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815Y1 - 물 주전자 - Google Patents

물 주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815Y1
KR200349815Y1 KR20-2004-0003981U KR20040003981U KR200349815Y1 KR 200349815 Y1 KR200349815 Y1 KR 200349815Y1 KR 20040003981 U KR20040003981 U KR 20040003981U KR 200349815 Y1 KR200349815 Y1 KR 200349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ip tray
opening
case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찌꼬타다또시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데자인 고오보오 씨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데자인 고오보오 씨아이씨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데자인 고오보오 씨아이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8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0Tea or coffee pot cosie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별도의 정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물 주전자를 제공한다.
물 주전자(A)는 본체부(A1), 덮개부(A2) 및 카트리지부(A3)를 가진다. 카트리지부(A3)는 본체부(A1) 내에 수납되어 있다. 카트리지부(A3)는 물받이부(30), 상측 케이스(50) 및 하측 케이스(70)를 가지고, 상측 케이스(50) 내에는 필터(60)가 수납되며, 하측 케이스(70) 내에는 입상의 세라믹이 수납되어 있다. 상측 케이스(50)와 하측 케이스(70)는 물받이부(30)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롭다.

Description

물 주전자 {JUG}
본 고안은 물 주전자, 즉, 워터 피처(water pitcher)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물 주전자는 물을 담는 용기 형상의 부재와 이 부재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물 주전자는 물을 정수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별도의 정수 장치에 의해 물을 정수한 후에 물 주전자에 따라야 했다. 즉, 별도의 정수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큰 부담이 되고 있다.
그래서 본 고안은 별도의 정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물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 주전자를 도시한 도면이며, (a)는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b)는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 주전자를 도시한 도면이며, (a)는 정면도이고, (b)는 배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 주전자를 도시한 도면이며, (a)는 측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 주전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도1의 X-X 단면도이다.
도6은 덮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며, (c)는 저면도이다.
도7은 카트리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카트리지부를 도시한 단면이며, (a)는 도7의 Y-Y 단면도이고, (b)는 상측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9는 도8(a)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10은 카트리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특히 하측 케이스와 물받이부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A : 물 주전자 A1 : 본체부
A2 : 덮개부 A3 : 카트리지부
10 : 본체 케이스 18 : 손잡이부
30 : 물받이부 36 : 개구부
50 : 상측 케이스 36, 52a, 54a, 59, 72a, 75, 78 : 개구부
60 : 필터 70 : 하측 케이스
80 : 세라믹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제1 구성은, 물을 따르기 위한 물 주전자("워터 피처"라 해도 좋다. 이하에 대해서도 같다.)로서,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구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된 카트리지부를 가진다. 이 카트리지부는 따라지는 물을 받기 위한 물받이부, 상기 물받이부에 따라지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부재인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에서 정화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부재인 제2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런 제1 구성에 있어서는, 물받이부에 물을 따르면 물은 제1 부재에 의해 정화된 후, 또한 제2 부재에 의해 정화된다. 이에 따라, 정화된 물을 본체부 내에 모아 둘 수 있고, 본체부 내의 물을 따르면 정화된 물을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정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효율이 좋다.
