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413Y1 - 식생 호안블록 - Google Patents

식생 호안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413Y1
KR200348413Y1 KR20-2004-0001564U KR20040001564U KR200348413Y1 KR 200348413 Y1 KR200348413 Y1 KR 200348413Y1 KR 20040001564 U KR20040001564 U KR 20040001564U KR 200348413 Y1 KR200348413 Y1 KR 200348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type
revetment block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규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산업
주식회사 보림에쓰에쓰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산업, 주식회사 보림에쓰에쓰,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산업
Priority to KR20-2004-0001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4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생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운반 및 시공이 편리하고, 지면의 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뛰어나며,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 또는 곡선부의 시공에 적합한 식생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생 호안블록{Revetment block for vegetation}
본 고안은 식생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운반 및 시공이 편리하고, 지면의 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뛰어나며,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 또는 곡선부의 시공에 적합한 식생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생 호안블록은 강기슭, 해안, 또는 제방 등에 설치되어 유수(流水)에 의한 물가선의 침식을 방지하고,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식생 호안블록은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더욱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식생 호안블록은 강기슭, 해안, 또는 제방 등에 연속하여 설치되고 그 중량이 크기 때문에 그 설치 및 결합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작업자는 대개 식생 호안블록의 양측면을 파지하거나, 또는 식생 공간에 손을 넣어 파지한 후 상기 블록의 설치 및 결합 작업을 하게 되는데, 작업자의 손가락이 지면과 상기 블록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이 부상당할 위험이 크다.
또한, 식생 호안블록이 설치되는 지면이 곡선부를 이루거나 지면의 경사각이 변하는 경우에는 상기 블록들이 원활히 연결될 수 있도록 곡선부인 지면을 어느 정도 직선화하거나, 경사면의 경사각을 일정하게 하는 지반 공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곡선부 또는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에도 사용할 수 있는 식생 호안블록이 있다면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식생 호안블록들이 곡선부 또는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에서도 상호 긴밀하게 연결된다면 유수(流水) 등에 의한 유실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식생 호안블록들은 대개 사각형 형상으로 제조되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식생 호안블록들이 바둑판처럼 서로 빈틈없이 연결되는 구조이면 지면의 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떨어진다. 즉, 상기 블록들 사이에 다소간의 여유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면 지면의 요철 또는 방향 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더 커질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운반 및 시공용 손잡이를 구비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반 및 시공을 할 수 있는 식생 호안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곡선부를 이루는 지면, 또는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에도 사용할 수 있는 식생 호안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곡선부 또는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에서도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어 유수(流水) 등에 의한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식생 호안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식생 호안블록들 사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어 지면의 요철 또는 방향 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뛰어난 식생 호안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블록의 제1-A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블록의 제1-B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1-A형 식생 호안블록과 도 2의 제1-B형 식생 호안블록을 결합하여 설치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제1-A형 식생 호안블록과 도 2의 제1-B형 식생 호안블록을 경사면에 결합하여 설치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블록의 제2-A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블록의 제2-B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제2-A형 식생 호안블록과 도 6의 제2-B형 식생 호안블록을 경사면에 결합하여 설치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블록의 제3-A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블록의 제3-B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제3-A형 식생 호안블록과 도 9의 제3-B형 식생 호안블록을 경사면에 결합하여 설치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a, 10b, 30a, 30b, 50a, 50b : 몸체
26 : 식생공
20a, 20b, 40a, 40b, 60a, 60b : 결합 요부
22a, 22b, 42a, 42b, 62a, 62b : 결합 돌출부
100A : 제1-A형 식생 호안블록 100B : 제1-B형 식생 호안블록
200A : 제2-A형 식생 호안블록 200B : 제2-B형 식생 호안블록
300A : 제3-A형 식생 호안블록 300B : 제3-B형 식생 호안블록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식생 호안블록은 식생공의 내부에 운반 및 시공용 손잡이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반 및 시공용 손잡이는 상기 식생공의 내면에 형성된 계단 턱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식생 호안블록은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식생 호안블록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생 호안블록은 몸체의 측면에 몸체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형성된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의 끝단에 소정구간 형성된제1 평탄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제1 평탄부에 형성되어,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 또는 곡선부에 시공하기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식생 호안블록은 몸체 측면의 중앙부에 소정 구간 형성된 제2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의 양측에 형성된 제2 경사부를 구비하고, 돌기가 상기 제2 평탄부에 형성되어,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 또는 곡선부에 시공하기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생 호안블록은 몸체의 측면에 몸체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여 소정구간 형성된 제3 평탄부; 및, 상기 제3 평탄부의 끝단에서 몸체의 하면을 향하여 형성된 제3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제3 평탄부에 형성되어,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 또는 곡선부에 시공하기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식생 호안블록은 상기 몸체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결합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상기 결합 요부와 상응하는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출부가 이웃하는 식생 호안블록의 결합요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결합요부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블록의 제1-A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식생 호안블록의 제1-B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1-A형 식생 호안블록과 도 2의 제1-B형 식생 호안블록을 결합하여 설치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A형 식생 호안블록(100A)은 몸체(10a)의 측면에 형성된 제1 경사부(12a)와 제1 평탄부(14a)를 구비하고, 몸체(10a)의 상면(15a)보다 하면(16a)이 넓은 상협하광의 형상이다. 상기 제1 평탄부(14a)는 이웃하는 횡방향력에 저항하여 횡방향력으로 인한 상기 블록(100A)의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제1-A형 식생 호안블록(100A)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10a)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 요부(20a)와, 상기 양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양측면에 결합 요부(20a)와 상응되게 형성된 결합 돌출부(22a) 및, 결합 요부(20a)에 형성된 돌기(24a) 및 몸체(10a)의 중앙부에 형성된 식생공(26)을 구비한다.
