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646Y1 - 직류 전원 잭 - Google Patents

직류 전원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646Y1
KR200348646Y1 KR20-2004-0001403U KR20040001403U KR200348646Y1 KR 200348646 Y1 KR200348646 Y1 KR 200348646Y1 KR 20040001403 U KR20040001403 U KR 20040001403U KR 200348646 Y1 KR200348646 Y1 KR 200348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double
power
main bod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아이웨이-시흐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6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종의 더블잭 커넥터에 포함되는 직류 전원 잭에 관한 것으로서, 전도 막대의 후반부 말단을 전도 플레이트에 리벳팅하여 직류 전원 잭의 플러스극 전도 구조를 구성하고, 상기 전도 막대의 네크 링 및 그 말단의 리벳팅 구조를 이용하여 더블잭 커넥터 본체 벽에 단단히 밀착시키는 힘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도 막대와 더블잭 커넥터 본체 사이에 단단하고 안정적인 밀착 구조를 형성시켜 장시간 사용하여도 상기 전도 막대가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류 전원 잭{DIRECT CURRENT POWER JACK}
본 고안은 일종의 직류 전원 잭(DC POWER JACK)의 구조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더블잭 커넥터에 포함되는 직류 전원 잭의 플러스극 전도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더블잭 커넥터(10)는 이어폰 잭(12) 및 직류 전원 잭(13)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구조의 커넥터로서, 업계에서는 통상 직류전원/이어폰 잭(DC POWER/EARPHONE JACK)이라 칭한다. 이러한 더블잭 커넥터(10)의 기능은 직류 전원과 연결하거나 이어폰과 연결하는 이중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이동 전화(20)의 회로 기판(25)에 전용되어 이동전화(20) 장치에 충전 잭 및 이어폰 잭이 겸비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전화(20)에 건전지 충전 기능 및 이어폰 청취 대화 기능이 갖추어 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더블잭 커넥터(10)의 직류 전원 잭(13) 구조는 거의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직류 전원 잭(DC POWER JACK)의 구조와 동일하여, 이와 동일한 구조의 플러스극 전도 단자(14), 접지 단자(15) 및 마이너스극 전도 단자(16)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플러스극 전도 단자(14)의 후단 부분은 굴곡 형성된 연결핀 부분을 통하여 접지 단자(15) 및 마이너스극 전도 단자(16)의 연결핀 부분과 함께 더블 잭(10) 본체(11) 뒷면에 노출되며, 역시 마찬가지로 플러스극 전도 단자(14)에만 속해있는 중간 부분은 더블 잭 커넥터(10)의 본체(11) 벽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되고, 플러스극 전도 단자(14)를 고정시키는 전단부는 직류전원 잭(13)의 잭 삽입홈 내부에 위치한다.
그러나 플러스극 전도 단자(14)를 더블잭 커넥터(10)의 본체(11)에 고정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삽입 설치의 수단만을 이용하므로 플러스극 전도 단자(14)를 단단히 조여 주는 밀착력이 부족하므로, 이는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조라고 할 수 없으며, 일정한 시간동안 사용한 후, 플러스극 전도 단자(14)가 쉽게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더블잭 커넥터(10)에 포함되는 직류전원 잭(13)과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직류전원 잭 사이에 플러스극 전도 단자(14)의 전기적 접촉 불량이 나는 결함이 발생하고, 더 나아가 이동 전화(20) 충전 시 문제가 생기거나 고장이 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직류전원 잭 및 더블 잭 커넥터에 포함된 직류전원 잭에 구조적 개량을 가함으로써 직류전원 잭 혹은 더블잭 커넥터 본체와 플러스극 전도 부품 사이에 견고한 결합 구조를 구성하여, 느슨해지거나 혹은 전기적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결점을 없애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도 막대 및 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한 일종의 플러스극 전도 부품을 제공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직류전원 잭의 본체 혹은 더블 잭 커넥터의 본체에 리벳팅으로 