제2 구성에서는,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여과 기능을 가지는 필터이고, 상기 제2 부재가 입상의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1 부재에 의해 물을 여과하고, 제2 부재에 의해 여과된 물에 세라믹의 기능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제3 구성에서는,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가 다공질 구조를 가져서 수중의 불순물을 흡착하고, 미네랄 성분을 용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구성에서는, 상기 제2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가 다공질 구조를 가져서 수중의 불순물을 흡착하고, 미네랄 성분을 용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구성에서는, 상기 제3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가 적어도 맥반석 및 세피오라이트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구성에서는, 상기 제4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가 적어도 맥반석 및 세피오라이트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구성에서는, 상기 제1 구성 내지 제6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물 주전자가 또한 본체부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체부에 모인 물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8 구성에서는, 상기 제1 구성 내지 제6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에서 물받이부가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부에 개구부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부재를 상측 케이스가 수납한다. 상측 케이스는 물받이부에 따랐던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 및 물을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한다. 상측 케이스는 물받이부의 개구부의 상측으로 향하여 물받이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 부재를 하측 케이스가 수납한다. 하측 케이스는 상측 케이스로부터 유출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와 물을 유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다. 하측 케이스는 물받이부의 개구부의 하측으로 향하여 물받이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제8 구성에 있어서는, 물이 물받이부에 부어지고, 상측 케이스의 유입구로 유입하면, 제1 부재에 의해 정화되고 유출구로 유출된다. 그리고 상측 케이스에서 유출된 물이 하측 케이스의 유입구로 유입되면, 제2 부재에 의해 정화되고, 유출구로 유출되어 본체부 내에 모인다. 이에 따라, 물받이부에 물을 따르는 것만으로,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의해 물을 정화하고 본체부 내에 모아 두는 것이 가능하다.
제9 구성에서는, 상기 제8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상측 케이스와 하측 케이스는 물받이부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1 부재의 교환 시기가 왔을 때는 상측 케이스를 교환하고, 제2 부재의 교환 시기가 왔을 때는 하측 케이스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0 구성에서는, 물을 따르기 위한 물 주전자로서,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면서 손잡이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된 카트리지부를 가진다. 이 카트리지부는 따라지는 물을 받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물받이부와 상기 물받이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으면서 상기 물받이부의 개구부의 상측으로 향하여 구비되고 내부에 필터를 가지며 상기 물받이부에 따라지는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와 물을 하방으로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를 가지는 상측 케이스와 상기 물받이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으면서 상기 물받이부의 개구부의 하측으로 향하여 구비되고 내부에 입상의 세라믹을 가지며 상기 상측 케이스로부터 유출하는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와 물을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를 가지고 있는 하측 케이스를 가지는 카트리지부 및 본체부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를 가진다.
이런 제10 구성에 있어서는, 물이 물받이부에 따라지고, 상측 케이스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필터에 의해 정화된 후 유출구로 유출된다. 그리고 상측 케이스로부터 유출된 물은 하측 케이스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세라믹에 의해 상기 세라믹의 기능이 주어진 후 유출구로부터 유출되어 본체부 내에 모이게 된다. 이에 따라,물받이부에 물을 따르는 것만으로, 필터 및 세라믹에 의해 물을 정화하고 본체부 내에 모아 두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정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효율이 좋다. 또한, 상측 케이스와 하측 케이스가 물받이부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롭기 때문에, 필터의 교환 시기인 경우에는 상측 케이스를 교환하고, 세라믹의 교환 시기인 경우에는 하측 케이스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덮개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에 모았던 물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1 구성에서는, 물을 따르기 위한 물 주전자로서,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며 손잡이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된 카트리지부를 가진다. 이 카트리지부는 따르는 물을 받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물받이부와 상기 물받이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으면서 상기 물받이부의 개구부의 상측을 향하여 구비되고, 내부에 물을 정화하기 위한 부재인 제1 부재를 수납하며, 상기 물받이부에 따라지는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와 물을 하방으로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를 가지는 상측 케이스와 상기 물받이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으면서 상기 물받이부의 상기 개구부의 하측으로 향해서 구비되고, 내부에 물을 정화하기 위한 부재인 제2 부재를 수납하며, 상기 상측 케이스로부터 유출한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와 물을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를 가지는 하측 케이스를 가지는 카트리지부 및 본체부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를 가진다.