상기 제1-B형 식생 호안블록(100b)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 돌출부(22b)가 일측면에만 형성된 상협하광 형상의 블록이다. 따라서, 제1-B형 식생 호안블록(100b)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계 블록(70)과 접하는 면에 설치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A형 식생 호안블록(100A)의 결합 요부(20a)는 이웃하는 제1-A형 식생 호안블록(100A)의 결합 돌출부(22a) 또는 이웃하는 제1-B형 식생 호안블록(100B)의 결합 돌출부(22b)와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또한, 제1-B형 식생 호안블록(100B)의 결합 요부(20b)는 이웃하는 제1-A형 식생 호안블록(100A)의 결합 돌출부(22a), 또는 이웃하는 제1-B형 식생 호안블록(100B)의 결합 돌출부(22b)와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상기 결합 요부(20a)(20b)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입구에 비하여 그 내부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 요부(20a)(20b)와 상응하는 형상의 결합 돌출부(22a)(22b)가 결합 요부(20a)(20b)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유수(流水) 등에 의한 식생 호안블록(100A)(100B)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A형(100A) 및 제1-B형 식생 호안블록(100B)은 몸체(10a)(10b)의 상면(15a)(15b)에 형성된 계단 부재(28)(29)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계단 부재(28)(29)는 몸체(10a)(10b)의 상면(15a)(15b)에 소정 개수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통행인의 통행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미관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기(24a)(24b)는 결합 요부(20a)(20b)에 형성되어 결합 돌출부(22a)(22b)와 결합 요부(20a)(20b)의 결합부에 소정의 여유공간(27)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기(24a)(24b)는 결합 요부(20a)(20b)의 제1 평탄부(14a)(14b)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24a)(24b)로 인한 여유공간(27)은 지면의 변화에 대한 적응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즉, 결합 돌출부(22a)(22b)와 결합 요부(20a)(20b)가 결합할 경우에 여유 공간(27)이 없으면 지면의 높낮이 또는 방향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식생공(26)은 몸체(10a)(10b)의 중앙부에 소정 개수가 형성되어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과 수분이 지면 쪽으로 스며들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생공(26)은 식생 호안블록(100A)(100B)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식생공(26)은 그 내부에 운반 및 시공용 손잡이를 구비한다. 즉,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생공(26)의 내면에는 계단 턱(25)이 형성되어 운반 및 시공용 손잡이 역할을 한다. 상기 계단 턱(25)은 식생공(26)의 상부에 비하여 하부가 넓게 형성되어 마련된다.
도 4는 운반 및 시공용 손잡이로서 계단 턱(25)을 나타내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몸체에 매설된 고리(미도시) 또는 후크(미도시)가 운반 및 시공용 손잡이로써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는 식생공(26) 내부의 일면에만 계단 턱(25)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계단 턱(25)은 다수의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블록의 제1-A형(100A)과 제1-B형(100B)은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 또는 곡선을 이루는 지면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A형(100A)과 제1-B형(100B)은 그 측면에 소정 각도의 제1 경사면(12a)(12b)이 형성되고, 하면(16a)(16b)에 근접한 소정구간에 제1 평탄부(14a)(14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각이 변하는 상향 경사면 또는 곡선을 이루는 지면에 지반공사 없이 시공할 수 있다. 즉, 경사각이 일정한 경사면 또는 평탄한 지면에는 제1-A형(100A) 또는 제1-B형(100B) 블록의 제1 평탄부(14a)(14b)끼리 맞닿도록 설치한다. 또한, 경사각이 변하는 상향 경사면 또는 곡선을 이루는 지면에는 제1-A형(100A) 또는 제1-B형(100B) 블록의 제1 경사면(12a)(12b)끼리 맞닿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식생 호안블록의 제1-A형(100A)과 제1-B형(100B)은 곡선을 이루는 지면을 직선화 하거나, 경사각이 변하는 상향 경사면을 경사각이 일정하도록 하는 지반공사를 하지 않고도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 호안블록의 제1-A형(100A)과 제1-B형(100B)은 곡선부 또는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에서도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유수(流水) 등에 의한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블록의 제2-A형(200A)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식생 호안블록의 제2-B형(200B)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제2-A형 식생 호안블록(200A)과 도 6의 제2-B형 식생 호안블록(200B)을 경사면에 결합하여 설치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제2-A형(200A) 및 제2-B형(200B) 식생 호안블록은 몸체(30a)(30b) 측면의 중앙부에 소정 구간 형성된 제2 평탄부(34a)(34b)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평탄부(34a)(34b)의 양측에 제2 경사부(32a)(32b)가 형성된다.
