정피스를 사용하고, 유로폼의 사용시에는 못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레이저빔을 송신하는 회전형레이저레벨기(81)와, 상기 회전형레이저레벨기(81)에서 보내는 레이저를 수신받아 기준레벨을 설정하는 수신기(82)와, 상기 수신기(82)에 연결되어 수신기(82)에서 설정된 기준레벨에 맞게 레벨작업을 할 수 있도록 오차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83)와, 상기 인디케이터(83)에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기준축(84)과 상기 인디케이터(83)와 수신기 사이에 연결되어 기준축(84)의 높이를 조절해줄 수 있도록 손잡이(85a)가 부착된 높이조절기어(85)로 구성된 레벨측정장치(80)를 이용하여 설계기준 높이에 맞도록 몸체(10)에 캡(30)의 안착높이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0)는 그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형태로서, 각 모서리부가 내측으로 라운드 되어 가이드홈(15)을 형성하고, 꼭지점은 외측으로 라운드 되어 돌출부(12)를 형성한 형태로서, 상기 가이드홈(15)에 의해 몸체의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부(14)가 형성되고, 캡(30)이 걸릴 수 있도록 돌출부(12)의 외면으로 다수의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끼움홈(11)의 둘레를 따라 덮개부(16)가 형성되어 있어 콘크리트 타설시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캡(30)은 몸체(10)의 상부로 씌워지도록 하부에 삽입부(32)가 형성되고, 삽입부(32)의 내부면 둘레를 따라 회전고정돌기(3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고정돌기(33)의 외면으로는 몸체(10)의 걸림턱(13)에 대응되는 걸림턱(3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캡(30)을 몸체(10)에 결합시에는 캡(30)의 걸림턱(35)이 몸체(10)의 가이드부(14)를 통해 가이드되어 씌워지고 레벨측정장치(80)에 의해 일정한 설계높이에 위치하면 캡(30)을 회전함으로써 몸체(10)와 캡(30)의 내부의 걸림턱(13)(35)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캡(30)의 상부에는 콘크리트 타설 후 타설면의 평탄화 작업이 용이하도록 리브(31)로 연결되는 베이스면(34)이 형성되어 있어 베이스면(34)을 따라 콘크리트를 긁어냄으로 인해 평활도가 유지되며, 상기 베이스면(34)의 모서리에는 레이저레벨장치(80)의 기준축(84)이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회전형레이저레벨기(81)에서 레이저를 송신하고, 상기 회전형레이저레벨기(81)에서 보내는 레이저를 수신기(82)에서 수신받아 기준레벨을 설정하며, 상기 수신기(82)에 연결된 인디케이터(83)는 수신기(82)로부터 설정된 기준레벨에 맞게 레벨작업을 할 수 있도록 높낮에 따른 오차를 표시해주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기준축(84)을 몸체에 씌워진 캡(30)의 걸림홈(36)에 밀착한 후 높이조절기어(85)에 부착된 손잡이를 돌리면서 캡(10)의 높이를 조절하며 이때 인디케이터(83)에 표시되는 오차를 확인한다.
이렇게 확인되는 오차의 값이 0 이 되는 위치에서 기준축(84)을 회전시킴으로써 캡(30)이 회전하여 몸체(10)에 고정된다.
한편 캡(30)을 몸체(10)에 삽입하는 방법은 캡(30)의 삽입부(32)에 형성된 회전고정돌기(33)를 몸체의 가이드부(14)를 통해 가이드되어 몸체(10)에 삽입되고, 삽입 후 가이드부(14)를 따라 캡(30)을 상하로 이동한다. 이때 설정된 높이에 대한 오차가 0으로 인디케이터(83)에 표시되면 캡(30)을 회전하여 몸체(10)와 캡(30)에 형성된 걸림턱(13)(35)이 맞물리게 되어 캡(30)과 몸체(10)가 고정된다.
이렇게 레이저레벨장치(80)에 의해 그 높이가 조절되는 본 고안은 알루미늄폼 사용시 알루미늄폼의 설치높이를 설정해 주게 되는데 그 구조는 도 7 에서와 같이 알루미늄폼에 레벨베이스(40)를 부착하여 하부층바닥슬래브알루미늄폼(50)을 구성하고,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벨베이스(40)에 몸체(10)를 끼우고, 상기 몸체(10)에 캡(30)을 씌운 후 레이저레벨장치(80)을 이용하여 그 높이를 셋팅하며, 상기 캡(30)을 회전시켜 몸체(10) 고정한 다음 콘크리트(70)를 타설 함으로써 상부층옹벽알루미늄폼(51)의 설치높이를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알루미늄폼은 25층이상의 고층 아파트나 주상복합아파트에는 가볍고, 배부름현상이 없으며 미장면이 좋으며, 고정시 볼트너트 체결구조로 탈부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유로폼 사용시에도 설치가 가능한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8 에서와 같이 거푸집에 레벨베이스(40)를 부착하여 하부층바닥슬래브유로폼(60)을 구성하고, 상기 하부층바닥슬래브유로폼(60)을 바닥에 설치한 후 상기 레벨베이스(40)에 몸체(10)를 끼워 결합하고, 상기 몸체(10) 상부에 캡(30)을 씌워 설계높이에 맞게 셋팅한 후 회전시켜 몸체(10)에 고정한다.