이 제11 구성에 있어서는, 상측 케이스에 상기 제1 부재를 수납하고, 하측케이스에 상기 제2 부재를 수납하여 둔다. 물이 물받이부에 따라지면, 상측 케이스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제1 부재에 의해 정화되고, 유출구로 유출된다. 그리고 상측 케이스에서 유출한 물은 하측 케이스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어 제2 부재에 의해 정화되고, 유출구로부터 유출되어 본체부 내에 모인다. 이에 따라, 물받이부에 물을 따르는 것만으로,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 의해 물을 정화하여 본체부 내에 모아 두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정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효율이 좋다. 또한, 상측 케이스와 하측 케이스가 물받이부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롭기 때문에, 필터의 교환 시기인 경우에는 상측 케이스를 교환하고, 세라믹의 교환 시기인 경우에는 하측 케이스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덮개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에 모았던 물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2 구성에서는, 상기 제11 구성에 있어서, 상기 물 주전자가 또한 상기 상측 케이스 내에 물을 정화하기 위한 부재인 상기 제1 부재를 가지고, 상기 하측 케이스 내에 물을 정화하기 위한 부재인 상기 제2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3 구성에서는, 상기 제11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여과 기능을 가지는 필터이며, 상기 제2 부재가 입상의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4 구성에서는, 상기 제12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여과 기능을 가지는 필터이며, 상기 제2 부재가 입상의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3 구성 및 제14 구성에 따르면, 물이 필터에 의해 정화되고, 또한, 세라믹에 의해 상기 세라믹의 기능이 주어진다.
제15 구성에서는, 상기 제10 구성, 제13 구성 또는 제14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입상의 세라믹이 다공질 구조를 가져서 수중의 불순물을 흡착하고, 미네랄 성분을 용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6 구성에서는, 상기 제10 구성 내지 제14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상측 케이스의 하단 측 일부가 상기 물받침부의 저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7 구성에서는, 상기 제15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입상의 세라믹이 적어도 맥반석 및 세피오라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로서의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물 주전자(A)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것처럼, 본체부(A1), 덮개부(A2) 및 카트리지부(A3)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본체부(A1)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것처럼, 본체 케이스(10)와 손잡이부(18)를 가지고 있다. 본체 케이스(10)는 종방향으로 긴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저부(12)와 측면부(14)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저부(12)는 트랙 형상, 즉 장방형의 양측에 반원 형상을 구비한 판 형상을 가진다. 또한, 측면부(14)는 저부(12)의 외주로부터 위로 뻗어 있고, 도중까지는 수직하지만, 측면부(14)의 정면측(즉, X1측)은 도중부터 전방 쪽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측면부(14)에서의 정면측 이외의 부분, 즉, 우측면측, 좌측면측, 배면측은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이에 따라, 측면부(14)의 상단의 크기는 저부(12)의 크기보다도 정면측(즉, X1측)에서 커지고 있다. 또, 측면부(14)의 상단의 정면측에는 주입구(12a)가 구비되어 있다. 즉, 이 주입구(12a)는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부(18)는 본체 케이스(10)의 측면부(14)의 배면측(X2측)에 구비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18)는 측면에서 보면 대략 コ자 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덮개부(A2)는 본체 케이스(10)의 상단에 구비된 부재로, 도1 내지 도6에 도시한 것처럼, 덮개부 본체(20), 뚜껑 손잡이부(22) 및 하방 돌출부(24)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덮개부 본체(20)는 판 형상이고, 본체 케이스(10)의 상단 외주 형상과 크기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덮개부 본체(20)의 평면 형상은 트랙 형상, 즉, 장방형의 양측에 반원 형상을 붙인 형상을 나타내고, 그 정면측의 단부에는 물의 유출을 원활히 하기 위해 오목형의 절결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뚜껑 손잡이부(22)는 덮개부 본체(2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고, 횡단면이 트랙 형상의 기둥형을 나타낸다.
또한, 하방 돌출부(24)는 덮개부 본체(20)의 하면에 구비되고, 트랙 형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판 형상을 트랙 형상에 고리 모양으로 형성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하방 돌출부(24)의 우측면측(Y1측), 좌측면측(Y2측) 및 배면측(X2측)은 본체 케이스(10)의 측면부(14)의 내벽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카트리지부(A3)는 본체부(A1)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고, 도5 및 도7 내지 도9에 도시한 것처럼, 물받이부(30), 상측 케이스(50) 및 하측 케이스(70)를 가진다.