상기 제2-A형 식생 호안블록(200A)은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결합 요부(40a)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양측면에 결합 요부(40a)와상응하는 결합 돌출부(42a)가 형성되어, 결합 돌출부(42a)가 이웃하는 식생 호안블록의 결합 요부(40a)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돌기(44a)가 결합 요부(40a) 내부의 제2 평탄부(34a)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44a)는 제1 실시예의 돌기(24a)(24b)와 같은 역할을 한다.
상기 제2-B형 식생 호안블록(200B)은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결합 요부(40b)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결합 요부(40b)와 상응하는 결합 돌출부(42b)가 형성되어, 결합 돌출부(42b)가 이웃하는 식생 호안블록의 결합요부(40b)와 결합한다. 바람직하게, 돌기(44b)가 결합 요부(40b) 내부의 제2 평탄부(34b)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44b)는 제1 실시예의 돌기(24a)(24b)와 같은 역할을 한다.
상기 제2-A형(200A)과 제2-B형(200B)은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 또는 곡선을 이루는 지면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A형(200A)과 제2-B형(200B)은 그 측면에 제2 평탄부(34a)(34b)와 제2 경사부(32a)(32b)를 구비하기 때문에 경사각이 변하는 상향 경사면과 하향 경사면, 또는 곡선을 이루는 지면에 지반공사 없이 시공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각이 일정한 경사면 또는 평탄한 지면에는 제2-A형(200A) 또는 제2-B형(200B) 식생 호안블록의 제2 평탄부(34a)(34b)끼리 맞닿도록 설치한다. 경사각이 변하는 상향 경사면과 하향 경사면, 또는 곡선을 이루는 지면에는 제2-A형(200A) 또는 제2-B형(200B) 식생 호안블록의 제2 경사부(32a)(32b)끼리 맞닿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식생 호안블록의 제2-A형(200A)과 제2-B형(200B)은 곡선을 이루는 지면을 직선화 하거나,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을 경사각이 일정하도록 하는 지반공사를 하지 않고도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 호안블록의 제2-A형(200A)과 제2-B형(200B)은 곡선부 또는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에서도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유수(流水) 등에 의한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서 도 1 내지 도 4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진 부재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블록의 제3-A형(300A)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식생 호안블록의 제3-B형(300B)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상기 제3-A형 식생 호안블록(300A)과 제3-B형 식생 호안블록(300B)을 경사면에 결합하여 설치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제3-A형(300A) 및 제3-B형 호안블록(300B)은 몸체(50a)(50b)의 상면(55a)(55b)에서 하면(56a)(56b)을 향하여 소정구간 형성된 제3 평탄부(54a)(54b)와, 제3 평탄부(54a)(54b)의 끝단에서 몸체의 하면(56a)(56b)을 향하여 형성된 제3 경사부(52a)(52b)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돌기(64a)(64b)가 결합 요부(60a)(60b) 내부의 제3 평탄부(54a)(54b)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64a)(64b)는 제1 실시예의 돌기(24a)(24b)와 같은 역할을 한다.
상기 제3-A형(300A)과 제3-B형(300B)은 경사각이 변하는 하향 경사면, 또는 곡선을 이루는 지면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3-A형(300A)과 제3-B형(300B)은 그 측면에 제3 평탄부(54a)(54b)와 제3경사부(52a)(52b)를 구비하기 때문에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 또는 곡선을 이루는 지면에 지반공사 없이 시공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각이 일정한 경사면 또는 평탄한 지면에는 제3-A형(300A) 또는 제3-B형(300B) 식생 호안블록의 제3 평탄부(54a)(54b)끼리 맞닿도록 설치한다. 경사각이 변하는 하향 경사면 또는 곡선을 이루는 지면에는 제3-A형(300A) 또는 제3-B형(300B) 식생 호안블록의 제3 경사면(52a)(52b)끼리 맞닿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식생 호안블록의 제3-A형(300A)과 제3-B형(300B)은 곡선을 이루는 지면을 직선화 하거나, 경사각이 변하는 하향 경사면을 경사각이 일정하도록 하는 지반공사를 하지 않고도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 호안블록의 제3-A형(300A)과 제3-B형(300B)은 곡선부 또는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에서도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유수(流水) 등에 의한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 참조부호 50a는 제3-A형 식생 호안블록(300A)의 몸체이고, 50b는 제3-B형 식생 호안블록(300B)의 몸체이다. 또한, 62a는 제3-A형 식생 호안블록(300A)의 결합 돌출부이고, 62b는 제3-B형 식생 호안블록(300B)의 결합 돌출부이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 1 내지 도 4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진 부재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이다.
