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637Y1 - 유공관 - Google Patents

유공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637Y1
KR200349637Y1 KR20-2004-0003115U KR20040003115U KR200349637Y1 KR 200349637 Y1 KR200349637 Y1 KR 200349637Y1 KR 20040003115 U KR20040003115 U KR 20040003115U KR 200349637 Y1 KR200349637 Y1 KR 200349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air
perforated
pipe
perforat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덕
Original Assignee
정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덕 filed Critical 정상덕
Priority to KR20-2004-0003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6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6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06Rigid pipes specially profi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공관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에 연접하여 매설되고 표면에 집수홀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유공관에 있어서, 표면에 골과 마루가 둘레방향을 따라 나선상으로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골영역에는 상기 집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원호형상단면의 유공관부와; 상기 유공관부와의 접촉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유공관부의 하부 양단으로부터 접선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는 바닥부를 갖는 수로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유공관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공관{Duct with Holes}
본 고안은 유공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집수홀을 통해 지표수를 수집하여 목적지로 안내하는 지하 매설용 관에 관한 것이다.
유공관은 보통 합성수지재로 제작되고, 합성수재재의 강도를 고려하여 매설작업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토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구조를 갖고 있다.
도11은 종래의 유공관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종래의 유공관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골(112)과 마루(111)가 교대로 나선상으로 형성된 보강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유공관의 골(112)영역에는 다수의 집수홀(1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공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면을 굴착한 후 굴착영역에 유공관을 길이방향을 따라 연접하도록 배치한다.
다음에 연접 배치된 유공관을 소정의 관체결구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상호 연결된 유공관의 집수홀(112a)을 통해 지표수가 관내부에 유입된 후, 유공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흘러간다. 이 때 지표수의 관내부에서의 흐름은 표면에 형성된 골(112)과 마루(111)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매끄러운 내표면을 가지고 집수홀(112a)에 대향하는 홀이 형성된 내부관체를 내부에 구비하는 이중관 형태의 유공관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유공관은 설치된 상태에서 표면에 형성된 골(112)과 마루(111)에 의해 길이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된다.
그런데 종래의 유공관에 따르면, 관의 저부 전체 영역에 걸쳐 볼록형상(관외부에서 길이방향에 가로로 절단된 면을 볼 때)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방향의 가로로 외압이 인가될 때 유공관은 쉽게 회전하면서 초기설치위치로부터 이탈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관의 저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유공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의 부분절개사시도,
도2는 도1의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의 부분절개사시도,
도4는 도3의 종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의 부분절개사시도,
도6은 도5의 종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의 부분절개사시도,
도8은 도7의 종단면도,
도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의 부분절개사시도,
도10은 도9의 종단면도,
도11은 종래의 유공관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10", 30, 50 : 유공관부
11, 11', 11", 31, 51, 111 : 마루
12, 12'. 12", 32, 52, 112 : 골 13": 내부관체
20, 20', 20", 40, 60 : 수로관부
21, 21', 21", 41, 61 : 측벽부
22, 22', 22", 42, 62 : 바닥부
43 : 지지리브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지하에 연접하여 매설되고 표면에 집수홀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유공관에 있어서, 표면에 골과 마루가 둘레방향을 따라 나선상으로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골영역에는 상기 집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원호형상단면의 유공관부와; 상기 유공관부와의 접촉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유공관부의 하부 양단으로부터 접선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는 바닥부를 갖는 수로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길이방향의 가로로 인가되는 외압에 대항하여 초기설치위치를 더욱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부는 각각 상기 골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골과는 턱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초기설치위치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로관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바닥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수로관부를 하광상협(下廣上狹)형상단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집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부는 상기 각 골의 종단 인접영역에 집수보조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의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보다 큰 원호형상단면의 유공관부(10)와, 유공관부(10)의 하부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수로관부(20)를 갖고 있다.
유공관부(10)는 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골(12)과 마루(11)가 교대로 나선상으로 형성된 보강구조를 갖고 있고, 골(12)영역에는 다수의 집수홀(12a)이 형성되어 있다.