특히, 물받이부(30)는 판 형상부(32) 및 측면부(34)를 가지고 있다. 이 판 형상부(32)는 트랙 형상의 판 형상을 가지고, 그 중앙에 원형의 개구부(3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34)는 판 형상부(32)의 외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 판 형상 부재이고, 전체 둘레에 걸쳐서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물받이부(30)는 전체적으로 용기 형상을 가진다. 이 개구부(36)가 저부에 구비된 개구부에 대응한다.
물받이부(30)의 판 형상부(32)의 상면에는 상측 케이스(50)를 지지하기 위해 상측 통 형상부(38)가 구비되어 상측 케이스(50)가 삽입될 수 있다. 이 상측 통 형상부(38)는 평면에서 보아서 개구부(36)를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이 상측 통 형상부(38)에는 개구부(39)가 구비되어 있고, 물이 상측 케이스(50) 내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한다.
물받이부(30)의 판 형상부(32)의 하면에는 하측 케이스(70)를 지지하기 위해 하측 통 형상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이 하측 통 형상부(40)는 저면에서 보아서 개구부(36)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 하측 통 형상부(40)의 내벽측에는 하측 케이스(70)를 걸어서 고정하기 위해 걸림부(42)가 돌설되어 있다. 이 걸림부(42)는 복수개(예를 들면, 3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상측 케이스(50)는 대략 원주 형상의 케이스 형상을 가지며, 케이스 본체(52), 하측 제1 돌출부(54), 하측 제2 돌출부(56) 및 상측 돌출부(58)를 가지고 있다.
이 케이스 본체(52)는 원통 형상의 측면부(52-1), 상기 측면부의 상단부터 뻗어 있는 원판 고리 형상의 상면부(52-2) 및 상기 측면부의 하단부터 뻗어 있는 설치된 원판 고리 형상의 하면부(52-3)를 가지고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52)의 측면에는 종방향으로 긴 개구부(유입구)(52a)가 복수개 구비되어 있다.
하측 제1 돌출부(54)는 케이스 본체(52)의 하단, 즉, 케이스 본체(52)의 하면부(52-3)의 내주단으로부터 뻗어 있고, 원통 형상의 측면부(54-1)와 상기 측면부의 하단부터 뻗어 있는 원판 고리 형상의 하면부(54-2)를 가지고 있다. 이런 하측 제1 돌출부(54)에서 측면부에도 종방향으로 긴 개구부(54a)가 복수개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하측 제2 돌출부(56)는 하측 제1 돌출부(54)의 하단, 즉, 하측 제1 돌출부(54)의 하면부의 내주단부터 뻗어 있고, 원통 형상의 측면부(56-1)와 상기 측면부의 하단부터 뻗은 원판 고리 형상의 하면부(56-2)를 가지고 있다. 즉, 이 하면부(56-2)는 원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구부(59)를 가지고 있다. 이 개구부(59)가 유출구에 해당한다. 이 하측 제2 돌출부(56)를 물받이부(30)의 상측 통 형상부(38)에 장착한 때에는 하측 제2 돌출부(56)는 개구부(36)에 삽입되어 끼워 맞춰 지고, 그 일부가 개구부(36) 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측 돌출부(58)는 케이스 본체(52)의 상단, 즉, 케이스 본체(52)의 상면부(52-2)의 내주단으로부터 뻗어 있고, 원통 형상의 측면부(58-1) 및 상기 측면부(58-1)의 상단부터 뻗어 있는 원판 형상의 상면부(58-2)를 가진다. 이 측면부(58-1)에도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어, 끈 등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측 케이스(50)는 케이스 본체(52)부터 하측으로 두 단계로 지름이 작아지고, 상측 케이스(50)의 하단, 즉, 하측 제2 돌출부(56)의 하면에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측 케이스(50)는 대부분이 물받이부(30)에 구비된 개구부(36)의 상측을 향하고, 일부가 개구부(36)의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상측 케이스(50)가 적어도 "물받이부(30)의 상기 개구부(36)의 상측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측 케이스(50)의 내부에는 도5에서 보듯이, 필터(제1 부재)(60)가 구비되어 있다. 이 필터(60)는 무기 섬유 또는 부직포로 형성되고, 불순물을 여과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케이스 본체(52)의 측면에 구비된 개구부와 하측 제1 돌출부(54)의 측면에 구비된 개구부로부터 유출된 물을 여과하고, 하측 제2 돌출부(56)의 하면부(56-2)의 개구부(59)로부터 유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케이스(50)는 내부에 필터(60)를 수납한 상태로 일체를 이루고 있다.