고정하여 직류전원 잭 혹은 더블잭 커넥터의 본체와 견고한 결합 구조를 구성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 및 도 2는 더블잭 커넥터(10)의 입체구조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더블잭 커넥터(10)를 이동 전화(20)에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더블잭 커넥터(30)를 회로 기판(25)에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더블잭 커넥터(30)의 후면 구조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더블잭 커넥터(30)에서 6-6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더블잭 커넥터(30)에 속한 직류전원 잭(33)의 플러스극 전자 부품의 분해도,
도 8은 본 고안의 플러스극 전자 부품을 일반 직류전원 잭(60)에 적용시킨 것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9는 본 고안의 더블잭 커넥터(30) 저면에 노출된 관찰 개구부(39)를 통하여 검시 및 제품 품질을 제어 관리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더블잭 커넥터 11 : 본체
12 : 이어폰 잭 13 : 직류전원 잭
14 : 플러스극 전도 단자 15 : 접지 단자
16 : 마이너스극 전도 단자 20 : 이동 전화
25 : 회로 기판 30 : 더블잭 커넥터
31, 61 : 본체 32 : 이어폰 잭
33 : 직류전원 잭 34 : 고정홈
35 : 개구부 36 : 접지 단자
37 : 마이너스극 단자 38 : 신호 단자
39 : 관찰 개구부 40 : 전도 막대
41 : 네크 링(neck ring) 42 : 전반부
43 : 후반부 44 : 중공(中空)
45 : 전도 플레이트 46 : 개구부
47 : 연결핀부 48 : 리벳팅 고정 구조
60 : 직류전원 잭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플러스극 전도 부품은 전도 막대(40) 및 전도 플레이트(45)를 포함하며, 이는 더블잭 커넥터(30)의 직류전원 잭(33) 혹은 일반적인 직류전원 잭(60)에 활용 가능하며, 이를 더블잭 커넥터(30)의 본체(31) 혹은 일반 직류전원 잭(60)의 본체(61)에 리벳팅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더블 잭 커넥터(30)에 포함된 직류전원 잭(33)의 플러스극 전도 부품을 구성하거나 혹은 일반 직류전원 잭(60)의 플러스극 전도 부품을 구성한다.
상기 직류전원 잭(60)에 도시된 구조는 상기 더블 잭 커넥터(30)의 직류전원 잭(33)과 완전히 동일하며, 따라서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은 더블잭 커넥터(30)에 포함된 직류전원 잭(33)에 대해서만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상기 직류전원 잭(60)에도 여전히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도시된 더블잭 커넥터(30)는 이어폰 잭(32) 및 직류전원 잭(33)이 구비되며, 상기 이어폰 잭(32) 및 직류전원 잭(33)으로 일체형 본체(31) 구조를 구성한다.
상기 더블잭 커넥터(30)의 이어폰 잭(32)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어폰 잭(EARPHONE JACK)의 구조와 대체적으로 비슷하여 이어폰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과 한 쌍의 신호 단자(38)를 구비하여 이어폰의 플러그를 삽입한 후 전기적 접촉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직류전원 잭(33)은 일반적인 직류전원 잭(DC POWER JACK)의 구조와 대체적으로 비슷하여 직류전원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과 접지단자(36) 및 마이너스극 단자(37)를 구비한다. 다만 전도 막대(40) 및 전도 플레이트(45)로 플러스극 전도 부품을 구성하여 직류전원의 플러그 삽입 후 전기적 연결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그 중 상기 직류전원 잭(33)의 플러스극 전도 부품은 상기 전도 막대(40) 및 전도 플레이트(45)를 함께 리벳팅하거나 혹은 나사를 이용하여 더블잭 커넥터(30)의 본체(31) 벽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데, 리벳팅 수단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전도 막대(40)는 금속 재질로 가늘고 긴 형태의 자루 모양을 띠며, 자루형 몸체에 외경이 비교적 큰 네크 링(neck ring)(41)이 구비되어, 상기 전도 막대(40)의 몸체를 전단부(42) 및 후단부(43)로 구분한다. 상기 전도 막대(40)의 전단부(42)는 직류전원의 플러그를 삽입한 후 플러스극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전도 막대(40)의 후단부(43)의 길이는 상기 더블잭 커넥터(30) 본체(31) 벽 및 상기 전도 플레이트(45)의 두께를 관통하기 충분하다. 또한 상기 후단부(43)의 말단 부분은 전도 플레이트(45)와 리벳팅 결합하는 리벳팅 구조(48)를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전도 막대(40)의 후단부(43) 중 말단 부분은 중공(44)의 얇은 하우징 구조가 된다.