이렇게 구성된 하부층바닥슬래브유로폼(60)에 결합된 본 고안의 상부에 수평각재(61)를 고정하고 상부층옹벽유로폼(62)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70)를 타설함으로써 옹벽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옹벽이나 바닥콘크리트 타설시 사용되는 거푸집에 레벨베이스(4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받침부(20)의 결합공(21)을 통해 고정못으로 거푸집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벽체의 거푸집이 수평한 상태로 안정되게 설치되고, 정밀시공으로 인한 균일한 벽체의 수직 시공이 가능하며, 또한 바닥콘크리트의 평활도가 유지됨에 따라, 자재비, 인건비, 공사기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속공사(내장, 외장등)시 정확하고 정밀한 시공 여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골조공사가 정밀 시공되어 산업폐기물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건축물 전체의 부실시공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을 확보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레이저레벨장치로 그 높이를 셋팅하여 건축물의 바닥이나 옹벽거푸집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결정해주는 레벨러에 있어서,
    거푸집에 부착시켜 놓은 레벨베이스(40)와,
    단면이 사각형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레벨베이스에 끼워지고, 각 모서리부가 내부로 라운드되어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부(14)가 구비되며, 꼭지점이 외측으로 라운드되어 돌출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의 외면으로 다수의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바닥면에 몸체(1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받침부(2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로 끼워지도록 삽입부(32)가 형성되고, 삽입부(32)의 내부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그 외면으로 걸림턱(35)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고정돌기(33)를 구비한 캡(30)으로 구성되어,
    몸체(10)의 가이드부(14)에 회전고정돌기(33)가 가이드 되도록 하여 캡(30)을 삽입하고, 레이저레벨장치(80)로 설계 높이에 맞게 캡(30)을 위치시킨 후 캡(30)을 회전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 레벨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30)은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수평한 베이스면(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 레벨러.
KR20-2004-0003870U 2004-02-16 2004-02-16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레벨러 KR200349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870U KR200349968Y1 (ko) 2004-02-16 2004-02-16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레벨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870U KR200349968Y1 (ko) 2004-02-16 2004-02-16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레벨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997A Division KR100609081B1 (ko) 2004-02-16 2004-02-16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 레벨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968Y1 true KR200349968Y1 (ko) 2004-05-08

Family

ID=4934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870U KR200349968Y1 (ko) 2004-02-16 2004-02-16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레벨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9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70B1 (ko) 2010-07-08 2010-10-18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슬래브용 레벨러에 방미장용 레벨러를 연결 사용하여 공사단계별 바탕면 마감높이를 표시한 레벨 스페이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70B1 (ko) 2010-07-08 2010-10-18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슬래브용 레벨러에 방미장용 레벨러를 연결 사용하여 공사단계별 바탕면 마감높이를 표시한 레벨 스페이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8285B1 (ko) 미장용 레벨봉
US6735793B2 (en) Water containment block
CA2771894A1 (en) Concrete sideform system
JP5090220B2 (ja) コンクリート施工用装置
KR100609081B1 (ko)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 레벨러
KR200349968Y1 (ko)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레벨러
KR100543426B1 (ko) 수평 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 바닥기준면설정장치
KR100998734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수평유지부재 및 그 설치 구조
KR100346280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 수평받침구
US10028623B1 (en) Unitary shower curb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a unitary shower curb system
KR100519037B1 (ko) 몰탈미장용 흙칼
KR101808233B1 (ko) 타일 시공 장치
CA2903902C (en)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a frame member and installation method
KR200247957Y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KR100414677B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KR101040167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및 연결부재와 이를 이용한 벽판넬 설치 구조
KR200161312Y1 (ko) 시멘트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설치를 위한 하부기초장치
KR200189886Y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 수평 받침구
KR100390059B1 (ko) 미장용 레벨
KR200215935Y1 (ko) 거푸집 설치용 프레임 셋팅장치
EP4134509A1 (en) Installation of a window or door in an opening of a building
KR0138377Y1 (ko)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설치를 위한 하부기초장치
KR200246027Y1 (ko) 미장용 레벨봉
KR200415831Y1 (ko) 칸막이용 경량 패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167489Y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 수평 받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