다음, 하측 케이스(70)는 전체가 종방향으로 긴 원주 형상을 나타내고, 원통 형상의 측면부(72), 상단부(74) 및 저부(76)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측면부(72)는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그 하측의 영역에는 종방향으로 긴 개구부(유출구)(72a)가 복수로 구비되고 있다. 또한, 상단부(74)는 측면부(72)의 상단으로부터 뻗어 있고, 상기 측면부(72)의 상단으로부터 뻗어 있는 원판 고리 형상의 상면부(74-1), 상기 상면부(74-1)의 내주로부터 하방으로 뻗어 있는 원통 형상의 측면부(74-2), 상기 측면부의 하단으로부터 뻗어 있는 원판 고리 형상부(74-3), 상기 원판 고리 형상부의 내주로부터 하방으로 뻗어 있는 원통형의 측면부(74-4) 및 상기 측면부의하단으로부터 뻗어 있는 판 형상부(74-5)로 이루어져 있다. 이 판 형상부(74-5)에는 개구부(75)가 구비되고, 상측 케이스(50)로부터 유출한 물이 하측 케이스(70) 내로 유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개구부(75)가 유입구로 된다.
저부(76)는 하측 케이스(70)의 하단에 구비되고,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하측 케이스(70)는 물받이부(30)에 구비된 개구부(36)의 하측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하측 케이스(70) 내에는 입상의 세라믹(제2 부재)(80)이 복수개(구체적으로는 다수임) 구비되어 있다. 이 세라믹(80)은 다공질 구조를 가지고, 수중의 불순물을 흡착하면서, 미네랄 성분을 용출하는 기능을 가지며, 또한 항균 기능과 탈취 기능을 가진다. 입상의 구체적인 형상은 원주 형상 및 구 형상 등 임의적이다.
이 세라믹(80)은, 예를 들면, 맥반석 분말에 세피오라이트 분말과 카오린 분말을 혼합한 혼합 분말을 연소하여 만들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맥반석은 초 미립의 다공질 구조를 가지며, 또한, 세피오라이트가 터널 다공질 구조를 가지는 점에서 흡착 기능이 우수하고, 수중의 불순물을 흡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맥반석에서는 풍화(風化)한 구성 광물이 용출하여, 수질에 미네랄이 풍부하게 한다. 또한, 맥반석과 세피오라이트가 복합화 됨으로써, 세피오라이트의 결정 중 터널 구조의 벽 부분 결정 구조에서 일부 Mg 원자가 맥반석으로부터 공급되는 알칼리 원소 원자로 치환되며, 그 부분의 pKa가 강염기 점으로 된다. 이로 인해, 강염기 점의 촉매 작용에 의해 수용액 중에 활성 산소의 발생이 촉진되고, 세라믹(80)은 강한 항균 작용, 탈취 작용을 가지게 된다.
상기 맥반석은 영어명으로 '힐스톤(HEALSTONE)'이라고도 부르는데, 화강 반암류에 속하고, 장석, 석영, 운모 외에 규산염 광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하수의 풍화 작용에 의해 일부가 점토 광물화되며, 또한 다공질화되는 특징을 가지는 광물이다. 또한, 맥반석 조성의 한 예는 SiO2, Al2O3, Fe2O3, FeO, CaO, Na2O, K2O, MgO, MnO, TiO, P2O5가 포함되고 있다.
세피오라이트는 점토 광물의 일종으로, Mg9SiO30(OH2)4·6H2O의 조성을 가지고 있다.