상기 전도 플레이트(45)는 금속 재질의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을 띠며, 개구부(46) 및 굽어진 연결핀부(47)가 구비된다. 상기 개구부(46)의 구경은 상기 전도 막대(40)의 후단부(42) 직경보다 약간 크며, 상기 전도 막대(40)의 후단부(43) 말단이 끼워지게 되어 있다.
상기 더블잭 커넥터(30)의 본체(31)는 대응되는 직류전원 잭(33)의 삽입홈 벽면에 벽을 관통하는 개구부(35)가 설치되며, 상기 삽입홈(35)의 구경은 상기 전도 막대(40)의 후단부(43) 직경보다 약간 크고 상기 전도 막대(40)의 네크 링(41)의 외경보다 작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도 막대(40)의 후단부(43)가 상기 본체(31)의 개구부(35) 내부를 관통한 후, 네크 링(41)이 상기 본체(31)의 벽면에 걸리게 되는데, 이 때 다시 상기 전도 플레이트(45)의 개구부(46)을 이미 상기 본체(31) 외부에 노출된 전도 막대(40)의 후단부(43) 말단에 맞추어 끼워줌으로써 상기 전도 막대(40) 및 전도 플레이트(45)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 상태를 형성하도록 한 후, 다시 상기 전도 막대(40)의 후단부(43) 말단을 리벳팅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벳팅 고정 구조(48)를 이루어 전도 막대(40) 및 전도 플레이트(45)가 함께 직류전원 잭(33)의 플러스극 전도 경로를 구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도 막대(40)는 네크 링(41) 및 후단부(43) 말단의 리벳팅 고정 구조(48)를 이용하여 더블잭 커넥터(30)의 본체(31) 벽에 단단히 밀착시키는 힘을 발생시켜, 상기 전도 막대(40) 및 전도 플레이트(45)가 함께 더블잭 커넥터(30)의 본체(31) 벽 내외 양측을 단단히 압박하여 안정적인 밀착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해도 상기 전도 막대(40)가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준다.
더블잭 커넥터(30)에 포함된 직류전원 잭(33)의 본체(31) 후면에 별도로 하나의 고정홈(34)을 오목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홈(34)을 이용하여 상기 전도 플레이트(45)를 수용하여 상기 전도 플레이트(45)의 위치를 고정해주며, 상기 전도 막대(40) 및 전도 플레이트(45)를 리벳팅으로 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도 플레이트(45)를 상기 고정홈(34) 내부에 확실하게 고정해 줌으로써 리벳팅 고정 작업이 더욱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해준다.
이밖에, 본 고안인 더블잭 커넥터(30)의 본체(31) 저면에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관찰 개구부(39)를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관찰 개구부(39)의 위치는 이어폰 잭(32)을 수용하는 삽입홈 내부의 신호 단자(38)와 대응되거나 혹은 직류전원 잭(33)을 수용하는 삽입홈 내부의 접지 단자(36) 및 마이너스극 단자(37)와 대응되도록 한다. 따라서, 관찰 개구부(39)의 위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본체(31) 내부의 신호 단자(38), 접지 단자(36) 및 마이너스극 단자(37)를 관찰할 수 있다.