수로관부(20)는 유공관부(10)의 하부 양단으로부터 접선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유공관부의 연장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21)와, 한 쌍의 측벽부(21)를 상호 연결하는 바닥부(22)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수로관부(20)와 유공관부(10)의 접촉영역에는 오목부(도1의 A부분)가 형성된다.
한 쌍의 측벽부(21)는 바닥부(22)와 협조하여 수로관부(20)의 형상이 상광하협(上廣下狹)형상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부(21)는 유공관부(10)에 형성된 마루(11)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각 측벽부(21)는 유공관부(10)의 각 골(12)에 인접하는 영역에 집수보조홀(21a)이 측벽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은 종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유공관의 상호 연결은 결합 분해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2분할 구조로 제작된 관체결구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유공관은 설치 상태에서 길이방향의 가로로 외압이 인가될 때 유공관의 회전동작이 수로관부(20)와 유공관부(10)의 접촉영역에 형성된 오목부(도1의 A부분)에 존재하는 토사에 의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유공관은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공관의 집수동작은 부분적으로 집수보조홀(21a)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유공관부(10)의 골(12)을 따라 흘러내리는 지표수는 부분적으로 유공관부(10)의 집수홀(12a)을 통해, 나머지는 집수보조홀(21a)을 통해 관내부 즉, 수로관부(20)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집수효율이 증대된다.
또한 집수홀(12a)이나 집수보조홀(21a)을 통해 집수된 지표수는 수로관부(20)를 타고 원활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유공관을 이중관 형태로 제작하지 않더라도 집수된 지표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로관부(20)의 바닥부(22)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단계에서 설치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작업이 용이해진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측벽부(21)를 유공관부(10)에 형성된 마루(11)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하여 형성하고 있으나, 측벽부를 골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의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21')가 골(22')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마루와는 턱을 형성하도록)는 점을 제외하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는 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3 및 도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번호에 대시(')를 부가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측벽부(21')를 골(22')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 형성함으로써, 유공관부(10')의 마루(11')의 하단과 측벽부(21')의 사이영역에 오목부(B, 도4 참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길이방향의 가로로 외압이 인가될 때 유공관의 회전동작이 수로관부(20')와 유공관부(10')의 접촉영역에 형성된 오목부(도1의 A부분) 이외 유공관부(10')의 마루(11')의 하단과 측벽부(21')의 사이영역에 형성된 오목부(B)에 존재하는 토사에 의해서도 제한을 받는다. 이에 따라 유공관은 초기설치위치를 더욱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유공관이 수로관부(20, 20')의 바닥부(22, 22')에 의해 지표면의 수직방향으로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지표면의 수직방향에 대한 유공관의 지지면적이 확장되도록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도5는 및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의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6 및 도8은 각각 도5 및 도7의 종단면도이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유공관부(30), 마루(31), 골(32) 및 집수홀(32a)과, 유공관부(30)의 하부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수로관부(40)를 갖고 있다.
수로관부(40)는 유공관부(40)의 하부 양단으로부터 접선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유공관부의 연장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41)와, 한 쌍의 측벽부(41)를 상호 연결하는 바닥부(42)와, 바닥부(42)와 측벽부(41)의 접촉영역으로부터 바닥부(42)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리브(43)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수로관부(40)와 유공관부(30)의 접촉영역에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한 쌍의 측벽부(41)는 바닥부(42)와 협조하여 수로관부(40)의 단면이 상광하협(上廣下狹)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부(41)는 유공관부(30)에 형성된 마루(31)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각 측벽부(41)는 유공관부(30)의 각 골(32)에 인접하는 영역에 집수보조홀(32a)이 측벽부(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유공관부(50), 마루(51), 골(52) 및 집수홀(52a)과, 유공관부(50)의 하부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수로관부(60)를 갖고 있다.