이 세라믹(80)은 당연히 개구부(72a)로부터 바깥으로 나온 것이 없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세라믹(80)이 가지는 흡착 기능, 미네랄 성분의 용출 기능, 항균 기능 및 탈취 기능 중 어느 것이나 물을 정화하는 기능이 있다.
이 하측 케이스(70)의 측면부(72)의 상단측에는 도9에 도시한 것처럼, L자형의 개구부(78)가 상기 걸림부(42)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하측 케이스(70)를 물받이부(30)에 대한 하측 통 형상부(40) 내에 삽입한 후[이 때, 걸림부(42)가 L자형의 개구부(78) 내로 향하도록 한다.], 하측 케이스(70)를 약간 회전시켜, 하측 케이스(70)가 상기 걸림부(42)에 걸려 고정되어, 물받이부(3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카트리지부(A3)는 물받이부(30), 상측 케이스(50) 및 하측 케이스(70)로부터 구성되지만, 이들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측 케이스(50)를 물받이부(30)의 상측 통 형상부(38)에 삽입하여 끼워 맞춰지게 된다. 그러면, 상측 케이스(50)의 하측 제1 돌출부(54)의 외주면은 상측 통 형상부(38)의 내주면에 접하고, 하측 제2 돌출부(56)는 판 형상부(32)의 개구부(36)에 끼워 맞춰 짐과 동시에, 하측 케이스(70)의 오목부(74a)의 1단째의 부분에 결합한다. 이에 따라, 상측 케이스(50)는 지지된다.
하측 케이스(70)에 대해서는, L자형의 개구부(78) 내에 물받이부(30)에서의 걸림부(42)가 향하는 상태로, 하측 케이스(70)를 물받이부(30)에서의 하측 통 형상부(40) 내에 삽입한 후 하측 케이스(70)를 약간 회전시키면, 하측 케이스(70)가 상기 걸림부(42)에 걸려 고정되어 물받이부(30)에 고정된다.
하측 케이스(70)는 내부에 세라믹(80)을 수납한 상태로 일체를 이루어 형성된다.
도7 내지 도9는 필터(60) 및 세라믹(80)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었지만, 실제로는 상측 케이스(50)에는 필터(60)가 수납되고 있고, 하측 케이스(70)에는 세라믹(80)이 수납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물 주전자(A)의 사용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체부(A1)의 내부에 카트리지부(A3)가 배치된 상태로 카트리지부(A3)의 물받이부(30)에 물을 따른다. 그 때, 덮개부(A2)는 당연히 본체부(A1)로부터 제거된다.
그런 다음, 부어진 물은 카트리지부(A3)의 케이스 본체(52)에 구비된 개구부, 물받이부(30)의 상측 통 형상부(38)에 구비된 개구부 및 하측 제1 돌출부(54)에 구비된 개구부를 통해 상측 케이스(50) 내로 유입한다. 그런 다음, 유출된 물은 필터(60)를 통과하면서, 이 필터(60)에 의해 여과되고, 상측 케이스(50)의 하단으로부터 유출된다. 상측 케이스(50)로부터 유출한 물은 하측 케이스(70)의 오목부(74a)에 구비된 개구부(75)로부터 하측 케이스(70) 내로 유입한다. 그런 식으로 유입한 물은 하측 케이스(70) 내에 구비된 세라믹(80)에 접촉하여 정화된다. 그 후, 물은 하측 케이스(70)의 개구부(72a)로부터 유출하여 본체부(A1) 내에 모인다. 즉, 본체부(A1) 내에는 정화된 물이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부(A3)의 물받침부(30)에 물을 따르는 것만으로, 정화된 물을 본체부(A1) 내에 모으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을 따르는 작업이 끝나면, 먼지 등이 들어가지 않게 덮개부(A2)를 본체부(A1)의 상단에 장착한다. 또한, 덮개부(A2)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카트리지부(A3)의 물받침부(30)의 측면부(34)가 덮개부(A2)의 하방 돌출부(24)의 내측에 근접한 상태가 되므로 카트리지부(A3)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물 주전자(A)의 물을 마실 경우에는 손잡이부(18)를 쥐고 정면측으로 기울여서 주입구(12a)로부터 물을 따르는 것이 가능하다.
