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151Y1 - 아이볼트 와 호스링엔드의 결합체 - Google Patents

아이볼트 와 호스링엔드의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151Y1
KR200349151Y1 KR20-2004-0004378U KR20040004378U KR200349151Y1 KR 200349151 Y1 KR200349151 Y1 KR 200349151Y1 KR 20040004378 U KR20040004378 U KR 20040004378U KR 200349151 Y1 KR200349151 Y1 KR 200349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shaft
hose
ring end
hos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치봉
Original Assignee
최치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치봉 filed Critical 최치봉
Priority to KR20-2004-0004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1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1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볼트축을 따라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아이볼트와 그에 결합되는 호스엔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볼트를 강하게 조여도 볼트축이 휘어지지 않고, 수개의 홈(4)에의해 응답 속도가 빠르며, 절삭가공을 없애서 칩에의한 불량이 없고, 드릴이나 절삭 공정을 없애고자하는 데있다.
이를 위해서 목밑축부(3)의 축경을 무나사부(5) 축경 보다 크게 성형하고, 볼트외주면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1개 이상의 홈(4)을 성형하며, 호스링엔드(8')는 내경을 가공하지 않은 스트레이트로 한 다음 목밑축부(3)에 호스링엔드(8')를 결합한다.
그결과 볼트를 강하게 죄더라도 축이 휘어지지 않아 가스가 새지 않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절삭칩에의한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며, 드릴 및 절삭공정을 없애 경제적인 아이볼트 와 호스링엔드의 결합체를 제공할 수있다.