수로관부(60)는 유공관부(50)의 하부 양단으로부터 접선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유공관부의 연장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61)와, 한 쌍의 측벽부(61)를 상호 연결하는 바닥부(62)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수로관부(60)와 유공관부(50)의 접촉영역에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한 쌍의 측벽부(61)는 바닥부(62)와 협조하여 수로관부(60)의 단면이 하광상협(下廣上狹)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부(61)는 유공관부(50)에 형성된 마루(51)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각 측벽부(61)는 유공관부(50)의 골(52)에 인접하는 영역에 집수보조홀(52a)이 측벽부(6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로관부(40)의 바닥부(42)에 지지리브(43)를 형성하거나, 수로관부(60)의 단면을 하광상협(下廣上狹)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유공관의 지표면의 수직방향에 대한 지지면적이 확장된다. 이에 따라 유공관의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초기설치위치를 더욱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유공관을 단일관 형태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중관 형태로 구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의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10은 도9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공관부(10")의 내부에 매끄러운 내표면을 가지고 집수홀(12"a)에 대향하는 홀(13"a)이 형성된 내부관체(13")가 내부에 결합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는 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9 및 도10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번호에 대시(")를 부가하여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공관은 몰드성형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도5 및 6에 도시된 유공관의 경우 지지리브(43)는 일체로 또는 별도로 제작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설치 상태에서 길이방향의 가로로 외압이 인가될 때 유공관의 회전동작이 제한됨으로써, 유공관의 초기설치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지하에 연접하여 매설되고 표면에 집수홀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유공관에 있어서,
    표면에 골과 마루가 둘레방향을 따라 나선상으로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골영역에는 상기 집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원호형상단면의 유공관부와;
    상기 유공관부와의 접촉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유공관부의 하부 양단으로부터 접선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는 바닥부를 갖는 수로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부는 각각 상기 골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골과는 턱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바닥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부는 하광상협(下廣上狹)형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부는 상기 각 골의 종단 인접영역에 집수보조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KR20-2004-0003115U 2004-02-09 2004-02-09 유공관 KR200349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115U KR200349637Y1 (ko) 2004-02-09 2004-02-09 유공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115U KR200349637Y1 (ko) 2004-02-09 2004-02-09 유공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637Y1 true KR200349637Y1 (ko) 2004-05-08

Family

ID=4942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115U KR200349637Y1 (ko) 2004-02-09 2004-02-09 유공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6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839B1 (ko) * 2015-09-02 2017-08-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단면 유공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839B1 (ko) * 2015-09-02 2017-08-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단면 유공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9637Y1 (ko) 유공관
CA2727793C (en) Low profile conduit extension for downspouts
JP7356606B2 (ja) 雨水マス、及び雨水マスの施工方法
JP2008111319A (ja) 排水継手
KR200440352Y1 (ko) 조립식 맨홀 블록 구조체
JP6348158B2 (ja) 排水パイプ
KR20110050577A (ko) 연약지반용 8자형 수평 드레인보드
KR100598672B1 (ko)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만곡성 나선관
JP3207717U (ja) 自吸式排水管
JP2012046955A (ja) 縦樋雨水取出装置
US5911540A (en) Subterranean liquid distribution apparatus
JP4590196B2 (ja) 雨水貯溜槽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2015129420A (ja) 埋設構造物、埋設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表示板
WO2023078045A1 (zh) 集水槽和集水槽组件
KR200429852Y1 (ko) 암거집 배수관 조립체
CN219888970U (zh) 一种波纹管连接用可视套筒接头
KR100665339B1 (ko) 드레인 보드와 유공관 일체형 복합배수부재
KR200405377Y1 (ko) 맨홀
JP4540367B2 (ja) 軒樋集水器
KR102106916B1 (ko) 유공관 구조체
JP2003193546A (ja) 組立式水路管
KR200306001Y1 (ko) 도로용 암거 배수로관
KR20010053351A (ko) 가요성 보강된 나선관
KR200423380Y1 (ko) 드레인 보드와 유공관 일체형 복합배수부재
JPH0624413Y2 (ja) 屈曲可能なマット状集排水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