물 주전자(A)를 소정의 회수 정도를 사용한 경우에는 카트리지부(A3)의 상측 케이스(50) 및 하측 케이스(70)를 교환한다. 즉, 상측 케이스(50)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필터(60)가 수납된 상측 케이스(50)를 교환하고, 하측 케이스(70)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세라믹(80)이 수납된 하측 케이스(70)를 교환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물 주전자에 의하면, 물을 따르기만 해도 정화된 물을 모을 수 있으며, 별도의 정수 장치의 필요 없이 정화된 물을 마실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 상측 케이스(50) 및 하측 케이스(70)는 물받이부(30)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롭다고 설명했지만, 상측 케이스(50) 및 하측 케이스(70)는 물받이부(30)와 일체로 되어도 좋다.
또한, 상측 케이스(50)에 필터(60)를 출입할 수 있게 하고, 하측 케이스(70)에 세라믹(80)을 출입할 수 있게 하여, 필터(60) 자체를 교환 가능함과 동시에, 세라믹(80) 자체를 교환 가능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필터(60)를 제1 부재로 하고, 세라믹(80)을 제2 부재로 해서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다른 부재, 즉, 물을 정화하는 부재로 해도 좋다.
본 고안에 따른 물 주전자에 의하면, 물받이부에 물을 따르는 것만으로 제1 부재(필터)와 제2 부재(세라믹)에 의해 물을 정화해서 본체부 내에 모아 두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정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효율이 좋다. 또한, 상측 케이스 및 하측 케이스가 물받이부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로운 경우에는 필터의 교환 시기가 왔을 때는 상측 케이스를 교환하고, 세라믹의 교환 시기가 왔을 때는 하측 케이스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덮개부가 구비되고 있으므로 본체부에 모았던 물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7)

  1. 물을 따르기 위한 물 주전자이며,
    용기 형상의, 개구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되고, 따르는 물을 받기 위한 물받이부와 상기 물받이부에 따른 물을 정화하기 위한 부재인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서 정화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부재인 제2 부재를 가지는 카트리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여과 기능을 가지는 필터이며, 상기 제2 부재가 입상의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가 다공질 구조를 가져서 수중의 불순물을 흡착하고, 미네랄 성분을 용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가 다공질 구조를 가져서 수중의 불순물을 흡착하고, 미네랄 성분을 용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가 적어도 맥반석 및 세피오라이트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가 적어도 맥반석 및 세피오라이트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주전자가 본체부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에서 물받이부가 용기 형상이고, 저부에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부재를 수납하고, 상기 물받이부에 따른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 및 물을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가 구비된 상측 케이스가, 상기 물받이부의 개구부의 상측을 향해서 상기 물받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 부재를 수납하고, 상기 상측 케이스로부터 유출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 및 물을 유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된 하측 케이스가, 상기 물받이부의 개구부의 하측을 향해서 물받이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케이스와 하측 케이스는 물받이부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10. 물을 따르기 위한 물 주전자이며,
    용기 형상으로서,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며, 손잡이부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된 카트리지부와,
    본체부의 상기 개구부를 카바하는 덮개부를 가지고,
    상기 카트리지부는,
    따라진 물을 받고, 용기 형상으로서 저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물받이부와,
    상기 물받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물받이부의 상기 개구부의 상측을 향해서 설치되며, 내부에 필터를 가지고 상기 물받이부에 따랐던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 및 물을 하방으로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를 가지는 상측 케이스와,
    상기 물받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물받이부의 상기 개구부의 하측을 향해서 설치되며, 내부에 입상의 세라믹을 가지고 상기 상측 케이스로부터 유출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 및 물을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를 가지는 하측 케이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11. 물을 따르기 위한 물 주전자이며,
    용기 형상으로서,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며, 손잡이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된 카트리지부와,
    본체부의 상기 개구부를 카바하는 덮개부를 가지고,
    상기 카트리지부는,
    따라진 물을 받고, 용기 형상으로서 저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물받이부와,