Description

아이볼트 와 호스링엔드의 결합체{omitted}
본고안은 볼트축을 따라 유체나 기체가 흐를 수 있는 특수한 기능을 부여한 아이볼트와 그에 체결되는 호스링엔드의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아이볼트는 제 6도와 제 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볼트의 축방향으로 축내경에 세로로 세로구멍(16)을 드릴링하고 다시 볼트 목밑에 가로로 가로구멍(15)을 드릴링해서 두 구멍(15,16)을 관통시킨다.
이렇게 성형된 아이볼트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우선 블록(11)의 블록홀(12)에 암나사(14)를 테핑한다음 도 10에 도시된 분리사시도 순으로 상부와샤(7), 홈붙이 호스링엔드(8), 하부와샤(10) 순으로 삽입한 볼트조립체를 블록홀(12)의 암나사(14)에 나삽하면 체결이 완료된다.
체결이 완료된 볼트와 홈붙이 호스링엔드(8) 조립체에 의해 블록(11)내의 압축유체나 기체가 호스(13)로 이동 될 때는 압축된 유체나 기체가 블록홀(12)을 통과해서 세로구멍(16)과 가로구멍(15)을 지나 홈붙이 호스링엔드 홈(17)을 거쳐 호스(13)로 전달된다.
또 같은 경로를 통하여 호스(13) 쪽의 압력이 역으로 블록(11) 내로 전달되기도 한다.
이렇게 사용되어지는 아이 볼트에 있어서 현재와 같이 가로구멍(15)과 세로구멍(16)을 드릴로 뚫을 경우 여러 가지 불합리한 공정들과 그로인한 문제점들이 나타나는데 현재로써는 별다른 방법이 없어 드릴 공정을 통하여 가공하고 있고, 홈붙이 호스링엔드(8) 또한 압축유체의 흐름을 위하여 내경에 홈(17)을 절삭 가공하고 있다.
이러한 공법들과 그에 따른 문제점들은
첫째, 상대적으로 긴 볼트 축을 따라 드릴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드릴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세로구멍(16)이 휘어지게 된다.
둘째, 가로구멍(15)드릴 작업은 표면이 둥근 볼트 축부위에 드릴 작업을 해야하는 관계로 드릴 끝이 미끌어져 드릴센타 잡기기 매우 어려워서, 정해진 위치에 드릴링 되지 않고 편심구멍이 생기게 되어 불량률이 매우 높고 구멍위치가 일정하지 못하다.
위의 2 가지 공법은 축력을 가장 많이 받는 볼트의 목밑 부위에 횡으로 가로구멍(15)을 구멍을 뚫는 공정으로 인하여, 압축유체나 기체가 와샤(7,10)의 4면 사이로 새지 않도록 볼트를 강하게 죄는 과정에서 볼트축이 휘어져 압축유체나 가스가 새는 불량 발생원인이 되기도한다.
셋째, 또한 이들 드릴 공정은 일관 작업이 곤란하여 독립된 2개의 공정으로 나누어 실시함으로 인해서 공수 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점이 있다.
넷째, 드릴작업 중에 반드시 발생하게되는 드릴칩이 볼트축 내부에 존재하게되는데 그위치가 세로구멍(16)과 가로구멍(15)이 서로 관통되는 볼트 축 내부이어서 확인하기도 곤란하고 면취 등 수정가공을 할 수 없다는데 있다.
이러한 칩들은 고압의 유체나 기체들이 빠른 속도로 왕복하면서 떨어져나와 흐름을 막을 수 있고 자동차에서 발생할시는 인명손상 또는 심각한 결함의 원인이 될 수 도있다.
또한 드릴과정의 드릴칩들도 작업자가 에어로 불어도 좁은 구멍이라 충분히 제거되지 않는 위험성이 상존한다.
홈붙이 호스링엔드(8)도 역시 압축유체나 기체가 흐를 수 있는 내면의 홈(17)을 절삭 가공해야하는 추가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고안의 목적은 압축유체나 기체가 통과하는 홈(4)을 볼트축의 외주면을 따라 세로로 1개 이상 균형되게 성형함으로써 볼트를 충분히 죄더라도 볼트축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하고, 홈(4)을 1개이상 성형하여 유체나 기체의 흐름을 좋게하며, 홈(4)을 성형하고 나사를 전조하는 과정들이 일반적인 볼트제조과정과 똑 같아 제조 및 품질이 안정적이고 생산성이 높으며, 절삭칩 등이 전혀 없는 깨끗한 아이 볼트를 제공할 수 있고, 또 목밑축부(3)와 무나사부(5)의 축경에 차이를 두어 목밑축부(3)에 호스링엔드(8')를 삽입했을 때 공간부(9)가 생기게 하여 이를 이용함으로써 호스링엔드 홈(17)을 따로 절삭가공할 필요가 없는 아이볼트 와 호스링엔드의 결합체를 제공하고자하는 것이다.
도 1은 본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고안의 제 1 도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고안의 제 1 도의 B- B'선 단면도
도 4는 본고안을 상대물과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인 동시에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기존제품의 사시도
도 7은 기존제품으로써 도 6의 요부 종단면도
도 8은 기존제품인 홈붙이 호스링엔드(8)의 요부 종단면도
도 9는 본고안인 호스링엔드(8') 요부 종단면도
도 10은 기존제품을 상대물과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인 동시에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기존제품의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볼트머리 2. 와샤 페이스 3. 목밑축부 4. 홈
5. 무나사부 6. 숫나사부 7. 상부와샤 8. 홈붙이 호스링엔드
8' 호스링엔드 9. 공간부 10. 하부와샤 11. 블록 12. 블록홀
13. 호스 14. 암나사 15. 가로구멍 16. 세로구멍
17. 홈붙이 호스링엔드 홈
이하 본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볼트 전용 제조기인 볼트포머기에서 압조에의해 볼트를 성형하는 일반적인 볼트 성형공정에서 목밑축부(3)의 축경을 무나사부(5)의 축경보다 크게 성형함과 동시에 볼트축 외경부에 세로 방향으로 1개 이상의 홈(4)을 균형되게 배치하여 성형한 후 볼트축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나사전조한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에 홈을 가공하지 않은 호스링엔드(8')를 볼트의 목밑축부(3)에 삽입했을 때 목밑축부(3)와 무나사부(5)와의 사이에 도너츠형 공간부(9)가 생기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블록(11) 내의 압축유체나 기체를 볼트를 통하여 호스(13)로 이동 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블록홀(12)에 암나사(14)를 탭핑한 다음, 볼트에는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 먼저 상부와샤(7) 그 다음 호스(13)가 결합된 호스링엔드(8') 그리고 하부와샤(10) 순으로 삽입한 후 이 볼트 와 호스링엔드(8')의 조립체를 블록홀(12)의 암나사(14)에 나삽하여 고정한다.
이후 블록홀(12)에 유입된 압축 유체나 기체는 홈(4)을 통하여 볼트축을 따라 이동한 다음 호스링엔드(8')와 무나사부(5) 사이의 도너츠형 공간부(9)를 따라 호스(13)로 이동하게 된다.
역류도 같은 경로를 통하여 순환된다.
이상과 같은 본고안에서 홈(4)의 성형은 일반적인 볼트 성형공정과 동시에할 수있어 생산성이 높고 품질이 안정적이며, 또한 홈(4)을 성형한 상태에서 나사를 전조하는 공정도 일반적인 볼트 나사전조 공정과 동일하여 역시 생산, 품질 안정성이 높다.
또 공정이 모두 소성가공법으로 되어있어 절삭에의한 칩발생이 전혀 없으며 홈(4)이 볼트축 외부에있어 품질관리가 쉽다.
홈(4)은 1개 이상으로하고 그 위치 또한 축단면에 대하여 균형을 맞추어 선정할 수 있으므로 볼트축 전체단면이 형상이 일정하여 볼트를 강하게 죄더라도 볼트축이 변형되는 경우가 없어 압축유체나 기체가 샐 염려가 없다.
또한 볼트의 홈(4)을 1개이상 수개 성형할 수 있으므로 도너츠형으로 이루어진 공간부(9)에 압축유체나 기체를 1개 이상의 홈(4)을 통하여 동시에 효과적으로 공급 가능하여 응답 속도가 빠르며, 호스링엔드(8') 또한 내경에 홈을 절삭가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수를 줄인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아이볼트 와 호스링엔드의 결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볼트의 목밑축부(3)의 축경을 무나사부(5)의 축경보다 크게하고, 축외경부에 세로방향으로 1개 이상의 홈(4)을 성형한 다음 축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나사 전조하며, 호스링엔드(8')를 볼트의 목밑축부(3)에 삽입했을 때 사각단면 도너츠형의 공간부(9)가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아이볼트 와 호스링엔드의 결합체.
KR20-2004-0004378U 2004-02-14 2004-02-14 아이볼트 와 호스링엔드의 결합체 KR200349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378U KR200349151Y1 (ko) 2004-02-14 2004-02-14 아이볼트 와 호스링엔드의 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378U KR200349151Y1 (ko) 2004-02-14 2004-02-14 아이볼트 와 호스링엔드의 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151Y1 true KR200349151Y1 (ko) 2004-04-29