이상의 본 명세서는 측면에 결합 돌출부와 결합 요부가 형성된 식생 호안블록을 예로 들어 설명을 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호안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반 및 시공용 손잡이 또는 계단 턱과 돌기는 다양한 형태의 호안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본 명세서는 돌기가 결합 요부에 형성된 식생 호안블록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돌기는 결합 돌출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결합 돌출부와 결합 요부 양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식생 호안블록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운반 및 시공용 손잡이가 구비되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반 및 시공을 할 수 있는 식생 호안블록을 제공한다.
둘째, 곡선부를 이루는 지면, 또는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에도 사용할 수 있는 식생 호안블록을 제공한다.
셋째, 곡선부 또는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에서도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어 유수(流水) 등에 의한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식생 호안블록을 제공한다.
넷째, 식생 호안블록들 사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어 지면의 요철 또는 방향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뛰어난 식생 호안블록을 제공한다.

Claims (7)

  1. 몸체에 식생공이 형성된 식생 호안블록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의 내부에 운반 및 시공용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및 시공용 손잡이는 상기 식생공의 내면에 형성된 계단 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식생 호안블록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몸체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형성된 제1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의 끝단에 소정구간 형성된 제1 평탄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제1 평탄부에 형성되어,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 또는 곡선부에 시공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블록.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측면의 중앙부에 소정 구간 형성된 제2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의 양측에 형성된 제2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제2 평탄부에 형성되어,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 또는 곡선부에 시공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블록.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몸체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여 소정구간 형성된 제3 평탄부;
    상기 제3 평탄부의 끝단에서 몸체의 하면을 향하여 형성된 제3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제3 평탄부에 형성되어, 경사각이 변하는 경사면 또는 곡선부에 시공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블록.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결합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상기 결합 요부와 상응하는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출부가 이웃하는 식생 호안블록의 결합요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결합요부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블록.
KR20-2004-0001564U 2004-01-20 2004-01-20 식생 호안블록 KR200348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564U KR200348413Y1 (ko) 2004-01-20 2004-01-20 식생 호안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564U KR200348413Y1 (ko) 2004-01-20 2004-01-20 식생 호안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413Y1 true KR200348413Y1 (ko) 2004-04-28

Family

ID=4942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564U KR200348413Y1 (ko) 2004-01-20 2004-01-20 식생 호안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4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705B1 (ko) 2005-04-26 2007-01-09 (주)다인건설 하상 보호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705B1 (ko) 2005-04-26 2007-01-09 (주)다인건설 하상 보호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8952A (ja) 建造用モジュール
KR200398037Y1 (ko) 테트라 포드
KR20040081762A (ko) 호안 블럭 및 매트
US4813812A (en) Sloping blocks and revet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348413Y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383918Y1 (ko) 토사유실 방지용 호안블럭
KR200228767Y1 (ko) 방파제 피복용 소파블럭
US5586835A (en) Shore erosion control structures
CN109006033B (zh) 护坡块
AU720487B2 (en) Revetment for a bank
KR100696722B1 (ko) 관통홀이 형성된 식생 호안블록 및 그 설치구조
JP3544957B2 (ja) 組立式護岸構造体
KR200183593Y1 (ko)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 피복블럭
KR200342293Y1 (ko) 콘크리트 해안호안 구조
KR101219408B1 (ko) 소파블록
KR200247936Y1 (ko) 호안블록
KR200386416Y1 (ko) 관통홀이 형성된 식생 호안블록 및 그 설치구조
KR200386417Y1 (ko) 포러스 식생 호안블록 및 그 설치구조
JPS63125718A (ja) 魚礁付被覆・根固めブロツク
JP3588694B2 (ja) 水抜孔の構造
KR200392191Y1 (ko) 호안보호용 식생블럭
KR20060097812A (ko) 포러스 식생 호안블록 및 그 설치구조
KR200300448Y1 (ko) 호안블록
KR200438545Y1 (ko) 식생옹벽블럭
KR200344578Y1 (ko) 친환경적 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