    상기 물받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물받이부의 상기 개구부의 상측을 향해서 설치되며, 내부에 물을 정화하기 위한 부재인 제1 부재를 수납하고, 상기 물받이부에 따랐던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 및 물을 하방으로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를 가지는 상측케이스와,
    상기 물받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물받이부의 상기 개구부의 하측을 향해서 설치되며, 내부에 물을 정화하기 위한 부재인 제2 부재를 수납하고, 상기 상측 케이스로부터 유출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 및 물을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를 가지는 하측 케이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주전자가 상기 상측 케이스 내에 물을 정화하기 위한 부재인 상기 제1 부재를 가지고, 상기 하측 케이스 내에 물을 정화하기 위한 부재인 상기 제2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여과 기능을 가지는 필터이고, 상기 제2 부재가 입상의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여과 기능을 가지는 필터이고, 상기 제2 부재가 입상의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15. 제10항, 제13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의 세라믹이 다공질 구조를 가지고 수중의 불순물을 흡착하고, 미네랄 성분을 용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16.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케이스의 하단측 일부가 상기 물받이부의 저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의 세라믹이 적어도 맥반석 및 세피오라이트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전자.
KR20-2004-0003981U 2003-02-18 2004-02-17 물 주전자 KR20034981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03-00000748 2003-02-18
JP2003000748U JP3095975U (ja) 2003-02-18 2003-02-18 水差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815Y1 true KR200349815Y1 (ko) 2004-05-08

Family

ID=3561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981U KR200349815Y1 (ko) 2003-02-18 2004-02-17 물 주전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095975U (ko)
KR (1) KR200349815Y1 (ko)
TW (1) TWM25416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385B1 (ko) 2004-09-24 2007-06-13 (주)블랙키스톤 음용수에 대하여 알칼리수와 미네랄 함유수를 제공할 수있는 소결 성형체가 구비된 용기
KR100785510B1 (ko) * 2007-01-08 2007-12-13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반도체칩 패키지 캐리어
KR200470608Y1 (ko) 2012-05-29 2014-01-03 이상진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양치컵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646B1 (ko) * 2012-05-04 2014-08-21 (주)오투케어 휴대용 정수기
CN109938547A (zh) * 2019-04-04 2019-06-28 尹亨建 一种滤水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385B1 (ko) 2004-09-24 2007-06-13 (주)블랙키스톤 음용수에 대하여 알칼리수와 미네랄 함유수를 제공할 수있는 소결 성형체가 구비된 용기
KR100785510B1 (ko) * 2007-01-08 2007-12-13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반도체칩 패키지 캐리어
KR200470608Y1 (ko) 2012-05-29 2014-01-03 이상진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양치컵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95975U (ja) 2003-08-29
TWM254163U (en) 200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54756B2 (ja)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JP5807258B2 (ja) 浄水器
WO2015137347A1 (ja) 浄水器
JP2006035214A (ja) 浄水システム用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フィルターハウジング組立体
KR200349815Y1 (ko) 물 주전자
KR200390280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JP3286251B2 (ja) 家庭用浄水器
KR200405389Y1 (ko) 정수용 다중 필터 조립체
JP4354597B2 (ja)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KR101131672B1 (ko) 정수 성능을 개선한 정수기용 카본 필터
JP2011174374A (ja) 浄水機能付き吐水ヘッド
JP4575535B2 (ja)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JP2003211029A (ja)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EP3838374A1 (en) Filtration device with cartridge mount
JP4713624B2 (ja)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JP3723749B2 (ja) ツインカートリッジ型浄水器
JP4117034B2 (ja) 浄水器
JP4441271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JP3167529U (ja) 縦型浄水器
JP2003285052A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JP4801207B2 (ja)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CN211935816U (zh) 一种过滤净水壶
JP2008178876A (ja) 浄水器
JPH073791U (ja) 浄水具及び浄水ポット
JPH0742550Y2 (ja) 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