Family

ID=4934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378U KR200349151Y1 (ko) 2004-02-14 2004-02-14 아이볼트 와 호스링엔드의 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1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777B1 (ko) 2015-05-21 2017-08-08 홍후근 수지튜브를 지닌 아이볼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777B1 (ko) 2015-05-21 2017-08-08 홍후근 수지튜브를 지닌 아이볼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7093A (en) Forged-steel connecting rod
CN101336348B (zh) 螺母及其制造方法和工具
US10525542B2 (en) Tool for producing an internal thread in a workpiece pilot hole
CN104180115A (zh) 流体分流装置
KR20080018265A (ko) 종방향 보어를 포함하는 중공 볼트
ITMI980428A1 (it) Metodo per migliorare la resistenza a fatica dovuta ad una pressione ripetuta in corrispondenza della parte di un foro di diramazione in un
US9194527B2 (en) Sealing plug
KR101440822B1 (ko) 풀스터드 볼트 체결용 척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349151Y1 (ko) 아이볼트 와 호스링엔드의 결합체
KR20170035705A (ko) 인발 가공용 더블 다이스 유닛
AU2015230283B2 (en) Two-steel screw with an extrusion conne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screw
US20150074976A1 (en) Joint member manufactured using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030081869A1 (en) Axle bolt
JP6308428B2 (ja) 流体配管用金具の製造方法及び流体配管用金具
CN102192216B (zh) 节流螺栓以及液压装置
US2854867A (en) Method of making header dies
KR100435705B1 (ko) 하이드로포밍용 액셜 펀치
CN214889463U (zh) 一种快插管接头的连接结构
US2004002005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uid coupling
US2022015268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hose nipple
JP2631195B2 (ja) ねじの形成方法
RU2069120C1 (ru) Способ выдавливания полых ступенчатых изделий с многогранным фланцем в средней части
CN207288782U (zh) 一种用于锻造模具的顶出机构
JP2001289227A (ja) ユニオンボルト
JP2005144535A (ja) 縦溝付きボル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