이어폰의 플러그를 이어폰 잭(32)의 삽입홈에 삽입할 때, 혹은 직류 전원의 플러그를 직류전원 잭(33)의 삽입홈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관찰 개구부(39)를 이용하여 이어폰의 플러그가 이어폰 잭(32)의 신호 단자(38)와 양호하게 전기적 연결이 되는지, 혹은 직류전원의 플러그가 직류전원 잭(33)의 접지 단자(36) 및 마이너스극 단자(37)와 양호하게 전기적 연결이 되는지 검시할 수 있으며, 제품 출고 전의 품질 관리에 대해서도 상당한 도움을 준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더블잭 커넥터(30)는 이어폰 잭(32)에 속한 한 쌍의 신호단자(38) 핀 및 직류전원 잭(33)에 속한 전도 플레이트(45)의 연결핀부(47), 접지 단자(36) 및 마이너스극 단자(37)의 연결핀을 이용하여 이동 전화의 회로 기판(25)과 전기적 연결을 구성함으로써 이동 전화가 충전에 이용되는 직류전원 잭(33) 및 이어폰 잭(32)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전도 막대의 후반부 말단을 전도 플레이트에 리벳팅하여 직류 전원 잭의 플러스극 전도 구조를 구성하고, 상기 전도 막대의 네크 링및 그 말단의 리벳팅 구조를 이용하여 더블잭 커넥터 본체 벽에 단단히 밀착시키는 힘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도 막대와 더블잭 커넥터 본체 사이에 단단하고 안정적인 밀착 구조를 형성시켜 장시간 사용하여도 상기 전도 막대가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0)

  1. 직류전원 잭 및 이어폰 잭이 공동으로 더블잭 커넥터의 본체를 구성하며;
    상기 직류전원 잭의 플러스극 전도 구조는 전도 막대의 후반부 말단이 전도 플레이트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전도 막대의 몸체에 네크 링을 구비하여 더블잭 커넥터 본체의 내측 벽면에 걸리고,
    상기 전도 플레이트는 더블잭 커넥터의 본체 후면 벽에 걸리고, 회로 기판과 전기적 연결을 구성하는 연결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잭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잭 커넥터의 본체 후면에 하나의 고정홈을 구비하여, 상기 전도 플레이트가 상기 고정홈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잭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막대의 후반부 말단은 리벳팅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잭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막대의 후반부 말단은 상기 전도 플레이트와 나사로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잭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잭 커넥터의 본체 저면에 관찰 개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잭 커넥터.
  6. 전도 막대의 후반부 말단과 전도 플레이트가 일체로 연결된 플러스극 전도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도 막대는 몸체에 네크 링을 구비하여 직류전원 잭 본체 벽 내측의 벽면에 걸리고,
    상기 전도 플레이트는 직류전원 잭 본체 후면의 벽면에 걸리고, 회로 기판과 전기적 연결을 구성하는 연결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원 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원 잭의 본체 후면에 하나의 고정홈을 구비하여, 상기 전도 플레이트가 상기 고정홈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원 잭.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막대의 후반부 말단은 리벳팅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원 잭.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막대의 후반부 말단은 상기 전도 플레이트와 나사로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원 잭.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원 잭의 본체 저면에 관찰 개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원 잭.
KR20-2004-0001403U 2003-08-22 2004-01-19 직류 전원 잭 KR2003486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2215235 2003-08-22
TW092215235U TWM249302U (en) 2003-08-22 2003-08-22 Structure improvement of DC power source recepta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646Y1 true KR200348646Y1 (ko) 2004-04-28

Family

ID=34546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403U KR200348646Y1 (ko) 2003-08-22 2004-01-19 직류 전원 잭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02381U (ko)
KR (1) KR200348646Y1 (ko)
TW (1) TWM24930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4339A (zh) * 2009-08-07 2012-05-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直流电插座
CN103386529B (zh) * 2013-07-11 2017-08-04 协讯电子(吉安)有限公司 一种可应用于自动焊锡的双管直流电源端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249302U (en) 2004-11-01
JP3102381U (ja)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4542A (en) Antenna mount for receiver cabinet
US5431585A (en) Car circuit adapter
JP3121438U (ja) 電源用コネクタ
US20080123319A1 (en) Memory card connector
TW200514308A (en) Connector having a simple structure assuring a stable mounting operation
JP2005302432A (ja) スプリングコネクタ
US20030040204A1 (en) Structure of ground pin for AC inlet and process for fastening wire onto same
US7445515B1 (en) Audio jack
KR200348646Y1 (ko) 직류 전원 잭
WO2006044899A3 (en) Double-side mounting electrical connector
US5586188A (en) Hearing aid
JP3195295B2 (ja) 電気接続用コネクタ
JP2007267003A (ja) 携帯型無線端末機
US6961437B2 (en) Capacitor microphone
US20040248451A1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US7048555B2 (en) Battery connector
US6537113B1 (en) Structure of pin for ac connector and process for fastening wire onto same
CN209785859U (zh) 配合有浪涌抑制器的辅助开关
CN218473343U (zh) 耳机充电连接结构及无线耳机
KR200365333Y1 (ko) 배터리 커넥터용 단자
CN209948280U (zh) 插头可拆换的线材结构
CN216145818U (zh) 一种Type-C母端电连接器
JP2005167112A (ja) 電子装置
CN220628259U (zh) 一种穿孔焊接外露式电接口的装配结构和电子设备
CN215525915U (zh) 测试结构及电能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